KR20120111813A -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13A
KR20120111813A KR1020110030402A KR20110030402A KR20120111813A KR 20120111813 A KR20120111813 A KR 20120111813A KR 1020110030402 A KR1020110030402 A KR 1020110030402A KR 20110030402 A KR20110030402 A KR 20110030402A KR 20120111813 A KR20120111813 A KR 2012011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cklonia
gompi
ecklonia cava
melanin bio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락
이민섭
신태선
변대석
최재수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813A/ko
Publication of KR2012011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곰피 (Ecklonia stolonifera) 또는 감태 (Ecklonia cava) 유래 미백 효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디에콜(dieckol) 및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 PFF-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기능성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thanolic extracts of Ecklonia stolonifera or Ecklonia cava or phlorotannins separated therefrom}
본 발명은 곰피 (Ecklonia stolonifera) 또는 감태 (Ecklonia cava) 유래 미백 효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디에콜(dieckol) 및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 PFF-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기능성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s) 또는 식품은 의약품 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도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하여 저자본으로 고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한 첨단 미래형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해조류 같은 해양자원과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 중에 있으나, 해조류의 높은 점성 때문에 해조분말을 이용한 팩 등의 화장품은 효과에 비해 실용성이 저평가 되어 있다.
기능성 화장품 또는 식품에 있어서 해양에서 유래된 천연물은 원료개발의 핵심부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외국의 유력한 화장품 또는 식품업체에 비해 국제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으로 평가된다.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미백 소재인 알부틴 (arbutin), 닥나무 (Broussonetia) 추출물 분말, 감초 (licorice; Glycyrrhiza) 추출물, 에틸 아스코르베이트와 주름개선 소재 (항노화소재)인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에 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KFDA)에서 기능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들을 원료로 한 제품은 2005년 약 5천억 원 정도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나, 이들 소재 100%가 수입 원료로서 국산화 또는 국내 신소재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광우병의 발병으로 동물 유래의 화장품 소재들이 대부분 식물 유래의 소재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 실시된 규제 완화 조치에 의해 일부 배합이 금지된 성분을 제외하고는 배합된 전성분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모든 소재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식물 유래의 화장품 원료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식물 유래의 화장품 소재로 올리브유, 야자유와 사포닌, 소맥배아유, 미강유, 인지질 등 같은 계면 활성성분, 아미노산,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 수용성 성분 등이 보습제, 피막형성제, 피부보호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활성 및 생산을 억제하는 소재, 엘라스티나제 (elast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소재,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는 소재, 활성 산소의 제거 능력을 가진 소재, 각화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소재, 섬유하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소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소재 등이 연구개발 중이거나 이미 보습, 항노화,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90% 이상 또는 100%까지의 천연성분을 사용하며, 로즈메리 나뭇잎, 버드나무껍질 추출액, 나재지치 뿌리, 꿀, 당근 등 다양한 천연물이 크림류, 보습류, 립스틱, 향류 등 다양한 화장용품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능성 미용식품 개발도 활발한데, 이것은 기존의 화장품들과는 달리 피부노화의 억제를 영양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일본 가네바노 시세이도 같은 대형 회사에서는 '뷰티푸드'라는 이름의 브랜드를 선보이고 있다.
야채나 과일을 위주로 하는 미용식, 녹차나 허브차 등의 미용차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신개념의 먹는 화장품은 콜라겐, 포도씨 추출물, 석류 추출물, 실크펩타이드, 베타카로틴 등의 천연물질을 사용해 식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항산화제나 기타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를 촉진시켜 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생활습관성 질병의 증가, 고령화 사회 도래, 의료비 자가부담 증가 및 예방지식의 증가로 건강기능성 식품과 더불어 미용 식품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 연구된 동물 유래 미용기능소재로는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플라센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글로쿠사민 등이 있으며, 식물 소재로는 종자 추출액, 비타민 C 등이 연구된 바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월도엽 (月挑葉)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섬유하세포의 활성화, 엘라스틴 생성촉진과 분해억제에 의한 피부탄성을 향상시키는 제품을 개발 중에 있고, 자현미 (紫玄米) 추출물을 이용하여 섬유하세포의 활성화와 콜라겐 분해 억제에 의한 피부탄성을 향상시키는 제품을 개발 중에 있다.
한편, 화장품 개발을 위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화합물의 대부분이 페놀성 화합물로서 멜라닌 합성 저해제 또는 광보호제로 연구되고 있다. 천연에 존재하는 식물 유래 추출물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페놀,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계통으로 하이드록시퀴논, 알부틴, 코즈산 등은 세포 독성 또는 발암성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Pigment Cell Res. 19: 550-571).
멜라닌 생합성은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티로신 관련 단백질-1 (tyrosinase realted protein-1; TRP-1), 티로신 관련 단백질-2 (TRP-2), 멜라닌 전달과 분해에 관련된 사이토카인 등의 많은 단백질이 관련된 복잡한 과정이므로 (Pigment Cell Res. 17: 96-110; J Invest Dermatol. 122:xxvii-xxix), 티로시나아제 저해제가 새로운 미백제 개발을 위한 지표로 연구되고 있다 (Biol Pharm Bull. 29: 1947-1951;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631-634).
멜라닌 색소 생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는 마이크로프탈미아-관련 전사인자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로써 색소침착은 물론 흑색종 세포의 증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MITF의 발현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개발이 관심을 끌고 있다(Pigment Cell Res. 13: 60-69; 230-240).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식품의 잎, 껍질, 꽃 등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로 세포 독성이 낮아 항암, 항염증, 항산화능이 높아 의약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플라보노이드는 면역조절능과 항산화 효과 외에도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제로 작용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멜라닌 합성 경로에 작용함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J Agric Food Chem. 53: 2009-2014).
레스베라트롤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효과 뿐만 아니라 MITF 전사활성을 감소시켜 티로시나아제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J Invest Dermatol. 119: 1330-1340).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285 종의 한약재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검색한 결과 2-옥시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뽕나무 (Morus alba L.)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가 가장 높으며,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J. Cosmet Sci. 54: 133-142).
녹차 중의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는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 뿐만 아니라 MITF 전사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rch Pharm Res. 27: 334-339), 포도씨중의 프로시아니딘은 항산화성과 더불어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 Agric Food Chem. 53: 6105-6111; FEBS Lett. 579: 4219-4225).
화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에라그산 또한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이 높아 갈색의 기니피그 피부에 처리한 결과 흑색종 세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경구투여한 경우에도 미백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미백화장품 개발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Biosci Biotechnol Biochem. 69: 2368-2373).
쿠마린은 티로시나아제와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며, 알파-토코페롤과 동시에 처리할 경우 활성산소 소거 기작에 의하여 미백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Arch Dermatol Res. 294: 349-354).
알로에로부터 분리된 알로에신은 플라보놀과 유사한 구조를 취하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위치와 결합하여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알로에신의 여러 가지 유도체를 합성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분석한 결과 몇몇 화합물은 알부틴이나 코즈산 보다도 강한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Chem Pharm Bull (Tokyo). 50: 309-311).
90여종의 한약재 추출물의 흑색종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9종의 한약재 추출물이 미백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오배자 (Galla chinensis)의 물추출 획분과 위령선 (Radix clematidis)의 에탄올 추출 획분에서 가장 높은 미백활성이 나타났다 (Biol Pharm Bull. 29: 1947-1951).
용안 (Longan) 씨앗은 코릴라긴, 갈산, 엘라그산과 같은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성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이 높아 미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Food Chem Toxicol (Epub)).
이외에도 다양한 식물로부터 분리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Planta Med. 69: 559-561), 사포닌 (Int J Dermatol. 39: 299-301), 헵타노이드 (Arch Dermatol. Res. 25: 885-888), 그라브리딘 (Biol Pharm Bull. 28: 2216-2219) 등의 화합물을 이용한 미백 효과들이 보고되었다.
곰피 (Ecklonia stolonifera)와 감태 (Ecklonia cav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다년생 해조로서, 한국 동해안의 특산물로 무기질을 풍부히 함유하고 있으며 약간 떫은 맛이 인기가 좋아 쌈이나 무침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곰피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482호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는 곰피 추출물로부터 에크스트로놀 (eckstolonol), 에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 (eckstolonol pentaacetate), 엑콜 (eckol),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 및 디엑콜과 같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분리해 낸 후, 이들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함으로써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용도를 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3597호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 독성에 대한 간보호 활성을 진니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곰피 추출물로부터 에크스트로놀 및 플로로푸코푸로에콜 A와 같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분리해 낸 후, 이들의 타크린에 의한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2751호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곰피 추출물로부터 플로로그루시놀, 에크스트로놀, 에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 에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A 및 디에콜과 같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분리해 낸 후, 에콜과 디에콜의 버섯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통한 피부 미백 용도를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을 바탕으로 식물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원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해조류인 다시마목의 곰피 또는 감태로부터 플로로탄닌 성분을 추출해내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완성한 것으로,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와 멜라닌 생합성 관련 효소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정 추출물과 특히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이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분리된 디에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피부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와 멜라닌 생합성 관련 효소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곰피 또는 감태로부터 분리한 상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료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곰피 또는 감태로부터 분리한 상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곰피 또는 감태로부터 분리한 상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곰피 또는 감태로부터 분리된 주정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디에콜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는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a-MSH (a-melanomacyte stimulating hormone)로 유도되는 멜라닌 생성 관련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 미백용 화장료 및 기능성 식품, 또는 멜라닌 과생성으로 인한 피부 질환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의 추출과정의 흐름도.
도 2는 곰피 주정 추출물을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3은 감태 주정 추출물을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4는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5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6은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과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7은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과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8은 디에콜을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9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10은 디에콜, 그리고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그림이다.
도 11은 디에콜과 a-MSH를 처리한 B16F10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합성량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a-MSH를 처리한 B16F10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합성량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디에콜, 그리고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을 얻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로부터 신규한 디에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를 분리?정제한 후, 피부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분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의 신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추출물로써,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추출물은 n-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로, 바람직하게는 n-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은 곰피 또는 감태를 음지에서 자연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한 후, 건조 중량의 약 3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주정으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하여 물,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은 물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순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즉,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에 n-헥산 : 물 : 에탄을을 일정 비율, 바람직하게는 10 : 9 : 1로 혼합하여 n-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성 분획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50 : 1의 혼합용매로 시간당 일정용량, 바람직하게는 시간당 1000 mL의 속도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F1부터 F20까지 20개의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F1 분획물은 다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1 : 1의 혼합용매로 분리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농도기울기 용출로 20%~100%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세파덱스로 정제하여 화합물들을 분리 및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을 갖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수득된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한 피부미백용 조성물로써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실험에 사용하는 세포주 중에서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 아주 특이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세포인 B16F10 흑색종 세포를 사용하여 a-MSH으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반응에 대한 효과를 측정해 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곰피 또는 감태는 부산시 기장군 대변연안 앞 바다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으며, 곰피 또는 감태를 음지 또는 저온건조기로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 kg을 주정 5 L에 넣고 50에서 일정시간으로 3회 반복하여 환류냉각 추출한 후, 여의로 감압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35에서 주정을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서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700 g을 수득하였으며(도 1), 이 중 2 g을 취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곰피 또는 감태 조추출물 700 g에 n-헥산 : 물 : 메탄올 = 10 : 9 : 1의 혼합용매 4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L 및 헥산가용성 분획물 2 L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L에 디클로로메탄 2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L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2 L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 L에 에틸아세테이트 2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L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2 L를 얻은 후, 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24.99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24.99 g을 메탄올에 녹여 대형 실리카 컬럼 (100 x 10 cm)에서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 혼합용액으로(6:1, 5:2, 4:3, 3:4, 2:5, 1:6, v/v, 1.2 L) 시간당 1000 mL씩 분획을 수행하여 10개의 하부 분획물로 나눈 후, 분리된 획분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여 활성이 높은 획분을 분리하였다.
활성이 높은 획분을 recycling HPLC system에 장착된 Asahipak GS-310 칼럼 (500 x 20 mm, Showa Denko, Japan)으로 겔여과하여 유사한 분자량의 물질들을 모은다.
각각의 획분들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Shim-pack PREP-ODS(5㎛, 100Å 250 mm x 20 mm, Shimadzu Co., Tokyo, Japan) 칼럼으로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화합물을 핵자기공명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기기 및 질량분석기 (Mass Spectrometer, MS) 등과 같은 각종 분석기기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 화합물 1 : 디에콜 (dieckol)
Figure pat00001
물질의 성상 :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 C36H22O18
양성 FAB-MS m/z : 742 [M]+
1H-NMR (400 MHz, CD3OD) δ : 6.15 (1H, s, H-3), 6.13 (1H, s, H-3), 6.09 (2H,s, H-2", 6"), 6.06 (1H, d, J = 2.9 Hz, H-8), 6.05 (1H, d, J = 2.9 Hz, H-6"), 5.98 (1H, d, J=2.8 Hz, H-6), 5.95 (1H, d, J=2.8 Hz, H-6), 5.92 (3H, s, H-2', 4', 6').
13C-NMR (100 MHz, CD3OD) δ : 162.7 (C-1'), 161.0 (C-3', 5'), 158.6 (C-1'''), 156.8 (C-7), 155.3 (C-7"), 153.2 (C-3''', 5'''), 148.1 (C-2"), 148.01 (C-2), 147.9 (C-9"), 147.7 (C-9), 145.1 (C-5a"), 145.0 (C-5a), 144.2 (C-4"), 144.1 (C-4'''), 139.4 (C-10a), 139.3 (C-10a"), 127.3 (C-4'''), 127.0 (C-9a), 126.5 (C-1), 126.4 (C-1"), 125.7 (C-9a"), 125.5 (C-4a"), 125.4 (C-4a), 100.7 (C-8"), 100.6 (C-8), 100.3 (C-3), 100.2 (C-3"), 98.5 (C-4'), 97.0 (C-2''', 6'''), 96.7 (C-6), 96.6 (C-6"), 96.2 (C-2', 6').
2) 화합물 2 :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
Figure pat00002
물질의 성상 :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 C30H18O14
양성 FAB-MS m/z : 602 [M]+
1H-NMR (400 MHz, CD3OD) δ : 6.63 (1H, s, H-7), 6.40 (1H, s, H-11), 6.26 (1H, s, H-2), 5.97 (2H, d, J = 2.1 Hz, H-2", 6"), 5.94 (1H, t, J = 1.9 Hz, H-4'), 5.92 (1H, t, J=2.0 Hz, H-4"), 5.88 (2H, d, J=2.1 Hz, H-2', 6').
13C-NMR (100 MHz, CD3OD) δ : 162.7 (C-1"), 162.6 (C-1'), 161.0 (C-3', 5'), 161.0 (C-3", 5"), 154.0 (C-7a), 152.5 (C-10), 152.0 (C-8a), 149.1 (C-3), 149.0 (C-12), 146.7 (C-6), 144.7 (C-1), 139.2 (C-4a), 136.2 (C-12c), 128.9 (C-5a), 125.9 (C-13a), 125.6 (C-4), 123.2 (C-9), 106.2 (C-12a), 106.1 (C-12b), 100.8 (C-11), 100.2 (C-2), 98.6 (C-4'), 98.5 (C-4"), 97.0 (C-7), 96.2 (C-2", 6"), 96.2 (C-2', 6').
상기의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화합물 1인 디에콜(dieckol)과 화합물 2인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 실험예 1>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B16F10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
1) 세포독성 실험
B16F10 흑색종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세포독성은 세포의 생존율을
엠티에스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Kim et al., J Agric Food Chem, 2009, 57, 3483-3489). 즉, 세포를 일정 시간 배양한 후, MTS 시약을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생성된 보라색 불용성의 포르마잔 (formazan)을 분광광도계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로 490 nm의 파장 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10-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주에 10-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100 ㎍/ml의 농도범위에서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은 B16F10 세포주에 어떠한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5-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주에 5-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4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5-100 ㎍/ml의 농도범위에서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B16F10 세포주에 어떠한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2)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B16F10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함량은 Hosoi 등이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세포를 일정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1 N NaOH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30 분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리물을 5000 x g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405 nm에서 상 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25-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을 처리하고 1 시간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은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곰피 또는 감태 주정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25-100 ㎍/ml의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하고 1시간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72 시간 배양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곰피 또는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곰피 주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에콜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
1) 세포독성실험
곰피 주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에콜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0.1-10 mM의 디에콜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주에 1-10 μM의 디에콜을 1시간동안 처리한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0 μM의 농도범위에서 디에콜은 B16F10 세포주에 유의적인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곰피 주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10-40 μM의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를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주에 10-40 μM의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를 1 시간동안 처리한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40 μM의 농도범위에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는 B16F10 세포주에 어떠한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2)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 화합물들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각각 디에콜 (1-10 μM) 그리고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20 μM)를 처리하고 1 시간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72 시간 배양하여 세포내 멜라닌이 생성되는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도 10은 디에콜, 그리고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그림으로, 가, 대조군; 나, a-MSH (10 nM) 처리군; 다, a-MSH (10 nM)과 알부틴 (100 μM) 처리군; 라, a-MSH (10 nM)과 디에콜 (1 μM) 처리군; 마, a-MSH (10 nM)과 디에콜 (5 μM) 처리군; 바, a-MSH (10 nM)과 디에콜 (10 μM) 처리군; 사, a-MSH (10 nM)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5 μM) 처리군; 아, a-MSH (10 nM)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0 μM) 처리군; 자, a-MSH (10 nM)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20 μM) 처리군을 나타낸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화합물들은 a-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세포의 멜라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디에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는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1-12).
< 실험예 3> B16F10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곰피 분리물의 효과
피부세포에서 자외선 등 외부 자극에 의하여 티로시나아제 효소가 과발현되면 몇 단계를 거쳐 tyrosine으로부터 멜라닌을 생합성한다 (Busca et al., 2000; Sato and Toriyama, 2009). 따라서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면 피부세포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관련 효소들의 발현에 대한 곰피 추출물의 억제 효과는 Western blot과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Kim et al., 2009). 즉, 시료를 처리한 세포를 일정 시간 배양한 후 세포의 단백질과 mRNA를 회수하고, 각각을 Western blot과 RT-PCR 방법으로 단백질과 mRNA의 발현량을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흑색종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효소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디에콜 (1-10 ) 그리고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5-20 μM)를 각각 B16F10 세포에 처리하고 1 시간 후, 10 nM의 a-MSH를 처리하여 72 시간 배양하였다. 회수된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도 15는 디에콜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a-MSH를 B16F10 흑색종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림으로, 가, a-MSH (10 nM)과 디에콜 (1-10 μM) 처리군의 단백질 발현; 나, a-MSH (10 nM)과 디에콜 (5-10 μM) 처리군의 mRNA 발현; 다, a-MSH (10 nM)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5-20 μM) 처리군의 단백질 발현; 라, a-MSH (10 nM)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0-20 μM) 처리군의 mRNA 발현을 나타낸다.
상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화합물은 흑색종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는 곰피로부터 분리된 디에콜,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가 흑색종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발현을 전사 후 수식 단계에서 억제하여 B16F10 흑색종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곰피 또는 감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디에콜과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와 같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비누 제조]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30 (%)에 유지,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을 적당량과 향료를 소량첨가하여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비누를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1]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에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2]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 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에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3]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00 (%)에 갈조 엑기스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을 첨가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크림 제조]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에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 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을 첨가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팩 제조]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0(%)에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을 첨가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팩을 제조하였다.
[미용액 제조]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00(%)에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 12.00, 크산탄검(2 %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수용액) 5.00을 가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부터 분리?정제된 디에콜 (dieckol)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약학조성물의 제제 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디에콜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00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당량으로 하여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 ㎖로 한 후, 2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디에콜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200 mg, 유당 100 mg, 전분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당량으로 하여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디에콜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00 mg, 유당 50 mg, 전분 50 mg, 탈크 2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당량에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디에콜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1000 mg,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당량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으로 맞추었다.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 ㎖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곰피의 주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주정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주정 추출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품 소재, 과색소 침착 피부 질환의 치료용 약품 소재, 미백용 기능성 식품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기능을 가진 주정 추출물
  3. 감태의 주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주정 추출물
  4. 제 3항에 있어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주정 추출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품 소재, 과색소 침착 피부 질환의 치료용 약품 소재, 미백용 기능성 식품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기능을 가진 주정 추출물
  5. 곰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부터 분리?정제된 디에콜 (dieckol)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곰피 추출물
  6. 제 5항에 있어서,
    곰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진 피부 미백용 화장품 소재, 과색소 침착 피부 질환의 치료용 약품 소재, 미백용 기능성 식품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피 추출물
  7. 감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부터 분리?정제된 디에콜 (dieckol) 또는 플로로푸코푸로에콜 에이 (phlorofucofuroeckol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감태 추출물
  8. 제 7항에 있어서,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진 피부 미백용 화장품 소재, 과색소 침착 피부 질환의 치료용 약품 소재, 미백용 기능성 식품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태 추출물
KR1020110030402A 2011-04-01 2011-04-01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20111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02A KR20120111813A (ko) 2011-04-01 2011-04-01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02A KR20120111813A (ko) 2011-04-01 2011-04-01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13A true KR20120111813A (ko) 2012-10-11

Family

ID=472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402A KR20120111813A (ko) 2011-04-01 2011-04-01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8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818A (ko) * 2013-09-30 2015-04-09 (주) 비에스티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818A (ko) * 2013-09-30 2015-04-09 (주) 비에스티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124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ingonberry extract and its uses
KR101310980B1 (ko)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2388A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49215B1 (ko) 승마, 황련, 황백 및 후박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20494B1 (ko) 맥문동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3614B1 (ko) 시로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조성물
KR20120111813A (ko)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68471B1 (ko)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63841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155512B1 (ko) 곰피 유래 피부보호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869639B1 (ko) 개병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19898B1 (ko)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제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971A (ko)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참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주정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n-헥산 가용 추출물 또는 디클로로메탄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283289B1 (ko)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1352B1 (ko) 이너뷰티 효능을 지닌 콜라겐 조성물
KR102264006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190063600A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