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321A -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321A
KR20150037321A KR20130116838A KR20130116838A KR20150037321A KR 20150037321 A KR20150037321 A KR 20150037321A KR 20130116838 A KR20130116838 A KR 20130116838A KR 20130116838 A KR20130116838 A KR 20130116838A KR 20150037321 A KR20150037321 A KR 2015003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fgl
predicting
liver damage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053B1 (ko
Inventor
이해준
정명구
이윤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102013011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tibody fra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01N33/6857Antibody fra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피프리노겐 유사 단백질 1 (Fibrinogen-like protein 1, FGL 1),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그리고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Biomarkers for predicting liver damage caused by radiation exposure and a predi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선 피폭 시 다수 발생되는 간 손상 시 그 발현이 변화하여 간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그 바이오마커의 발현을 측정할 수 있는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 간 손상 예측용 키트, 및 그 바이오마커의 발현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손상의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에 의한 정상조직의 손상은 방사선 치료 시 생기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방사선 치료 선량의 한계를 가져오며, 완치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최근, 방사선 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 방사선 치료를 받은 암환자의 생존률이 높아지면서 방사선 피폭에 의한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한 암 환자의 삶의 질 저하는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사선 피폭 질환 중의 하나는 간 손상이다. 방사선 피폭에 의해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간염(hepatitis), 정맥성 간질환(veno-occlusive disease),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및 간괴사와 같은 간질환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지난 50년 동안 방사선 생체 영향 분야에서 주목하던 바이오마커는 주로 종양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간접적인 위험성,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효과 및 손상 예측, 치료 부작용 관련 독성을 진단하는 등 방사선에 의한 정상 조직 관련 마커 발굴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Paul Okunieff et al. Molecular markers of radiation-related normal tissue toxicity. Cancer Metastasis Rev. 2008, 27(3), 363-374; Katharina Fleckenstein et al., Using biological markers to predict risk of radiation injury. Semin Radiat Oncol. 2007, 17(2), 89-98). 현재 임상적으로 몇 가지 유용한 방사선 관련 바이오마커가 개발 중에 있지만,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간 손상 마커 개발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들어 간 손상의 초기 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마커 발굴에 대한 몇몇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들 연구는 지난 30 년간 유일한 간기능 진단 마커로 활용되고 있는 혈청 아미노전이효소 마커(ALT; alanine aminotranferase, AST; aspartate aminotrasnferase 등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기존의 간 손상 진단 마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간기능 검사를 위한 혈청 마커와 다른 하나는 간의 섬유화 정도를 예측하기 위한 섬유화 마커이다. 현재까지는 사용되고 있는 간기능 검사를 위한 혈청 마커는 간손상에 특이적이지 않고 다른 대사 질병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 민감성이 떨어진다(비특허문헌 2). 또한, 섬유화 마커는 만성 간질환에 의한 간손상을 진단하는 마커로써 방사선 피폭에 의한 급성 간 손상이나 아급성 손상을 예측 할 수 없다(비특허문헌 3 및 4). 이러한 기존의 간 손상 마커들은 혈청에서 분리하는 효소들로서, 신장손상, 전신질환 및 생리적 상태에 따라 변화되어 간 손상에 특이적이지 않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특이적인 마커의 개발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을 예측하고 간 손상 관련 질병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FGL 1은 피브리노겐 유사 단백질 1(Fibrinogen-like protein 1)의 약자로서, hepasoccin 또는 HFREP1(hepatocyte-drived fibringen related protein) 등의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까지 FGL 1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폐, 심장, 소장, 신장 등 간 이외의 다른 조직에서의 발현은 보고된 바 없으며, 최근 일부 지방세포에서의 발현이 보고된 바 있다. FGL 1은 간에서 간 실질세포(hepatocyte)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동형 이합체(homodimer) 구조로 분비된다. 또한 간절제술 후 간이 재생하는 동안 높은 발현량을 보여 간 재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이론은 정립되지 않았다.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악성 간 종양세포에서 FGL 1 단백질 양이 낮게 조절되어 종양세포 분화에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작용기전은 역시 밝혀지지 않았다(비특허문헌 5)
1. Radwan F. Khozouz, Syed Z. Huq and Michael C. Perry, Radiation -induced liver disea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8, 26(29), 4844-4845) 2. Sookoian S and Pirola CJ,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snferase ad glutamine-cycling pathway: their role in pathogenesis of metabolic syndrome, World J Gastroenterol. 2012, 18(29), 3775-3781 3. Ancha Baranova et al., Non-invasive markers for hepatic fibrosis. BMC Gsteroenterology 2011, 11, 91 4. Grigorescu M, Noninvasive biochemical markers of liver fibrosis. J Gastrointesin Liver Dis. 2006, 15(2), 149-159 5. Jun Yan et al., LFIRE-1/HFREP-1, a liver-specific gene, is frequently downregulated and has growth suppressor activity in hepatocellular carcinoma. Oncogene. 2004, 23, 1939-1949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상인에 비해 간조직 또는 혈장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피프리노겐 유사 단백질 1 (Fibrinogen-like protein 1, FGL 1)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기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손상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간조직 또는 혈장으로부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방사선 피폭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개발을 위해 연구한 결과, 방사선 조사에 의해 조직학적으로 간 손상이 확인된 간 손상 실험군의 혈장 및 간 조직 내의 FGL 1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방사선에 피폭된 개체의 간조직 또는 혈장 중의 FGL 1의 발현수준을 측정함으로써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FGL 1은 방사선에 의한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정상인에 비해 간조직 또는 혈장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피프리노겐 유사 단백질 1 (Fibrinogen-like protein 1, FGL 1)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에 방사선 전신조사 및 간 장기에 대한 부분 조사(간용적의 90% 이상)에 의한 간 손상 동물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 모델에서 FGL 1은 간조직과 혈장(plasma)에서 유사한 패턴으로 발현되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방사선 조사군의 간 조직과 혈장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GL 1은 방사선 노출 선량 및 시간에 유의하게 간 손상에 의해 혈장 내로 분비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배양된 사람 간세포주에 방사선을 조사 후 세포 및 세포배양액 내의 FGL 1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방사선량이 높을수록, 방사선 조사 시간이 증가할수록, 배양액 중의 FGL 1의 발현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실시예 1). 또한, 마우스의 전신에 방사선을 피폭 후 간조직에 대해 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한 결과, 염증, 섬유화, 울혈, 출혈 및 괴사 등을 의심할 수 있는 간조직의 손상 증상이 확인되었으며(실시예 2), 마우스의 전신에 또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방사선을 피폭시킨 후 FGL 1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방사선 피폭 후 경과 시간이 증가할수록,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할수록 간조직 및 혈장 내에서의 FGL 1의 발현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시예 3 및 4). 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방사선을 피폭시킨 방사선 간손상 모델과, 마우스에게 N-니트로소듐디메틸아민(DMN)을 투여한 DMN 간손상 모델에 대해 FGL 1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DMN 간손상 모델에서는 FGL 1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 반면, 방사선 간손상 모델에서는 FGL 1의 발현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시예 5). 따라서, 상기 FGL 1은 간조직의 손상정도와 그 발현 정도가 일치하며, 방사선 피폭 용량에 따라 발현수준이 증가하므로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의 진단 및 예측 마커로서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FGL 1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간염증,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및 간괴사 등의 간손상 질환의 진단이 필요하다는 사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을 위한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는 FGL 1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측"은 현재 또는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에 이르는 가까운 시일 내에 간 손상 질환의 존재여부를 예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간 FGL 1의 단백질 정보는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ical Information), GeneBank Accession No.: AAH07047.1, GI 13937878 (SEQ ID NO: 1)에 등록되어 있으며, GeneBank Accession No.:BC007047.1, GI 13937877의 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피폭에 의해 간 손상 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입증된 FGL 1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함으로써 방사선에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항체"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하여 지시되는 특이적인 면역 글로불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항체는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FGL 1 단백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면역원성 단편"은 상기 FGL 1 단백질에 대한 항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를 가지고 있는 바이오마커 단백질의 단편을 의미한다.
상기 항체의 형태는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및 재조합 항체 모두를 포함하며, 모든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상기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 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갖는 완전한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항체는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 항체도 포함된다. 이러한 항체들을 이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효소 면역측정법(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사선면역 측정법(radioimmunoassay; RIA), 샌드위치 측정법(sandwich assay), 폴리아크릴 겔상의 웨스턴 블롯팅 또는 면역 블롯팅 등의 방법에 의해 생물학적 샘플 중에 상기 단백질이 발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상기 폴리클로날 항체는 당업자에 알려진 종래 방법에 따라 면역원인 바이오 마커 단백질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을 외부 숙주에 주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외부 숙주는 마우스, 래트, 양, 토끼와 같은 포유동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역원은 근내, 복강내 또는 피하 주사 방법으로 주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항원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제(adjuvant)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이후, 외부 숙주로부터 정기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향상된 역가 및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보이는 혈청을 수거하거나 이로부터 항체를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단일클로날 항체는 당업자에 알려진 융합에 의한 불멸화된 세포주 생성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일클로날 항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단백질을 정제하여 적당량(약 10㎍)을 Balb/C 마우스에 면역화를 시키거나, 상기 단백질의 폴리펩티드 단편을 합성하여 소혈청 알부민과 결합시켜 마우스에 면역화시킨 다음, 마우스에서 분리된 항원-생산 임파구를 인간 또는 마우스의 미엘로마와 융합하여 불멸화된 하이브리도마를 생성하며,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단일클로날 항체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만을 선택하여 증식한 후 배양물로부터 단일클로날 항체를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scFv, (scFv)2, Fab, Fab' 및 F(ab')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면역글로불린 전체 구조에 대한 그의 단편으로, 항원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일부를 의미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손상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간 손상 예측용 키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동결 건조 형태의 항체와 버퍼, 안정화제, 불활성 단백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방사종(radionuclides), 형광원(fluorescors), 효소(enzymes) 등에 의해 표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은 방사선 피폭 후 현재 또는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에 이르는 가까운 시일 내에 나타날 수 있고, 간조직 또는 혈장 내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FGL 1의 발현이 증가되는 임의의 간 손상을 의미한다. 상기 간 손상은 예를 들어 간염증,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및 간괴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간조직 또는 혈장으로부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바이오마커 FGL 1의 검출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간 손상 예측용 약학조성물 또는 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은 면역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면역분석은 종래에 개발된 다양한 면역분석(immunoassay) 또는 면역염색(immunostaining)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면역분석 또는 면역염색 포맷은 방사능면역분석, 방사능면역침전, 면역침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캡처-ELISA, 샌드위치 분석,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 및 면역친화성 정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FGL 1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이 방사능면역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되는 경우, 방사능동위원소(예를 들어, C14, I125, P32 및 S35)로 표지된 항체가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키트가 예를 들어, ELISA 방법을 이용하도록 제작되는 경우, 상기 키트를 이용한 바이오마커 검출방법의 특정 실시예는 (i) 정상인 개체와 방사선 피폭에 의해 간 손상이 의심되는 개체의 혈장 또는 간조직 유래 시료를 고체 기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ⅱ) 일차항체로서의 상기 FGL 1 바이오마커 또는 그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와 상기 혈장 또는 간조직 유래 시료를 접촉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시키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결과물을 효소가 결합된 이차항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효소의 활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기질로 적합한 것은 탄화수소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유리, 금속 또는 겔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이다. 상기 이차항체에 결합된 효소는 발색반응, 형광반응, 발광반응 또는 적외선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 래디쉬 퍼옥시다아제, 루시퍼라아제 및 사이토크롬 P450을 포함한다. 상기 이차항체에 결합하는 효소로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기질로서 브로모클로로인돌일 포스페이트(BCIP),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BT), 나프톨-AS-B1-포스페이트(naphthol-AS-B1-phosphate) 및 ECF(enhanced chemifluorescence)와 같은 발색반응 기질이 이용되고, 호스 래디쉬 퍼옥시다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클로로나프톨, 아미노에틸카바졸, 디아미노벤지딘, D-루시페린, 루시게닌(비스-N-메틸아크리디늄 니트레이트), 레소루핀 벤질 에테르, 루미놀, 암플렉스 레드 시약(10-아세틸-3,7-디하이드록시페녹사진), HYR(p-phenylenediamine-HCl 및 pyrocatechol), TMB(tetramethylbenzidine), ABTS(2,2'-Azine-di[3-ethylbenzthiazoline sulfonate]), o-페닐렌디아민(OPD) 및 나프톨/파이로닌, 글루코스 옥시다아제와 t-NBT(nitroblue tetrazolium) 및 m-PMS(phenzaine methosulfate)과 같은 기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키트가 예를 들어, 캡처-ELISA 방법을 이용하도록 제작되는 경우, 상기 키트를 이용한 특정 실시예는 (i) 포획항체(capturing antibody)로서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고체 기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ⅱ) 포획항체와 암이 의심되는 개체의 혈장 또는 간조직 유래 시료를 접촉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결과물을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표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검출항체(detecting antibody)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표지로부터 발생하는 시그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항체는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지는 화학물질(예를 들어, 바이오틴), 효소(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 래디쉬 퍼옥시다아제 및 사이토크롬 P450), 방사능물질(예를 들어, C14, I125, P32 및 S35), 형광물질(예를 들어, 플루오레신), 발광물질, 화학발광물질(chemiluminescent) 및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LISA 방법 및 캡처-ELISA 방법에서 최종적인 효소의 활성 측정 또는 시그널의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의 검출은 상기 바이오마커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표지로서 바이오틴이 이용된 경우에는 스트렙타비딘으로, 루시퍼라아제가 이용된 경우에는 루시페린으로 시그널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트는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마이크로칩 상에 고정시킨 후, 개체로부터 분리된 혈장 또는 간조직 유래 시료와 반응시켜 상기 항체 단백질에 대한 항원을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 및 자동화된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microarray system)으로 제작되어, 한 번의 분석으로 대량의 시료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간조직 유래 시료는 간 조직을 분해 버퍼(Lysis Buffer)에서 반응시킨 다음, 예를 들어 약 4 ℃에서 약 30분 간 반응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대조군에 비해 FGL 1의 발현 증가를 나타낼 경우, 방사선 피폭에 의한 현재의 간손상이 있음을 예측하거나, 수일, 수주 혹은 수개월 후에 간손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은 검출하는 바이오마커를 간조직 뿐만 아니라 혈장을 시료로 하여 검출할 수 있으므로,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간손상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피폭 시 현재 또는 수일 내지 수개월 후의 가까운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간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견하였으므로, 방사선 피폭의 우려가 있는 사람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사람에 대해 간 손상 여부 혹은 추후 간 손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에 의해 간 손상의 우려가 있는 사람들은 상기 예측 결과로부터,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손상 질환의 진단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기 진단을 통해 간손상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또는 간손상의 악화를 예방하는 조치를 보다 빨리 취할 수 있다. 또한, 간손상 뿐만 아니라, 간의 방사선 피폭여부를 진단할 수도 있다.
도 1은 사람 간세포주에 시간 또는 방사선 세기의 조건을 각각 달리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후, 간세포주에서의 FGL 1의 mRNA 발현 변화를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측정한 결과, 및 그와 동일 조건에서의 간세포주 배양액 중의 FGL 1의 함량을 효소 면역 정량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30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간을 적출한 다음 적출한 간을 파라핀 고정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진 염색법, 사멸 세포 측정법, 및 콜라겐 염색법을 수행한 후 간세포의 모양 및 상태를 현미경을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마우스의 전신 또는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적출한 간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방사선 조사 선량 및 경과 기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다양한 방사선량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간조직 유래 시료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방사선 조사 선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30 Gy)에 방사선을 조사한 방사선 조사군(IR)과 마우스에 DMN(2mg/kg)을 단독투여한 DMN 투여군(DMN)에 대해, 방사선 조사 후 1 주일 뒤 적출한 간조직 유래 시료 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사용 세포주의 배양
사람의 간세포 (Human Hepatocyte)는 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회사에서 구입하였으며, 간세포에 필요한 다양한 성장인자들이 포함되어있는 배지를 이용하여, 섭씨 37도, 5 % CO2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 방사선 조사
사람의 간세포를 10 cm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37℃ CO2 배양기에서 70 -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한 뒤 감마선(137Cs)(Atomic Energy of Canada, Ltd., Canada)을 3.81 Gy/분의 선량률로 조사하였다. 필요에 따라 총 2, 5, 10, 15 Gy 를 조사하였다. 동물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로는 X-RAD 320 (Precision X-ray, Inc., USA) 장비를 사용하여, 실험에 따라 5, 10, 20, 30 Gy 를 조사하였다.
3) 조직의 헤마톡실린(hematoxilin) 및 에오신(Eosin) 염색법 (H&E staining)
마우스의 조직은 10 % 의 중성포르말린(neutral formalin)으로 하루 동안 고정시키고 파라핀섹션을 만들었다. 조직 주변의 파라핀 제거를 위해 자일렌(xylene) 및 100, 95, 90, 70 % 에탄올 용액을 순서대로 담갔으며, 헤마톡실린 용액에 1 분 담궈 핵을 염색하고 흐르는 물에 10분 세척하였다. 그 다음 에오신 용액에 30 초간 담궈 세포질을 염색하고 50, 70, 90, 95, 100% 에탄올 용액, 자일렌 용액에 순서대로 담근 후 마운팅 용액(mounting solution)을 한 방울 떨어뜨린 후 커버 슬라이드(cover slide)를 덮고 현미경(Carl Zeiss Vision)으로 관찰하였다.
4) 조직의 사멸 세포 측정법 (TUNEL assay)
사멸된 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MILLIPORE 회사에서 TUNEL 키트를 구매하였다. 마우스의 조직은 10 % 의 중성포르말린(neutral formalin)으로 하루 동안 고정시키고 파라핀섹션을 만들었다. 조직 주변의 파라핀 제거를 위해 자일렌(xylene), 100, 95, 90, 70% 에탄올 용액을 순서대로 담갔으며, 워킹 TdT 버퍼 (working TdT buffer)를 조직 슬라이드 위에 떨어뜨리고 37℃에서 70 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을 멈추기 위해 스탑 워싱 버퍼 (stop washing buffer)를 15 분간 반응시키고 DAB 용액을 이용하여 사멸 세포를 염색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조직은 헤마톡실린 용액에 1분 담궈 핵을 염색하고 흐르는 물에 10분 세척하였다. 그리고 50, 70, 90, 95, 100 % 에탄올 용액, 자일렌 용액에 순서대로 담근 후, mounting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후 커버 슬라이드 (cover slide)를 덮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5) 조직의 콜라겐 염색법 (Sirius Red staining)
마우스의 조직은 10%의 중성포르말린(neutral formalin)으로 하루 동안 고정시키고 파라핀섹션을 만들었다. 조직 주변의 파라핀 제거를 위해 자일렌(xylene), 100, 95, 90, 70 % 에탄올 용액을 순서대로 담갔으며, 헤마톡실린 용액에 1 분 담궈 핵을 염색하고 흐르는 물에 10분 세척하였다. 그 다음 시리어스 레드 용액에 한 시간 담궈 콜라겐을 염색하고 아세트산 용액과 물에 약 5분간 세척하였다. 그 다음 50, 70, 90, 95, 100 % 에탄올 용액, 자일렌 용액에 순서대로 담근 후 mounting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후 커버 슬라이드(cover slide)를 덮고 현미경(Carl Zeiss Vision)으로 관찰하였다.
6)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10 cm 배양접시에 키운 간세포를 트리졸 (trisol) 500 ㎕가 들어있는 튜브에 잘 모은 후 클로로폼 (Chloroform) 200 ㎕를 추가하여 세포를 분해시킨다. 이 후 13,000 rpm 20 분 동안 층 분리를 통해 상층액을 따로 모으고 동량의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을 추가하여 리보핵산 (RNA)을 수확한다. 이렇게 분리한 리보핵산은 역전사 효소 (reverse transcriptase), 버퍼(buffer) 등을 이용하여 45℃ 1시간 동안 반응시켜 cDNA로 합성한다. 합성된 cDNA는 FGL 1과 β-actin 프라이머 (primer), DNA 합성효소(Taq DNA polymerase), 증류수, dNTP (nucleotides)를 전용 튜브에 넣고 94 ℃ 30초, 54 ℃ 30 초, 72 ℃ 30초에서 30 ∼ 35 cycle 반응시켜 1 % 아가로스 젤 (agarose gel)에 전기영동으로 원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7) 전기영동과 면역반응을 이용한 단백질 분석
배양세포를 방사선 조사한 다음, 세포 내 단백질을 관찰하기 위해 150mM 염화나트륨, 40mM Tris-Cl(pH 8.0), 및 0.1% NP-40로 이루어진 용액에 세포를 용해시킨 시료를 만들었다. 이 시료들을 SDS(sodium dodecyl sulfate)가 포함된 PAG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수행한 후,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으로 분리된 단백질들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옮겨졌고, 그 후 면역 반응 방법으로 해당 단백질의 발현양을 분석하였다.
8) 효소 면역 정량법 (ELISA)
실험 동물 마우스의 혈장 내 FGL 1 양은 효소 면역 정량법 (ELISA)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진단키트는 CUSABIO 회사로부터 구매하였다. 표준품과 혈장을 96 웰 플레이트에 50 ㎕씩 넣고 1X HRP-버퍼(buffer)를 동량 추가하여 37℃ 인큐베이터 (incubator)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워싱 버퍼 (Washing Buffer)를 이용하여 5번 반복 세척해주고 TMB 버퍼(buffer)를 90 ㎕ 넣어 37℃ 인큐베이터 (incubator)에서 20 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스탑 버퍼 (stop buffer)를 50 ㎕씩 추가하여 반응을 멈추고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방사선 조사 후 사람 간세포주(Human Hepatocyte)에서 FGL 1의 mRNA발현 및 분비된 단백질 양 확인
방사선 선량 및 경과 시간에 따라 사람 간세포주에서 FGL 1의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배양된 세포주에 방사선을 10 Gy의 세기로 조사 후 8, 24, 48, 72 시간이 지난 후 중합효소 연쇄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 2, 5, 10, 15 Gy의 세기로 조사한 다음 48 시간 후에 마찬가지로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간세포주에서 분비되는 FGL 1 단백질 양을 확인하기 위해 위와 동일한 방사선 선량 및 시간 조건으로 간세포주 배양액을 수확하고 효소 면역 정량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사람 간세포주에 시간 또는 방사선 세기의 조건을 각각 달리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후, 간세포주에서의 FGL 1의 mRNA 발현 변화를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측정한 결과, 및 그와 동일 조건에서의 간세포주 배양액 중의 FGL 1의 함량을 효소 면역 정량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방사선을 10 Gy 조사 후 48시간 경과 시까지 간세포주에서 특이적인 FGL 1 mRNA 발현양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선량이 점차 증가할수록 FGL 1 mRNA 발현양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조사선량 및 경과시간이 15 Gy 이상이거나 72시간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간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 후 세포 외로 분비된 FGL 1 단백질양은 대조군 대비 선량 및 경과 시간에 의존적으로 그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방사선 조사 후 관찰된 마우스 간 조직의 손상 및 FGL 1 변화 확인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30 Gy의 방사선을 780초 동안 조사한 후 1, 3, 5, 7, 14, 28일이 경과된 다음, 대조군과 처리군의 쥐로부터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을 파라핀 고정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진 염색법(H&E staining), 사멸 세포 측정법(TUNEL assay), 및 콜라겐 염색법(Sirius Red staining)을 사용하여 간세포의 모양 및 상태를 현미경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염색법으로 조직을 관찰하면 핵은 파란색, 세포질은 분홍색, 사멸 세포는 짙은 갈색, 콜라겐은 붉은색으로 보인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30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간을 적출한 다음 적출한 간을 파라핀 고정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진 염색법, 사멸 세포 측정법, 및 콜라겐 염색법을 수행한 후 간세포의 모양 및 상태를 현미경을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에 따르면 대조군의 간세포는 일정 크기 및 간격으로 바르게 배열되어 있고, 사멸 세포 및 콜라겐 염색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방사선 조사군의 간세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인 모양이 바뀌고, 주변 세포벽이 분열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선 조사 후 사멸 세포, 콜라겐 염색이 증가하면서 간조직의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방사선 조사 후 관찰된 마우스 간 조직 및 혈장 내 FGL 1 변화 확인
마우스 전신에 방사선 10 Gy를 조사하거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30 Gy로 부분조사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7 일째까지) 간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간 조직을 분해 버퍼(Lysis Buffer)로 약 4 ℃ 에서 약 30 분간 반응시키고 약 13,000 rpm 약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 추출시료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영동 및 면역 반응법을 통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FGL 1 양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혈액을 채취하고 헤파린(heparin) 튜브로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은 뒤, 효소 면역 정량법 진단 시약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서의 FGL 1 양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마우스의 전신 또는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적출한 간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방사선 선량 및 경과 기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신 및 간 부분을 전체 조사한 실험동물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FGL 1 단밸질 양이 경과기간 7 일째에서 대조군 대비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방사선 조사 세기에 의한 간 조직 및 혈장 내 FGL 1 단백질 변화 확인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을 5, 10, 20, 또는 30 Gy로 부분 조사 한 다음 48시간 경과 후 적출한 간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실시함으로써, 방사선 선량에 따른 간 조직 내 FGL 1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헤파린(heparin) 튜브로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은 뒤, 효소 면역 정량법 진단 시약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서의 FGL 1 양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간조직 유래 시료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방사선 조사 선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부분 조사한 실험동물 마우스에서 방사선 조사 선량에 의존적으로 간 조직 및 혈장 내 FGL 1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방사선 및 DMN 투여에 의한 간 손상에 있어서 간 조직 및 혈장 내 FGL 1 단백질의 변화 비교 확인
방사선 및 DMN(N-nitrosodimethylamine, carcinogen) 투여를 통한 두 가지 간 손상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FGL 1이 방사선에 의한 간손상에 특이적으로 변화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 780 초동안 30 Gy를 부분조사한 방사선 조사군(IR)과 DMN 2mg/kg을 단독투여한 DMN 투여군(DMN)에 대해, 각각 방사선 조사 및 약물 투여 후 1 주일 뒤 간 조직을 절제 채취하였다. 이후 간 조직은 분해 버퍼 (Lysis Buffer)로 약 4 ℃ 에서 약 30분 간 반응시키고 약 13,000 rpm에서 약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분석 시료를 만들고, 전기영동 및 면역 반응법을 활용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FGL 1 양을 비교 분석 하였다. 추가적으로 각 실험군의 혈액 내 혈장을 분리하고 효소 면역 정량법을 활용해 FGL 1의 발현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5는 마우스의 간이 위치하는 신체 표면에(30 Gy)에 방사선을 조사한 방사선 조사군(IR)과 마우스에 DMN(2mg/kg)을 단독투여한 DMN 투여군(DMN)에 대해, 방사선 조사 후 1 주일 뒤 적출한 간조직 유래 시료 에 대해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FGL 1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및 동일조건에서 채취한 혈장에 대해 효소면역정량법으로 측정한 FGL1 발현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두 가지 간 손상 동물 모델인 DMN 투여군(DMN)과 방사선 조사군(IR)에서 간 조직 및 혈장을 분리하여 FGL 1 발현양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Con)에 비해 특이적으로 방사선 조사군(IR)에서만 FGL 1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120> Biomarkers for predicting liver damage caused by radiation exposure and a predicting method thereof <130> pn101805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Ala Lys Val Phe Ser Phe Ile Leu Val Thr Thr Ala Leu Thr Met 1 5 10 15 Gly Arg Glu Ile Ser Ala Leu Glu Asp Cys Ala Gln Glu Gln Met Arg 20 25 30 Leu Arg Ala Gln Val Arg Leu Leu Glu Thr Arg Val Lys Gln Gln Gln 35 40 45 Val Lys Ile Lys Gln Leu Leu Gln Glu Asn Glu Val Gln Phe Leu Asp 50 55 60 Lys Gly Asp Glu Asn Thr Val Ile Asp Leu Gly Ser Lys Arg Gln Tyr 65 70 75 80 Ala Asp Cys Ser Glu Ile Phe Asn Asp Gly Tyr Lys Leu Ser Gly Phe 85 90 95 Tyr Lys Ile Lys Pro Leu Gln Ser Pro Ala Glu Phe Ser Val Tyr Cys 100 105 110 Asp Met Ser Asp Gly Gly Gly Trp Thr Val Ile Gln Arg Arg Ser Asp 115 120 125 Gly Ser Glu Asn Phe Asn Arg Gly Trp Lys Asp Tyr Glu Asn Gly Phe 130 135 140 Gly Asn Phe Val Gln Lys His Gly Glu Tyr Trp Leu Gly Asn Lys Asn 145 150 155 160 Leu His Phe Leu Thr Thr Gln Glu Asp Tyr Thr Leu Lys Ile Asp Leu 165 170 175 Ala Asp Phe Glu Lys Asn Ser Arg Tyr Ala Gln Tyr Lys Asn Phe Lys 180 185 190 Val Gly Asp Glu Lys Asn Phe Tyr Glu Leu Asn Ile Gly Glu Tyr Ser 195 200 205 Gly Thr Ala Gly Asp Ser Leu Ala Gly Asn Phe His Pro Glu Val Gln 210 215 220 Trp Trp Ala Ser His Gln Arg Met Lys Phe Ser Thr Trp Asp Arg Asp 225 230 235 240 His Asp Asn Tyr Glu Gly Asn Cys Ala Glu Glu Asp Gln Ser Gly Trp 245 250 255 Trp Phe Asn Arg Cys His Ser Ala Asn Leu Asn Gly Val Tyr Tyr Ser 260 265 270 Gly Pro Tyr Thr Ala Lys Thr Asp Asn Gly Ile Val Trp Tyr Thr Trp 275 280 285 His Gly Trp Trp Tyr Ser Leu Lys Ser Val Val Met Lys Ile Arg Pro 290 295 300 Asn Asp Phe Ile Pro Asn Val Ile 305 310

Claims (10)

  1. 정상인에 비해 간조직 또는 혈장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피프리노겐 유사 단백질 1 (Fibrinogen-like protein 1, FGL 1)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scFv, (scFv)2, Fab, Fab', 또는 이들의 조합인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일클로날 항체인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 손상은 간염,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또는 간괴사인 간 손상 예측용 약학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손상 예측용 키트.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 손상은 간염증,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또는 간괴사인 간 손상 예측용 키트.
  8.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간조직 또는 혈장으로부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GL 1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GL 1 바이오마커의 검출은 방사능면역분석, 방사능면역침전, 면역침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캡처-ELISA, 샌드위치 분석,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 및 면역친화성 정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 손상은 간염, 간섬유화, 간울혈, 간출혈 또는 간괴사인 방법.
KR1020130116838A 2013-09-30 2013-09-30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KR10156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38A KR101567053B1 (ko) 2013-09-30 2013-09-30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38A KR101567053B1 (ko) 2013-09-30 2013-09-30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21A true KR20150037321A (ko) 2015-04-08
KR101567053B1 KR101567053B1 (ko) 2015-11-09

Family

ID=5303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838A KR101567053B1 (ko) 2013-09-30 2013-09-30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1098A1 (en) * 2018-06-11 2019-12-19 Yale University Novel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9653B (de) 1979-02-15 1980-11-25 Immun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webekleb- stoffes
NL1020426C2 (nl) 2002-04-18 2003-10-21 Tno Modificatie van de eigenschappen van een fibrinematrix met betrekking tot groei en ingroei van cell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1098A1 (en) * 2018-06-11 2019-12-19 Yale University Novel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CN113166972A (zh) * 2018-06-11 2021-07-23 耶鲁大学 新型免疫检查点抑制剂
JP2021527082A (ja) * 2018-06-11 2021-10-11 イェール ユニバーシティーYale University 新規な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53B1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383B2 (en) PD-L1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6636016B2 (ja) 抗b7−h3抗体及びその診断用途
KR101976219B1 (ko) 유방암의 바이오마커
US20110045495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agnosis or detection of renal cancer
JP2015172601A (ja) 細胞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これに有用な薬剤
JP2013543117A (ja) Brafv600e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を使用する癌の診断のための手段及び方法
KR20130081952A (ko)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분리 방법
TW200427463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methylthioadenosine phosphorylase deficient cancers
KR101567053B1 (ko) 방사선 피폭에 의한 간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JP6312700B2 (ja) 膀胱癌中のpodxl
EP1601683B1 (en) Novel non-invasive marker for liver disease
KR101808763B1 (ko) 방사선 피폭에 의한 심장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EP1701166A1 (en) SP1 as a marker in diagnosis and prognosi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and target in drug screening for nash
JP5798916B2 (ja) Hmgcrタンパク質に関係する処置予測
JP5229866B2 (ja) 大腸癌、動脈硬化症、又は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検出方法
JP4795353B2 (ja) 腫瘍疾患および慢性炎症性腸疾患の診断のための液性バイオマーカーとしてのカルバモイルリン酸合成酵素1(cps1)の使用
US7632649B2 (en) Sp1 as a marker in diagnosis and prognosi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and target in drug screening for NASH
US10060925B2 (en) Miox antibody and assay
KR101416777B1 (ko) 방사선 피폭에 의한 심장 손상 또는 폐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EP3364188B1 (en) Blood biomarker for use in evaluation of effect of drug therapy on kidney cancer
US20120094306A1 (en) Predictive evaluation of the response to taxane-including chemotherapy
JP5429723B2 (ja) 大腸癌、動脈硬化症、又は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検出方法
JP2013096783A (ja) 肺腺癌を判定するためのデータ検出方法、診断薬、及び診断用キット
JP2008263840A (ja) 胃ガンの診断又は検出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80099722A (ko) 예측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유용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