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301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301A
KR20150037301A KR20130116808A KR20130116808A KR20150037301A KR 20150037301 A KR20150037301 A KR 20150037301A KR 20130116808 A KR20130116808 A KR 20130116808A KR 20130116808 A KR20130116808 A KR 20130116808A KR 20150037301 A KR20150037301 A KR 2015003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display
layer
panel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963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9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동작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제 1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화소가 형성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각각의 비표시 영역이 접힌 상태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대면적화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태블릿 PC 및 휴대 전화와 같은 최첨단 정보통신 전자기기의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는 정보통신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대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OEL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FPD)가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색재현성, 소비전력, 응답시간 등의 면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 보다 더 나은 특성을 가지며,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경량 및 초박형 표시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며, 시야각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유기물을 증착하는 공정 기술의 한계로 현재 대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대형의 경우, 수율이 기존의 액정표시장치나 기타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이에 따라, 성능, 화질 및 소비전력에 있어서 기존의 장점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대형화가 가능한 구조 및 공정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패널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하여 대면적화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동작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제 1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화소가 형성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각각의 비표시 영역이 접힌 상태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화소를 형성하고 비표시 영역에 패드부를 형성하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표시 영역을 접은 후 상기 비표시 영역이 접하도록 복수의 패널을 접합하여 멀티플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일 면에 제 1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패널에 구비된 비표시 영역을 접어서 서로 접한 채로 부착함으로써, 대면적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화면을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패널이 구비된 멀티플 디스플레이 상부에 단일 봉지부를 형성하여, 복수의 패널 각각에 봉지부를 형성하는 것 대비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패널이 구비된 멀티플 디스플레이 하부에 추가 봉지부를 배치하여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외부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고, 복수의 패널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패널(110)을 포함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및 제 1 봉지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111), 화소(112), 보호층(113), 패드부(114) 및 구동회로기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1)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기판으로,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1) 상의 표시 영역(AA)에는 유기발광소자(미도시)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하는 화소(112)가 배치된다. 화소(112)는 비표시 영역(NA)이 플렉서블 기판(111)의 배면으로 접혀짐에 따라 배면 방향으로 굴곡진 표시 영역(AA)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진 표시 영역(AA)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화소(112)는 다른 정상적인 화소(11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화소(112) 상부에 발광 보완 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의 화면 구동 중에 굴곡진 상태로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왜곡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소(112)의 발광 방향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배면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과 상면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구분되는데, 본 도면에서는 비표시 영역(NA)이 플렉서블 기판(111)의 배면으로 접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화소(112)의 발광 방향은 상면이며, 따라서, 본 도면은 상면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A)이 플렉서블 기판(111)의 상면으로 접히고, 플렉서블 기판(111) 방향으로 발광되는 배면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도 포함할 수 있다.
화소(112)는 유기발광소자(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전류를 전달하는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미도시)는 화소(112)의 발광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미도시) 및 유기발광소자(미도시)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riving thin film transis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미도시)는 제 1 전극(미도시), 제 2 전극(미도시) 및 상기 제 1 전극(미도시)과 제 2 전극(미도시)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미도시)의 타입에 따라 WRGB 타입과 RGB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WRGB 타입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층(미도시)은 패널(110) 전면에 배치되어 백색광을 방출하며 빛의 출사 방향에 컬러 필터(color filter; 미도시)와 같은 색변환 부재(미도시)를 배치하여 각 화소(112)마다 백색광(W), 적색광(R), 녹색광 (G) 및 청색광 (B)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백색광(W)을 내는 화소(112)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RGB 타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층(미도시)은 각 화소(112) 마다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각각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방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WRGB 타입 및 RGB 타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1) 상의 비표시 영역(NA)에는 패드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114)는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 신호 등을 구동회로기판(115)으로부터 전달받아 화소(1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화소(112)와 구동회로기판(115)을 연결하는 중간 전극부 역할을 한다.
구동회로기판(115)은 패드부(114)와 연결되며,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구동회로기판(115)도 플렉서블 기판(111)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기판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라고 불리며, 플렉서블한 필름 또는 기판을 사용하여 플렉서블 기판(111) 배면의 표면 굴곡에 맞게 유연하게 수용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15)에는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들을 화소(112)로 전달하는 게이트 구동칩(gate drive IC) 및 데이터 구동칩(data drive IC) 등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배치된 화소(112) 및 패드부(114)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13)이 화소(112) 및 패드부(114) 상에 배치된다. 보호층(113)은 구동회로기판(115)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보호층(113)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공정 중에 아직 제 1 봉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소(112) 및 패드부(114) 등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113)은 화소(112)가 배치되는 표시 영역(AA)뿐만 아니라 패드부(114)의 보호를 위해 비표시 영역(NA)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13)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이 패널(110) 배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패널(110)끼리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부에 제 1 봉지부(120)가 배치된다. 제 1 봉지부(120)는 박막 봉지부(thin film encapsulation; TFE)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부는 교번적으로 반복 적층되는 무기층(121) 및 유기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초 적층되는 층은 표면의 요철 및 파티클(particle)과 같은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한 굴곡이 덮여질 수 있도록 유기층(122)일 수 있다. 유기층(122)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을 포함한 그룹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물질 그룹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무기층(121)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탄화물(SiC), 실리콘 탄산화물(SiOC), 실리콘 질산화물(SiON), 실리콘 탄화 질산화물(SiONC) 및 비정질 탄소(a-C, Amorphous Cabon), 알루미늄 산화물(AlOx), 텅스텐 산화물(WOx), 아연 산화물(ZnOx), 티타늄 산화물(TiOx)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어느 하나 이거나 또는, 상기 물질 그룹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 물질일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산화물의 경우, 원자증착방식(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타측 측단부가 생략되어 도시된 패널(110)의 중앙부 영역에 제 1 봉지부(120)의 측단부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도시되지 않은 패널(110)의 타측 측단부 상에 제 1 봉지부(120)의 측단부가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
화소(112) 내부에 배치된 유기발광층(미도시)은 유기물로 형성되어 여러가지 경로 또는 크랙(crack)을 통해 침투한 수분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미도시)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은 발광이 되지 않는 암점으로 발전하게 되며, 일단 암점이 부분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유기발광층(미도시)이 손상되는 영역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하나의 화소(112) 전체가 암점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 화소가 증가하게 되며, 결국 유기발광층(미도시)의 수명이 감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기발광층(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봉지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 1 봉지부(120)는 유기발광소자(미도시) 상부에 형성되어 유기발광층(미도시)을 밀폐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패널(110)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동작하게 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에 관한 발명이므로, 각 패널(110)마다 개별적으로 제 1 봉지부(120)를 형성하기 보다는 복수의 패널(11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에 단일의 제 1 봉지부(120)를 형성하게 되면 밀폐력이 향상되고 유기발광층(미도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비표시 영역(NA)이 접힌 패널(110)이 서로 접한 영역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단일의 제 1 봉지부(120)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에 형성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패널(110)을 포함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 1 봉지부(130) 및 제 2 봉지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패널(1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11), 화소(112), 보호층(113), 패드부(114) 및 구동회로기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화소(112), 패드부(114) 및 구동회로기판(115)이 배치되며, 그 상부에 화소(112) 및 패드부(114)를 덮도록 보호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 패널(110)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1 봉지부(130) 및 2 봉지부(140)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봉지부(130)는 접착층(131) 및 유리 기판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31)은 유리 기판부(132)를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에 접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봉지부(140)는 접착층(141) 및 유리 기판부(142)를 포함하며, 접착층(141)은 유리 기판부(142)를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에 접합한다. 접착층(131, 141)은 접착 물질인 레진(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봉지부(130)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소(112) 내부에 배치된 유기발광층(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봉지부(140)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하부에 형성되어, 플렉서블 기판(111)을 통한 수분 침투를 차단하고, 복수의 패널(110)이 결합된 멀티플 디스플레이(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패널(110)을 포함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 1 봉지부(120) 및 제 2 봉지부(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봉지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박막 봉지부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제 1 봉지부(120)와 동일한 형태의 봉지부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부에 배치되고,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하부에는 접착층(141) 및 유리 기판부(142)를 포함하는 제 2 봉지부(140)가 배치된다.
제 1 봉지부(120)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소(112) 내부에 배치된 유기발광층(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봉지부(140)는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하부에 형성되어, 플렉서블 기판(111)을 통한 수분 침투를 차단하고, 복수의 패널(110)이 결합된 멀티플 디스플레이(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타측 측단부가 생략되어 도시된 패널(110)의 중앙부 영역에 제 1 봉지부(120)의 측단부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도시되지 않은 패널(110)의 타측 측단부 상에 제 1 봉지부(120)의 측단부가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 4c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조를 제외한 구조만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조방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110)을 형성한 후,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을 패널(110)의 배면에 접하도록 접은 후, 복수의 패널(110)을 접합하여 멀티플 디스플레이(100)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특별히 패널(110)을 접합하는 공정은 없을 수도 있고 패널(110)이 접하는 영역에 접착성이 있는 물질을 도포하여 가접착할 수 있다.
먼저,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화소(112) 및 패드부(114)를 형성한 후, 패드부(114)와 구동회로기판(115)을 연결시킨다. 구동회로기판(115)의 게이트 구동칩(gate drive IC) 및 데이터 구동칩(data drive IC) 등은 플렉서블한 필름 또는 기판 상에 배치됨으로써,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이 접혀 패널(110)의 배면에 접할 때, 구동회로기판(115)은 플렉서블 기판(111) 배면의 표면 굴곡에 맞게 유연하게 수용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15)을 패드부(114)에 연결시킨 후, 화소(112) 및 패드부(114) 상에 보호층(113)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113)은 화소(112)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화소(112)가 위치하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비표시 영역(NA)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13)이 비표시 영역(NA)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경우, 구동회로기판(115)의 일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13)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부(101) 상에 접착성이 있는 레진(resin)을 도포하여 접착층(102)을 형성한 후, 유리 기판부(101)를 접착층(102)에 의해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하부에 접합하여 제 2 봉지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멀티플 디스플레이(100)를 형성한 후, 바로 제 2 봉지부(140)를 형성하여 복수의 패널(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하며, 이 후 진행되는 공정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부에 제 1 봉지부(120)를 형성한다. 제 1 봉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박막 봉지부의 형태로 형성한다.
우선 멀티플 디스플레이(100)의 상부에 유기층(122)을 형성한다. 유기층(122)은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에 남아 있을 지 모르는 다양한 파티클을 포함한 이물질의 크기(size) 혹은 직경(diameter)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122)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을 포함한 그룹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물질 그룹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 프린팅법 혹은 열증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공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멀티플 디스플레이(100) 상에 최초로 유기층(122)이 형성된 후, 유기층(122) 상에 무기층(121)을 형성한다. 무기층(121)은 유기층(122)을 다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기층(121)은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탄화물(SiC), 실리콘 탄산화물(SiOC), 실리콘 질산화물(SiON), 실리콘 탄화 질산화물(SiONC) 및 비정질 탄소(a-C, Amorphous Cabon), 알루미늄 산화물(AlOx), 텅스텐 산화물(WOx), 아연 산화물(ZnOx), 티타늄 산화물(TiOx)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물질 그룹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순 증착 방식 또는 원자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기층(122) 및 무기층(121)을 교번적으로 증착하여 유기층(122) 및 무기층(121)이 교번적으로 증착된 박막 봉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유기층(122) 및 무기층(121)의 개수가 많을수록 산소 및 수분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멀티플 디스플레이 110: 패널
111: 플렉서블 기판 112: 화소
113: 보호층 114: 패드부
115: 구동회로기판 120: 제 1 봉지부
121: 무기층 122: 유기층
140: 제 2 봉지부 141: 접합층
142: 유리 기판부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Claims (19)

  1.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동작하는 멀티플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제 1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화소가 형성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각각의 비표시 영역이 접힌 상태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는 박막 봉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타 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제 2 봉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 및 상기 제 2 봉지부는 박막 봉지부 및 유리 기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는 상기 박막 봉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봉지부는 상기 유리 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 및 상기 제 2 봉지부는 상기 유리 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 및 상기 유리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 기판부를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는 상기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구동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화소 상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층 및 상기 무기층은 교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2.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화소를 형성하고 비표시 영역에 패드부를 형성하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표시 영역을 접은 후 상기 비표시 영역이 접하도록 복수의 패널을 접합하여 멀티플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일 면에 제 1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상기 일 면에 유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층 상에 무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기층 상에 상기 유기층 및 상기 무기층을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상기 일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유리 기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타 면에 제 2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상기 타 면에 유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층 상에 무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기층 상에 상기 유기층 및 상기 무기층을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플 디스플레이의 상기 타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유리 기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드부에 구동회로기판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116808A 2013-09-30 2013-09-30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08A KR102067963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08A KR102067963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01A true KR20150037301A (ko) 2015-04-08
KR102067963B1 KR102067963B1 (ko) 2020-02-11

Family

ID=5303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808A KR102067963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6794B2 (en) 2015-07-13 2018-10-09 Samsung Display Co., Ltd. OLED display having a sealant disposed on sealing substructures comprising through-portions therebetween
WO2022030666A1 (ko) *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204A (ja) * 1999-12-17 2001-06-2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7066A (ja) * 2001-03-30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12387A (ko) * 2008-04-24 2009-10-2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204A (ja) * 1999-12-17 2001-06-2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7066A (ja) * 2001-03-30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12387A (ko) * 2008-04-24 2009-10-2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6794B2 (en) 2015-07-13 2018-10-09 Samsung Display Co., Ltd. OLED display having a sealant disposed on sealing substructures comprising through-portions therebetween
US11329248B2 (en) 2015-07-13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having sealing member comprising through-portions formed in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US11818913B2 (en) 2015-07-13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having sealant formed over sealing structure formed by a first metal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WO2022030666A1 (ko) *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963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41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54461B1 (ko)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US1055365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18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917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3194A (ko) 표시장치
KR1023995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779264A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150372253A1 (en) Display device
KR101753771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86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2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382496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8148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7597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800777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250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8381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796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817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7112999B2 (ja) 表示装置
KR1025616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40121987A1 (en) Display device
US20220209176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