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097A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097A
KR20150037097A KR20130116350A KR20130116350A KR20150037097A KR 20150037097 A KR20150037097 A KR 20150037097A KR 20130116350 A KR20130116350 A KR 20130116350A KR 20130116350 A KR20130116350 A KR 20130116350A KR 20150037097 A KR20150037097 A KR 20150037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condenser
rivet
inser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홍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7097A/ko
Publication of KR2015003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써포트에 장착되는 브라켓이 써포트의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및 써포트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써포트에 장착되는 브라켓이 써포트의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및 써포트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1)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된다.
상기 응축기(1)는 차량에 따라 도 1과 같은 크로스 플로우(Cross Flow)형, 또는 도 2와 같이 다운 플로우(Down Flow)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크로스 플로우형은 한 쌍의 헤더탱크(2,3)가 너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한 쌍의 헤더탱크(2,3)를 연결하는 복수의 튜브(4) 역시 너비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냉매가 상기 응축기(1)를 너비방향으로 유동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다운 플로우형은 한 쌍의 헤더탱크(2,3)가 높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한 쌍의 헤더탱크(2,3)를 연결하는 복수의 튜브(4) 역시 높이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냉매가 상기 응축기(1)를 높이방향으로 유동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튜브의 최외측 면이 서포트(7)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3) 내에 구비되는 배플(5)에 의해, 상기 응축기(1)로 유입된 냉매는 복수의 튜브(4)들을 지그재그로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응축기에는 응축영역(A1)과, 상기 응축영역(A1)을 통과한 냉매가 재차 냉각되는 과냉영역(A2)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의 냉매유로 상에는 기액분리기(6)가 설치되는데, 즉,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3)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기 기액분리기(6)가 연결 설치되어, 팽창밸브(미도시)로 완전한 액상의 냉매를 공급하고, 그 내부에는 건조제(미도시)를 봉입하여 냉매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의 히트펌프 가동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외부열교환기, 즉 응축기에 발생되는 서리를 녹이는 제상과정에서 기존의 크로스 플로우형의 핀/튜브 배치에서는 녹은 물의 배수성이 좋지 않아 제상이 잘 되지 않고, 녹았던 서리가 재동결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는 일반적인 자용차용 증발기와 같이 녹았던 서리가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배수성이 좋아지고 히트펌프의 제상모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전기차량에서는 응축수 배출이 용이한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는 도 2와 같이 열교환기 구조상 서포트(7)에 브라켓(8)이 고정되어 라디에이터와 결합된다.
하지만, 이러한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는 헤더탱크(2,3)에 브라켓(8)이 장착되어 라디에이터와 결합되는 크로스 플로우형 응축기에 비해, 브라켓(8) 연결부위가 강성 측면에서 더욱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와 같은 형태의 서포트(7) 및 브라켓(8)구조에서는 응축기가 상ㆍ하로 진동할 경우,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에 집중 응력이 발생되며, 이에 의한 강성 부족으로 브라켓이 파손되기 쉽다.
도 3은 도 2의 열교환기에서 서포트(7)에 브라켓(8)이 결합된 영역의 CAE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브라켓이 고정된 영역에서 약 105.3MPa(항복 강도 : 45.0MPa)의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8-138963호(공개일 2008.06.19, 명칭 : 열교환기용 브래킷)가 있으나, 이는 크로스 플로우형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운 플로우형 열교환기에서의 서포트 및 브라켓 결합 구조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38963호(공개일 2008.06.19, 명칭 : 열교환기용 브래킷)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써포트에 장착되는 브라켓이 써포트의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및 써포트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한 브라켓(500)이 일정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핀(300)의 최외측 면에 접하는 제1면(41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라디에이터 측에 위치한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면(42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면(430)을 포함하는 써포트(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응축기(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제1면(4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510); 상기 제1결합부(510)의 너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2면(42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520) 및 제3면(43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결합부(530); 상기 제2결합부(520)의 일부영역이 상기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조립되는 제4결합부(540);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써포트(400) 및 브라켓(500)이 접하는 면에 클래드시트가 삽입되어 브레이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써포트(400)의 제2면(420) 또는 제3면(430)에 중공 형성되는 제1리벳삽입홀(440)과,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브라켓(500)상에 중공 형성되는 제2리벳삽입홀(55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되는 리벳(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써포트(400)에 가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벳(600)은 블라인드 리벳이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제2면(420) 또는 상기 제3면(430)의 외측에서 잡아당겨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써포트(400)는 상기 브라켓(500)의 제1결합부(510)가 접하는 상기 제1면(410) 일정영역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홈 형태의 브라켓 안착부(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써포트(400)는 상기 제2면(420) 및 제3면(430)의 두께보다 상기 제1면(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써포트에 장착되는 브라켓이 써포트의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및 써포트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응축기는 종래에 써포트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브레이징 결합되었던 브라켓이 외부 진동에 의한 집중 응력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써포트의 내측면과 접하는 동시에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브라켓이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응축기에 구비되는 브라켓은 써포트의 각 면에 억지 끼움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종래의 브라켓 결합 구조에 비해 브라켓이 고정되는 영역의 응력이 크게 감소하여 써포트 및 브라켓의 강성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핀의 최외측 면에 인접한 써포트 면과 접하는 브라켓의 일측면이 써포트에 함입 형성된 브라켓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징성 불량에 의한 미용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형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다운 플로우형 응축기에서 브라켓이 장착된 영역의 CAE해석 결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써포트 및 브라켓 결합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써포트 및 브라켓 결합부위가 리벳으로 가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써포트 및 브라켓이 결합될 때, 블라인드 리벳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써포트 및 브라켓 결합부위를 나타낸 도 5의 AA' 방향에서 나타낸 또 다른 측단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운플로우형(down flow type) 응축기(1)가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써포트(400)에 장착되는 브라켓(500)이 써포트(400)의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브라켓(500) 및 써포트(400)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브라켓(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기(1)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응축기(1)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는 튜브(200)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 및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한 브라켓(500)이 일정영역에 설치되는 써포트(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응축기(1)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는 헤더와 탱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상부 헤더탱크(110) 또는 하부 헤더탱크(120)에 형성되며,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튜브(200)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며, 갈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다.
상기 핀(300)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튜브(20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며, 일정한 상기 튜브(200) 사이 공간에 최대한 큰 전열면적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좌ㆍ우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써포트(400)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와 양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써포트(400)는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한 브라켓(500)이 일정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핀(300)의 최외측 면에 접하는 제1면(41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라디에이터 측에 위치한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면(42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면(4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써포트(40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핀(300)의 최외측 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해 상기 써포트(400)에 결합 고정되는 브라켓(50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제2면(420) 및 제3면(4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면(410)에 안착 고정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0)은 제1결합부(510), 제2결합부(520), 제3결합부(530) 및 제4결합부(5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510)는 상기 제1면(4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면으로, 상기 제1면(4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520)는 상기 제1결합부(510)의 너비방향으로 일측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2면(42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530)는 상기 제1결합부(510)의 너비방향으로 타측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3면(43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부(540)는 상기 제2결합부(520)의 일부 영역이 상기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조립되는 영역이다.
즉,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써포트(400)의 제2면(420) 및 제3면(430)에 상기 제2결합부(520) 및 제3결합부(530)가 억지끼움되는 것으로, 상기 제2면(420) 및 제3면(430)의 두께만큼 상기 제3결합부(530) 및 제3결합부(530)에 홈이 형성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500)은 기존의 브라켓(500)보다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리브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써포트(400)에 고정되는 영역의 응력이 약 50%정도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상기 써포트(400) 및 브라켓(500)이 접하는 면에 클래드시트가 삽입되어 브레이징으로 결합되는데, 브레이징 결합되기 전에 일정 위치에 상기 브라켓(500)이 고정되도록 리벳(600)이나, Tig 용접으로 가조립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00)이 리벳(600)에 의해 상기 써포트(400)에 가조립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500)에는 상기 써포트(400)의 상기 제2면(420) 또는 제3면(430)에 중공 형성되는 제1리벳삽입홀(4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리벳삽입홀(550)이 형성되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되는 리벳(600)에 의해 가조립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상기 써포트(400)의 제2면(420) 일정영역이 중공 형성되는 제1리벳삽입홀(440)과,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에 대응되도록 상기 브라켓(500)의 일정영역 중공 형성되는 제2리벳삽입홀(550)이 연통되도록 상기 브라켓(500)을 상기 써포트(400)의 제2면(420) 및 제3면(430)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리벳(600) 삽입시켜 1차적으로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써포트(400)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상기 써포트(400)의 상기 제2면(420)에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브라켓(500)의 상기 제2결합부(520)에 제2리벳삽입홀(550)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써포트(400)에 안착된 다음, 리벳(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써포트(400)에 가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벳(600)은 블라인드 리벳(6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제2면(420)의 외측에서 잡아당겨져 고정될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600)은 구멍에 삽입한 다음 생크를 잡아당기게 되면 리벳(600) 끝이 넓어져서 리벳(600)팅 되는 것으로, 도 7(a)과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한 다음, 도 7(b)과 같이, 우측에서 생크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2면(420)의 내측에 위치한 리벳(600) 끝이 넓어져 수평으로 리벳팅 될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600)을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상기 브라켓(500)을 상기 써포트(4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써포트(400)의 제2면(420) 및 제3면(430) 사이 공간에 리벳팅 툴을 삽입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기 써포트(400)의 너비를 일정하게 일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리벳팅 툴이 삽입되는 공간 확보를 위해 일부영역의 너비를 넓게 형성해야만 했던 써포트와 비교하여 소재가 절감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써포트(400)에는 상기 브라켓(500)의 제1결합부(510)가 접하는 상기 제1면(410) 일정영역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홈 형태의 브라켓 안착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써포트(40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 높이에 안착되어 결합 고정되는데, 상기 써포트(400)의 제1면(410)과 접하는 상기 브라켓(500)의 제1결합부(510)가 원하는 높이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도 9와 같이, 상기 제1면(410)에 브라켓 안착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면(410)은 상기 브라켓 안착부(450)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2면(420) 및 제3면(43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1)는 핀(300)의 최외측 면에 인접한 써포트(400)의 제1면(410)과 접하는 브라켓(500)의 제1결합부(510)가 써포트(400)에 함입 형성된 브라켓 안착부(450)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징성 불량에 의한 미용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간략히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응축기(1)는 종래에 써포트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브레이징 결합되었던 브라켓이 외부 진동에 의한 집중 응력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써포트(400)의 내측면과 접하는 동시에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면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브라켓(500)이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응축기(1)에 구비되는 브라켓(500)은 써포트(400)의 각 면에 억지 끼움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종래의 브라켓 결합 구조에 비해 브라켓(500)이 고정되는 영역의 응력이 크게 감소하여 써포트(400) 및 브라켓(500)의 강성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응축기
110 : 상부 헤더탱크 120 : 하부 헤더탱크
200 : 튜브
300 : 핀
400 : 써포트
410 : 제1면 420 : 제2면
430 : 제3면 440 : 제1리벳삽입홀
450 : 브라켓 안착부
500 : 브라켓
510 : 제1결합부 520 : 제2결합부
530 : 제3결합부 540 : 제4결합부
550 : 제2리벳삽입홀
600 : 리벳

Claims (6)

  1.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라디에이터와의 조립을 위한 브라켓(500)이 일정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핀(300)의 최외측 면에 접하는 제1면(41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라디에이터 측에 위치한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면(420)과, 상기 제1면(410)의 너비방향으로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면(430)을 포함하는 써포트(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응축기(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제1면(4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510);
    상기 제1결합부(510)의 너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2면(42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520) 및 제3면(430)의 내ㆍ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결합부(530);
    상기 제2결합부(520)의 일부영역이 상기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조립되는 제4결합부(5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써포트(400) 및 브라켓(500)이 접하는 면에 클래드시트가 삽입되어 브레이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써포트(400)의 제2면(420) 또는 제3면(430)에 중공 형성되는 제1리벳삽입홀(440)과,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브라켓(500)상에 중공 형성되는 제2리벳삽입홀(55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되는 리벳(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500)이 상기 써포트(400)에 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600)은
    블라인드 리벳이며,
    상기 제1리벳삽입홀(440) 및 제2리벳삽입홀(55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제2면(420) 또는 상기 제3면(430)의 외측에서 잡아당겨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400)는
    상기 브라켓(500)의 제1결합부(510)가 접하는 상기 제1면(410) 일정영역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홈 형태의 브라켓 안착부(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400)는
    상기 제2면(420) 및 제3면(430)의 두께보다 상기 제1면(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20130116350A 2013-09-30 2013-09-30 응축기 KR20150037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350A KR20150037097A (ko) 2013-09-30 2013-09-30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350A KR20150037097A (ko) 2013-09-30 2013-09-30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097A true KR20150037097A (ko) 2015-04-08

Family

ID=5303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350A KR20150037097A (ko) 2013-09-30 2013-09-30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7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66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66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7489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US20140116667A1 (en) Heat exchanger
US20080302131A1 (en) Evaporator
JP4193741B2 (ja) 冷媒蒸発器
KR20120044851A (ko) 열교환기
US11175053B2 (en)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5211862B2 (ja) 熱交換器
JP5829055B2 (ja) 熱交換器
KR101280622B1 (ko) 응축기
KR20150037097A (ko) 응축기
KR101210570B1 (ko) 열교환기
KR102126311B1 (ko) 증발기
JP5664272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KR101222609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KR102538967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브라켓 결합 방법
JP6541219B2 (ja) 受液器付き熱交換器
KR101964369B1 (ko) 증발기
KR101631572B1 (ko) 응축기
JP5907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101731299B1 (ko) 응축기
KR102220479B1 (ko)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 장치
JP7019067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9008347A (ja) 熱交換器
KR20070062351A (ko) 냉장고의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