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649A -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 Google Patents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649A
KR20150035649A KR20130115419A KR20130115419A KR20150035649A KR 20150035649 A KR20150035649 A KR 20150035649A KR 20130115419 A KR20130115419 A KR 20130115419A KR 20130115419 A KR20130115419 A KR 20130115419A KR 20150035649 A KR20150035649 A KR 2015003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donor film
compound
resin com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이
조명현
김장순
배효대
윤경준
배경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13011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649A/ko
Publication of KR2015003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모노머,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및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프리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4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LIGHT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ONOR FILM AND DONOR FILM}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의 발전 동향은 에너지를 적게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시인성이 뛰어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발광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다고 알려진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OLED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에 컬러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결과적으로는 발광소자의 색상을 결정하는 OLED의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구현 효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증착법, 잉크젯 방식, 레이저 열전사 방식(LITI) 등이 있다.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제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기막층 조성물을 상대적으로 표면에너지가 낮은 기판에 코팅하는 경우, 젖음성이 좋지 않아 코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존의 열경화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유기막층의 열적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사후 경화에 의한 유기막층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모노머,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및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프리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4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개 내지 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광열변환층 및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층인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전사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약 11 mN/m 내지 약 21 mN/m의 표면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하다. 패터닝의 전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중간층의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열팽창이 잘 일어나도록 하며,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여 열팽창 온도에서 중간층의 변형 및 부풀어오름을 최적화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너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모노머,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및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프리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4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한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사용하여 레이저 열전사를 이용한 패터닝시 전사층의 유기물이 전사되는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너 필름에서 유기물을 증착시켜 전사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증착된 유기물을 전사시키고자 하는 기재로 전사하게 된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내에 관능기 수를 4관능 이하로 하여 도너 필름 형성시 전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노머 내의 관능기가 4관능 초과하여 과량 포함하게 되는 경우, 레이저 열전사에 의한 부피 팽창이 일어나 전사층의 유기물 전사시 다관능 부분에 형성된 네트워크 부분이 부풀어 오르지 않기 때문에, 픽셀 내부의 일부 영역에서는 전사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전술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우레탄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를 부여하여 UV 경화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우레탄 결합과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우레탄 결합은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 정도로 중합되어 형성된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같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계화합물 또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oluene diisocyanate, TDI),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폭시기 함유 에폭시기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인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 (또는 플루오렌계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약 30 내지 약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광경화 가능한 다양한 모노머가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2~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일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1,2-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의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 페닐]-1-부타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옥심에스터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UV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광개시제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광열변환층, 중간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층은 전술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다.
상기 도너 필름은 레이저 열전사를 이용한 패터닝시 전사층의 유기물이 전사되는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도너 필름(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상기 도너 필름(10)은 기재층(11), 상기 기재층(11)의 상부에 형성된 광열변환층(12) 및 상기 광열변환층(12) 상부에 형성된 중간층(13)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중간층(13) 상부에 형성된 전사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1)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1)은,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이고, 상기 재질의 기재필름은 가공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11)의 표면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면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표면처리로 개질하여 후속 공정으로 광열변환층(12) 적층시 부착성, 표면장력 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너 필름(10)은 상기 기재필름(11)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11) 및 광열변환층(12)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필름과 인접한 층 사이의 온도 전달을 제어하고, 기재필름(11)과 인접한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광열변환층(12)으로의 이미지 형성 방사선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필름(11)과 광열변환층(12)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에 적합한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11) 간 또는 프라이머층과 광열변환층(12) 간 내열밀착력이 불량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필름(11)과 광열변환층(12)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광열변환층(12)은 적외선-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상기 빛의 일부를 열로 변환시키는 층으로,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광열 변환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13)은 전술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열경화 또는 광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층(13)은 광열변환층(1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사층이 전사될 때, 광열 변환층(12) 내부에 존재하는 광열 변환물질이 함께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광열변환층(12)에서 발생한 열이 전사층에 전달되어 열에 의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중간층(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터닝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중간층(13)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13)이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작은 열팽창에도 유기물 전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층(13)은 표면에너지가 약 11 mN/m 내지 약 21 mN/m 일 수 있다.
상기 중간층(13)은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3)의 두께가 약 1 ㎛ 미만일 때는 광열변환층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전사층의 유기물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약 5 ㎛ 초과하면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아 전사 성능이 안 좋아질 수 있다.
상기 전사층(14)은 전형적으로 리셉터로 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계발광재료 또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무기, 유기금속성 및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플루오렌, 폴리디알킬플루오렌, 폴리티오펜, 폴리(9-비닐카바졸), 폴리(N-비닐카바졸-비닐알콜) 공중합체, 트리아릴아민, 폴리노르보넨, 폴리아닐린, 폴리아릴폴리아민, 트리페닐아민-폴리에테르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층(14)은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특성에 합치되도록 공지의 발광물질, 홀 전달성 유기물질, 전자 전달성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비발광 저분자 물질, 비발광 전하전달 고분자 물질 및 경화 가능 유기반인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2관능 카도계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성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3000) 60 wt%,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 wt%, 광개시제 5 wt%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 상에 카본블랙의 광열변환물질을 포함하는 광열변환층을 3㎛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준비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3㎛ 두께로 코팅한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중간층을 제조하여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방족 4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성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3000) 50 wt%,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5 wt%, 광개시제 5 wt%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지방족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성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2000) 50 wt%,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5 wt%, 광개시제 5 wt%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지방족 10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성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3000) 50 wt%,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5 wt%, 광개시제 5 wt%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도너 필름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전사 특성을 평가하여 표 1에 평가 결과를 기재하였다.
<전사 품질 평가>
하기 방법에 의해 전사 품질을 평가하였다.
1) 테스트 패턴 기판 준비: Bank 구조 두께 0.5㎛ 이하, Taper Angle 15° 이하 구조를 갖는 테스트 패턴 기판을 준비한다. Pixel 크기 11×78㎛을 갖는 테스트 패턴 기판에 유기물 DNTPD(N,N'-디페닐-N,N'-비스-[4-(페닐-m-톨일-아미노)-페닐]-비페닐-4,4'-디아민)를 100Å 두께로 증착하였다.
2)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필름 면에는 TCTA((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를 500Å 두께로 증착한다.
3) 테스트 패턴 기판의 DNTPD면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필름의 TCTA면을 Laser 장비 Stage에서 흡착에 의해 고정한다.
4) 레이저 장비의 말단부에는 기판의 픽셀 영역과 정렬하여 이미지화할 수 있도록 마스크가 장착된다.
5) 준비된 시료의 기재(PET면)으로 레이저 빔을 1.5J/㎠ 의 에너지 량으로 조사하여 스캐닝한다.
6) 스캐닝 이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도너 필름을 제거 후 기판 면으로 유기물 전사 흔적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전사 품질 평가 우수 우수 불량 불량
10: 도너 필름
11: 기재층
12: 광열변환층
13: 중간층
14: 전사층

Claims (12)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모노머,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및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프리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4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개 내지 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8. 기재층, 광열변환층 및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제조된 층인
    도너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전사층이 적층되는
    도너 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인
    도너 필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너 필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11 mN/m 내지 21 mN/m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도너 필름.
KR20130115419A 2013-09-27 2013-09-27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KR20150035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19A KR20150035649A (ko) 2013-09-27 2013-09-27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19A KR20150035649A (ko) 2013-09-27 2013-09-27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49A true KR20150035649A (ko) 2015-04-07

Family

ID=5303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419A KR20150035649A (ko) 2013-09-27 2013-09-27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6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6671B (zh) 支撑片及保护膜形成用复合片
JP5417854B2 (ja) アクティブ駆動型有機電界発光素子の隔壁用感光性組成物およびアクティブ駆動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5428910B2 (ja) アクティブ駆動型有機電界発光素子の隔壁用感光性組成物およびアクティブ駆動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09533251A5 (ko)
CN101764090A (zh) 有机发光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8968846B2 (en) Thermal transfer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847229B1 (ko)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KR101807900B1 (ko)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KR101908740B1 (ko) 도너 필름용 이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도너 필름 및 도너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50035649A (ko)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US9620715B2 (en) Thermal transfer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nufacturing therefrom
KR101786151B1 (ko)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JP2007098931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750593B1 (ko)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TWI581967B (zh) 熱轉移膜及使用其製備之有機電致發光裝置
KR2017011518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도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JP6550894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095542B1 (ko) 전사특성이 우수한 레이저광 열전사용 도너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5541B1 (ko) 전사특성이 우수한 레이저광 열전사용 도너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80493A1 (ko) 열전사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
US9656499B2 (en) Thermal transfer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nufactured by using thermal transfer film
KR102237002B1 (ko) 복합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9115B1 (ko) 열전사 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40098599A (ko)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