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522A -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522A
KR20150035522A KR20147030940A KR20147030940A KR20150035522A KR 20150035522 A KR20150035522 A KR 20150035522A KR 20147030940 A KR20147030940 A KR 20147030940A KR 20147030940 A KR20147030940 A KR 20147030940A KR 20150035522 A KR20150035522 A KR 20150035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s
card
signal
protoco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603B1 (ko
Inventor
베른하르트 스테르즈바흐
마카네크 줄리어스 본
마누엘 가로지
Original Assignee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filed Critical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3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8Protocol analy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피시험 장치의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 장치가 개시된다. 시험 장치는 제어부 (12), 디스플레이부, 및 작동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피시험 장치에 대해 신호 영역을 포함하는 상호 신호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카드 생성 장치 (2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각각은 기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작동부에 의해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상기 카드 생성 장치 (23)는 사용자가 특정한 순서에 따라 카드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 대상 신호의 신호 영역의 순서를 특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Test device and method for protocol testing with a playing card symbol}
본 발명은 시험 장치, 보다 자세하게는 프로토콜 시험 장치 및 프로토콜 시험 방법, 바람직하게는 이동식 무선 시스템의 프로토콜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모의 실험 장치의 도움으로, 이동식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식 무선 장치 간 신호시퀀스를 에뮬레이션(emulation)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여기서, 표준화된 메시지들은 실제의 이동식 무선 네트워크에서 진행되는 것처럼 네트워크 모의 실험 장치와 이동식 무선 장치 사이에서 교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식 무선 장치 제조자에게 단말 장치와 관련한 이동식 무선 프로토콜의 상이한 계층들에 대한 프로토콜 표준 (예를 들어, Long Term Evolution (LTE), 만국휴대전화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세계무선통신시스템 (General System/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GSM))의 구현을 시험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 시퀀스(sequence) 또는 각 시험 시나리오의 준비는 매우 복잡해질 수 있고, 시험 인력 부분에 대한 특수한 지식을 요구한다. 프로토콜 순서를 통신프로토콜 시험 장비에 모의 실험하기 위해서, 이동식 무선 관련 당국들 (예를 들어,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로부터 시험 케이스들이 제시되고 특정되고 (소위 "순응성 시험 케이스"), 또는 사용자들이 직접 구체적으로 연출된 시나리오들을 장비 자체에 구현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상이한 인터페이스 및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존재하지만,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 사용자는 이동식 무선 프로토콜 및 사용되는 각 인터페이스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을 요구한다.
독일 특허 출원 공개 공보 DE 10 2008 010 299 A1은 이동식 무선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공보에서, 명령어들의 순서는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피시험 장치-여기서는 이동전화 -는 명령어 순서를 공급 받는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의 방법 및 장치는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시험 시나리오의 프로그래밍에 관한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제한적이고 필수적인 사용자 지식만을 수반하는 시험 순서들의 신뢰 가능하고 단순한 준비를 가능케 하는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근거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 1항의 구성들에 따른 시험 장치 발명 및 독립항 10항의 구성들에 따른 방법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개발 사항들은 이들과 다시 관련되는 종속항들의 청구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장치는 피시험 장치의 측정을 수행한다. 시험 장치는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작동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신호 영역을 포함하는 상호 신호를 피시험 장치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디스플레이용 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카드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각각은 기 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한다.
작동부에 의해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바람직하게는 카드 생성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순서로 디스플레이부에 카드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방법에 따라 구현 대상 신호의 신호 영역의 순서를 특정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시험 시나리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없이도 사용자는 신호시퀀스를 특정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카드 생성 장치는 카드들 간 허용된 연결 가능성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카드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카드들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은 색상 표시 영역 및/또는 음영 처리 영역 및/또는 상징들을 이용한 특정 선호도에 의해 표시된다. 우선적으로, 카드들 간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은 통신 프로토콜 내의 허용된 신호 시퀀스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필수 지식이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고 신호 영역의 순서에 대응하는 카드들 간의 연결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허용되는지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이를 표시하는 확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작동부에 의해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제어부는 카드 수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수정 장치는 상기 카드들의 신호 영역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조절 가능한 신호시퀀스의 높은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태 감시 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태 감시 장치는 상기 카드들의 연결이 구체화되는 동안 피시험 장치의 계획된 프로토콜 상태를 감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및/또는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피시험 장치의 프로토콜 상태를 감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지식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이 장치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전이 장치는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를 구현 대상 신호 내에 존재하는 프로토콜 상태에서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카드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전이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직접 전이가 허용될 때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재의 프로토콜 상태에서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로 바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개별 카드들를 표시하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직접 전이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재의 프로토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상태를 거쳐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일련의 카드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허용된 신호시퀀스에 대한 지식 없이도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완전히 프로그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은 피시험 장치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신호 영역을 포함하는 상호 신호는 피시험 장치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를 위해 카드들이 생성된다. 여기서, 각 카드는 기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한다.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카드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순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 대상 신호의 신호 영역의 순서가 정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시험 시나리오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없이도 신호시퀀스를 특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이 나타난 도면들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제 1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제 2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제 3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을 위한 제1카드의 상세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을 위한 제2카드의 상세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을 위한 제3카드의 상세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1 실시 예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2 실시 예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3 실시 예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성 및 기능이 묘사된다. 도2를 참고하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정밀한 구성을 나타낸다. 뒤이어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의 기능 및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있어서의 기능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유사한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요소들의 기재 사항은 반복 기재되지 않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 (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시험 장치 (10)은 디스플레이부 (11), 제어부 (12), 고주파부 (13), 및 작동부 (14)를 포함한다. 피시험 장치 (15) - 여기서는 이동식 무선 장치-는 시험 장치 (10)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부 (11)는 제어부 (12)에 연결된다. 고주파부 (13) 역시 제어부 (12)에 연결된다. 또한, 작동부 (14) 역시 제어부 (12)에 연결된다. 상기 피시험 장치는 고주파부 (13)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작동부 (14)를 이용하여 신호시퀀스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는 제어부 (12)에 의해 기록되고 디스플레이부 (11)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사용자는 작동부 (14)의 도움으로 신호 영역과 대응되는 카드들을 디스플레이부 (11)에 배치하고 같은 방식으로 카드들의 순서를 특정한다. 여기서, 신호는 시험 장치 (10)에서 피시험 장치 (15) 또는 피시험 장치 (15)에서 시험 장치 (10)으로 일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신호가 특정되면, 사용자는 작동부 (14)를 식별 선택함으로써 신호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결과는 다시 시험 장치 (10)에 의해 기록된다. 신호를 특정하는 정밀한 절차는 도 3 내지 9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2는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로서, 도1의 제어부 (12)만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제어부 (12)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과 연결된 처리 장치 (24), 카드 수정 장치 (21), 확인 장치 (22), 카드 생성 장치 (23), 상태 감시 장치 (25) 및 전이 장치 (26)을 포함한다. 도1에 나타난 제어부 (12)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복합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장치 (24)는 다른 장치들 (20, 21, 22, 23, 25, 26)의 기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은 도1의 디스플레이부 (1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카드 생성 장치 (23)은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할 카드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카드는 기 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한다. 하나의 단일 메시지 또는 하나의 메시지시퀀스만이 이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카드가 동작들과 관련된 여러 신호시퀀스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카드들은 또한 사용자가 측정 단계에서 준수해야 하는 지시사항들, 예를 들어 피시험 장치를 기 설정된 상황 하에 두기 위한 지시사항들(instruction)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드 생성 장치 (23)는 또한 각 카드에 있어서 어떻게 다음 카드가 또 다른 카드들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는 도3 내지 6c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카드 수정 장치 (21)는 카드에 대응되는 신호 영역에 대한 수정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도1의 작동부 (14)를 이용하여 수정 대상 카드를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에 의해 각 신호 영역이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된다. 여기서, 모든 개별 전송 대상 메시지들이 표시된다. 작동 장치를 이용해 각 개별 메시지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메시지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메시지의 순서를 조작할 수 있다. 메시지의 삭제 또는 추가 역시 가능하다.
확인 장치 (22)는 신호 영역의 순서에 대응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카드 간 연결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허용되는 것인지를 확인한다. 허용된 연결이라고 판단되면, 이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된다. 허용되지 않은 연결은 디스플레이부 (11)에 하이라이트 처리되어 표시된다.
상태 감시 장치 (25)는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도1의 피시험 장치 (15)의 각 상태를 감시하거나, 신호 절차를 준비하는 동안 피시험 장치의 계획된 프로토콜 상태를 감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태 감시 장치는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상태 감시 장치에 의해, 모든 가능한 프로토콜 상태들이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태 감시 장치는 피시험 장치 (15)의 프로토콜 상태를 영속적으로 감시한다. 각각의 신호 영역에 대응되는 카드들을 맞추어 신호를 준비하는 동안, 상태 감시 장치 (25)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을 이용해 계획된 신호 시퀀스상의 각 순간에 있어서의 피시험 장치의 프로토콜 상태를 항상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한다.
특히, 기존에 특정된 신호 시퀀스로부터 카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태 감시 장치 (25)는 신호 당시의 피시험 장치 (15)의 계획된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1)에 프로토콜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전이 장치 (26)는 가능한 신호시퀀스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데, 이는 신호시퀀스 중 기 설정된 시간에 있어서의 피시험 장치의 현재 프로토콜 상태, 또는 피시험 장치의 현재의 계획된 프로토콜 상태를 희망 프로토콜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이 장치 (26)는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지식 또한 포함한다. 작동부 (14)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 프로토콜 상태를 선택하면, 전이 장치 (26)는 이 희망 프로토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신호 영역에 대응되는 카드를 판단한다. 직접 상태 전이를 통해 희망 프로토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전이 장치 (26)는 이러한 직접 상태 전이를 허용하는 카드들만을 표시한다. 그러나, 중간 상태들을 통해서만 이러한 희망 프로토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전이 장치 (26)는 희망 프로토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일련의 카드들을 표시한다.
도3은 시험 장치 (10)가 동작 중일 때에 있어서의 도 1의 디스플레이부 (11)를 나타낸 제1도이다. 메뉴 바 (30)는 도1의 작동부 (14)를 이용한 설정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개의 버튼을 나타낸다. 여기서, "저장 (File)" 버튼은 신호 시퀀스를 저장하고 전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미리 준비된 신호 시퀀스에 대해 시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편집 (Edit)" 버튼은 상이한 처리 상태들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모든 가능한 카드들이 선택되도록 하는 도5의 작동 상태와 도 3 또는 도4의 개별 카드들의 처리 단계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구 (Tools)" 버튼은 상이한 처리 도구들이 차례로 선택되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어, 선택 도구와 삭제 도구가 구별될 수 있다. "도움 (Help)" 버튼은 지시 내용이 열리도록 기능한다.
제1윈도우 (31)는 사용되는 프로토콜 내의 상이한 프로토콜 상태 (34a, 35, 36, 37a, 38, 39)들을 표시한다. 제2윈도우(32)에서, 신호는 복수의 카드 (40, 41, 42a, 43, 44, 45, 46, 47a, 48, 4)의 순서를 통해 표시된다. 여기서의 신호는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3윈도우 (33a)에서, 카드 (42a)의 매개 변수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복수의 카드 (40 내지 49) 각각은 명칭으로 표시된다. 글자 표시(lettering)는 4개의 면에 제공되는데, 이는 카드 (40 내지 49)가 케이스로 가려지더라도 어느 카드가 관련된 카드인지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명칭들은 신호시퀀스 내에서의 카드의 기능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카드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상징을 표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카드 (40 내지 49)는 또한 카드들 간의 연결 가능성을 표시하기 위해 컬러, 흑백, 또는 음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드 (47a)는 두 개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좌측 상단부는 아무런 선영도 제공하지 않는 반면, 우측 하단부는 선영을 제공한다. 만약 카드 (40 내지 49)가 선영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이는 카드가 임의의 순서, 즉 임의의 카드 전이나 후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드들은 기 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4a, 39)에 제약 받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카드 (40 내지 49)가 일측에 선영을 제공한다면, 이는 해당 카드가 동일한 선영을 갖거나 갖지 않는 다른 카드와만 그 일측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 (47a)는 순서 내에서 임의의 카드 뒤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카드 (47a) 뒤에는 동일한 선영을 제공하거나 아무런 선영을 제공하지 않는 카드들만이 배치될 수 있다.
카드 (47a)의 우측 하단에 보여지는 선영은 다시 프로토콜 상태 (37a)에 있는 제1윈도우 (31)에 보여지게 된다. 이는 카드 (47a)가 임의의 프로토콜 상태로부터 프로토콜 상태 (37a)로 상기 피시험 장치를 전이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사용자에 의해 카드 (42a)가 선택되었다. 이러한 선택은 카드 (42a)의 하이라이트 표시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카드 (42a)가 선택되면, 도1의 제어부 (12), 보다 자세히 표현하면, 상태 감시 장치 (25)는 카드 (42a)가 피시험 장치로 이동하는 프로토콜 상태 (34a 내지 39)를 결정한다. 이 경우, 피시험 장치는 해당 상태 (34a)를 유지한다.
프로토콜 상태 (34a)는 이동식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되지 않은 이동식 무선 장치에 대응한다. 프로토콜 상태 (35)는 ISMI 기반의 연결 비율에 대응한다. 따라서, 프로토콜 상태 (36)는 전용 연결을 갖지 않는 대기 상태에 대응한다. 프로토콜 상태 (37a)는 이동식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 간의 활성 연결에 대응한다. 프로토콜 상태 (38)는 전용 연결을 갖는 활성 연결에 대응한다. 프로토콜 상태 (39)는 전용 연결을 갖는 활성 연결에 대응한다.
여기서, 카드 (40 내지 43)는 신호 전문(preamble)을 형성하는데, 이는 연결 설정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카드 (40)는 신호의 시작 부분에 대응한다. 카드 (41)는 국제십진분류 (UDC) 연결 설정을 위해 필요한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카드 (42a)는 연결 설정을 위해 요구되는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카드 (43)는 보안 메시지들의 교환을 수행한다. 카드 (44)는 사용자에게 피시험 장치를 비활성화할 것을 지시한다. 카드 (45)는 모사 기지국을 활성화하고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카드 (46)는 사용자에게 피시험 장치를 활성화할 것을 지시한다. 카드 (47a)는 모사 기지국 내의 피시험 장치 등록 설정을 위한 신호를 포함한다. 카드 (48)는 피시험 장치 내의 기 설정된 항목들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카드 (48)는 측정 절차를 종료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부 (11)의 제2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고하면, 사용자에 의해 카드 (47b)가 선택되었다. 이러한 선택은 카드 (47a)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이후, 프로토콜 상태 (37b)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는 도2의 전이 장치 (16)이 피시험 장치의 현재의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시작해 프로토콜 상태 (37b)가 달성되도록 이끄는 모든 가능한 카드 (50)를 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도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 (47b)는 피시험 장치를 프로토콜 상태 (37b)로 전이시켰다. 즉, 피시험 장치를 프로토콜 상태 (37b)로 전이시키는 카드 (50)는 프로토콜 상태 (37b)의 유지만을 가능하게 할 뿐이다. 여기서, 카드 (50)는 프로토콜 상태 (37b) 내의 제1윈도우 (31) 내에서 상당히 최소화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카드 (50) 상의 문자 표시(lettering)이 확실히 판독하기 어렵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카드의 내용을 표시하면서 인식이 용이한 상징들이 카드 내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카드 (50)상의 문자는 판독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크게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완전히 생략될 수도 있다.
카드 (50) 중의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카드는 선택된 카드 (47b) 이후의 신호시퀀스 내에 자동으로 배치된다. 새로운 카드가 신호시퀀스 내에 배치되면, 확인 장치 (22)는 프로토콜 내에서 허용된 신호시퀀스가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는 카드 (50)이 배치된 이후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카드 (47b)의 정확한 신호 절차가 제3윈도우 (33b) 내에 표시된다는 것 역시 인식 가능하다. 카드 (47b)가 활성화되면, 신호의 정확한 내용이 추가적인 사용자 선택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피시험 장치와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 내에서 개별 메시지들이 선택되면, 선택된 카드의 신호시퀀스는 도2의 카드 수정 장치 (21)를 통해 수정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부 (11)의 추가적인 도면이다. 모든 프로토콜 상태 (34c, 35c, 36c, 37c, 38c, 39c)에 있어서, 각 상태로부터 피시험 장치를 전이시키거나 각 상태를 유지하는 카드들이 표시된다. 이 도면은 카드들의 원래 순서를 특정하기 위해 선택된다. 따라서, 신호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해 카드들이 차례로 분석될 수 있다.
완전한 프로토콜 내에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상태들 간의 전이와 동시에, 상이한 프로토콜들 내의 프로토콜 상태들 또한 관찰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피시험 장치의 GSM 기지국에서 UMTS 기지국까지의 연결 전이가 시험되는 경우에 의의를 갖게 된다. 이 경우, 두 프로토콜에 있어서 피시험 장치의 상태들은 제1윈도우 (31) 내에 나란히 표시된다. 즉, 시험 장치는 GSM 프로토콜 내의 프로토콜 상태 및 UMTS 프로토콜 내의 별도의 프로토콜 상태를 제공한다. 하나의 카드가 두 프로토콜 내에서 동시에 상태 전이를 촉발할 수 있고, 이는 그 카드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카드는 각각 다른 색상의 네 개 영역으로 분할되고, 두 프로토콜의 시작 상태와 목적 상태를 표시한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제1카드 (60)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드 (60)은 두 개로 분할된 중심부에 상징 (61)을 표시한다. 또한, 카드 (60)은 카드의 사면에 문자 표시(lettering) (62)을 표시한다. 상징 (61)은 다시 카드 (60)의 네 모서리에 상징 (63 내지 66)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두 개로 분할되는 상징 (61 내지 66)은 카드에 의해 촉발된 상태 전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카드 (60)는 어떠한 상태 전이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상징 (61 및 63 내지 66)의 양면은 흰 색이다.
도6b는 제2카드 (70)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드 (70)은 네트워크 내 이동식 무선 장치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 (70)는 카드 사면의 문자 표시(lettering) (72), 이 분할된 중심 상징 (71) 및 네 모서리의 상징 (71) 반복을 상징 (73 내지 76)으로 제공한다. 이 분할된 상징 (71)은 상징 (71)의 카드 (70)이 상징 (71)의 우측 하단의 선영에 의해 임의의 상태에서 기 설정된 상태로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카드 (70)은 임의의 카드 뒤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카드 (71) 뒤에는 선영을 나타내지 않거나 카드 (70)의 상징 (71)과 동일한 선영을 나타내는 카드만이 배치될 수 있다.
도6c은 이러한 카드를 도시하고 있다. 카드 (80)는 이 분할된 중심 상징 (81) 및 각 네 모서리 상의 중심 상징 반복을 상징 (83 내지 86)으로 제공한다. 또한, 카드 (80)는 카드의 사면에 문자 표시(lettering) (82)을 제공한다. 카드 (80)는 기지국 활성화를 수행한다. 중심 상징 (81)의 선영은 카드 (80)이 선영을 가지지 않은 카드 또는 동일한 선영을 가진 카드 뒤에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중심 상징 (81)의 흰색의 우측 하단 부분은 카드 (80) 뒤에 임의의 다른 카드가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영을 이용한 표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 6a 내지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컬러 디스플레이 또는 상이한 패턴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중심 상징 및 카드 모서리 상의 보다 작은 네 개의 반복 형태로 구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드로 인해 촉발된 상태 전이 표시를 위해 모든 카드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전체 카드를 이등분하고 첫 번째 절반 부분의 원래 상태 및 두 번째 절반 부분의 목적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카드의 첫 번째 절반 부분에서 두 번째 절반 부분에 이르는 색상 수열이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카드의 길이 또는 폭 또는 대각선에 따른 패턴 수열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포함된 신호의 간략한 요약이 카드 상에 나타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 (90)에서, 현 프로토콜 내의 모든 가능한 카드들이 표시된다. 이는 도5의 표시에 대응한다. 두 번째 단계 (91)에서,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카드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카드가 선택되면, 세 번째 단계 (92)에서 선택된 카드의 배치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해당 카드 배치의 순서가 현 프로토콜 내에서 허용된 것인가에 대한 확인이 수행된다. 이러한 확인 과정은 네 번째 단계 (93)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이다. 이러한 선택적인 단계 (93) 또는 단계 92 이후에, 사용자가 본인이 신호시퀀스에 필요로 하는 많은 카드를 배치할 때까지 두 번째 단계 (91)가 계속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카드는 하나의 신호 영역에 대응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 (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카드가 선택된다. 카드들은 신호시퀀스 내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카드들과 관련되어 있다. 두 번째 단계 (101)에서, 카드에 의해 상징화된 신호 영역이 표시된다. 이는 도4의 그림에 대응한다. 선택적 단계인 세 번째 단계 (102)에서, 사용자는 신호 영역의 신호를 수정할 수 있는데, 이는 각 개별 메시지들을 변경, 추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단계 (102) 또는 단계 (101) 이후에, 사용자가 더 이상의 카드를 선택하지 않을 때까지 첫 번째 단계 (100)가 계속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 (110)에서, 이미 준비된 신호 내에서 카드가 최초로 선택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작동부 (15)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터치 감지식 스크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번째 단계 (111)에서, 사용자는 피시험 장치의 희망 프로토콜 상태를 선택한다. 세 번째 단계 (112)에서, 상기 희망 프로토콜 상태가 계획된 시험 절차 내에서 피시험 장치의 현 프로토콜 상태와 상이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현 상황에서 아무런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신호 절차만이 준비된 경우, 피시험 장치의 현 프로토콜 상태는 선택된 카드에 의해 촉발된 피시험 장치의 프로토콜 상태에 대응한다. 상기 희망 프로토콜 상태가 현 프로토콜 상태와 상이한 경우, 상기 희망 프로토콜 상태를 유도하는 모든 허용된 카드들이 표시된다. 이는 네 번째 단계 (113)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오직 하나의 단계, 즉, 하나의 카드만이 필요하다면, 그러한 카드들만이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희망 프로토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카드들이 연속적으로 필요하다면, 카드열 또한 표시된다.
그러나, 세 번째 단계 (112)에서 현 프로토콜 상태가 이미 희망 프로토콜 상태에 대응한다고 판단되면, 프로토콜 상태에 어떠한 변경도 야기하지 않는 모든 가능한 카드들이 표시된다. 또한, 단계 110 내지 114는 사용자가 더 이상 카드를 선택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프로토콜들이 처리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단말 장치간의 신호 또한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되거나 청구된 모든 구성들 또는 도면에 나타난 구성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10 : 시험 장치 11 : 디스플레이부
12 : 제어부 13 : 고주파부
14 : 작동부 15 : 피시험 장치
20: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1: 카드 수정 장치
22: 확인 장치 23: 카드 생성 장치
24: 처리 장치 25: 상태 감시 장치
26: 전이 장치

Claims (20)

  1. 제어부 (12), 디스플레이부 (11), 및 작동부 (14)를 포함하는, 피시험 장치 (15)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피시험 장치 (15)에 대한 신호영역을 포함하는 상호 신호를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11)를 이용해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를 생성하기 위한 카드 생성 장치 (23)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 각각은 기 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15)에 의해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상기 카드 생성 장치 (23)는 사용자에 의 특정된 순서로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를 디스플레이부 (11)상에 배치하고, 또한 구현 대상 신호의 신호 영역의 순서를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생성 장치 (23)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들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이 표시되도록, 및/또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들이 가급적 색상 표시된 영역 및/또는 음영 표시된 영역 및/또는 복수의 상징 (61, 63, 64, 65, 66, 71, 73, 74, 75, 76, 81, 83, 84, 85, 86)에 의해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를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은 통신 프로토콜 내의 허용된 신호시퀀스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12)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고 일련의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연결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허용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11)를 이용해 표시하기 위한 확인 장치 (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12)는 카드 수정 장치 (12)를 더 포함하고,
    작동부 (14)에 의해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상기 카드 수정 장치 (21)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신호 영역을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12)는 상태 감시 장치 (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감시 장치 (25)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연결이 구체화되는 동안 상기 피시험 장치 (15)의 계획된 프로토콜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11)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피시험 장치 (15)의 프로토콜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11)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12)는 전이 장치 (26)를 더 제공하고,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27b)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이 장치 (2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11)를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 (15)를 구현 대상 신호 내에 존재하는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상기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카드 (50)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장치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직접 전이가 허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11)를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로 바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개별 카드 (50)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직접 전이가 허용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11)을 이용해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상태를 거쳐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일련의 카드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10. 피시험 장치 (15)를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 영역을 포함하는 상호 신호는 상기 피시험 장치 (15)로 구현되고,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는 디스플레이부 (11) 상의 표시를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 각각은 기설정된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순서로 배치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 대상 신호의 신호 영역의 순서가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2.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이 표시되도록, 및/또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이 가급적 색상 표시된 영역 및/또는 음영 처리된 영역 및/또는 복수의 상징 (61, 63, 64, 65, 66, 71, 73, 74, 75, 76, 81, 83, 84, 85, 86)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3. 제10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허용된 연결 가능성은 통신 프로토콜 내의 허용된 신호시퀀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고 일련의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연결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허용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5. 제10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항목에 따라 유도되면,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신호 영역이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6. 제10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 장치 (15)의 계획된 프로토콜 상태는 상기 복수의 카드 (40, 41, 42a, 42b, 43, 44, 45, 46, 47a, 47b, 48, 49, 60, 70, 80)의 연결이 구체화되는 동안 감시되고 표시되고, 및/또는
    상기 피시험 장치 (15)의 프로토콜 상태는 측정이 구현되는 동안 감시되고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피시험 장치 (15)를 상기 구현 대상 신호 내에 존재하는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상기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되는 카드 (50)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8.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직접 전이가 허용될 때,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로 직접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개별 카드 (50)가 표시되고, 및/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직접 전이가 허용되지 않을 때, 상기 피시험 장치를 현 프로토콜 상태 (37b)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상태를 거쳐 기설정된 프로토콜 상태 (37b)로 전이시키는 신호 영역에 대응하는 일련의 카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방법.
  19.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제10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든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청구항 10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든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데이터 수송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47030940A 2012-07-09 2013-06-12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 KR102025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1902.7 2012-07-09
DE102012211902.7A DE102012211902B4 (de) 2012-07-09 2012-07-09 Testgerät und Verfahren zum Protokoll-Testen mit einer Spielkartenmetapher
PCT/EP2013/062167 WO2014009090A1 (de) 2012-07-09 2013-06-12 Testgerät und verfahren zum protokoll-testen mit einer spielkartenmetap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522A true KR20150035522A (ko) 2015-04-06
KR102025603B1 KR102025603B1 (ko) 2019-09-26

Family

ID=4865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940A KR102025603B1 (ko) 2012-07-09 2013-06-12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8634B2 (ko)
KR (1) KR102025603B1 (ko)
CN (1) CN104160739B (ko)
DE (1) DE102012211902B4 (ko)
WO (1) WO2014009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7264B2 (en) * 2017-04-06 2020-02-18 Rohde & Schwarz Gmbh & Co. Kg Protocol tes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otocol test device
US10536364B2 (en) 2017-04-06 2020-01-14 Rohde & Schwarz Gmbh & Co. Kg Protocol tes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otocol test device
US11393507B1 (en) 2021-08-05 2022-07-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Automatic log creation of video recording of a device under te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9489B1 (en) * 2003-04-04 2009-05-26 Veriwave, Incorporated Location-based testing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259A1 (en) * 2000-06-05 2005-06-23 Sami Yazdi Hand-held electronic tester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625504B2 (en) * 2001-03-22 2003-09-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xiliary power unit engine monitoring system
US7693738B2 (en) * 2001-03-22 2010-04-06 Guinta Lawrence R Computer-aid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organizational process or system
US7162387B2 (en) * 2001-06-29 2007-01-09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Measurement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asily configuring measurement applications
US7062718B2 (en) * 2001-08-14 2006-06-13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Configuration diagram which graphically displays program relationship
US7735102B1 (en) * 2001-08-29 2010-06-08 Billmaier James A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 user interface
US6758403B1 (en) * 2001-09-11 2004-07-06 Psc Scanning, Inc. System for editing data collection device message data
GB2382502B (en) * 2001-11-23 2005-10-19 Actix Ltd Network testing systems
US20050120208A1 (en) * 2002-01-25 2005-06-02 Albert Dobson Robert W. Data transmission systems
US6724730B1 (en) * 2002-03-04 2004-04-20 Azimuth Networks, Inc. Test system for simulating a wireless environ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GB0210450D0 (en) * 2002-05-07 2002-06-12 Bae Systems Plc Test apparatus
US7356774B2 (en) * 2002-08-13 2008-04-0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Grouping components of a measurement system
US7190978B2 (en) * 2004-07-02 2007-03-13 Anritsu Corporation Mobile network simulator apparatus
US7246276B2 (en) * 2004-10-04 2007-07-17 Agilent Technologies, Inc. Error tolerant modular testing of services
GB2421401A (en) * 2004-12-15 2006-06-21 Agilent Technologies Inc Test instrument for testing a wireless device
DE502005003552D1 (de) * 2005-02-08 2008-05-15 Tektronix Int Sales Gmbh Lasttestgerät und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Lasttests zum Testen eines Telekommunikationssystems
US7245119B2 (en) * 2005-03-07 2007-07-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fixture for manual functional testing of wireless devices
US7490022B2 (en) * 2005-03-30 2009-02-10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sting of intermittently operated devices
US7437275B2 (en) * 2005-08-03 2008-10-14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multi-location test execution
US7844908B2 (en) * 2006-08-04 2010-11-30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iagram that visually indicates targeted execution
DE502006008889D1 (de) * 2006-12-15 2011-03-24 Tektronix Int Sales Gmbh Verfahren zum Analysieren eines Ablaufs einer zwischen mindestens zwei Instanzen ablaufenden Kommunikation und Protokolltester
DE102008010290A1 (de) * 2007-06-27 2009-02-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Testen eines Mobilfunkgeräts
DE102008010299A1 (de) 2007-06-27 2009-03-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Testen eines Mobilfunkgeräts
DE102008010288A1 (de) 2007-06-27 2009-02-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auf einem Testgerät zum Testen eines Mobilfunkgeräts abspielbaren Signalfolge
US8620305B2 (en) * 2010-06-23 2013-12-31 Salesforce.Co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mobile device testing framework
US20120246515A1 (en) * 2011-03-21 2012-09-27 Janova LLC Scalable testing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s object oriented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9489B1 (en) * 2003-04-04 2009-05-26 Veriwave, Incorporated Location-based testing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603B1 (ko) 2019-09-26
US9858634B2 (en) 2018-01-02
CN104160739A (zh) 2014-11-19
DE102012211902A1 (de) 2014-01-09
WO2014009090A1 (de) 2014-01-16
US20150154729A1 (en) 2015-06-04
CN104160739B (zh) 2018-04-27
DE102012211902B4 (de)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369B2 (ja) 操作盤の操作部の特定及び設定
JP3845645B2 (ja) 通信試験装置及び通信試験方法
JP2005130002A (ja)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
JP5688423B2 (ja) 試験装置および試験表示方法
US9775062B2 (en) Mobile terminal testing apparatus and scenario information setting method for use in mobile terminal testing apparatus
JP5628086B2 (ja) 表示装置画面の全点試験方法及び全点試験装置
EP3576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achine-readable codes for testing a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035522A (ko) 시험 장치 및 카드 상징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험 방법
JP4064392B2 (ja) シナリオ生成装置、擬似基地局、シナリオ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670486B2 (ja) 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CN104735687B (zh) 一种单站验证业务测试方法及装置
KR101990005B1 (ko) 줌 디스플레이를 가진 테스트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JP2008277914A (ja) 移動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試験方法
JP5545846B2 (ja) シーケンス試験装置及びシーケンス試験方法
US9841896B2 (en) Mobile terminal test device
CN104702797B (zh) 通信方法、通信系统和终端
JP4686436B2 (ja) シナリオ変換装置
CN104361287B (zh) 终端工作状态切换处理方法及装置
CN109874042A (zh) 一种控制终端的方法、装置及终端
JP6535358B2 (ja) 移動端末試験装置とその設定内容表示方法
JP6760369B2 (ja) 制御装置
EP34480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acceptable performance of a network in a building
CN10778380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JP2010273179A (ja) 映像表示装置
JP2016045213A (ja) 電力系統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