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269A -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269A
KR20150035269A KR20130115618A KR20130115618A KR20150035269A KR 20150035269 A KR20150035269 A KR 20150035269A KR 20130115618 A KR20130115618 A KR 20130115618A KR 20130115618 A KR20130115618 A KR 20130115618A KR 20150035269 A KR20150035269 A KR 2015003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or
resistance value
measuring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114B1 (ko
Inventor
최진휘
권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분해하지 않고도 배터리 팩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 양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커패시터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경과시간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sistance of precharge resistor}
본 발명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차 전지는 단일의 이차 전지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고전압 및/또는 대용량의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내부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온도 센서, 전류 센서, 전압 센서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SOC, SOH를 추정하거나 배터리 셀간의 전압을 밸런싱하거나 고전압, 과전류, 저온, 고온 등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 내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퓨즈를 구비하고,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퓨즈를 융단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의 구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인 러시 커런트(rush current)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러시 커런트는 배터리 구동 초기에 순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로서, 이러한 러시 커런트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해 프리차지 저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과 릴레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10), 프리차지 저항(20), 메인 릴레이(30) 및 프리차지 릴레이(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리차지 저항(20)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프리차지 릴레이(40)가 프리차지 저항(20)에 직렬로 연결되고, 메인 릴레이(30)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프리차지 릴레이(40)와 메인 릴레이(30)는 상호 교차되도록 스위칭되어 러시 커런트의 발생을 방지한다.
특히, 배터리를 구동하는 초기 단계에서 메인 릴레이(30)가 처음부터 턴 온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 릴레이(30)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먼저 프리차지 릴레이(40)가 턴 온된다. 그리고, 프리차지 릴레이(40)가 턴 온된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비로소 메인 릴레이(30)가 턴 오프됨으로써, 충방전 경로가 메인 릴레이(30)를 경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전류가 프리차지 저항(20)을 경유하여 흐르게 되어 러시 커런트가 발생하지 않고, 메인 릴레이(30)의 턴 온 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은 배터리 구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다. 즉, 배터리 구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프리차지 저항(20)은 작은 저항값을 가져도 되지만, 배터리 구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프리차지 저항(20)은 큰 저항값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구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은 배터리 팩이 제조되기 전에 미리 측정될 수 있으나, 미리 측정된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제조된 배터리 팩을 분해하여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처럼 배터리 팩을 분해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배터리 팩을 분해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더욱이, 프리차지 저항(20)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 분해 및 조립을 반복할 경우, 분해 및 조립과정에서 배터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을 분해하지 않고도 배터리 팩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 양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커패시터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경과시간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는, 다음 관계식을 통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되,
Figure pat00001
여기서, Vc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 전압, 상기 Vb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상기 C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R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및 상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셀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셀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에서 이용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은, 상기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연산부로 전송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는, 디지털 멀티미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테스트 스위칭부; 및 상기 테스트 스위칭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는, 2 이상의 측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연산부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팩 양단에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경과시간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다음 관계식을 통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되,
Figure pat00002
여기서, Vc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 전압, 상기 Vb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상기 C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R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및 상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셀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에서 이용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은,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측정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는,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는, 2 이상의 측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 팩을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과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초로 수학식 연산을 수행하여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므로, 신속하게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의 수학식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과 릴레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연결되는 배터리 팩에는 메인 릴레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메인 릴레이에는 병렬로, 프리차지 저항(P)에는 직렬로 연결된 프리차지 릴레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인 릴레이와 프리차지 릴레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연결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B)과 프리차지 저항(P)으로 간단하게 모델링하고,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셀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하나의 등가 배터리 셀로 모델링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커패시터(100),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 경과시간 측정부(300) 및 연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커패시터(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프리차지 저항(P)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양단에 그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팩의 양단에 커패시터의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100)는, 커패시턴스를 갖고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C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I는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V는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t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100)는, 단일의 커패시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수동소자와 능동소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는 제한이 없으며 배터리 팩 양단 전압 등을 고려하여 호적의 값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이므로, 그 값이 미리 알려져 있거나, 그 값이 쉽게 측정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이와 같이 배터리 팩에 커패시터(100)를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RC 1차회로를 구현하고, RC 1차회로의 전압 전류 관계식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는, 상술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는, 공지의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멀티미터는 전압, 전류 및/또는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DMM이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멀티미터는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전압 측정 장치의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술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 의해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최초의 시점부터 특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을 t = 0(sec)이라고 할 경우, 이후의 특정 시점인 t1, t2, t3....등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상술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 의해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경과시간은 후술할 연산부(400)에 전송되어 연산부(400)가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400)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 경과시간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 및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한다.
먼저, 경과시간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 및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경과시간은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t = 0)부터 상술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 의해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의미하므로, 예를 들어, 경과시간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을 t1이라고 할 경우,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은, t1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 즉 Vc(t1)이 된다.
즉, 상기 연산부(400)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 임의의 시점 tx 및 임의의 시점 tx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RC 1차회로의 전압 전류 관계식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에 포함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하므로, 다음과 같은 1차 미분방정식을 풀이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Vb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을 나타내고, Vc는 커패시터(100)의 양단 전압을 나타내며, R은 배터리 팩에 포함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C는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를 나타내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경과시간, 경과시간에서 측정된 커패시터(100)의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턴스(C)와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1차 미분방정식을 풀이하면 R을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400)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통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마찬가지로, 여기서, Vb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을 나타내고, Vc는 커패시터(100)의 양단 전압을 나타내며, R은 배터리 팩에 포함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C는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내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t = 0 (sec) 인 경우, 즉,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에서 Vc = 0 (V) 즉,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0 (V) 인 상태를 전제로 하여 보다 쉽게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경과시간, 커패시턴스(C) 및 경과시간에서 측정된 커패시터(100)의 전압값을 상기 수학식 3에 대입하면, 미지수인 R 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구해지는 미지수 R은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미분방정식이 아닌 간단한 방정식의 연산을 통해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으므로 연산부(400)에 의한 연산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는 연산부(400)에 전송되어 연산부(400)가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산부(400)는,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를 이용하고,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 의해 측정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 및 경과시간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셀전압 측정부(8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셀전압 측정부(80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셀전압 측정부(8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B)의 양단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셀전압 측정부(800a)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은 연산부(400)에 전송되어 연산부(400)가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산부(400)에서 이용하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은,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인 것이 좋다.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은 거의 일정한 값을 가지지만, 배터리 팩이 반복적으로 충방전을 수행하면서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의 크기가 조금씩 변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의 미소한 변화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테스트 스위칭부 및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는 테스트 스위칭부와 이러한 테스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스위칭부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테스트 스위칭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여부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테스트 스위칭부는 스위칭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되어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을 연결하거나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테스트 스위칭부가 턴 온되어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즉,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테스트 스위칭부가 턴온되어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을 t = 0으로 설정하고,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이후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에 의해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연산부(400)에 전송할 수 있고,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는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연산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BMS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비교할 때 셀전압 측정부(800b)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 팩에 포함된 BMS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BMS에 포함된 셀전압 측정부(800b)는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에 포함된 연산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400)는,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되어 연산부(400)로 전송된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가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는 BMS와 연결됨으로써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에 별도의 센전압 측정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2 이상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는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 형성되는 시점부터 2회 이상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2회 이상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전압 측정부(200)가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된 시점부터 3회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였고, 1회 측정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vc1이고, 2회 측정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vc2이고, 3회 측정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vc3라고 할 경우, 경과시간 측정부(300)는 각각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인 t1, t2, t3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연산부(400)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예에서 3회 측정한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과 이에 대응하는 3개의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부(400)는 3개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산출하게 된다.
즉, 연산부(400)는 경과시간 t1과 t1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인 vc1(t1)을 이용하여 R1을 산출하고, 경과시간 t2와 t2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인 vc2(t2)를 이용하여 R2를 산출하며, 경과시간 t3와 t3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인 vc3(t3)를 이용하여 R3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R1, R2, R3는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연산부(400)는, 이와 같이 산출된 R1, R2, R3를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400)는 산출된 R1, R2, R3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를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으로 취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산부(400)는,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이 좋다. 즉, 연산부(400)는, 상기의 예에서 산출된 R1, R2, R3를 산술평균하여 ((R1+R2+R3)/3)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산출되는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이 증가할수록 더욱 정확한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서, 각 단계의 주체는 상술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의 각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은, 상술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 경과시간 및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은, 먼저, 배터리 팩 양단에 커패시터(100)를 연결한다(S110). 이어서, 배터리 팩 양단에 연결된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S120), 배터리 팩과 커패시터(100)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한다(S130).
비록 도 6에서는, 상기 S130 단계가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하므로, S130 단계는 S12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 경과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경과시간 및 측정 시점에서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다음 관계식을 통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Vc는 상기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 상기 Vb는 상기 배터리 셀(B) 양단 전압, 상기 C는 상기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 상기 R은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 및 상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이러한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 및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C)를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저장 단계는 저항값 연산 단계(S140)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S130),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S120) 및 상기 커패시터 연결 단계(S110) 이전에 미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이러한 셀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배터리 셀(B)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셀전압 측정 단계는, 저항값 연산 단계(S140)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 및 경과시간 측정 단계 이전, 이후, 또는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 및 경과시간 측정 단계 사이에 측정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에서 이용되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은, 커패시터(100)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측정되는 배터리 셀(B) 양단 전압인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B) 양단의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S120)는,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S130)는, 2 이상의 측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100)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S140)는,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프리차지 저항(P)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100: 커패시터
200: 커패시터전압 측정부
300: 경과시간 측정부
400: 연산부
B: 배터리 셀
P: 프리차지 저항

Claims (19)

  1.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양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커패시터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경과시간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다음 관계식을 통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되,
    Figure pat00007

    여기서, Vc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 전압, 상기 Vb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상기 C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R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및 상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셀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셀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서 이용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은, 상기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연산부로 전송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는, 디지털 멀티미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테스트 스위칭부; 및
    상기 테스트 스위칭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 측정부는, 2 이상의 측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연산부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11.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에 구비되는 메인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양단에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커패시터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경과시간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다음 관계식을 통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되,
    Figure pat00008

    여기서, Vc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 전압, 상기 Vb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상기 C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R은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및 상기 t는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셀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에서 이용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은, 상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에서 측정되는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된 BMS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 셀 양단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전압 측정 단계는,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 측정 단계는, 2 이상의 측정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2 이상의 경과시간 및 2 이상의 측정 시점에서의 커패시터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연산 단계는, 상기 산출된 2 이상의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산술평균하여 상기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방법.
KR1020130115618A 2013-09-27 2013-09-27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718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618A KR101718114B1 (ko) 2013-09-27 2013-09-27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618A KR101718114B1 (ko) 2013-09-27 2013-09-27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269A true KR20150035269A (ko) 2015-04-06
KR101718114B1 KR101718114B1 (ko) 2017-03-20

Family

ID=5303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618A KR101718114B1 (ko) 2013-09-27 2013-09-27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787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차지 저항 이상 판단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30A (ko) * 2006-09-29 2008-04-03 박남수 디지털 멀티미터
KR20080057006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리플전압 측정방법, 리플전압 측정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측정장치
KR20130060623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배터리 파라미터 관리시스템 및 배터리 파라미터 추정방법
JP2013179760A (ja) * 2012-02-28 2013-09-09 Toyota Auto Body Co Ltd 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30A (ko) * 2006-09-29 2008-04-03 박남수 디지털 멀티미터
KR20080057006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리플전압 측정방법, 리플전압 측정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측정장치
KR20130060623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배터리 파라미터 관리시스템 및 배터리 파라미터 추정방법
JP2013179760A (ja) * 2012-02-28 2013-09-09 Toyota Auto Body Co Ltd 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114B1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1179B2 (ja) 迅速な絶縁抵抗の測定が可能な絶縁抵抗測定装置及び方法
KR101497602B1 (ko)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KR101783919B1 (ko) 개방전압 추정 장치 및 방법
US7514905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Vezzini Lithium-ion battery management
KR20190050638A (ko)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527356B2 (ja) 二次電池劣化検出システム、二次電池劣化検出方法
US10873201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lithium iron phosphate cell from over-voltage using the same
JP2020524267A (ja) バッテリーのための等価回路モデルのパラメータを推定する方法及び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
KR20150084532A (ko)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416548B1 (ko) 배터리를 위한 등가 회로 모델의 파라미터 추정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630411B1 (ko)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475769B2 (ja) バッテリ抵抗算出装置および方法
CN211018294U (zh) 充电控制装置,电池管理系统和电池组
KR20200085575A (ko) 배터리 팩의 최대 허용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18114B1 (ko) 프리차지 저항의 저항값 측정 장치 및 방법
EP4105669A1 (en)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degradation degree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battery degradation degree
JP2020520624A (ja) バッテリーの内部抵抗を最適化するための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Indra et al. Battery modeling for lithium polymer battery management system
JP7240893B2 (ja) 電池制御装置
KR20140053619A (ko) 배터리 출력 전압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60146350A (ko) 배터리모듈 전압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640887B1 (ko) 병렬 연결된 배터리 유닛의 개수를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435792A (zh) 一种电池电量平衡补偿系统
Gao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of a 12-cell battery power system with fault control for underwater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