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512A -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 Google Patents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512A
KR20150033512A KR20140058738A KR20140058738A KR20150033512A KR 20150033512 A KR20150033512 A KR 20150033512A KR 20140058738 A KR20140058738 A KR 20140058738A KR 20140058738 A KR20140058738 A KR 20140058738A KR 20150033512 A KR20150033512 A KR 2015003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driving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834B1 (ko
Inventor
신원수
Original Assignee
신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수 filed Critical 신원수
Priority to CN201410488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452562A/zh
Publication of KR2015003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the saw blade being movable on slid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 등을 컷팅(절단)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을 컷팅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와, 상기 집진여과기부로부터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펜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절삭날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집진기부와 상기 구동부를 상치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몸체프레임부로 각각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이동성을 높여 운반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비의 보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a cutting device of the concrete floo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 등을 컷팅(절단)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을 컷팅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와, 상기 집진여과기부로부터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펜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절삭날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집진기부와 상기 구동부를 상치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몸체프레임부로 각각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이동성을 높여 운반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비의 보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등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개하는 컷팅작업은 높은 소음 및 분진 등으로 인하여 작업 환경이 지저분하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지중의 수도나 전기 통신선로의 신설이나 개보수공사 시에는 건축물 바닥면을 절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로는 습식 커팅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습식 커팅기는 커팅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물을 절단 부위에 뿌리면서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습식 커팅기는 커팅과정에서는 비산먼지의 발생을 줄일 수는 있으나, 커팅날의 절단작업을 마친 후 절단된 부위의 물이 마르게 될 경우, 물에 젖어 바닥에 붙어있던 먼지가 대기중으로 날리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실내에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절단할 때에는 작업 중에 발생되는 물 등의 비산으로 여타 다른 작업을 함께 시공할 수가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산먼지가 커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진 흡인장치가 구비된 건식 커팅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0901847호의 '무수 냉각 도로 커터'와, 등록특허 제10-1238326호의 '진공흡입식 건식 컷팅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상기 '무수 냉각 도로 커터'는 블레이드 본체 및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원주상에 부착된 절삭날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쏘; 구조물을 절단하는 상기 블레이드 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블레이드 쏘를 냉각 기체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구조물 절단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 및 상기 구조물을 절단하는 방향을 조정하는 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기체를 상기 절삭날에 공급하는 상기 절삭날을 냉각시키는 제1 노즐; 및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냉각시키는 제2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냉각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구동부, 냉각부 및 집진부를 유기적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커터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도로 상의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구조물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진공흡입식 건식 컷팅기'는 콘크리트 바닥면을 자르는 컷팅 칼날(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위쪽으로 비산하는 콘크리트 먼지를 컷팅 칼날 고정커버(11) 앞쪽 상단에 있는 흡입구(12)로 모아 집진기 호스(13)를 연결하여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집진기(14)속에 장착된 원통형 다중필터(15)에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 다음 맑은 공기는 외부로 방출하고 콘크리트 먼지는 집진기(14)의 하단에 장착된 먼지 통(16)에 모아 포대에 담아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KR 10-0901847 (등록번호) 2009.06.02. KR 10-1238326 (등록번호) 2013.02.22. KR 10-2013-0066075 (공개번호) 2013.06.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식 컷팅기는 그 규모(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이 어려운 옥상 등과 같은 작업장에는 크레인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여 이동할 수밖에 없어 운송비용이 컷팅 작업비용에 비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레인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비좁은 장소에 컷팅 장비를 운반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여 이를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건식 컷팅기는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불편하고 관리의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을 컷팅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와, 상기 집진여과기부로부터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펜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엔진동력을 이용하여 절삭날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집진기부와 상기 구동부를 상치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몸체프레임부로 각각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이동성을 높여 운반에 소요되는 경비 및 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비의 보관 및 관리의 효율성과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을 컷팅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컷팅기에 있어서,
하부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바퀴가 구비되는 메인바닥프레임와, 피동바퀴가 구비되는 보조바닥프레임, 상기 메인바닥플레이트의 전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시켜 주도록 작동손잡이가 구비된 체인수단,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되는 'ㄴ'자 형상의 몸체프레임부와, 상기 몸체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설 구비되면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절삭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절삭날수단과 상기 절삭날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구동수단, 및 상기 엔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펜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구동프레임부, 및 상기 몸체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바닥프레임에 상치되어 고정 지지되면서 상기 절삭날수단의 절삭 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을 여과한 청정공기를 상기 송풍펜수단을 통해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여과기부은 그 하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케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프레임부는 양단의 가로프레임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되는 다수개의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면서 그 중앙부측에 프레임체결구멍이 형성 구비되고, 또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은 상기 구동프레임부를 구성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 가능하도록 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체결구멍에 대향되면서 제1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너트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몸체프레임부와, 상기 구동프레임부 및 상기 집진여과기부로 분리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는 여과기능을 갖는 집진기부와 엔진 등이 설치되는 구동부 및 이들을 고정 설치하는 몸체프레임부를 각각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작업장에도 크레인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고 각각의 구성 장치를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한 후 컷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운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나 크레인으로 장비를 운반할 수 없는 비좁고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최소의 인력으로 분리된 각각의 구성장치를 운반하고 이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좋아 경쟁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기능을 갖는 집진기부와 엔진 등이 설치되는 구동부 및 이들을 고정 설치하는 몸체프레임부가 각각 분리됨으로써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상태의 단면도와 조립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의 구동프레임부가 분리되어 운반 가능하도록 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의 구동프레임부에 작업가이드수단이 더 설치 구비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바퀴(111)가 구비되는 메인바닥프레임(112)와,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의 내측으로 구비되면서 피동바퀴(113)가 구비되는 보조바닥프레임(114), 상기 메인바닥플레이트(112)의 전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면프레임(115), 상기 구동바퀴(111)를 구동시켜 주도록 작동손잡이(116)가 구비된 체인수단(117), 및 상기 전면프레임(115)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을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손잡이(118)로 구성되는 'ㄴ'자 형상의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의 선단부에 삽설 구비되면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절삭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절삭날수단(121)과 상기 절삭날수단(121)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구동수단(122), 및 상기 엔진구동수단(122)에 의해 회전되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펜수단(123)이 고정 설치되는 구동프레임부(120), 및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에 상치되어 고정 지지되면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의 절삭 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을 여과한 청정공기를 상기 송풍펜수단(123)을 통해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130)로 구성되어 이들이 서로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수단(121)에는 콘크리트 절삭 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을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진유입호스(141)가 연통 설치되는 보호커버(140)가 그 외부측으로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진여과기부(130) 하부측에는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150)에 의해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131a)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케트(131)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에는 상기 고정수단(150)이 체결되는 너트구멍(114a)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는 상기 고정브라케트(131)와 상기 고정수단(150)을 통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에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프레임부(120)는 양단의 가로프레임(124)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되는 다수개의 세로프레임(125)으로 하여 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124)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면서 그 중앙부측에 프레임체결구멍(124a)이 형성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가로프레임(124)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가능하도록 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체결구멍(124a)에 대향되면서 제1체결수단(160)에 의해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너트구멍(112a)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의 중간부 외측에는 상기 가로프레임(124)과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체결구(119a)가 형성된 제1체결브라케트(119)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124)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과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2체결구(126a)가 형성된 제2체결브라케트(126)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이 상기 가로프레임(124)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되게 되면, 상기 제1체결브라케트(119)와 상기 제2체결브라케트(126)가 서로 대향되면서 상기 제1체결구(119a)와 상기 제2체결구(126a)가 서로 대향되어 제2체결수단(161)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은 상기 가로프레임(124)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된 다음 상기 프레임체결구멍(124a)과 상기 프레임너트구멍(112a)을 통해 상기 제1체결수단(160)으로 체결하여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체결수단(161)에 의해 상기 제1체결브라케트(119)와 상기 제2체결브라케트(126)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의 중간부측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분리는 상기 제1체결수단(160)과 상기 제2체결수단(161)을 풀어 준 다음 상기 메인바닥프레임(112)을 상기 가로프레임(124)으로부터 슬라이딩으로 빼내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부(110)로부터 상기 구동프레임부(120)를 분리하여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프레임부(120)는 각 모서리부에 중공(中空)형의 제1끼움브라케트(127)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제1끼움브라케트(127)에는 그 내부로 삽설되는 운반용 지지로드(R1)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3체결수단(127a)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프레임부(120)는 상기 끼움브라케트(127)에 상기 제3체결수단(127a)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로드(R1)를 전방으로 2개 후방으로 2개 고정 설치하게 되면 전방 및 후방 운반자가 각각 상기 지지로드(R1)를 잡고 계단 등과 같은 비좁고 협소한 작업장을 용이하게 출입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을 구성하는 상기 전면프레임(115)의 상단부에는 그 양측단부에 중공(中空)형의 제2끼움브라케트(115a)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제2끼움브라케트(115a)에는 그 내부로 삽설되는 운전용 지지로드(R2)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4체결수단(115b)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15)의 상단부 양측으로 상기 제2끼움브라케트(115a)에 상기 제4체결수단(115b)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용 지지로드(R2)를 고정 설치한 후 작업자가 이를 잡고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절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운반용 지지로드(R1)와 상기 운전용 지지로드(R2)는 서로 호환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수단(160)과, 상기 제2체결수단(161), 상기 제3체결수단(127a), 및 상기 제4체결수단(115b)은 T자 형상으로 하여 작동회전부와 체결나사부가 각각 형성 구비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공지 기술에 의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전면부에는 작업라인(먹줄이라고도 함)을 따라 상기 절삭날수단(121)을 전진하면서 작업(절삭)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가이드수단(17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업가이드수단(170)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일측 전면부에 작동연결선(180)에 의해 상부측 또는 지면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선단부에 가이드바퀴(171a) 및 가이드로드(171b)가 구비되는 제1작업회동레버(171)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타측 전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작업회동레버(172), 상기 제2작업회동레버(172)의 끝단부에서 상기 제1작업회동레버(171)의 중간부를 연결 고정하는 지지로드(173), 상기 제1작업회동레버(171)에 수직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작동연결선(180)이 연결 설치되는 고정레버(17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을 전진하면서 절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가이드수단(170)을 지면으로 회동시킨 후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작업회동레버(171)의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바퀴(171a)는 지면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가이드로드(171b)가 작업라인을 맞추어 주게 되어 있어, 상기 절삭날수단(121)이 작업라인을 따라 정확하게 절삭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반대로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작동연결선(180)을 당겨 주게 되면 상기 작업가이드수단(170)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의 전면부에서 회동되면서 그 상부측으로 절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동연결선(180)의 손잡이(181)는 상기 전면프레임(115)의 상단부에 고정시켜 둔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로드(171b)는 상기 가이드바퀴(171a)의 측면에 'ㄱ'자 형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바퀴(171a)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로드(171b)는 작업라인을 따라 용이하게 나아가 작업을 가이드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 및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를 조립하여 구성된 상기 건식 컷팅기(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의 절삭작업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구동엔진수단(1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절삭날수단(121)과 상기 송풍펜수단(123)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절삭날수단(121)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분진유입호스(141)를 통해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로 빠르게 빨려들어 갈 수 있어 상기 보호커버(140)의 외부로 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 작업장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집진여과기부(130)는 상부몸체(130a)와 하부몸체(130b)로 구성되어 이들이 서로 분리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30a)의 내측에는 상기 분진유입호스(141)를 통해 유입되는 분진을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켜 주는 여과수단(미도시)이 설치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몸체(130a)의 하부측에는 상기 분진유입호스(141)가 연통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체(130a)의 상면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상기 송풍펜수단(123)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호스(132)가 연통 설치되는 밀폐덮개(13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구동수단(122)이 구동되면 상기 흡입송풍펜(160)이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배출호스(132)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이로 인해 상기 보호커버(140)에 연결 구비된 상기 분진유입호스(141)의 흡입력이 강화되어 상기 보호커버(140)의 내부측에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집진여과기부(130)의 내측으로 신속하게 빨려 들어가 상기 보호커버(140)의 외부측으로 비산되는 분진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손잡이(116)와 상기 체인수단(117)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111)가 구동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부(110)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조 및 상기 조절손잡이(118)에 의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114)이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 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에 의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분진유입호스(141)를 통해 상기 집진여과기부(130)의 상기 상부몸체(130a) 내부로 유입되면 그 내부에 구비된 여과수단(미도시)에서 분진이 여과되면서 오염물질은 상기 하부몸체(130b)로 떨어져 쌓이고 정화된 신선한 공기는 상기 밀폐덮개(133)에 연통 설치된 상기 공기배출호스(132)를 통해 상기 송풍펜수단(123)을 거쳐 대기중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 상기 밀폐덮개(133)를 열고 그 내부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날수단(12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몸체프레임(110)이 전진할 때 그 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바닥면이 절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보호커버(140)에 연통 설치된 상기 분지유입호스(141)를 통해 상기 집진여과기부(130) 내로 빨려들어가 용이하게 수집될 수가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로 집진된 분진은 여과기능을 통해 여과되면서 이물질은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몸체(130b) 내부로 떨어져 모이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호스(132)를 통해 상기 송풍펜수단(123)을 거쳐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구동프레임부(120), 및 상기 집진여과기부(130)를 각각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는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작업장에도 크레인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고 각각의 구성 장치를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한 후 컷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운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이나 크레인으로 장비를 운반할 수 없는 비좁고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최소의 인력으로 분리된 각각의 구성장치를 운반하고 이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좋아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0: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110:몸체프레임
111:구동바퀴 112:메인바닥프레임 112a:프레임너트구멍
113:피동바퀴 114:보조바닥프레임 114a:너트구멍
115:전면프레임 115a:제2끼움브라케트 115b:제4체결수단
116:작동손잡이 117:체인수단 118:조절이손잡이
119:제1체결브라케트 119a:제1체결구
120:구동프레임부
121:절삭날수단 122:엔진구동수단 123:송풍펜수단 124:가로프레임
125:세로프레임 126:제2체결브라케트 126a:제2체결구
127:제1끼움브라케트 127a:제3체결수단
130:집진여과기부
131:고정수단 131a:설치구멍 132:공기배출호스 133:밀폐덮개
140:보호커버 141:분진유입호스
150:고정수단
160:제1체결수단 161:제2체결수단
170:작업가이드수단
171:제1작업회동레버 171a:가이드바퀴 171b:가이드로드
172:제2작업회동레버 173:지지로드 174:고정레버
180:작동연결선
R1:운반용 지지로드 R2:운전용 지지로드

Claims (5)

  1. 콘크리트 바닥면을 컷팅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컷팅기에 있어서,
    하부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바퀴가 구비되는 메인바닥프레임와, 피동바퀴가 구비되는 보조바닥프레임, 상기 메인바닥플레이트의 전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시켜 주도록 작동손잡이가 구비된 체인수단,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되는 'ㄴ'자 형상의 몸체프레임부와,
    상기 몸체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설 구비되면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절삭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절삭날수단과 상기 절삭날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구동수단, 및 상기 엔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펜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구동프레임부, 및
    상기 몸체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바닥프레임에 상치되어 고정 지지되면서 상기 절삭날수단의 절삭 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을 여과한 청정공기를 상기 송풍펜수단을 통해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진여과기부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여과기부은 그 하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바닥프레임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케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프레임부는 양단의 가로프레임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되는 다수개의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면서 그 중앙부측에 프레임체결구멍이 형성 구비되고,
    또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은 상기 구동프레임부를 구성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 가능하도록 되며 그 끝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체결구멍에 대향되면서 제1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너트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몸체프레임부와, 상기 구동프레임부 및 상기 집진여과기부로 분리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의 중간부 외측에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체결구가 형성된 제1체결브라케트가 더 설치 구비되고,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메인바닥프레임과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2체결구가 형성된 제2체결브라케트가 더 설치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닥프레임이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삽설되면서 상기 제1체결브라케트와 상기 제2체결브라케트가 서로 대향되면서 상기 제1체결구와 상기 제2체결구가 서로 대향되어 제2체결수단으로 이들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프레임부는 각 모서리부에 중공(中空)형의 제1끼움브라케트가 더 설치 구비되고, 상기 제1끼움브라케트에는 그 내부로 삽설되는 운반용 지지로드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3체결수단이 설치 구비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부을 구성하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부 양측에는 중공(中空)형의 제2끼움브라케트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제2끼움브라케트에는 그 내부로 삽설되는 운전용 지지로드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4체결수단이 설치 구비되는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프레임부의 전면부에는 작업라인을 따라 상기 절삭날수단을 전진시키면서 절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가이드수단이 설치 구비되되,
    상기 작업가이드수단은 상기 구동프레임부의 일측 전면부에 작동연결선에 의해 상부측 또는 지면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선단부에 가이드바퀴 및 가이드로드가 구비되는 제1작업회동레버와, 상기 구동프레임부의 타측 전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작업회동레버, 상기 제2작업회동레버의 끝단부에서 상기 제1작업회동레버의 중간부를 연결 고정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제1작업회동레버에 수직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작동연결선이 연결 설치되는 고정레버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1020140058738A 2013-09-23 2014-05-16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10154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88629.5A CN104452562A (zh) 2013-09-23 2014-09-23 三段分离式干式混凝土切割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384 2013-09-23
KR1020130112384 2013-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12A true KR20150033512A (ko) 2015-04-01
KR101547834B1 KR101547834B1 (ko) 2015-08-27

Family

ID=53030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78A KR101547836B1 (ko) 2013-09-23 2014-02-17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1020140058738A KR101547834B1 (ko) 2013-09-23 2014-05-16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78A KR101547836B1 (ko) 2013-09-23 2014-02-17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478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07A (zh) * 2018-08-07 2018-12-18 刘大康 一种高速公路路面修复装置
CN109024137A (zh) * 2018-08-07 2018-12-18 刘大康 一种高速公路路面修复方法
CN110978290A (zh) * 2019-12-23 2020-04-10 龙健 一种墙顶切割用除尘设备
CN112458853A (zh) * 2020-11-07 2021-03-09 太湖县立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工程用灌缝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2055B (zh) * 2017-01-17 2019-01-18 徐州贝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市政建筑用路面切割机器人
CN113352472B (zh) * 2021-06-15 2022-08-02 山东小森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污染功能的电钻防尘罩
CN113696355B (zh) * 2021-07-26 2023-05-16 山东宝乘电子有限公司 一种半导体材料深孔加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09695B1 (ko) 2022-12-02 2023-12-05 (주)대영엔씨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12B1 (ko) * 2009-10-13 2010-08-06 (유)동양건업 도로 커팅기
KR101238326B1 (ko) 2011-02-18 2013-03-04 신윤호 진공흡입식 건식 컷팅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07A (zh) * 2018-08-07 2018-12-18 刘大康 一种高速公路路面修复装置
CN109024137A (zh) * 2018-08-07 2018-12-18 刘大康 一种高速公路路面修复方法
CN109024137B (zh) * 2018-08-07 2020-10-23 安徽省中兴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路面修复方法
CN110978290A (zh) * 2019-12-23 2020-04-10 龙健 一种墙顶切割用除尘设备
CN112458853A (zh) * 2020-11-07 2021-03-09 太湖县立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工程用灌缝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836B1 (ko) 2015-08-27
KR20150033502A (ko) 2015-04-01
KR101547834B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834B1 (ko)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101680735B1 (ko) 터널공사현장의 분진제거장치
KR101654866B1 (ko)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US20060086350A1 (en) Engraver apparatus and method
CN208645593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木屋用板材切割设备
KR101567200B1 (ko) 건식 집진유닛을 구비하는 보도블록 절단장치
WO2014164276A1 (en) Removable dust compartment for power tool
CN211465656U (zh) 一种建筑工程用建筑材料切割机的吸尘机构
CN104452562A (zh) 三段分离式干式混凝土切割装置
KR100974612B1 (ko) 도로 커팅기
KR20180047624A (ko) 휴대형 노면 청소기
JP2017115745A (ja) フィルタ交換装置、フィルタ交換装置の制御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設備
CN211807044U (zh) 一种可吸尘除渣的人工智能墙体钻孔装置
CN219276069U (zh) 一种能够调整高度切割机
CN207859052U (zh) 一种木工除尘设备
CN107824368A (zh) 一种自清洁喷房系统
CN215167730U (zh) 手推式瓷砖缝隙清理装置
CN212071273U (zh) 一种仪表板加工用切割胎具
CN214269068U (zh) 一种化肥原料加工用除尘装置
CN211355209U (zh) 一种能够分离不同大小杂质的吸尘器
CN109930532B (zh) 一种环境景观净化用清洁车
CN207495676U (zh) 一种锯床吸尘装置
CN215565809U (zh) 一种抗浮锚杆桩机吸尘装置
JP7383502B2 (ja) トラバーサの集塵換気装置
CN210934265U (zh) 一种建筑工地用清洁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