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95B1 -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95B1
KR102609695B1 KR1020220166237A KR20220166237A KR102609695B1 KR 102609695 B1 KR102609695 B1 KR 102609695B1 KR 1020220166237 A KR1020220166237 A KR 1020220166237A KR 20220166237 A KR20220166237 A KR 20220166237A KR 102609695 B1 KR102609695 B1 KR 10260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blade
light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락
Original Assignee
(주)대영엔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엔씨디 filed Critical (주)대영엔씨디
Priority to KR102022016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습식 도로 커터기 대신 분진(비산먼지)을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2차적인 환경공해나 후속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엔진이 작동하여 절단 날이 회전을 시작하고 절단장치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절단 날의 절단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는 표시부를 통해 절단 날의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DRY ROAD AND BUILDING FLOOR CUTTING DEVICE EQUIPPED WITH A DUST INHALER CAPABLE OF MEASURING CUTTING DEPTH AND DISTANCE AND METHOD FOR CUTTING ROAD AND BUILDING FLOO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커버에 분진 흡입기의 일측을 연결하여 건식으로 분진을 흡입·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절단 날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표시하여 현재 절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의 수도나 전기 통신선로 또는 도로의 신설이나 개보수공사시에는 지면 위에 기 시공되어 있는 아스팔트 도로나 콘크리트 포장을 절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아스팔트 도로나 콘크리트 포장을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로는 습식 도로 커터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습식 커터기는 절단 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절단 부위에 뿌리면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습식 도로 커터기는 커팅과정에서는 비산먼지의 발생을 줄일 수는 있으나, 커팅기가 절단작업을 마친 후, 절단된 부위의 물이 마르게 될 경우, 물에 젖어 바닥에 붙어있던 먼지가 바람이나 기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하여 대기중으로 날리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이후의 작업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9호 '건식 흡입장치를 구비한 도로 커터기'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9호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진이 커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된 노면 위에도 분진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대기중으로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작업현장 부근에 거주하는 사람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작업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작업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 제20-2022-0002335호 '분진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절단장치'가 있다. 공개실용 제20-2022-0002335호는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9호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흡입기를 구비하여 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절단날이 수용되는 커버부재의 상부커버가 절단날과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하여 절단날과 상부커버 사이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분진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이물질 끼임에 의해 작업 중지나 절단날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도로, 건물 바닥 절단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절단 날이 절단 중인 도로, 건물 바닥의 절단 길이나 깊이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절단 길이 및 절단 깊이를 알기 힘들고 대강 짐작으로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작업에 정확성 및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4239호 공개실용 제20-2022-0002335호 등록특허 제10-1547836호 등록특허 제10-09018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습식 도로 커터기 대신 분진(비산먼지)을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2차적인 환경공해나 후속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엔진이 작동하여 절단 날이 회전을 시작하고 절단장치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절단 날의 절단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는 표시부를 통해 절단 날의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핸들과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과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엔진의 동력에 의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을 절단하는 절단 날과 절단 날에 의해 커팅되면서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분진 흡입기와 일측은 커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분진 흡입기에 연결되어 절단 날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면서 커버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분진 흡입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호스와 커버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절단 날의 구동축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축수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가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바 및 엔진이 작동하여 절단 날이 회전을 시작하면, 절단 날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절단상태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은,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와 엔진이 작동하여 절단 날이 회전을 시작하는 제2 단계와 핸들을 조작하여 절단 날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이동핸들을 조작하여 바퀴를 이동시키는 제3 단계와 복수 개의 발광센서로 구성된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복수 개의 수광센서로 구성된 수광부에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를 확인하여 절단 깊이를 측정하는 제4 단계와 이동핸들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해 바퀴로 전달되어 이동할 때 이동핸들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5 단계 및 절단 날의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X, Y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진이 커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된 노면 위에도 분진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대기중으로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작업현장 부근에 거주하는 사람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작업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작업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이 작동하여 절단 날이 절단작업을 시작하면 절단 날의 실시간 이동거리와 절단깊이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사용자 표시부에 표시해 주기 때문에 작업자는 절단된 길이와 깊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절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절단 날이 아래로 내려가는 상태로 판단되면 분진 흡입기에 동력을 공급하여 커버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흡입호스를 통해 분진 흡입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절단 날이 위로 올라가는 상태로 판단되면 분진 흡입기에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순간에는 분진 흡입기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내부에 발광부의 상부와 수광부의 냉각기체노즐을 각각 구비하고, 발광부와 수광부에 냉각기체를 분사하여 발광부와 수광부에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절단 작업으로 절단 날이 과열되는 경우 절단 날을 냉각시켜 줌으로써 절단 날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의 커버와 분진 흡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의 커버 내측에 발광부가 설치된 모습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커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4A는 절단 날이 지면에 닿기 전의 최초 준비 상태, 도 4B는 절단 날이 지면에 닿은 상태, 도 4C는 절단 날이 일정 부분 삽입된 상태, 도 4D는 절단 날이 상당 부분 삽입되어 절단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각 상태별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한 절단 날의 높이 변화와 발광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수광센서에 입사되는 개수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구성하는 기능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핸들(10)과 바퀴(20)가 부착된 프레임(30) 상에 엔진(40)이 장착되고,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는 엔진(40)의 동력에 의해 도로를 절단하는 절단 날(50)이 부착된다.
이 절단 날(50)의 외측에는 절단 날(50)에 의해 커팅되면서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00)가 장착된다.
커버(100)는 분진 흡입기(110)의 일측이 흡입호스(120)로 연결되어 분진 흡입기(110)가 절단 날(50)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면서 발생한 분진을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이 커버(100)는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절단 날(50)의 구동축(52)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축수(102)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104)가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바(106)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엔진(40)이 작동하여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하면, 절단 날(50)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고 표시한다.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작업자가 절단 날(50)을 주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디스플레이에 절단 날(50)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준다. 기존 기술과 차별화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절단상태 측정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자세하게 살펴본다.
도면 중 부호 60은 절단 날(50)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바퀴이고, 부호 70은 이 보조바퀴(6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핸들이며, 부호 80과 부호 90은 각각 조절핸들(70)에 축결합된 나사와 이 나사의 신축운동을 보조바퀴의 돌출각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의 나머지 구성은 기존의 습식 도로 커터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커버(100)에 접속되는 분진 흡입기(110)는 통상의 진공청소기와 동일한 원리와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분진 흡입기(110)의 동력은 별도 전기모터 또는 엔진(40)의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커버(100)의 하단 전,후부에는 지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접지 롤러(108)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100)는 절단 날(50)에 의해 도로가 커팅되면서 발생하는 비산먼지가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단부는 지면에 밀착되고 상부는 절단 날(50)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 즉,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는 절단 날(5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폭을 갖고 있고, 그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절개된 개방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개방부(101)의 좌,우측에는 1쌍의 가이드 바(106)가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바(106)에는 절단 날(50)의 구동축(52)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가 된 축수(102)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104)가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또한, 커버(100)의 전면부에는 흡입호스(120)가 접속되는 접속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00)의 상단 외측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105)가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106)에는 가이드(104)를 경계로 그 상,하부에 압축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절단 작업시 커버(100)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의 구동시 커버(100)가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초기에는 4A에서와 같이 핸들(70)을 조작하여 보조 바퀴(60)가 밑으로 내려지도록 함으로써 절단 날(50)이 노면(R)의 절단위치에 일치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40)의 동력이 절단 날(50)에 전해지도록 한 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 날(50)이 노면(R)에 닿도록 보조바퀴(60)를 들어주면 절단 작업이 시작된다.
작업자는 절단상태 측정부(130)가 사용자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절단 날(50)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확인하면서 핸들(70)을 더 조작하여 보조바퀴(60)를 들어줌으로써 절단 날(50)의 삽입깊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도 4C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핸들(22)을 서서히 조작하면 이동 핸들(22)의 회전력이 벨트(24)를 통해 바퀴(20)로 전달되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가 전진주행을 하면서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버(100)는 회동 및 상하로의 승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단 날(50)의 삽입깊이가 변화되는 상태에서도 일정하게 노면(R)에 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절단시 발생한 분진이 외부의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100) 내부의 분진은 흡입호스(120)를 통해 분진 흡입기(11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는 수동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40)의 동력을 인출하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 자주식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부(131)는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일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한다.
수광부(132)는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타측면에서 발광부(131)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된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로 구성된 발광부(131)가 커버(100)의 내측에 부착된 모습이다. 커버(100)에는 상하로 길게 절개된 개방부(101)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발광부(131)를 커버(100) 내측 중앙에 설치할 수는 없고, 개방부(101)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부착된 1쌍의 가이드 바(106)의 좌측 또는 우측 바로 옆에 설치한다.
복수 개의 수광센서(R1~R10)로 구성된 수광부(132)는 커버(100)의 내측에서 발광부(131)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5는 커버(100)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낸다. 발광부(131)는 커버(100) 내부의 일측에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으로 구성되고, 수광부(132)는 복수 개의 수광센서(R1~R10)로 구성되며,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가이드(104)가 하강하여 절단 날(50)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에 접촉하여 절단을 시작하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132)에 입사되기 시작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발광부(131)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는 커버(100) 내부 일측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수광부(132)는 복수 개의 수광센서(R1~R10)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수광센서(R1~R10)는 커버(100) 내부 타측면에서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발광센서는 E1~E10의 10개, 수광센서는 R1~R10의 10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단 날(50)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을 절단할 때 가이드(104)가 하강하여 절단 날(50)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는 증가하고, 가이드(104)가 상승하여 절단 날(50)의 높이가 높아지면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는 적어진다.
도 4(A)를 참고하면, 절단 날(50)이 최초 준비 상태기 때문에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은 모두 절단 날(50)에 차단되어 수광센서(R1~R10)에 입사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고하면, 절단 날(50)이 아래로 내려와 노면(R)에 닿은 상태이다. 이때에도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 중 가장 위에 있는 발광센서(E1)에서 조사된 광은 절단 날(50)에 차단되어 수광센서(R1)에 입사되지 않는다.
도 4(A)를 측면에서 본 상태가 도 5(A)이다. 도 4(B)를 측면에서 본 상태가 도 5(B)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절단 날(50)이 절단을 시작한 후 노면(R) 아래로 일정 깊이(D1) 삽입된 상태이다. 발광센서(E1~E10) 중 두 개의 발광센서(E1, E2)에서 조사된 광은 절단 날(50)에 차단되지 않고 두 개의 수광센서(R1, R2)로 입사되고 있다.
도 4(C)를 측면에서 본 상태가 도 5(C)이다. 도 5(C)를 보면 위에 있는 두 개의 발광센서(E1, E1)에서 조사된 광은 절단 날(5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두 개의 수광센서(R1, R2)로 입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D)를 참고하면, 절단 날(50)이 노면(R) 아래로 더 깊이 삽입되어 깊이(D2)까지 삽입된 상태이다. 발광센서(E1~E10) 중 위에 있는 다섯 개의 발광센서(E1~E5)에서 조사된 광은 절단 날(50)에 차단되지 않고 다섯 개의 수광센서(R1~R5)로 입사되고 있다.
도 4(D)를 측면에서 본 상태가 도 5(D)이다. 도 5(D)를 보면 위에 있는 다섯 개의 발광센서(E1~E5)에서 조사된 광은 절단 날(5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다섯 개의 수광센서(R1~R5)로 입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이동거리 측정모듈(133)과 절단깊이 측정모듈(134)과 사용자 표시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거리 측정모듈(133)은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한 상태에서 이동핸들(22)의 회전력이 벨트(24)를 통해 바퀴(20)로 전달되어 이동할 때 이동핸들(22)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동거리(X축 값)를 측정한다.
절단깊이 측정모듈(134)은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한 상태에서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를 확인하여 절단 날(50)이 삽입된 절단 깊이(Y축 값)를 측정한다.
사용자 표시부(135)는 이동거리 측정모듈(133)이 측정한 이동거리를 X 축으로 하고, 절단깊이 측정모듈(134)이 측정한 절단깊이를 Y 축으로 하여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X, Y 그래프 상에 표시한다.
사용자 표시부(135)는 절단 날(50)이 절단을 시작한 후 현재까지 이동한 거리를 X 축 값의 변화량으로 표시하고, 절단깊이를 Y 축 값의 변화량으로 하여 이동거리에 따른 절단깊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작업자는 절단 날(50)을 주시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X 축 값의 변화와 Y 축 값의 변화 상태를 보면 현재 절단작업의 진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눈으로 절단 날(50)을 직접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때 보다 훨씬 더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는 흡입기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기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가 증가하면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공급하여 커버(100)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흡입호스(120)를 통해 분진 흡입기(110)로 유입되도록 한다.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절단 날(50)이 삽입되는 깊이가 점점 깊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절단 날(50)이 도로나 건물 바닥과 부딪히면서 삽입되는 깊이가 점점 깊어지고 있기 때문에 분진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때는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공급하여 분진 흡입기(110)를 작동시킴으로써, 분진이 흡입되도록 한다.
흡입기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가 적어지면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단시킨다.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R1~R10)의 개수가 적어진다는 것은 절단 날(50)이 절단작업을 진행 중에 삽입을 멈추고 위로 올라오고 있기 때문에 발광센서(E1~E10)에서 조사된 광이 상승 중인 절단 날(5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삽입된 자리를 그대로 따라서 상승 중에는 절단 날(50)은 절단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단시킨다.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는 제1 냉각기체노즐(141)과 제2 냉각기체노즐(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냉각기체노즐(141)은 커버(100)의 내부에서 발광부(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발광부(131)를 향하여 아래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냉각기체를 분사하여 발광부(131)에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냉각기체노즐(141)에서 분사된 냉각기체는 절단 날(50)의 일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면서 절단 날(50)의 일측면을 냉각시킨다.
제2 냉각기체노즐(142)은 커버(100)의 내부에서 수광부(1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광부(132)를 항하여 아래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냉각기체를 분사하여 수광부(132)에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냉각기체노즐(142)에서 분사된 냉각기체는 절단 날(50)의 타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면서 절단 날(50)의 타측면을 냉각시킨다.
두 개의 냉각기체노즐(141, 142)이 각각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를 향해 아래로 냉각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발광부(131)와 수광부(132)에 분진이 쌓이지 않아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132)에 더욱 정확하게 수신되며, 오랜 작업으로 절단 날(5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 날(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150)와 자동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절단 날(50)를 이용하여 절단하려는 길이 및 깊이를 입력하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길이 5m, 깊이 20cm 와 같이 입력한다.
자동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50)에 입력된 길이 및 깊이에 따라 절단 날(50) 및 이동핸들(22)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길이 및 깊이를 절단하도록 한다. 길이 5m, 깊이 20cm를 입력하면 자동제어부(160)는 절단 날(50) 및 이동핸들(22)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절단 날(50)이 20cm 깊이까지 절단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서서히 전진 이동하도록 하여 5m 길이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S710).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200)의 엔진(40)이 작동하여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한다(S720).
작업자는 핸들(70)을 조작하여 절단 날(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이동핸들(22)을 조작하여 바퀴(20)를 이동시킨다(S730).
절단깊이 측정모듈(134)은 복수 개의 발광센서(E1~E10)로 구성된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복수 개의 수광센서(R1~R10)로 구성된 수광부(132)에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를 확인하여 절단 깊이(Y축 값)를 측정한다(S740).
이동거리 측정모듈(133)은 이동핸들(22)의 회전력이 벨트(24)를 통해 바퀴(20)로 전달되어 이동할 때 이동핸들(22)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동거리(X축 값)를 측정한다(S750).
사용자 표시부(135)는 이동거리 측정모듈(133)이 측정한 절단 날(50)의 실시간 이동거리와 절단깊이 측정모듈(134)이 측정한 절단깊이를 X, Y 그래프 상에 표시한다(S76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핸들 20 : 바퀴
22 : 이동핸들 24 : 벨트
30 : 프레임 40 : 엔진
50 : 절단 날 60 : 보조바퀴
70 : 조절핸들 80 : 나사
90 : 링크 100 : 커버
102 : 축수 104 : 가이드
106 : 가이드 바 108 : 접지롤러
110 : 분진 흡입기 120 : 흡입호스
130 : 절단상태 측정부 131 : 발광부
132 : 수광부 133 : 이동거리 측정모듈
134 : 절단깊이 측정모듈 135 : 사용자 표시부
140 : 흡입기 제어부 150 : 사용자 입력부
160 : 자동제어부 200 :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E1~E10 : 발광센서 R1~R10 : 수광센서

Claims (8)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핸들(10)과 바퀴(20)가 설치된 프레임(30);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엔진(40);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엔진(40)의 동력에 의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을 절단하는 절단 날(50);
    절단 날(50)에 의해 커팅되면서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00);
    분진 흡입기(110);
    일측은 커버(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분진 흡입기(110)에 연결되어 절단 날(50)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면서 커버(100)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분진 흡입기(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호스(120);
    커버(100)에 설치되고,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절단 날(50)의 구동축(52)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축수(102)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104)가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바(106); 및
    엔진(40)이 작동하여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하면, 절단 날(50)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절단상태 측정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일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31); 및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타측면에서 발광부(131)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부(132);를 포함하고,
    가이드(104)가 하강하여 절단 날(50)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에 접촉하여 절단을 시작하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132)에 입사되며,
    상기 발광부(131)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발광센서는 커버(100) 내부 일측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수광부(132)는 복수 개의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수광센서는 커버(100) 내부 타측면에서 복수 개의 발광센서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절단 날(50)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을 절단할 때 가이드(104)가 하강하여 절단 날(50)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복수 개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는 증가하고, 가이드(104)가 상승하여 절단 날(50)의 높이가 높아지면 복수 개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는 적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한 상태에서 이동핸들(22)의 회전력이 벨트(24)를 통해 바퀴(20)로 전달되어 이동할 때 이동핸들(22)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동거리(X축 값)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측정모듈(133);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한 상태에서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를 확인하여 절단 날(50)이 삽입된 절단 깊이(Y축 값)를 측정하는 절단깊이 측정모듈(134); 및
    이동거리 측정모듈(133)이 측정한 이동거리를 X 축으로 하고, 절단깊이 측정모듈(134)이 측정한 절단깊이를 Y 축으로 하여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X, Y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표시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가 증가하면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공급하여 커버(100)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흡입호스(120)를 통해 분진 흡입기(110)로 유입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가 적어지면 분진 흡입기(110)에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단시키는 흡입기 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6.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핸들(10)과 바퀴(20)가 설치된 프레임(30);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엔진(40);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엔진(40)의 동력에 의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을 절단하는 절단 날(50);
    절단 날(50)에 의해 커팅되면서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00);
    분진 흡입기(110);
    일측은 커버(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분진 흡입기(110)에 연결되어 절단 날(50)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면서 커버(100) 내에서 발생한 분진이 분진 흡입기(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호스(120);
    커버(100)에 설치되고, 프레임(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절단 날(50)의 구동축(52)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축수(102)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104)가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바(106); 및
    엔진(40)이 작동하여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하면, 절단 날(50)의 이동 길이와 절단 깊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절단상태 측정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상태 측정부(130)는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일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31); 및
    커버(100)의 내부에서 절단 날(50)을 중심으로 커버(100) 내부 타측면에서 발광부(131)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부(132);를 포함하고,
    가이드(104)가 하강하여 절단 날(50)이 도로 또는 건물 바닥에 접촉하여 절단을 시작하면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132)에 입사되며,
    커버(100)의 내부에서 발광부(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발광부(131)를 향하여 아래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냉각기체를 분사하여 발광부(131)에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제1 냉각기체노즐(141); 및
    커버(100)의 내부에서 수광부(1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광부(132)를 항하여 아래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냉각기체를 분사하여 수광부(132)에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제2 냉각기체노즐(1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절단 날(50)를 이용하여 절단하려는 길이 및 깊이를 입력하는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50); 및
    사용자 입력부(150)에 입력된 길이 및 깊이에 따라 절단 날(50) 및 이동핸들(22)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길이 및 깊이를 절단하도록 하는 자동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8.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으로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
    엔진(40)이 작동하여 절단 날(50)이 회전을 시작하는 제2 단계;
    핸들(70)을 조작하여 절단 날(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이동핸들(22)을 조작하여 바퀴(20)를 이동시키는 제3 단계;
    복수 개의 발광센서로 구성된 발광부(131)에서 조사된 광이 복수 개의 수광센서로 구성된 수광부(132)에 입사되는 수광센서의 개수를 확인하여 절단 깊이를 측정하는 제4 단계;
    이동핸들(22)의 회전력이 벨트(24)를 통해 바퀴(20)로 전달되어 이동할 때 이동핸들(22)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5 단계; 및
    절단 날(50)의 실시간 이동거리 및 절단깊이를 X, Y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KR1020220166237A 2022-12-02 2022-12-02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KR10260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237A KR102609695B1 (ko) 2022-12-02 2022-12-02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237A KR102609695B1 (ko) 2022-12-02 2022-12-02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695B1 true KR102609695B1 (ko) 2023-12-05

Family

ID=8915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237A KR102609695B1 (ko) 2022-12-02 2022-12-02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239Y1 (ko) 2007-05-08 2009-04-22 여덕희 건식 흡입장치를 구비한 도로 커터기
KR100901847B1 (ko) 2008-08-21 2009-06-09 성도건설산업㈜ 무수 냉각 도로 커터
KR101547836B1 (ko) 2013-09-23 2015-08-27 신원수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20150112156A (ko) *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도로의 방호시설 절삭장치
KR101746014B1 (ko) * 2015-11-27 2017-06-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3d 위치 감지 센서
JP7049866B2 (ja) * 2018-03-07 2022-04-07 株式会社ディスコ 切削装置
KR20220002335U (ko) 2021-03-23 2022-09-30 박동신 분진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239Y1 (ko) 2007-05-08 2009-04-22 여덕희 건식 흡입장치를 구비한 도로 커터기
KR100901847B1 (ko) 2008-08-21 2009-06-09 성도건설산업㈜ 무수 냉각 도로 커터
KR101547836B1 (ko) 2013-09-23 2015-08-27 신원수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KR20150112156A (ko) *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도로의 방호시설 절삭장치
KR101746014B1 (ko) * 2015-11-27 2017-06-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3d 위치 감지 센서
JP7049866B2 (ja) * 2018-03-07 2022-04-07 株式会社ディスコ 切削装置
KR20220002335U (ko) 2021-03-23 2022-09-30 박동신 분진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239Y1 (ko) 건식 흡입장치를 구비한 도로 커터기
JP7359450B2 (ja) 掃除ロボット
KR102609695B1 (ko) 절단 깊이 및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분진 흡입기를 구비한 건식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건물 바닥 절단방법
CN113693494B (zh) 地图绘制方法及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0995760B1 (ko) 노면 청소차
CN112790672B (zh) 自动清洁设备控制方法及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170140580A (ko) 외벽 청소기
CN113693495A (zh) 自动清洁设备清洁方法及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200007490A (ko) 로봇 청소기용 구동휠 높이조절장치
CN108060787A (zh) 一种建筑装修用墙皮清理装置
KR102173888B1 (ko) 회전 톱날 및 연마 블레이드의 순차 가공 작업이 가능한 목재 가공 장치
KR20210030105A (ko) 고층 건물 유리창 청소용 드론
CN215687460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113564995A (zh) 一种道路施工用道路贴塑料膜设备
CN113679290A (zh) 自动清洁设备控制方法及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09076782B (zh) 一种棉花采摘设备
CN114606847A (zh) 一种公路施工用面层切缝装置
CN215408456U (zh) 一种防尘的市政工程施工用钻孔装置
CN113605197B (zh) 道路施工用切割装置
CN215838762U (zh) 按键结构、储液箱以及自动清洁设备
CN214804456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113892337A (zh) 一种手推式草坪割草机
CN211815456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切缝装置
WO2016117556A1 (ja) 自走式掃除機
CN112761368A (zh) 一种强透水性地质地下室裂缝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