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383A - 곡물 냉장고 - Google Patents

곡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383A
KR20150033383A KR20130113330A KR20130113330A KR20150033383A KR 20150033383 A KR20150033383 A KR 20150033383A KR 20130113330 A KR20130113330 A KR 20130113330A KR 20130113330 A KR20130113330 A KR 20130113330A KR 20150033383 A KR20150033383 A KR 2015003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evaporator
refrigerator
lid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안효영
Original Assignee
이종문
안효영
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안효영, 박성철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2013011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383A/ko
Publication of KR2015003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 저장부 내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증발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측벽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가 개방될 때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속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냉장고{Refrigerator for grain}
본 발명은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재질의 증발기 커버로 증발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증발기 커버의 주변을 적정 습도로 유지하고, 상부면의 냉장고 덮개의 내부에 투명체의 속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주변으로부터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쌀을 비롯한 곡물의 변질을 막고, 적당한 온도로 보존하여 맛을 유지하기 위한 곡물냉장고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다수 출원되어 등록되었으며, 특허등록 10-0620550(발명의 명칭: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도 그 중 하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냉장고의 하우징(1)의 내부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2)이 수평으로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고, 격판(2)의 상부는 냉각대상물, 특히 하우징(1)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부(5)가 형성되고, 관통공의 직하부의 격벽 상면에는 격판(2)의 관통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곡물을 담는 배출통(4)이 설치된다. 배출통(4)은 격벽 상면에 이동가능상태로 놓여지며, 격벽의 하부 공간에는 압축기가 설치된다. 격판(2)의 관통공은 배출손잡이(3)에 의하여 연결되어져 관통공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된다.
또한 곡물 저장부(5)에는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측벽이 원통형상을 이루는 증발기 수납부(100)가 설치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되어 주위를 냉각시킴으로써 결국 증발기 수납부(100)가 냉각되고, 곡물 저장부(5)에 저장된 곡물이 냉각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곡물 냉장고에 곡물을 넣거나, 잔존량을 알기 위해서는 덮개(7)을 열고 곡물 저장부(5)에 곡물을 넣거나, 잔존량을 확인해야한다. 이와 같이 덮개(7)가 자주 열림으로써 곡물 냉장고의 곡물 저장부(5)의 상층부의 곡물은 하층부의 곡물 보다 외부 공기와 접촉이 많아져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상층부의 곡물이 하층부의 곡물 보다 변질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곡물 냉장고의 덮개(7)를 다른 측벽보다 매우 두껍게 함으로써 곡물 저장부(5)의 상층부의 곡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덮개(7)를 두껍게 하는 것은 재료비의 상승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을 조악하게 만들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 증발기 수납부(100)의 재질은 통상 황토로 제작되게 되나, 황토는 습기를 보존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른 다공성재질보다 미약하기 때문에 습기를 내부에 보존할 수 있으며, 저장된 곡물의 습기 상태에 따라 배출 및 보존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곡물저장부의 상층부의 곡물이 변질되는 문제점과 증발기 수납부의 재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곡물 저장부를 밀폐하는 덮개 내측에 투명재질의 속 덮개를 설치하고, 증발기 수납부를 숯분말이 포함된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분이 내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하우징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 저장부 내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증발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가 개방될 때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속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속 덮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하우징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 저장부 내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증발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숯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옻칠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곡물 저장부를 밀폐하는 덮개 내측에 투명재질의 속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덮개를 열 때 외부 공기가 직접 곡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곡물 저장부 상층부에 저장된 곡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 수납부가 수분을 다량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분의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곡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냉장고를 개량한 것으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곡물 냉장고의 하우징(1)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곡물 저장부(5)의 상부에는 곡물 저장부(5)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사각판체 형상의 속 덮개(8)가 설치되고, 속 덮개(8)의 외측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덮개(7)가 설치되어 된다. 속 덮개(8)는 곡물 저장부(5)를 형성하는 측벽 중 하나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곡물 저장부(5)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거나 닫게 된다. 또한 속 덮개(8)는 측벽에 힌지결합되지 않고, 측벽의 상부 내측에 얹혀지거나, 끼워져 덮개(7) 내측에 설치되고, 덮개(7)가 개방될 때 외부 공기가 곡물 저장부(5)에 즉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 열이 곡물에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한다. 또한 곡물 저장부(5)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덮개(7)를 열었을 때 곡물 저장부(5)에 남은 곡물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속 덮개(8)를 여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증발기 수납부(100)는 곡물 저장부(5)의 습도가 높을 때에는 수분이 증발기 수납부(100) 자체에 축적되도록 하고, 곡물 저장부(5)에 습도가 낮을 때에는 저장된 수분이 배출되어 저장 곡물이 일정한 수분상태로 유지되도록 숯분말이 함유된 재질로 제작된다.
증발기 수납부(100)는 숯분말을 압축성형한 후 소결시키거나, 숯분말과 EVA수지와 같은 바인더에 의하여 교반한 후에 소성 성형한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에 성형물의 내측 및 외측에 옻칠을 함으로써 증발기 수납부(100)와 곡물 저장부(5)에 저장된 곡물들과의 수분의 교환이 서서히 발생하도록 한다.
5: 곡물 저장부 7: 덮개
8: 속 덮개 100: 증발기 수납부

Claims (4)

  1. 하우징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 저장부 내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증발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가 개방될 때 상기 곡물 저장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속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속 덮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3. 하우징의 측벽들과 격판에 의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 저장부 내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증발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숯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옻칠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KR20130113330A 2013-09-24 2013-09-24 곡물 냉장고 KR20150033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30A KR20150033383A (ko) 2013-09-24 2013-09-24 곡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30A KR20150033383A (ko) 2013-09-24 2013-09-24 곡물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383A true KR20150033383A (ko) 2015-04-01

Family

ID=5303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330A KR20150033383A (ko) 2013-09-24 2013-09-24 곡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3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4518B1 (en) A fresh keeper
US7930892B1 (en) Refrigerator with continuous vacuum insulation
US20170205137A1 (en) Refrigerator Appliances with Passive Storage Compartments
KR101050329B1 (ko) 냉장고
KR101564101B1 (ko) 냉장고
US20140083129A1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hanging room
KR20150033383A (ko) 곡물 냉장고
US7677165B2 (en) Food storage device
JP2000014238A (ja) 穀物貯蔵庫
JP2009222287A (ja) 冷蔵庫
JP2008020165A (ja) 冷却庫
JP2016108009A (ja) 収納ボックス
JP6688951B2 (ja) 冷蔵庫
KR20060098095A (ko) 숙성 전용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CN213074279U (zh) 一种竹笋保鲜装置
US20230375249A1 (en) Refrigerator appliance
KR200309592Y1 (ko) 냉장고의 접철식 선반
KR200210899Y1 (ko)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KR20060111050A (ko) 냉장고
KR20170057583A (ko) 투명한 창을 가진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2574457B2 (ja) 冷蔵庫
JP6716012B2 (ja) 冷蔵庫
JP2020079704A (ja) 冷蔵庫
KR101199610B1 (ko) 김치냉장고 도어
KR0118076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