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000A - 급수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급수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000A
KR20150033000A KR20130112418A KR20130112418A KR20150033000A KR 20150033000 A KR20150033000 A KR 20150033000A KR 20130112418 A KR20130112418 A KR 20130112418A KR 20130112418 A KR20130112418 A KR 20130112418A KR 20150033000 A KR20150033000 A KR 2015003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amount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623B1 (ko
Inventor
윤민지
Original Assignee
윤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지 filed Critical 윤민지
Priority to KR102013011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07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함체 형상으로 개수통의 측벽 내측에 착탈되는 본체와, 급수가 유입되는 안내관과, 유입된 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이 연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급수량 조절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재되어 적정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전환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로 이루어진 급수완료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수통에 급수량조절장치를 원하는 수위에 맞추어 설치하고, 급수량조절장치를 통해 개수통에 급수를 하여 급수량조절장치를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의 밸브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밸브가 차단될 때 신호발생부에서 신호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수량조절장치{Water Suppl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급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수통에 급수량조절장치를 원하는 수위에 맞추어 설치하고, 급수량조절장치를 통해 개수통에 급수를 하여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의 밸브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밸브가 차단될 때 신호발생부에서 신호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급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혹은 목욕탕 등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의 밸브들은 물을 개폐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밸브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으로 개폐된다. 즉, 사용자가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수통에 원하는 만큼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밸브를 잠그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밸브를 개방한 상태로 개수통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밸브를 열어두게 되면 개수통에 저장되는 물이 넘치게 되므로, 물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사용자가 밸브를 개방한 상태로 다른 작업을 할 경우에는 밸브를 잠그는 것을 잊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는 욕조 등과 같은 많은 양의 물을 받을 경우 낭비되는 양이 더욱 많아 진다. 즉, 욕조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물이 저장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사용자가 종종 밸브를 잠그는 것을 잊게되어 장시간 물이 넘치게 된다.
더욱이, 세탁을 할 경우와 같이 개수통에 물을 저장하면서 계속 그 물을 사용할 경우 물 넘침은 더욱 심하게 된다. 즉, 개수통에서 물이 넘치면 밸브를 잠거야 되고, 또 개수통에 저장된 물을 거의 사용하면 다시 밸브를 열어야 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개수통에 급수량조절장치를 원하는 수위에 맞추어 설치하고, 급수량조절장치를 통해 개수통에 급수를 하여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의 밸브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밸브가 차단될 때 신호발생부에서 신호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급수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체 형상으로 개수통의 측벽 내측에 착탈되는 본체와, 급수가 유입되는 안내관과, 유입된 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이 연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급수량 조절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재되어 적정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전환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로 이루어진 급수완료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량조절장치에 있어서, 개수통에 급수량조절장치를 원하는 수위에 맞추어 설치하고, 급수량조절장치를 통해 개수통에 급수를 하여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의 밸브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밸브가 차단될 때 신호발생부에서 신호음이 발행하여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 위쪽은 상측으로, 아래쪽은 하측, 왼쪽은 일측, 이와 반대쪽은 타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특징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300)는, 함체 형상으로 개수통(100)의 측벽(105) 내측에 착탈되는 본체(310)와, 급수가 유입되는 안내관(322)과, 유입된 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326)가 형성된 배출관(324)이 연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310)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관(324)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330)로 이루어진 급수량 조절부(320), 및 상기 본체(310)에 내재되어 적정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33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칭부(342)와, 상기 스위칭부(342)의 온/오프 전환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8)와, 상기 전원공급부(348)의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346)로 이루어진 급수완료 알림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급수량조절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살펴보면, 본체(310)의 내부에는 급수량 조절부(320)와 급수완료 알림부(340)가 구비되고, 외부에는 본체(310)를 지지하는 홀딩부재(390)가 구비된다.
본체(3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급수량 조절부(320)와 급수완료 알림부(340)가 구비되며, 외부에 본체(310)를 지지하는 홀딩부재(390)가 구비된다.
급수량 조절부(320)는 호스(110)가 결합되어 호스(110)로부터 급수가 유입되는 중공 형상의 안내관(322)과 유입된 급수가 배출되는 중공 형상의 배출관(324)이 연통되도록 체결되며, 배출관(324)에는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330)가 구비된다.
즉, 급수량 조절부(320)의 안내관(322)은 상측에 호스(110)가 연결되어 호스(110)로부터 급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급수가 타측에 연통되도록 체결된 배출관(324)으로 이동하여 배출관(324)의 배출구(326)를 통하여 급수가 배출된다.
상세하게, 안내관(322)의 내주면과 배출관(324)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고, 급수가 유입되는 안내관의 단부는 호스(11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축경되어 형성되며, 배출관(324)의 배출구(326)에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3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안내관(322)과 배출관(324) 중 안내관(322)은 본체(31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배출관(324)은 배출관(324)의 나사부가 본체(310)의 하부를 관통하여 본체(310)의 상부를 관통하는 안내관(322)과 체결되되 본체(31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된다.
즉, 본체(310)는 내부 일측에 상측으로 단턱지게 신호발생부(346)가 안착되는 단턱부(312)가 형성되고, 신호발생부(346)가 본체(310)의 상부로 관통되는 관통공(314)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에 안내관(322)이 관통되는 삽입구(316)와, 타측 하부에 배출관(324)이 관통되어 안내관(322)과 결합되는 결합공(318)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본체(310)의 일측면에는 상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으로 경사진 경사부(31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319)는 개수통(100)의 경사진 측벽(105)에 지지되는 것이다.
개폐밸브(330)는 배출관(324)의 배출구(326)를 개폐하는 디스크 형상의 급수량 조절판(334)과, 급수량 조절판(334)에 결합되어 급수량 조절판(334)이 배출구(326)를 개폐하도록 배출관(324)에 지지핀(350)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332), 및 수위에 따라 지지부재(332)가 지지핀(3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부재(332)에 결합되는 부유체(336)로 이루어진다.
즉, 급수량 조절판(334)과 부유체(336)가 결합된 지지부재(332)가 배출관(324)에 지지핀(350)으로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부유체(336)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급수량 조절판(334)이 배출구(326)를 개폐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부재(332)는 급수량 조절판(334)의 하측에 형성되고, 지지부재(332)의 일측에는 돌기(338)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의 타측에는 부유체(336)가 체결된다.
돌기(338)는 개폐밸브(330)가 지지핀(3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스위칭부(342)를 온/오프 전환하게 된다.
즉, 스위칭부(342)의 작동레버(344)가 개폐밸브(330)의 돌기(338)에 지지되어 개수통(100)에 물이 차기전 부유체(336)의 무게에 의하여 지지부재(332)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작동레버(344)를 가압하게 되며,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눌러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출구(326)로 물이 배출되어 개수통(100)에 물이 차게 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부유체(336)가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부유체(336)와 함께 지지부재(332)가 수면을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여 지지부재(332)에 형성된 돌기(338)가 작동레버(344)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누르지 않으므로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부유체(336)는 수위에 따라 부상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中空) 구조로 형성되나, 이와는 다르게 부유체(336)의 내부가 물에 뜨는 재질로 채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급수량 조절부(320)는 평상시 배출관(324)이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부유체(336)의 무게에 의하여 지지부재(332)가 지지핀(350)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일정구간 회전하게 되며, 지지부재(332)가 회전할 때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급수량 조절판(334)도 함께 회전하여 배출구(326)를 열게 된다.
이때, 배출구(326)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어 개수통(100)에 물이 차게 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부유체(336)가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부유체(336)와 함께 지지부재(332) 및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급수량 조절판(334)이 수면을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여 배출구(326)를 막게 된다.
계속해서, 급수량조절장치(300)의 본체(310) 내부에는 급수완료 알림부(340)가 구비되며, 적정 수위가 되면 급수 완료 알림 신호음을 내어 급수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급수완료 알림부(340)는 적정 수위가 되었을 때 지지부재(332)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칭부(342)와 스위칭부(342)의 온/오프 전환에 따라 신호발생부(34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8) 및 전원공급부(348)의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부(346)로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348)는 소켓에 건전지 등을 끼워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며, 전원공급부(348)는 이 외에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도 있다.
신호발생부(346)는 버저로 이루어져 전원공급부(348)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면, 신호음을 내는 것이며, 신호발생부(346)는 버저 외에 전구 또는 LED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스위칭부(342)는 돌기부(338)에 지지되는 작동레버(344)와, 작동레버(344)에 의하여 버튼이 눌렸을 때 전류를 통하지 않고 반대로 버튼이 눌리지 않았을 때 전류를 통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칭부(342)는 작동레버(344)가 지지부재(332)의 돌기(338)에 지지되어 개수통(100)에 물이 차기전 부유체(336)의 무게에 의하여 지지부재(332)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작동레버(344)를 가압하게 되며,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눌러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326)로 물이 배출되어 개수통(100)에 물이 차게 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부유체(336)가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부유체(336)와 함께 지지부재(332)가 수면을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여 지지부재(332)에 형성된 돌기(338)가 작동레버(344)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누르지 않으므로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누르지 않게 되면, 스위칭부(342)를 통하여 전원공급부(348)로부터 신호발생부(346)에 전류가 인가되어 신호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신호음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위칭부(342)는 개폐밸브(330)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개폐밸브(330)가 열리면 스위칭부(342)는 오프 상태가 되고, 개폐밸브(330)가 닫히면 스위칭부(342)는 온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홀딩부재(390)는 측벽(105)을 사이에 두고 측벽(105)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두개의 자성체(360)로 이루어지며, 자성체(360) 중 어느 하나의 자성체(360)가 본체(310)에 결합 되어 측벽(105)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자성체(360)가 결합된 본체(310)를 개수통(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자성체(360)를 개수통(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310)에 결합된 자성체(360)와 다른 하나의 자성체(360)에 의한 자력으로 개수통(100)의 측벽(105)에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홀딩부재(390) 두개의 자성체(360)중 본체(310)와 결합되지 않는 자성체(360)의 일면에 자성체(360)를 감싸는 고정판(394)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394)은 자성체(360)가 결합된 반대면에 손잡이부(392)가 형성된다.
손잡이부(392)는 본체(310)에 결합된 자성체(360)와 고정판(394)에 결합된 자성체(360)를 쉽게 분리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측벽(105)을 사이에 두고 측벽(105)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성체(360)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홀딩부재(390)를 구비하여 자성체(360)와 금속판 중 어느 하나가 본체(310)에 결합 되어 측벽(105)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시말해, 자성체(360) 또는 금속판이 결합된 본체(310)를 개수통(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와 다른 금속판 또는 자성체(360)를 개수통(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310)에 결합된 자성체(360) 또는 금속판과 이와 다른 금속판 또는 자성체(360)에 의한 자력으로 개수통(100)의 측벽(105)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량조절장치(300)의 안내관(322)에 호스(110)를 결합한다.
호스(110)가 결합된 급수량조절장치(300)의 본체(310)를 개수통(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홀딩부재(390)의 자성체(360)를 개수통(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310)와 고정판(394)에 결합된 자성체(360)의 자력으로 개수통(100)의 측벽(105)에 고정한다.
그리고, 호스(110)와 연결된 안내관(322)과 배출관(324)을 통해 급수를 하여 개수통(100)에 물을 채우면 된다.
이때, 급수량조절장치(300)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300)의 배출구(326)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개폐밸브(330)가 자동으로 배출구(326)를 차단하게 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개수통(100)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지지부재(332)에 결합된 부유체(336)가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부유체(336)와 함께 지지부재(332)가 수면을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여 지지부재(332)에 형성된 돌기(338)가 작동레버(344)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부(342)의 작동레버(344)가 버튼을 누르지 않게 되며, 스위칭부(342)를 통하여 전원공급부(348)로부터 신호발생부(346)에 전류가 인가되어 신호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300)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내부에 급수량 조절부(320)와 급수완료 알림부(340)가 구비된 본체(3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 하며, 본체(310)에 결합된 홀딩부재(390) 대신에 진공조절판(370) 또는 걸고리(380) 등이 결합되어 개수통(100)에 지지되는 것이다.
본체(310)에 결합되는 탄성연질의 진공조절판(3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에 가압시 그 형상이 유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측벽에 공극없이 밀착되는 가압대응면(372)과, 본체(310)에 결합되는 결합부(374)로 이루어지며, 결합부(374)가 본체(310)에 결합 되어 측벽(105)에 가압대응면(374)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고리(3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에 결합되는 결합부(382)와, 결합부(382) 하측에 측벽(105)이 끼워져 걸리는 홈(384)이 형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량조절장치는, 개수통에 급수량조절장치를 원하는 수위에 맞추어 설치하고, 급수량조절장치를 통해 개수통에 급수를 하여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량조절장치의 밸브를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아도 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넘쳐서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밸브가 차단될 때 신호발생부에서 신호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급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위치만큼 물이 채워진 것을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개수통 105 : 측벽
110 : 호스 300 : 급수량조절장치
310 : 본체 320 : 급수량 조절부
322 : 안내관 324 : 배출관
326 : 배출구 330 : 개폐밸브
332 : 지지부재 334 : 급수량 조절판
336 : 부유체 338 : 돌기
340 : 급수 완료 알림부 342 : 스위칭부
344 : 작동레버 346 : 신호발생부
348 : 전원공급부 350 : 지지핀
390 : 홀딩부재

Claims (11)

  1. 함체 형상으로 개수통의 측벽 내측에 착탈되는 본체;
    급수가 유입되는 안내관과, 유입된 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이 연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급수량 조절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재되어 적정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전환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로 이루어진 급수완료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 일측에 상측으로 단턱지게 상기 신호발생부가 안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에 상기 안내관이 관통되는 삽입구와, 타측 하부에 상기 배출관이 관통되어 상기 안내관과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급수량 조절판과, 상기 급수량 조절판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급수량 조절판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지지핀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부유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급수량 조절판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수위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 전환 시키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부유체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돌기부에 지지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의하여 버튼이 눌렸을 때 전류를 통하지 않고 반대로 버튼이 눌리지 않았을 때 전류를 통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버저 또는 전구 또는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두개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중 어느 하나의 자성체가 상기 본체에 결합 되어 상기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중 상기 본체와 결합되지 않는 상기 자성체의 일측면에 상기 자성체를 감싸는 고정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자성체가 결합된 반대면에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성체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와 금속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결합 되어 상기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가압시 그 형상이 유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측벽에 공극없이 밀착되는 가압대응면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탄성연질의 진공조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 되고, 상기 측벽에 상기 가압대응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조절장치.
KR1020130112418A 2013-09-23 2013-09-23 급수량조절장치 KR10152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18A KR101521623B1 (ko) 2013-09-23 2013-09-23 급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18A KR101521623B1 (ko) 2013-09-23 2013-09-23 급수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00A true KR20150033000A (ko) 2015-04-01
KR101521623B1 KR101521623B1 (ko) 2015-05-26

Family

ID=5303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418A KR101521623B1 (ko) 2013-09-23 2013-09-23 급수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004A (zh) * 2018-10-31 2020-05-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下料电机的运行控制方法、设备、烹饪器具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438U (ko) * 1980-04-30 1981-12-03
JPS57193470U (ko) * 1981-06-02 1982-12-08
DE3243401C1 (de) * 1982-11-24 1984-04-05 Danfoss A/S, 6430 Nordborg Hydrostatische Steuereinrichtung,insbesondere Lenkeinrichtung
KR890001069Y1 (ko) * 1985-01-21 1989-03-28 전윤석 욕조의 자동절수 및 경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004A (zh) * 2018-10-31 2020-05-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下料电机的运行控制方法、设备、烹饪器具和存储介质
CN111110004B (zh) * 2018-10-31 2021-10-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下料电机的运行控制方法、设备、烹饪器具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623B1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9699B1 (ja) トイレ装置
KR101521623B1 (ko) 급수량조절장치
JP4967090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5908690B2 (ja) 水栓装置
JP2015009198A (ja) 蒸気吐出装置及び蒸気吐出器
JP2020516787A (ja) ビデノズルおよびインジェクタを備えたトイレ洗浄水タンクならびにその使用
CN208957757U (zh) 加热饮水装置
JP2017099443A (ja) 水栓装置および洗面化粧台
EP2835472A1 (en) Toilet device
KR20190005072A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US20190161949A1 (en) Toilet
JP7403326B2 (ja) 便器装置
JP7190521B2 (ja) 浴室用泡供給装置
JP7190522B2 (ja) 浴室用泡供給装置
JP2015009197A (ja) 蒸気吐出装置及び蒸気吐出器
JP7223795B2 (ja) 浴室用泡供給装置
JP7122572B2 (ja) トイレ用手洗い器システム
WO2022195753A1 (ja) 浴室用泡供給装置
JP7223796B2 (ja) 浴室用泡供給装置
JP2015113651A (ja) 吐水装置
KR200488669Y1 (ko)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KR20110002599U (ko) 절수밸브의 수동 개폐부재
WO2014091688A1 (ja) 便器装置
CN106436856B (zh) 一种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KR101423080B1 (ko)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