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69Y1 -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69Y1
KR200488669Y1 KR2020180005324U KR20180005324U KR200488669Y1 KR 200488669 Y1 KR200488669 Y1 KR 200488669Y1 KR 2020180005324 U KR2020180005324 U KR 2020180005324U KR 20180005324 U KR20180005324 U KR 20180005324U KR 200488669 Y1 KR200488669 Y1 KR 20048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sensor
water level
wate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이엔지
Priority to KR2020180005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16K21/185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with electrical or magnetical means, e.g. with magnetic floats, for sensing the liqui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67D2001/1263Fluid level control devices the level being detec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이는 가로 부위 및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세로 부위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급수 호스와 연결된 일단을 갖는 내측관;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관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관;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과 이웃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수조 내 물에 잠겼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상태를 유도하는 수위 센서를 내장한 수위 감지관; 및 상기 급수 호스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상기 세로 부위를 관통하도록 상기 세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세로 부위를 상기 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PORTABLE DEVICE FOR AUTOMATIC WATER SUPPLY}
본 고안은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형의 수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조에 장착되었을 때 적정 수위만큼만 물을 자동으로 수조에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수 장치는 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수조는 물을 담기 위한 통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수조로는, 공장, 식당, 가정 등에서 부품이나 식재료 세척, 식기 세척, 빨래 등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의 대야, 관상용 물고기를 기르기 위해 사용되는 어항, 가축 사육장에서 사용되는 가축용 식수통, 여름철 야외에 임시로 설치되는 튜브형 야외 수영장 등을 들 수 있다. 물을 담기 위한 그 외의 통들도 모두 수조에 해당한다.
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급수 방법은 수도꼭지로부터 수조까지 연장하는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호스의 일단은 수도꼭지에 결합되고, 호스의 반대단은 수조 내에 놓인다.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수조로 공급되고, 수도꼭지를 잠그면 급수가 중단된다.
그러나 이 급수 방법에서 물이 수조를 넘처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수조를 관찰하다가 수위가 만족할만한 수준에 도달하면 수도꼭지를 잠궈야 하므로, 급수 내내 급수 정도가 관찰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도꼭지와 수조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도꼭지와 수조 간을 신속히 오가야하는 불편함도 따른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술이 현재 변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변기의 수조에 부표가 달린 급수 장치가 설치되는데, 그러면 변기의 수조 내 수위에 맞추어 부표가 상승하고 부표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급수가 정지된다. 그러나 변기에 설치되고 있는 부표가 달린 급수 장치는 사용자가 마음대로 분리하여 다른 형태의 수조에 장착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등록특허 제10-1201545호(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등록특허 제10-1348882호(전자식 물공급장치) 공개특허 제10-2018-0114751호(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실용신안공보 실1989-0008769호(수도물 자동 공급장치)
이에, 본 고안은 다양한 유형의 수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조에 장착되었을 때 필요한 수위만큼만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이는 가로 부위 및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세로 부위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급수 호스와 연결된 일단을 갖는 내측관;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관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관;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과 이웃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수조 내 물에 잠겼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상태를 유도하는 수위 센서를 내장한 수위 감지관; 및 상기 급수 호스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상기 세로 부위를 관통하도록 상기 세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세로 부위를 상기 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위 감지관은,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된 상단 및 중공을 갖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아래에서 상기 상측관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위 센서를 지지한 지지체를 상기 중공에 갖는 하측관; 및 상기 상측관에 대한 상기 하측관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 및 불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 센서는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수위 센서의 하단은 상기 하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가 모두 물에 잠겼을 때 닫힌 상태로, 그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가 모두 물에 잠지기 않을 때 열린 상태로 작동한다.
상기 수위 센서의 상단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하측관의 중공, 상기 상측관의 중공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내측관 간 사이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까지 연장한다.
상기 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내측관 사이의 공간을 거친 후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까지 연장한다.
상기 전선은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피복된 형태로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는 그 이동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수조에 적용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급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조 내 물의 만수위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구비되는 전선들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바, 전선들이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가 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수조(10)[물을 담기 위한 여러 유형의 통을 의미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조(10)에 장착되었을 때 적정 수위만큼만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내측관(140)과, 토출관(120)과, 수위 감지관(130)과, 고정 부재(16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가로 부위(110a)와 세로 부위(110b)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ㄱ"자 형태를 취한다. 몸체(110)가 수조에 설치될 때, 가로 부위(110a)는 수조(10)의 상단 테두리에 놓이게 되고, 세로 부위(110b)는 수조(1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위 가로 부위(110a)는 내부 공간(112a)을 갖고, 이 내부 공간(112a)과 연통하는 수로(114)도 앞단 내부에 갖는다. 세로 부위(110b)는 가로 부위(110a)의 내부 공간(112a)과 연통하는 내부 공간(112b)을 갖는다.
내측관(140)은 가로 부위(110a)의 앞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앞단을 갖는다. 세로 부위(110b)가 가로 부위(110a)에 결합되기 이전에, 위 내측관(140)의 앞단을 가로 부위(110a)의 앞단에 억지 끼움 방식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측관(14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세로 부위(110b)까지 가로 부위(110a)에 결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140)은 가로 부위(110a)의 내부 공간(112a)을 거쳐 세로 부위(110b)의 내부 공간(112b)까지 연장하게 된다. 또한, 위 내측관(140)은 중공(142)을 갖는데, 이 중공(142)은 내측관(14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가로 부위(110a)의 수로(114)와 연통하게 된다.
내측관(140)의 뒷단에는 급수 호스(150)의 앞단이 연결되는데, 그러면 급수 호스(150)가 세로 부위(110b)의 내부 공간(112b)을 거쳐 세로 부위(110b)의 외부까지 연장하게 된다. 위 급수 호스(150)의 뒷단은 수도꼭지(미도시)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와 연결된 다른 급수 호스(미도시)와 커플러로 연결될 수 있다.
위 급수 호스(15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54)가 마련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154)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154a)가 마련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54)는 수위 센서(134, 136)의 출력 신호에 따라 닫힌 상태로 되어 급수 호스(150)를 폐쇄하거나, 열린 상태로 되어 급수 호스(150)를 개방한다.
상기 토출관(120)은 가로 부위(110a)의 앞단 하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이렇게 체결된 토출관(120)은 가로 부위(110a)가 수조(10)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수조(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위 토출관(120)은 중공(122)을 갖는데, 이 중공(122)은 토출관(120)이 가로 부위(110a)에 체결되었을 때 가로 부위(110a)의 수로(114)와 연통한다. 따라서 급수 호스(150) 및 내측관(140)을 거쳐 위 수로(114)로 흐른 물은 토출관(120)의 중공(122)을 통과하면서 수조(10)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수위 감지관(130)은 중공을 갖는 상측관(130a) 및 역시 중공을 갖는 하측관(130b)을 포함한다.
상측관(130a)의 상단은 가로 부위(110a)의 하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그러면 상측관(130a)은 토출관(1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수조(10)의 내부에 놓이고, 상측관(130a)의 중공은 가로 부위(110a)의 내부 공간(112a)과 연통하게 된다.
하측관(130b)은 상측관(130a)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으로서, 상측관(130a)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하측관(130b)은 상측관(130a)으로 인입되며 상승할 수 있고, 반대로 상측관(130a)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위 하측관(130b)의 중공에는 지지체(132b)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132b)는 수위 센서(134, 136)를 관통시키는 형태로 수위 센서(134, 136)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하측관(130b)이 승강하면 이와 동시에 수위 센서(134, 136)도 승강하게 된다.
상측관(130a)에 대한 하측관(130b)의 승강을 허용하거나 불허하기 위해 조임 부재(138)가 사용된다. 조임 부재(138)는 하측관(130b)을 관통시키도록 마련되고, 상측관(130a)의 하단과 나사 결합을 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조임 부재(138)는 꼬깔형 오링(138a)을 갖는데, 이 오링(138a)은 하측관(130b)을 관통시키도록 마련되고 상부로 가면서 작아지는 외경을 갖는다. 하측관(130b)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다음 조임 부재(138)를 회전시키면, 조임 부재(138)가 오링(138a)을 이끌며 상승하고, 이 과정에서 오링(138a)이 하측관(130b)을 꽉 조이면서 고정시킨다. 하측관(130b)의 조임을 해제하려면 조임 부재(138)를 반대로 돌린다.
상기 수위 센서(134, 136)는 상수위 센서(134) 및 하수위 센서(136)를 포함한다. 상수위 센서(134)의 하단은 하수위 센서(136)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수위 센서(134) 및 하수위 센서(136)가 마련된 경우, 열린 상태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54)는 상수위 센서(134) 및 하수위 센서(136)가 모두 수조(10) 내 물에 잠겼을 때 닫힌 상태로 되면서 급수 호스(150)를 폐쇄한다. 그리고 닫힌 상태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54)는 상수위 센서(134) 및 하수위 센서(136)가 모두 수조(10) 내 물에 잠기지 않을 때 열린 상태로 되면서 급수 호스(150)를 개방한다. 따라서 몸체(110)가 수조(10)에 설치된 후 급수가 시작되면, 물이 상수위 센서(134)까지 차올랐을 때 급수가 정지되고, 그 이후의 급수는 수위가 상수위 센서(134)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이루어지지 않다가 하수위 센서(136) 아래까지 내려가야 비로소 이루어진다.
세로 부위(110b)의 내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54)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17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스위치(170)의 온/오프 수단인 온/오프 레버(174)는 세로 부위(110b)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오프 레버(174)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브 밸브(154)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위 온/오프 레버(174) 대신에 온/오프 버튼(미도시)이 위 온/오프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 센서(134, 136)에 연결된 전선(134a, 136a)은 하측관(130b)의 중공 및 상측관(130a)의 중공을 거친 후, 내측관(140)과 몸체(110) 사이의 내부 공간(112a, 112b)을 따라 급수 호스(150)까지 연장한다. 그리고 스위치(170)에 연결된 전선(172)은 내측관(140)과 몸체(110) 사이의 내부 공간(112b)에 놓이며 급수 호스(150)까지 연장한다.
그리고 위 전선들(134a, 136a, 172)은 급수 호스(150)의 표면을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54)까지 연장한다. 이때, 전선들(134a, 136a, 172)은 급수 호스(150)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피복층(152)에 의해 덮이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160)는 몸체(110)를 수조(10)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62)과 슬라이드 봉(164)을 포함한다. 하우징(162)은 급수 호스(150)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세로 부위(110b)를 가로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봉(164)은 하우징(162)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62)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봉(164)을 수조(10) 쪽으로 밀어 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봉(164)의 손잡이(164a)를 당긴 상태에서 가로 부위(110a)를 수조(10)의 상단 테두리에 올려 놓은 다음 손잡이(164a)를 놓으면, 수위 감지관(130)이 수조(10)의 측면과 접촉할 때까지 몸체(110)가 후진하고, 이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 봉(164)과 수위 감지관(130) 사이에 수조(10)의 측면이 끼여 몸체(110)의 임시적 고정이 완료된다. 상기 슬라이드 봉(164)의 앞단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헤드(164b)가 마련되어도 좋다.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상기 고정 부재(160)의 슬라이드 봉(164)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태로,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160)의 하우징(162)은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너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64a)를 일 방향으로 돌려 스크류 형태의 슬라이드 봉(164)을 수조(10)의 측면 쪽으로 전진시킬 수 있고, 반대로 돌려 후진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고정 부재(160)의 손잡이(164a)를 당긴 상태에서 가로 부위(110a)를 수조(10)의 상단 테두리에 올려 놓고 손잡이(164a)를 놓음으로써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를 수조(10)에 임시적으로 고정한다. 이후, 사용자는 급수 호스(150)를 수도꼭지에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54a)의 전원 코드(154a)를 전원부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온/오프 레버(174)를 온으로 하면 급수가 시작된다.
급수가 시작되면 토출구(120)로부터 물이 수조(10)로 토출되어 수위가 상승한다. 그러다가 수위가 상수위 센서(134)까지 차오르면 솔레노이드 밸브(154)가 닫히면서 급수가 중단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조(10)의 물을 사용하여 수위가 하수위 센서(136)의 아래까지 내려가면 솔레노이드 밸브(154)가 열리면서 급수가 다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는 그 이동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수조(10)에 적용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급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에서는 수위 센서(134, 136)의 세팅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수조(10) 내 물의 만수위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에서는 상수위 센서(134) 아래로 수위가 내려가더라도 급수가 곧바로 재개되지 않고 하수위 센서(136)의 아래까지 수위가 내려가야 비로소 급수가 재개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154)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위 이동형 자동 급수 장치(100)에서는 스위치(170) 및 수위 센서(134, 136)와 연결된 전선들(134a, 134b, 172)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바, 전선들(134a, 134b, 172)이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수조 100 :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110 : 몸체 110a : 가로 부위
110b : 세로 부위 120 : 토출관
130 : 수위 감지관 130a : 상측관
130b : 하측관 132b : 지지체
134 : 상수위 센서 136 : 하수위 센서
134a, 136a : 전선 138 : 조임 부재
138a : 꼬깔형 오링 140 : 내측관
150 : 급수 호스 152 : 피복층
154 : 솔레노이드 밸브 160 : 고정 부재
162 : 하우징 164 : 슬라이드 봉
164a : 손잡이 164b : 헤드
170 : 스위치 172 : 전선
174 : 온/오프 레버

Claims (6)

  1.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이는 가로 부위 및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세로 부위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급수 호스와 연결된 일단을 갖는 내측관;
    상기 가로 부위가 상기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놓였을 때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관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관;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과 이웃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수조 내 물에 잠겼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상태를 유도하는 수위 센서를 내장한 수위 감지관; 및
    상기 급수 호스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상기 세로 부위를 관통하도록 상기 세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세로 부위를 상기 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관은,
    상기 가로 부위에 결합된 상단 및 중공을 갖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아래에서 상기 상측관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위 센서를 지지한 지지체를 상기 중공에 갖는 하측관; 및
    상기 상측관에 대한 상기 하측관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 및 불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수위 센서의 하단은 상기 하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가 모두 물에 잠겼을 때 닫힌 상태로, 그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수위 센서 및 하수위 센서가 모두 물에 잠지기 않을 때 열린 상태로 작동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의 상단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하측관의 중공, 상기 상측관의 중공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내측관 간 사이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까지 연장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내측관 사이의 공간을 거친 후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까지 연장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피복된 형태로 상기 급수 호스의 표면에 고정되는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KR2020180005324U 2018-11-20 2018-11-20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KR20048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4U KR200488669Y1 (ko) 2018-11-20 2018-11-20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4U KR200488669Y1 (ko) 2018-11-20 2018-11-20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669Y1 true KR200488669Y1 (ko) 2019-03-06

Family

ID=6572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24U KR200488669Y1 (ko) 2018-11-20 2018-11-20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6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85B1 (ko) * 2002-04-29 2004-12-03 신한일전기주식회사 저수조 수위조절장치
KR100741282B1 (ko) 2006-11-20 2007-07-19 이기영 욕조수위조절장치
KR200436492Y1 (ko) 2007-05-11 2007-08-29 주식회사 하나로바스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KR100898189B1 (ko) 2007-07-13 2009-05-18 오우용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348882B1 (ko) 2013-06-25 2014-01-10 박종대 전자식 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85B1 (ko) * 2002-04-29 2004-12-03 신한일전기주식회사 저수조 수위조절장치
KR100741282B1 (ko) 2006-11-20 2007-07-19 이기영 욕조수위조절장치
KR200436492Y1 (ko) 2007-05-11 2007-08-29 주식회사 하나로바스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KR100898189B1 (ko) 2007-07-13 2009-05-18 오우용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348882B1 (ko) 2013-06-25 2014-01-10 박종대 전자식 물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508B2 (ja) 連続流式ペット水遣り器
US8104431B2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KR10120154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20160126511A (ko) 가축용 급수장치
US20130048104A1 (en) Water saving tank
EP1369629A1 (en) Easy-to-install, mechanically-operated automatic/manual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let for water or any fluid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CN111066675A (zh) 一种智能户外宠物喂水器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US5006834A (en) Liquid level alarm
KR200488669Y1 (ko) 이동식 자동 급수 장치
KR10120814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2990808A (en) Means for storing and preserving live tubifex worms
KR101588426B1 (ko)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CN203880201U (zh) 浴缸可调水量自停装置
JP6663559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CN211129356U (zh) 一种奶牛养殖用保温饮水槽
KR101097973B1 (ko)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장치
US5806108A (en) Universal replacement toilet tank
KR100920690B1 (ko) 벽걸이형 냉온수기
CN220756095U (zh) 一种警犬自动饮水装置
US6205595B1 (en) Supplemental tank for use with low flow volume toilet
CN213187620U (zh) 一种家畜饮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