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516A - 신발끈 권취용 릴 - Google Patents

신발끈 권취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516A
KR20150032516A KR1020147021605A KR20147021605A KR20150032516A KR 20150032516 A KR20150032516 A KR 20150032516A KR 1020147021605 A KR1020147021605 A KR 1020147021605A KR 20147021605 A KR20147021605 A KR 20147021605A KR 20150032516 A KR20150032516 A KR 2015003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tring
shoe
winding drum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691B1 (ko
Inventor
시노부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Publication of KR2015003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소형·경량이며, 내구성 및 조립 작업성이 우수한 신발끈 권취장치용 신발끈 권취용 릴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은 신발(S)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3)의 릴 수납부(32) 내에 수납되고, 다이얼(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4)로서, 와이어상의 신발끈(2)을 권취하는 통체(41a)와 그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1b)로 이루어지는 신발끈 권취 드럼(41)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축부(42)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부(4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상부(43)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과 상기 회전축부(42)와 상기 환형상부(43)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홈부(44)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상기 홈부(44) 내로 도입되는 신발끈(2)의 선단부를 끼워 넣어서 상기 홈부(44) 내에 지지하는 걸림 돌기(45)를 상기 홈부(44) 내에 설치한 신발끈 권취용 릴(4)이다.

Description

신발끈 권취용 릴{SHOELACE WINDING REEL}
본 발명은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에 관한 것으로서,스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등산, 모터사이클 승차용 부츠뿐만 아니라, 골프나 조깅 등에 사용하는 운동화, 더욱이는 비지니스 슈즈라고 하는 일반적인 신발의 신발끈을 조이는데에도 적합한 신발끈 권취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등에 사용하는 부츠의 신발끈을 조이기 위해서 다이얼(원반상의 손잡이)을 회전시킴으로써 신발끈을 와인딩할 수 있는 신발끈 권취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이들 신발끈 권취장치에 사용하는 신발끈으로서는 수지와 금속의 복합재로서 강도가 우수하고, 마찰 계수가 낮아서 미끄러지기 쉬운 와이어상의 신발끈을 사용하고 있고, 그들 신발끈의 양단부를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끈을 신발끈 권취용 릴에 결박함으로써 고정하기 위해서는 신발끈을 강하게 조여도 릴로부터 신발끈의 단부가 빠지지 않도록 신발끈의 단부를 약간 길게 남길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에는 신발끈을 권취하기 위한 기어 기구라든가, 신발끈을 권취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록 기구나, 그 록을 해제하기 위한 기구 등이 수납되어 있어, 신발끈 권취용 릴로부터 신발끈의 단부가 튀어나와서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 기구와 간섭하여 신발끈 권취장치의 동작에 지장이 생기거나 장치가 고장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마찰 계수가 낮아서 미끄러지기 쉬운 와이어상의 신발끈을 사용하는 신발끈 권취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보다 심각해지기 때문에, 신발끈 권취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도 되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에 있어서는 소형화와 내구성의 향상에 추가하여, 장착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고,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보다 다종 다양한 신발에 신발끈 권취장치를 채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본 특허 제4171774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388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48927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종래의 신발끈 권취용 릴에 있어서는 신발끈의 단부가 튀어나와서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 기구와 간섭하여 신발끈 권취장치의 동작에 지장이 생기거나 장치가 고장나는 경우가 있어서,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손상시키고 있다고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끈 권취용 릴에 신발끈의 단부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신발끈 권취장치 및 신발끈 권취용 릴의 소형화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장착 작업을 행하기 쉽고, 보다 다종 다양한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신발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의 릴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다이얼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로서,
수지, 금속 또는 그들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상의 신발끈을 권취하기 위한 대경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양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측에 배치된 소경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상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환형상부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도입되는 신발끈의 선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홈부 내에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를 상기 홈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 돌기는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돌출 되고, 상기 회전축부 사이에 신발끈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은 그 통체에 와이어 삽입 구멍이 투설(透設)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상기 걸림 돌기가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은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축심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슬로프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따른 상기 홈부 내에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홈부 내에 있어서 약 180° 이간한 위치에 각 1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로프는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과 상기 걸림 돌기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신발끈 권취용 릴에 있어서는 홈부 내에 설치한 걸림 돌기에 의해 신발끈의 단부를 홈부 내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신발끈의 단부가 신발끈 권취 드럼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의 단부를 약간 길게 남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발끈 권취용 릴로부터 신발끈의 단부가 튀어나와서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 기구와 간섭하여 신발끈 권취장치의 동작에 지장이 생기거나 장치가 고장난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끈 권취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신뢰성·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를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돌출 시키고, 상기 회전축부와의 사이에 신발끈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신발끈 권취용 릴의 홈부 내에 수납성 좋게 신발끈의 단부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통체에 와이어 삽입 구멍을 투설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신발끈 권취용 릴에 대한 신발끈의 부착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효율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축심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슬로프를 상기 홈부 내에 형성한 것으로 함으로써, 신발끈 권취용 릴로부터 신발끈의 단부를 인출하여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신발끈을 삽입해서 결박하는 작업의 효율을 보다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홈부 내에 있어서 약 180° 이간한 위치에 각 1개 배치하고, 그들 사이에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을 배치하고, 상기 슬로프를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과 상기 걸림 돌기 사이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신발끈 권취용 릴에 대한 신발끈의 부착을 밸런스 좋게 행할 수 있고, 신발끈 권취장치를 보다 한층 소형·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신뢰성·내구성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용 릴을 내장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장착한 신발의 사시도 및 신발끈 권취장치 구성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배면도, (d)는 A-A 단면도, (e)는 측면도, (f)는 B-B 단면도이다.
도 3은 신발끈 권취장치의 베이스 부재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용 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용 릴과 신발끈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 및 (c)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용 릴을 내장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다이얼이 록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다이얼이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신발끈 권취용 릴을 내장한 신발끈 권취장치의 다이얼에 축 부재를 장착한 경우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신발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의 릴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다이얼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로서,
수지, 금속 또는 그들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상의 신발끈을 권취하기 위한 대경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양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측에 배치된 소경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상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환형상부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도입되는 신발끈의 선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홈부 내에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를 상기 홈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로서,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등에 의해 적합하게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신발끈 권취용 릴을 구비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운동화에 장착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신발끈 권취장치(1)를 발목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비한 신발(S)을 나타내고, 이 신발(S)은 수지 피복된 금속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신발끈(2)에 의해 신발(S)의 갑부를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신발끈 권취장치(1)는 베이스 부재(3)와, 상기 신발끈(2)을 권취하기 위한 신발끈 권취용 릴(4)과, 신발끈 권취용 릴(4)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 부재(5)와,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다이얼(6)과, 상기 다이얼(6)과 상기 스톱퍼 부재(5)를 상기 베이스 부재(3)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부재(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축 부재(7)와, 상기 축 부재(7)에 의해 일단부가 축지지된 용수철 부재(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는 박판형상의 U자형 플랜지(31)가 상기 신발(S)에 꿰매어 고정됨으로써 신발끈 권취장치(1)를 신발(S)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을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유저원통상의 릴 수납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릴 수납부(32)는 그 저부 중앙에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을 축지지하기 위한 회전축(33)이 돌출되어 있고, 또한 내주면에는 기어(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34)는 상기 스톱퍼 부재(5)에 형성한 클로(51)와 협동해서 래칫 기구를 구성하고, 신발끈(2)을 와인딩하는 방향(정회전)에만 상기 클로(5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단면이 「톱니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3)에는 상기 릴 수납부(32)의 저부로 개구하는 신발끈 인출구(35)가 2개소 형성되어 상기 릴(4)에 와인딩된 신발끈(2)을 상기 릴 수납부(32)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은 신발끈(2)을 권취하기 위한 신발끈 권취 드럼(41)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축부(42)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부(4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상부(43)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과 상기 회전축부(42)와 상기 환형상부(43)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상의 홈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은 신발끈(2)을 권취하기 위한 대경의 통체(41a)와, 상기 통체(41a)의 양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41b)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42)는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측에 배치된 소경의 통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부(42)의 내면측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3)의 상기 회전축(33)이 삽입되어 릴 수납부(32) 내에서 신발끈 권취용 릴(4)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릴(4)의 상기 홈부(44)는 베이스 부재(3)의 저부를 향하는 측(이후, 설명의 편의상 「하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상측」이라고 한다.)에 배치되고,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상기 홈부(44) 내로 도입되는 신발끈(2)의 선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홈부(44) 내에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45)를 상기 홈부(44) 내에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45)는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주면으로서 상기 홈부(44) 의 상연 근방 위치로부터 상기 홈부(44) 내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부(42)와의 사이에 신발끈(2)을 끼워 넣고, 홈부(44)의 저부측(환형상부(43)측)으로 신발끈(2)을 압박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은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47)에 삽입된 신발끈(2)의 선단측을 축심 방향 외측(홈부(44)의 상방)으로 안내하는 슬로프(48)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주면을 따른 상기 홈부(44) 내에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45)는 상기 홈부(44) 내에 있어서 약 180° 이간한 위치에 각 1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47)이 3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로프(48)는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47)과 상기 걸림 돌기(45)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신발끈 권취용 릴(4)의 상측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4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핀(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 부재(5)의 하측에 형성된 핀(52)과 맞물림으로써 다이얼(6)의 회전을 신발끈 권취용 릴(4)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 부재(5)는 그 4개의 코너에 돌출된 부착용 클로부(53)가 상기 다이얼(6)에 투설된 결합 구멍(6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다이얼(6)의 내측(하측)에 끼워 맞춰져서 다이얼(6)과 일체화되는 것이며, 상기 릴(4)과 상기 다이얼(6) 사이에 개재해서 다이얼(6)의 회전을 릴(4)에 전달할 수 있는 록 상태와, 릴(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얼(6)로부터 릴(4)을 분리한 해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 부재(7)는 일체화된 상기 다이얼(6)과 스톱퍼 부재(5)를 상기 베이스 부재(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나사(9)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3)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체화된 상기 다이얼(6)과 스톱퍼 부재(5)를 상기 베이스 부재(3)에 접근시킨 록 위치와 상기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유지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 부재(7)는 사각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부재가 대향하는 2개의 측부를 노칭해서 형성한 베어링부(71)에 대하여 상기 용수철 부재(8)에 형성한 직선상의 일단부(축부(8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용수철 부재(8)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용수철 부재(8)는 상기 축 부재(7)의 약 180° 이간한 위치에 각 1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 부재(7)가 사각주상이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부(71)의 강도를 높이고, 상기 축 부재(7)의 소형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부재(7)의 상기 베어링부(71)는 이형성을 고려해서 중앙부 부근의 내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수철 부재(8)는 전체가 대략 U자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고, 만곡한 타단측의 용수철부(82)가 일체화된 상기 다이얼(6)과 스톱퍼 부재(5)의 내면에 설치된 걸림부(62)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수철 부재(8)의 타단부(용수철부(82))가 접촉하는 상기 걸림부(62)는 상기 다이얼(6)과 스톱퍼 부재(5)의 경계 부분에 쐐기상으로 형성한 용수철 수납 공간(63)의 외단 최협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일체화된 상기 다이얼(6)과 스톱퍼 부재(5)가 록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릴(4)을 록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용수철 부재(8)의 용수철부(82)가 가장 축 부재측으로 압축되는 반전 위치가 존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6)의 상측에는 원반상의 캡(10)이 끼워 맞춰져 신발끈 권취장치(1) 내부로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10)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1)을 통해서 캡(10)의 내측(하측)의 나사(9)를 조작해서 베이스 부재(3)로부터 신발끈 권취용 릴(4), 다이얼(6), 축 부재(7)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지 및 금속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상의 신발끈(2)으로서는 직경 0.11∼0.13mm의 스테인리스제의 소선을 49개 트위스팅한 와이어 로프에 스웨이징 머신으로 가공을 가하고, 나일론 수지로 피복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에서 설명한 신발끈 권취장치(1)의 각 부품을 장착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신발끈 권취장치(1)의 베이스 부재(3)에 신발끈 권취용 릴(4)을 장착하기 위해서, 2개소의 신발끈 인출구(35)에 각각 신발끈(2)의 선단을 삽입하고, 릴 수납부(32)측으로부터 그 신발끈(2)의 양단부를 인출한다.
그리고, 신발끈 권취용 릴(4)에 6개소 형성한 와이어 삽입 구멍(47)에 신발끈(2)의 선단을 꿰매도록 하여 순차 삽입하고, 또한 홈부(44) 내의 걸림 돌기(45)에 의해 끼워 넣음으로써 신발끈(2)의 양단을 신발끈 권취용 릴(4)에 대하여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신발끈 권취용 릴(4)을 릴 수납부(32) 내에 배치한다.
이 신발끈(2)을 와이어 삽입 구멍(47)에 삽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방법과 도 4(c)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47)에 삽입된 신발끈(2)의 선단은 슬로프(48)에 의해 신발끈 권취용 릴(4)의 축심 방향 외측으로, 즉 홈부(44)의 외측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신발끈(2)의 선단을 다음의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47)에 삽입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스톱퍼 부재(5)를 다이얼(6)의 내측(하측)에 끼워 맞춤으로써 스톱퍼 부재(5)를 다이얼(6)과 일체화시키고, 그들에 축 부재(7) 및 용수철 부재(8)를 장착한다.
이 경우, 상기 용수철 부재(8)는 상기 축 부재(7)가 상기 다이얼(6)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축 구멍(64)과 스톱퍼 부재(5)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축 구멍(54)에 삽입되는 것이지만, 상기 용수철 부재(8)의 용수철부(82)가 다이얼(6)의 축 구멍(64)을 넓힌 확장부로부터 상기 용수철 수납 공간(63)으로 삽입되고, 또한 상기 용수철부(82)가 용수철 수납 공간(63)의 내단측으로부터 외단 최협부측으로 회전하도록 안내되어서 상기 다이얼(6)에 장착된다.
또한, 축 부재(7)의 상단부에 형성한 플랜지(72)가 다이얼(6)의 축 구멍(64)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걸림단부(65)에 접촉하기 때문에, 다이얼(6)이 축 부재(7)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상기 용수철 부재(8)의 용수철부(82)가 용수철 수납 공간(63)의 내단측으로부터 외단 최협부측으로 회전하도록 안내되는 것은 스톱퍼 부재(5)의 축 구멍(54)의 가장자리에 상측(다이얼측)을 향한 경사면(5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순서로 스톱퍼 부재(5), 다이얼(6), 축 부재(7) 및 용수철 부재(8)를 장착한 후, 나사(9)를 축 부재(7)의 축심을 따라 투설한 나사 삽입 구멍(73)에 삽입하고 축 부재(7) 등을 베이스 부재(3)에 장착한다.
최후에 캡(10)을 다이얼(6)에 끼워 넣음으로써, 신발끈 권취장치(1)을 장착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또는 수리를 위해서 신발끈 권취장치(1)를 분해할 때에는 캡(10)의 관통 구멍(11)으로부터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나사(9)를 풀음으로써 장착된 스톱퍼 부재(5), 다이얼(6), 축 부재(7) 및 용수철 부재(8)를 베이스 부재(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또는 수리가 필요할 경우로서는 신발끈(2)이 절단되었을 경우 또는 릴 수납부(32) 내에서 신발끈(2)이 얽혔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톱퍼 부재(5), 다이얼(6), 축 부재(7) 및 용수철 부재(8)가 장착된 채로 베이스 부재(3)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메인터넌스 또는 수리 작업을 효율화하는 점에서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발끈 권취장치(1)에 있어서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강도, 내구성, 탄력성 등을 고려하여 일례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했지만, 이들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부재(3)···나일론,
신발끈 권취용 릴(4), 스톱퍼 부재(5), 축 부재(7)···POM(폴리아세탈)
다이얼(6)···나일론과 그 주위에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용수철 부재(8)···스테인리스강
나사(9)···탄소강
캡(10)···ABS 수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신발끈 권취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발(S)을 신은 후에, 신발끈(2)을 조이기 위해서는 신발끈 권취장치(1)의 다이얼(6)을 상기 베이스 부재(3)에 접근시킨 록 위치에서 다이얼(6)을 회전 조작하여 신발끈(2)을 릴(4)에 와인딩한다.
이때, 스토퍼 부재(5)의 클로(51)가 기어(34)에 접촉함으로써 신발끈(2)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릴(4)이 회전하는 일은 없다.
또한, 록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용수철 부재(8)가 가장 압축되는 반전 위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얼(6)이 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용수철 부재(8)가 도 5의 좌측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고, 다이얼(6)을 록 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용수철 부재(8)는 축 부재(7)를 들어올려 다이얼(6)을 아래로 압박하는 방향을 향하여 있다.
다음에, 신발끈(2)의 조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신발끈 권취장치(1)의 다이얼(6)을 상측으로 당긴다.
이때, 용수철 부재(8)는 압축되고, 그 반발력에 저항해서 상측으로 다이얼(6)을 더욱 당김으로써 상기 용수철 부재(8)가 가장 압축되는 반전 위치를 초과하고, 상기 록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용수철 부재(8)가 압축되는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다이얼(6)을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5의 우측에 나타내는 상태).
이때, 용수철 부재(8)는 축 부재(7)를 아래로 압박하여 다이얼(6)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향하여 있다.
상기 용수철 부재(8)의 타단부(용수철부(82))는 상기 다이얼(6)의 내면에 설치한 걸림부(64)와 상시 접촉하고 있어 부품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용수철 부재(8)가 록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명확히 전환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다이얼(6) 위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6)이 록 위치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신발끈 권취용 릴(4)의 핀(46)과 스톱퍼 부재(5)의 핀(5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신발끈 권취용 릴(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서 신발끈(2)이 느슨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다이얼(6)을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방으로 압박하면, 상기 용수철 부재(8)가 가장 압축되는 반전 위치가 역방향으로 초과하고, 릴(4)의 핀(46)과 스톱퍼 부재(5)의 핀(52)이 재차 맞물리게 되기 때문에, 신발끈 권취용 릴(4)에 신발끈(2)을 권취해서 신발끈(2)을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다이얼」이란 신발끈 권취용 릴(4)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특별히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도시한 예와 같이 배선한 신발끈(2)을 조이기 위한 신발끈 권취장치(1)용 신발끈 권취용 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S)의 다른 부분을 조이는 신발끈(2)을 조이기 위한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구체화해서 실시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신발끈 권취장치 및 신발끈 권취용 릴의 각 부의 재질, 형상, 치수, 각도, 설치 위치, 크기, 수 등을 적당히 변경해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걸림 돌기(45)를 회전축부(42)측으로부터 홈부(44) 내로 돌출시켜서 실시하거나, 슬로프(48)를 회전축부(4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해서 설치해서 실시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소형·경량이며, 내구성 및 조립 작업성이 우수하고, 다종 다양한 신발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신발끈 권취장치에 내장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로서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다.
1: 신발끈 권취장치 2: 신발끈
3: 베이스 부재 31: 플랜지
32: 릴 수납부 33: 회전축
34: 기어 35: 신발끈 인출구
4: 신발끈 권취용 릴 41: 신발끈 권취 드럼
41a: 통체 41b: 플랜지부
42: 회전축부 43: 환형상부
44: 홈부 45: 걸림 돌기
46: 핀 47: 와이어 삽입 구멍
48: 슬로프 5: 스톱퍼 부재
51: 클로 52: 핀
53: 부착용 클로부 54: 축 구멍
55: 경사면 6: 다이얼
61: 결합 구멍 62: 걸림부
63: 용수철 수납 공간 64: 축 구멍
65: 걸림단부 7: 축 부재
71: 베어링부 72: 플랜지
73: 나사 삽입 구멍 8: 용수철 부재
81: 축부(일단부) 82: 용수철부(타단부)
9: 나사 10: 캡
11: 관통 구멍 S: 신발

Claims (5)

  1. 신발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의 릴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다이얼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신발끈 권취용 릴로서,
    수지, 금속 또는 그들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상의 신발끈을 권취하기 위한 대경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양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측에 배치된 소경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상부와,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과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환형상부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도입되는 신발끈의 선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홈부 내에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를 상기 홈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돌출 되고, 상기 회전축부와의 사이에 신발끈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은 그 통체에 와이어 삽입 구멍이 투설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상기 걸림 돌기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신발끈의 선단측을 축심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슬로프를 상기 신발끈 권취 드럼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따른 상기 홈부 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홈부 내에 있어서 약 180° 이간한 위치에 각 1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로프는 상기 와이어 삽입 구멍과 상기 걸림 돌기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용 릴.
KR1020147021605A 2013-06-18 2013-10-17 신발끈 권취용 릴 KR101706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7612 2013-06-18
JP2013127612A JP6105404B2 (ja) 2013-06-18 2013-06-18 靴紐巻取用リール
PCT/JP2013/078117 WO2014203416A1 (ja) 2013-06-18 2013-10-17 靴紐巻取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516A true KR20150032516A (ko) 2015-03-26
KR101706691B1 KR101706691B1 (ko) 2017-02-14

Family

ID=5210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605A KR101706691B1 (ko) 2013-06-18 2013-10-17 신발끈 권취용 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17305B2 (ko)
EP (1) EP2845505A4 (ko)
JP (1) JP6105404B2 (ko)
KR (1) KR101706691B1 (ko)
CN (1) CN104470394B (ko)
AU (1) AU2013391430B2 (ko)
CA (1) CA2876003C (ko)
HK (1) HK1203783A1 (ko)
TW (1) TWI577301B (ko)
WO (1) WO201420341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49A (ko) 2015-06-26 2017-01-04 신병민 신발끈 자동 조임 장치
WO2017030327A1 (ko) * 2015-08-17 2017-02-23 주식회사 박의지 와이어 결속 장치
WO2018155732A1 (ko) * 2017-02-22 2018-08-30 김석환 끈조절장치
KR101998160B1 (ko) 2018-02-09 2019-07-09 신윤익 신발끈 조임 장치
US10433602B2 (en) 2015-06-12 2019-10-08 Sug Whan Kim Strap fastening device
KR20200127353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WO2020251341A1 (ko) *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및 와이어 릴
KR2020014291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6919B2 (ja) 2014-08-11 2018-10-17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装置の取付構造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CN105256321B (zh) * 2015-10-30 2018-01-12 湖南金化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钢铁制件表面处理剂及其制备方法
US10390589B2 (en) * 2016-03-15 2019-08-27 Nike, Inc.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9961963B2 (en) * 2016-03-15 2018-05-08 Nike, Inc.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342293B2 (en) * 2016-03-15 2019-07-09 Nike, Inc. Method of forming an aperture in a reel member of a tens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861164B2 (en) * 2016-03-15 2018-01-09 Nike, Inc. Tensioning system and reel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026472B2 (en)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JP6882827B2 (ja) * 2016-08-10 2021-06-02 株式会社アルペン 巻取装置
KR20180062475A (ko) 2016-11-30 2018-06-11 김진호 릴시스템의 와이어 묶는방법
KR101837194B1 (ko) * 2016-12-30 2018-03-13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CN106723663B (zh) * 2017-01-24 2019-05-24 深圳市悠宁科技有限公司 鞋带收放装置
JP6881993B2 (ja) * 2017-02-01 2021-06-02 株式会社アルペン 紐巻取装置を備えた物品
JP2019000213A (ja) * 2017-06-13 2019-01-10 キャラウェイ・ゴルフ・カンパニ
CN107232690A (zh) * 2017-07-26 2017-10-10 莆田市城厢区旋乐美鞋材有限公司 一种鞋带旋紧装置
US10834998B2 (en) * 2018-04-13 2020-11-1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holding cage
CN110495666B (zh) * 2018-05-16 2022-01-25 渥弗林户外用品公司 包括保持架的鞋类
EP3843578B1 (en) 2018-08-31 2023-06-07 NIKE Innovate C.V. Autolacing footwear having a notched spool
KR20230066129A (ko)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CN111003616A (zh) * 2018-10-08 2020-04-14 王祐谦 卷线器
KR102368924B1 (ko) 2020-02-28 2022-03-03 김진호 끈 조임장치
IT202000029228A1 (it) * 2020-12-01 2022-06-01 10 Ottobre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a rotore
WO2023011661A1 (zh) 2021-08-06 2023-02-09 刘荣兴 一种系带器
TWI813454B (zh) * 2022-09-23 2023-08-21 王祐謙 捲線器
CN115744503A (zh) * 2022-11-21 2023-03-07 江馨月 一种正反转松紧系绳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1774A (ja) 1990-11-02 1992-06-18 Tokuji Sawara 太陽電池装置
JP2010148927A (ja) 1999-09-02 2010-07-08 Boa Technology Inc 履物の紐掛けシステム
JP4538836B2 (ja) 2003-08-04 2010-09-08 株式会社ジャパーナ ケーブル式靴における引張りケーブル、特に複数本の引張りケーブル束の装着装置
WO2011137405A2 (en) * 2010-04-30 2011-11-03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20130025100A1 (en) * 2011-07-25 2013-01-31 Ki Ho Ha Apparatus for fastening shoela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28Y2 (ja) 1978-01-17 1983-01-20 東成産業株式会社 物干し用ハンガ−ロ−プ
IT1193578B (it) * 1981-01-28 1988-07-08 Nordica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articolarmente per scarponi da sci
DE3926514A1 (de) 1989-08-10 1991-02-14 Weinmann & Co Kg Drehverschluss fuer einen sportschuh, insbesondere einen skischuh
US5157813A (en) * 1991-10-31 1992-10-27 William Carroll Shoelace tensioning devic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DE9200982U1 (ko) * 1992-01-28 1993-05-27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8522 Herzogenaurach, De
DE4240916C1 (de) * 1992-12-04 1993-10-07 Jungkind Roland Schuhverschluß
EP0651954B1 (de) 1993-11-04 1999-02-10 Am S.R.L. Spannvorrichtung für einen Sportschuh
US20060156517A1 (en) 1997-08-22 2006-07-20 Hammerslag Gary R Reel based closure system
US5934599A (en) 1997-08-22 1999-08-10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20020178548A1 (en) * 2000-09-19 2002-12-05 Freed Anna B Closure
US20110167543A1 (en) * 2004-05-07 2011-07-14 Enventys, Llc Adjustable protective apparel
US7516914B2 (en) 2004-05-07 2009-04-14 Enventys, Llc Bi-directional device
JP4874986B2 (ja) * 2004-10-29 2012-02-15 ボア テクノロジ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KR100598627B1 (ko) *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DE102005037967A1 (de) 2005-08-11 2007-02-15 Head Germany Gmbh Drehverschluss für einen Schuh
US20070169378A1 (en) * 2006-01-06 2007-07-26 Mark Sodeberg Rough and fine adjustment closure system
EP2237692B1 (en) * 2008-01-18 2015-01-07 Boa Technology, Inc. Closure system
US8468657B2 (en) 2008-11-21 2013-06-25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8245371B2 (en) * 2009-04-01 2012-08-21 Chin Chu Chen String securing device
TW201127310A (en) 2010-02-11 2011-08-16 jin-zhu Chen Step-less finetuning buckle
US8707486B2 (en) 2010-02-16 2014-04-29 Allen Medical Systems, Inc. Lacing system to secure a limb in a surgical support apparatus
US9375053B2 (en) * 2012-03-15 2016-06-28 Boa Technology, Inc.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same
JP6027530B2 (ja) * 2010-07-01 2016-11-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レーシングシステムを使用するブレース
JP5727771B2 (ja) 2010-12-08 2015-06-03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ひもの巻取装置
US8353087B2 (en) 2011-03-07 2013-01-15 Chin-Chu Chen Closure device
KR101107372B1 (ko)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US9101181B2 (en) 2011-10-13 2015-08-11 Boa Technology Inc. Reel-based lacing system
CN104394730B (zh) * 2012-11-30 2016-09-28 彪马欧洲公司 用于鞋的旋转式闭锁装置
US9439477B2 (en) 2013-01-28 2016-09-13 Boa Technology Inc. Lace fixation assembly and system
KR101506676B1 (ko) * 2013-09-03 2015-03-30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TWI561453B (en) * 2014-02-17 2016-12-11 Chin Chu Chen A device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a lace
US9364054B2 (en) 2014-04-09 2016-06-14 Tristan S. Gittens Accessory cin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1774A (ja) 1990-11-02 1992-06-18 Tokuji Sawara 太陽電池装置
JP2010148927A (ja) 1999-09-02 2010-07-08 Boa Technology Inc 履物の紐掛けシステム
JP4538836B2 (ja) 2003-08-04 2010-09-08 株式会社ジャパーナ ケーブル式靴における引張りケーブル、特に複数本の引張りケーブル束の装着装置
WO2011137405A2 (en) * 2010-04-30 2011-11-03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20130025100A1 (en) * 2011-07-25 2013-01-31 Ki Ho Ha Apparatus for fastening shoela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3602B2 (en) 2015-06-12 2019-10-08 Sug Whan Kim Strap fastening device
KR20170001249A (ko) 2015-06-26 2017-01-04 신병민 신발끈 자동 조임 장치
WO2017030327A1 (ko) * 2015-08-17 2017-02-23 주식회사 박의지 와이어 결속 장치
WO2018155732A1 (ko) * 2017-02-22 2018-08-30 김석환 끈조절장치
US11192748B2 (en) 2017-02-22 2021-12-07 Tyrenn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ng
KR101998160B1 (ko) 2018-02-09 2019-07-09 신윤익 신발끈 조임 장치
KR20200127353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WO2020251341A1 (ko) *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및 와이어 릴
KR2020014291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0297A (ja) 2015-01-05
AU2013391430A1 (en) 2015-01-22
EP2845505A4 (en) 2016-05-25
EP2845505A1 (en) 2015-03-11
KR101706691B1 (ko) 2017-02-14
CA2876003C (en) 2016-12-20
JP6105404B2 (ja) 2017-03-29
CN104470394B (zh) 2016-05-25
AU2013391430B2 (en) 2016-10-27
HK1203783A1 (zh) 2015-11-06
CA2876003A1 (en) 2014-12-24
TW201509326A (zh) 2015-03-16
CN104470394A (zh) 2015-03-25
AU2013391430A8 (en) 2015-01-29
US20160262497A1 (en) 2016-09-15
US9717305B2 (en) 2017-08-01
WO2014203416A1 (ja) 2014-12-24
TWI577301B (zh)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91B1 (ko) 신발끈 권취용 릴
KR101705017B1 (ko) 신발끈 권취장치
CN109640728B (zh) 卷取装置
CN111115389B (zh) 紧固装置
US20050081339A1 (en) Shoestring tying apparatus
JPH0330788A (ja) スキー靴用固定調節装置
KR20130040141A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WO2017175586A1 (ja) 巻取装置
KR101839798B1 (ko)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US20230056011A1 (en) Fastening device
EP3181382A1 (en) Winding device
WO2017068937A1 (ja) 巻取装置
EP4144250A1 (en) Rotary push-pull rope winder and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