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374A -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 Google Patents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2374A KR20150032374A KR20130111194A KR20130111194A KR20150032374A KR 20150032374 A KR20150032374 A KR 20150032374A KR 20130111194 A KR20130111194 A KR 20130111194A KR 20130111194 A KR20130111194 A KR 20130111194A KR 20150032374 A KR20150032374 A KR 20150032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space
- blowing
- floo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loor; with air distribution below the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oor Finish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를 제공한다. 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및 판넬에 결합되며 개구를 통해 제2 공간의 공기를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시된 실시예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 기능이 있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산 장비들 또는 통신 장비들이 설치되는 장비실은 이중 마루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이중 마루란 바닥면에 지주를 결합하고 지주의 상부에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한 후 각각의 프레임 상부에 프레임에 맞게 제작된 다수의 판넬들을 결합하여 바닥면과 판넬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갖는 공간을 형성한 마루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이중 마루를 설치하는 목적은 판넬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종 전원선 또는 정보처리용 데이터선 등을 간결하게 처리함으로써 업무 환경을 개선하며, 전산 장비 또는 통신 장비의 교체나 전체 시스템 및 사무 공간의 변경 등의 상황 발생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장비실의 관리 운영을 합리적으로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랙에 설치된 전산 장비 또는 통신 장비들을 상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고열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하여, 상기한 장비들의 온도를 일정 범위 이하로 유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장비실의 온도 제어를 위해 장비실내 선풍기나 에이컨과 같은 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선풍기와 같은 냉각 장치는 장비실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선풍기와 가까운 장비에는 냉각 효과가 있지만 선풍기와 먼 거리에 있는 장비에는 냉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 또는 장비실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전체 장비에 고르게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냉각에 따른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개시는 장비실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일 유형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및 상기 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부에서 제1 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상기 장비의 주변 온도인 제1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인 제2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이하,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이하,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이하이면,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송풍 세기보다 큰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는,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상기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바닥면과 이격시켜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장비실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장비실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실의 활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장비의 온도에 적응적으로 송풍 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장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이중 마루의 일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설치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고,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장비실과 이중 마루내 공간간의 공기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중 판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중 판넬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중 판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중 판넬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중 판넬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중 판넬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뿐만 아니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이 설치된 제1 공간(10)과 상기 제1 공간(10)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20)을 분리하는 판넬(110) 및 상기한 개구(112)를 통해 상기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120)를 포함을 포함한다.
판넬(110)은 장비실내 마루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걸어다니더라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경도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판넬(110)은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목질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질계로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규소, 석고,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계는 PVC(Poly Vinyl Chloride), PC(Poly Carbonate),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modified), PCTG(Poly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Acry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목질계는 내수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파티클판넬(110), 케냐프판넬, 수지목분 혼합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판넬(110)은 판상일 수 있으며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외관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복수 개의 판넬(110)이 결합하여 마루를 형성하기 때문에 판넬(11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 등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판넬(110)의 가운데 영역에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개구(112) 또한 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판넬(110)의 후면에는 제2 공간(20)을 향햐여 돌출된 제1 돌출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돌출부(114)는 후술하는 제2 돌출부(134)와 결합하여 송풍부(120)을 판넬(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송풍부(120)는 상기한 개구(112)를 통해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킨다. 송풍부(120)는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이동시킬 때 일정한 속도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속도의 공기 이동을 송풍이라고 정의한다. 송풍부(120)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제2 공간(20)에서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한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풍부(120)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2 공간(20)에서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10)은 통신 장비, 전산 장비 등의 장비가 배치되는 랙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등이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장비실내 공간이라고도 한다. 반면, 제2 공간(20)은 전원선 또는 정보처리용 데이터선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이중 마루내 공간이라고도 한다. 송풍부(120)는 제2 공간(20)에 배치됨으로써 제1 공간(10)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공간의 온도는 제1 공간의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제2 공간에는 하향송풍식 냉각 장치가 가동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제2 공간(20)에 배치되며 송풍부(120)를 수용하는 수용부(132);와 수용부(132)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수용부(132)를 판넬(110)에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134)를 포함하는 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2)와 제2 돌출부(134)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수용부(132)와 제2 돌출부(134)는 탈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114) 및 제2 돌출부(134)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장비의 주변 온도(이하 '제1 온도'라고 한다.)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142), 제2 공간(20)의 온도(이하 '제2 온도'라고 한다)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144),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온도, 제2 온도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는 제어부(16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16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전산 장비, 통신 장비들이 배치되는 장비실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온도 센서(142)는 제1 공간(10) 중 랙 또는 장비 상에 배치되어 장비 또는 장비의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제2 온도 센서(144)는 판넬(110)과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간(20) 즉 이중 마루 내 공간에 배치되어 제2 공간(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의 감지 결과는 제어부(160)로 인가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송풍부(120)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가 조절되는 모드인 자동 모드와 사용자의 직접 명령에 따라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인 수동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는 송풍부(12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 키(152),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키(154), 수동 모드시 송풍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기 키(1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하우징(130) 중 제1 공간(10)에 노출된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는 개구(112)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사용자 입력부(15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제어부(16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50)가 하드 키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6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 내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제1 온도 센서(142)의 결과, 제2 온도 센서(144)의 결과 및 사용자 입력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한다. 제어부(160)의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모드 키(154)를 이용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를 수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송풍 세기로 송풍부(12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세기는 지난 수동 모드에서 설정된 송풍 세기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 개의 세기 키(156)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세기 키(156)에 대응하여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160)은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모드 키(154)를 이용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를 자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예를 들어, 20℃) 이하,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예를 들어, 5℃)이하, 제1 온도가 제2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예를 들어, 10℃) 값이하이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가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한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온도와 제2 공간(20)의 온도간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가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한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를 0(즉, 송풍부(120)의 동작 정지), 제1 송풍 세기 및 제2 송풍 세기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할 뿐, 송풍 세기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개구(112)로 노출된 하우징(130)의 일부 영역을 덮는 커버(170)을 포함한다. 상기한 커버(170)는 미세 개구들(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미세 개구들(174)를 통해 제2 공간(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50) 및 후술하는 인디케이터부(190)이 제1 공간(10)으로 노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풍부(1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송풍부(1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풍향 조절부(18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 조절부(180)은 송풍부(120)과 커버(170)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30)에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풍향 조절부(180)는 송풍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공간(10)과 제2 공간(20)의 공기 이동을 차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공간(10, 20) 중 어느 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 중 어느 한 센서로부터 80℃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제1 및 제2 공간(10, 20)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가이드부(17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부(174)는 회동하여 개구(112)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4)는 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개구(112)를 차단하고, 전원이 온 상태에에서는 개구(112)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인디케이터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30) 중 개구(112)에 노출되는 영역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에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제1 인디케이터(192),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모드가 수동 모드임을 알리는 제2 인디케이터(193),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모드가 자동 모드임을 알리는 제3 인디케이터(194),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송풍 세기를 알리는 제4 및 제5 인디케이터(195, 196)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마루는 판넬(110)과 판넬(110)을 지지하면서 판넬(11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제2 공간(20)을 형성하는 이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이격부(200)는 판넬(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210)와 지지부(210)들를 연결시키면서 연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0)은 판넬(110)의 하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한 연결부(220)에 의해 판넬(110)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부(210)의 일 영역에는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도 더 포함될 수 있다. 각 지지부(220)는 하나의 판넬(110)을 지지할 수 있다. 판넬(110)와 일체형일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중 마루(30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 뿐만 아니라, 판넬만으로 구성된 일반 판넬(3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비실내 마루는 일반 판넬(110)과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장비가 설치된 공간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어 장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장비실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장비실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실의 활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장비의 종류 및 장비의 동작에 따라 장비의 온도가 다를 수 있는 현실에서 장비의 온도에 적응적으로 송풍 세기 등이 제어되기 때문에 장비실의 온도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이중 마루의 일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설치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 제1 공간(10)과 제2 공간(20)을 차단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 제1 공간 20: 제2 공간
100: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110: 판넬
120: 송풍부 130: 하우징
142: 제1 온도 센서 144: 제2 온도 센서
150: 사용자 입력부 160: 제어부
170: 커버 180: 풍향 조절부
190: 인디케이터부
100: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110: 판넬
120: 송풍부 130: 하우징
142: 제1 온도 센서 144: 제2 온도 센서
150: 사용자 입력부 160: 제어부
170: 커버 180: 풍향 조절부
190: 인디케이터부
Claims (7)
-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및
상기 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부에서 제1 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상기 장비의 주변 온도인 제1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인 제2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이하,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이하,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지 않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이하이면,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송풍 세기보다 큰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상기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바닥면과 이격시켜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ko) | 2013-09-16 | 2013-09-16 |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ko) | 2013-09-16 | 2013-09-16 |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374A true KR20150032374A (ko) | 2015-03-26 |
KR101519991B1 KR101519991B1 (ko) | 2015-05-15 |
Family
ID=5302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ko) | 2013-09-16 | 2013-09-16 |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999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43333A (zh) * | 2020-11-27 | 2022-05-27 | 大金工业株式会社 | 地面回风装置和污染物控制系统 |
KR102659346B1 (ko) * | 2023-10-04 | 2024-04-19 | 서진공조(주) | 화재 감지 기능이 적용된 바닥 공조 터미널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1779B1 (ko) | 2007-03-16 | 2007-09-28 | 주식회사 에이알 |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
JP5424971B2 (ja) | 2010-04-22 | 2014-02-26 | 三機工業株式会社 | 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制御システム |
-
2013
- 2013-09-16 KR KR1020130111194A patent/KR10151999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43333A (zh) * | 2020-11-27 | 2022-05-27 | 大金工业株式会社 | 地面回风装置和污染物控制系统 |
KR102659346B1 (ko) * | 2023-10-04 | 2024-04-19 | 서진공조(주) | 화재 감지 기능이 적용된 바닥 공조 터미널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9991B1 (ko) | 2015-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5627B2 (en) | Ventilation and air flow control with heat insulated compartment | |
KR102125516B1 (ko) | 캔틸레버식 디스플레이를 갖는 사용자 제어 장치 | |
US10588244B2 (en) | Temperature regulated cabinet | |
JP7004508B2 (ja) |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519991B1 (ko) |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 |
KR20180046519A (ko) |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쿨링 시스템 | |
JP2016205750A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KR101484071B1 (ko) | 홈넷 월패드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스마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BR112015019591B1 (pt) | Sistema de monitor para uma porta do elevador | |
JP4812320B2 (ja) | 吹出装置、吹出装置の床下取付構造並びに室内温度調整システム | |
WO2022091436A1 (ja) | 送風装置、及び送風システム | |
CN106911089A (zh) | 电控箱 | |
CN108759023A (zh) | 人体感应器及包括人体感应器的空调 | |
KR101710905B1 (ko) | 컴퓨터 결합 구조의 책상 | |
KR101710871B1 (ko) | 조립식 컴퓨터 일체형 데스크 | |
JP6685013B2 (ja) | ファン装置及び天井吊り形空調装置 | |
JP2020067194A (ja) | 空気調和機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 |
CN204518265U (zh) | 一种控制电柜 | |
JP2013167407A (ja) | 浴室空気調和機 | |
JP2015218963A (ja) | 環境制御システム | |
KR20210012362A (ko) | 컴퓨터 책상 | |
JP7485175B2 (ja) | 換気装置 | |
JP2013237302A (ja) | シェルタ | |
KR20180001306U (ko) | 소음 특성과 시인성이 개선된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20160190A1 (en) | Body drye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