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79B1 -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79B1
KR100761779B1 KR1020070025961A KR20070025961A KR100761779B1 KR 100761779 B1 KR100761779 B1 KR 100761779B1 KR 1020070025961 A KR1020070025961 A KR 1020070025961A KR 20070025961 A KR20070025961 A KR 20070025961A KR 100761779 B1 KR100761779 B1 KR 10076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ygrostat
humidity
room
ther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
Priority to KR102007002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이중 마루판과 타공판의 상면 일측부에 설치된 항온항습기를 통해 습도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및 타공판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를 통해 하향 송풍하여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시켜 주는 하향식 항온항습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들의 저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되, 상기 풍량 조절용 팬들에는 각각 인버터를 설치하여 상기 항온항습기로부터 멀리 설치되는 풍량 조절용 팬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회전수를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실내에 하향식 항온항습기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청정한 공기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어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판 사이에 많은 양의 타공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실내 미관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고, 또 실내의 빠른 온도강하를 통해 압축기(냉동기)의 운전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항온항습기, 이중 마루판, 타공판, 풍량 조절용 팬

Description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Air circulation quantity and air conditioning efficient augmentation system of down flow type thermo-hygrostat}
도 1은 종래 하향식 항온항습장치의 설치상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하향식 항온항습기가 적용된 전산실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된 풍량 조절용 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된 풍량 조절용 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필터
3 : 제어부 4 : 압축기
5 : 증발기 6 : 가습기
7 : 송풍 팬 8 : 선반
9 : 풍량 조절용 팬 10 : 인버터
11 : 바닥면 12 : 이중 마루판
13,13' : 타공판 14 : 공기 유도로
91 : 하우징 92 : 필터
본 발명은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토출형(Down flow type; 이하 "하향식"이라고 칭함)의 항온항습기가 설치되는 전산실 등의 이중 마루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들의 저부에 수개의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거나, 또는 타공판을 제거하고 타공판 형상을 갖는 그릴을 구비한 수개의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여 항온항습기의 하방부로 배출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사이의 공기 유도로를 거쳐 이중 마루판 사이에 설치된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각각의 타공판 저면 또는 타공판이 설치되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풍량 조절용 팬을 통해 보다 많은 량을 강하게 강제로 송풍시켜 실내에 하향식 항온항습기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청정한 공기를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중 마루판 사이에 많은 양의 타공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또한 실내의 빠른 온도강하를 통해 압축기(냉동기)의 운전시간을 감소시켜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선인들은 생존을 위하여 더위보다는 추위를 견디어내는 일이 급선무였다.
따라서 난방형식이 우선적으로 갖추어지게 되었으며, 그 다음에야 냉방기에 대한 개발이 시작되었고, 개발된 제품으로부터 시원하게 조화된 공기가 나오는 현상을 보고서 그 장치를 일컬어 공기조절기, 즉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라고 지칭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공기조화기가 아닌 단순한 냉방기로서 다시 정립되게 되고, 냉방과 난방을 각각 여름철에 행해지는 공기조화, 겨울철에 행해지는 공기조화라는 의미로서 여름철 공기조화, 겨울철 공기조화라고 일컫다가 근래에 이르러 완전 공기 조화로서 제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여 주택, 호텔, 회관, 사무실, 전산실 및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생활하는 실내의 사람을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람에게 쾌적한 공기상태는 기후 조건, 복장, 생활수준, 건강상태 등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일정한 값이 있는 것은 아니나, 여름에는 온도 26∼28℃, 상대습도 약 50%, 겨울에는 온도 20∼22℃, 상대습도 약 40%를 목표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값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공장의 작업장, 창고, 실험실, 전산실 등의 장소가 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거기서 생산되고 가 공되며 저장 또는 시험되는 물건이나 해당 장소에서 운영중인 각종 기기에 가장 알맞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컨대, 연초공장에서는 잎을 잘게 썰 때 너무 건조하여 가루가 되는 일이 없도록 비교적 습도를 높게 하고, 초콜릿 공장에서는 초콜릿이 녹아서 제모양을 잃는 일이 없도록 온도를 낮게 하며, 트랜지스터 제작공장에서는 먼지를 극도로 줄이고, 생리학 실험실에서는 바람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공기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등, 생산되는 물품의 품질이 고르지 않거나 불량품이 많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조화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정한 온습도를 요구하는 제품 처리과정이라든지 보관과정 등 산업분야로의 응용을 그 목적으로 할 때에는 난방과 냉방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기조화를 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는, 실내 공간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값으로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 및 온기를 공급하는 온풍기와 실내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로 이루어져, 증발기와 응축기 및 펌프와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냉각기가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발생시키고,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송풍 팬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며, 물속에 열 파이프의 가열로 물을 수증기화시키거나, 물 전도율을 이용한 전기 통전으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를 통해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즉, 주지된 항온항습기는 항상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로서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정밀 제어기기가 설치된 방이나 고가의 통신 기기가 설치된 방, 실험실 및 전산실 등 여러 분야에 설치 사용되어 각종기기의 오동작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종래 항온항습기는 단일의 시스템에 제어부(이를 핫 가스 콘트롤러(hot gas controller)라고도 함)와, 냉난방에 필요한 부품 및 제습이나 가습에 필요한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룸(room)의 온도 또는 습도가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보다 오차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가 자동으로 냉방, 난방, 제습 또는 가습 운전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항온항습기는 에어플로우 타잎(Air flow type)에 따라 하부토출형(Down flow type)과 상부토출형(up flow type)으로 분류되고, 냉각시스템별로 분류하면 공냉식(air cooled system)과 수냉식(water cooled system) 및 글리콜식(glycol coded system)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항온항습기 중 종래의 하부 토출형 즉, 하향식 항온항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에 필터(2)가 구비된 본체(1)의 전방 상부에는 제어부(3)가 설치되고, 본체(1)의 중간부는 후방부 일부에 공기 유동로(81)가 형성되도록 하여 선반(8)이 설치되며, 상기 선반(8)에는 압축기(4), 수액기 및 냉동 부품류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선반(8)의 후측부와 가이더(9) 사이에는 증발기(5)가 후방부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는 가습기(6)가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 배출부가 실내의 바닥면(11)과 이중 마루판(12)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로 연통되도록 하여 송풍 팬(7)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액체의 냉매를 기체의 냉매로 변환시켜 자체적으로 저온 상태를 갖고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을 실시하여 자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춰주는 냉각 제습용 증발기(5)는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는 증발관상에 수개의 직사각 판체형 방열판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의 주연부에는 전후면을 통해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된 사각틀체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항온항습기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송풍 팬(7)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된 필터(2)를 통해 필터링된 상태에서 본체(1) 내로 유입된 후 증발기(5)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된 다음 선반(8)의 후방부와 본체(1)의 후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로(81)를 통해 송풍 팬(7) 내로 유입된 후 강한 송풍력을 갖고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11)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중 마루판(12)을 설치함으로 인해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로 송풍된 다음 상기 이중 마루판(12)들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타공판(13)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즉, 종래 항온항습기가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에는 건물의 바닥면(11)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하여 이중 마루판(12)들을 설치하여 바닥면(11)과 이중 마루 사이에 항온항습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공기 유도로(14)를 형성하되, 상기 이중 마루판(12)의 중간 중간부위에는 타공판(13)들을 설치하여 공기 유도로(14)를 통해 유도된 항온항습기의 송풍 공기가 상기 타공판(13)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항온항습기가 설치되는 실내의 면적은 다양함에도 불과하고 항온항습기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 팬(7)의 송풍력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만약 하나의 항온항습기로 냉,난방 및 습도 조절을 실시해야 하는 실내 면적이 클 경우 해당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송풍 팬을 통해 송풍되어 오는 공기가 먼 위치가 까지 도달되지 않음은 물론 실내 전체에 풍량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의 냉각을 고르게 실시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공기의 순환 자체가 원활하지 않아 적정한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 마루판 사이에 많은 양의 타공판을 설치해야만 되어 실내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실내의 온도를 빠게 강하시킬 수 없어 압축기(냉동기)의 운전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가져오게 됨은 물론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향식 항온항습기가 설치되는 전산실 등의 이중 마루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들의 저부에 수개의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거나, 또는 타공판을 제거하고 이에 타공판 형상을 갖는 그릴을 구비한 수개의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여 항온항습기의 하방부로 배출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사이의 공기 유도로를 거쳐 이중 마루판 사이에 설치된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청정된 공기를 각각의 타공판 저면 또는 타공판이 설치되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풍량 조절용 팬을 통해 보다 많은 량을 강제로 송풍시켜 주되,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들은 항온항습기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더 강하게 작동시켜 줌으로써 실내에 하향식 항온항습기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청정한 공기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어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판 사이에 많은 양의 타공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또한 실내의 빠른 온도강하를 통해 압축기(냉동기)의 운전시간을 감소시켜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필터와 제어부, 압축기, 증발기, 가습기 및 송풍 팬이 설치된 항온항습기를 실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설치된 이중 마루판과 타공판의 상면 일측부에 설치하여 항온항습기를 통해 습도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및 타공판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를 통해 하향 송풍하여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시켜 주는 하향식 항온항습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들의 저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풍량 조절용 팬들에는 각각 인버터를 설치하여 상기 항온항습기로부터 멀리 설치되는 풍량 조절용 팬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인버터들을 통해 그 회전수를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풍량 조절용 팬의 하우징 상면부에 타공판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량 조절용 팬의 저부와 주연부에는 각각 필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는 교환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하향식 항온항습기가 적용된 전산실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된 풍량 조절용 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된 풍량 조절용 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본체(1)의 내부에 필터(2)와 제어부(3), 압축기(4), 증발기(5), 가습기(6) 및 송풍 팬(7)이 설치된 항온항습기(100)를 실내의 바닥면(11)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설치된 이중 마루판(12)과 타공판(13)의 상면 일측부에 설치하여 상기 항온항습기(100)를 통해 습도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바닥면(11)과 이중 마루판(12) 및 타공판(13)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를 통해 하향식으로 송풍하여 타공판(13)들을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시켜 주는 하향식 항온항습기(100)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13)들의 저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 팬(9)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에는 각각 인버터(10)를 설치하여 상기 항온 항습기(100)로부터 멀리 설치되는 풍량 조절용 팬(9)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인버터(10)들을 통해 그 회전수를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하우징(91) 상면부에 타공판(13')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저부와 주연부에는 각각 필터(92)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92)는 교환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9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항온항습기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하향식 항온항습기(100)의 구성과 동일하고, 또 이들이 설치되는 실내의 형상 역시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하향식 항온항습기(100)는 상면 개구부에 필터(2)가 구비된 본체(1)의 전방 상부에는 제어부(3)가 설치되고, 본체(1)의 중간부는 후방부 일부에 공기 유동로(81)가 형성되도록 하여 선반(8)이 설치되며, 상기 선반(8)에는 압축기(4)와 수액기 및 냉동 부품류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선반(8)의 후측부와 가이더(9) 사이에는 증발기(5)가 후방부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는 가습기(6)가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 배출부가 실내의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로 연통되도록 하여 송풍 팬(7)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향식 항온항습기(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11) 상부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이중 마루판(12)들과, 이들 이중 마루판(12)들 사이에 간헐적으로 타공판(13)들이 설치되어, 상기 항온항습기(100)를 통해 습도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는 실내의 바닥면(11)과 이중 마루판(12) 및 타공판(13)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를 통해 하향식으로 송풍된 후 다시 타공판(13)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타공판(13)들의 저부에 각각 도 3과 같은 형태의 풍량 조절용 팬(9)들을 설치하여 항온항습기(100)에 의해 온도 및 습도 조절된 상태에서 송풍 팬(7)에 의해 강제로 이중 마루판(12)과 타공판(13) 및 실내의 바닥면(11)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로 송풍되어 온 공기를 타공판(13)들을 통해 실내로 다시 배출시킬 때 항온항습기(100)의 송풍 팬(7)에 의한 송풍력으로만 배출시키지 않고 각각의 타공판(13) 저부에 설치된 풍량 조절용 팬(9)의 구동을 통해 더 강하게 실내로 불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타공판(13)들은 이중 마루판(12) 사이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관계로 송풍 팬(7)을 통해 강제로 송풍되어 공기 유도로(14)를 통해 각각의 타공판(13) 저부에 도착한 공기들의 송풍력은 타공판(13)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태(즉, 송풍 팬으로부터 거리가 멀면 멀수록 그 힘이 약한 상태)를 갖게 되므로 각각의 타공판(13) 저부에 설치한 풍량 조절용 팬(9)의 구동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하게 되면 실제로 각각의 타공판(1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물론 그 량이 서로 상이하여 실내 전체에 풍량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게 되므로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의 냉각을 고르게 실시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적정한 온도 및 습도 제어를 정확히 실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9)들에 해당 팬들의 구동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10)들을 설치함은 물론 이들의 구동량을 상기 항온항습기(100)로부터 멀리 설치되어 있는 것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항온항습기(100)에 의해 온도 및 습도 조절된 상태에서 송풍 팬(7)의 강제 송풍에 의해 이중 마루판(12)과 타공판(13) 및 실내의 바닥면(11)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로 송풍되어 온 공기를 타공판(13)들을 통해 실내로 다시 배출시킬 때 항온항습기(100)의 송풍 팬(7)에 의한 송풍력으로만 배출시키지 않고 각각의 타공판(13) 저부에 설치된 풍량 조절용 팬(9)의 구동을 통해 더 강하게 실내로 불어줄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구동 회전수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풍량 조절용 팬(9)들에 인버터(10)들을 설치하여, 이들 인버터(10)들을 통해 상기 항온항습기(100)로부터 멀리 설치되어 있는 풍량 조절용 팬(9)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회전수를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항온항습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 팬(7)의 송풍력이 미치는 거리에 반비례하여 송풍 팬(7)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멀수록 해당 타공판(13)의 저부에 설치된 풍량 조절용 팬(9)들이 더 강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항온항습기(100)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실내에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어 실내의 냉,난방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의 회전수 제어방법은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9)에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10)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전압 또는 전류 조절기(도시 생략함)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풍량 조절용 팬(9)에 공급 또는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하여 그 회전수를 설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제어부(3)에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9)에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10)들의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주는 방식 등을 이용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각각의 타공판(13) 저부에 풍량 조절용 팬(9)들을 각각 설치하여 항온항습기(100)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공기 유도로(14)를 통해 이송중인 공기를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을 통해 강제로 실내에 배출, 순환시키게 되면 풍량 조절용 팬(9)들이 설치되지 않은 타공판(13)들을 통해 송풍 팬(7)의 송풍압력으로만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에 비하여 그 량이 많음은 물론 송풍력도 강하게 되므로 상기 이중 마루판(12)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13)들의 개수를 종래보다 줄이더라도 원하는 량을 실내로 배출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적은 량의 타공판(13)을 설치해도 되므로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기(4)의 운전시간을 그만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하우징(91) 상면부에 필요에 따라서는 타공판(13')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하는데, 이와 같이 타공판(13') 자체를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하우징(91) 상면부에 일체로 성형시켜 주게 되면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하우징(91)을 전술한 바와 같이 타공판(13)에 고정시켜주는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판(12)들 사이에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을 설치하는 동작만으로 하우징(91) 일체형 타공판(13')과 풍량 조절용 팬(9)이 모두 설치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제품의 생산원가는 물론 시설비 자체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항온항습기(100)의 필터(92)에 의해 이미 통해 필터링된 후 송풍 팬(7)에 의해 실내의 바닥면(11)과 이중 마루판(12) 및 타공판(13)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로 송풍된 다음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은 통해 실내로 송풍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 유도로(14)에 존재할 수 있는 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 등이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은 강제 송풍에 부응하여 실내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저부와 주연부에는 각각 필터(2)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비록 실내의 바닥면(11)과 이중 마루판(12) 및 타공판(13)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14) 내에 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 등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풍량 조절용 팬(9)들에 의해 실내로 공기가 강제로 송풍되는 과정에서 상기 풍량 조절용 팬(9)의 저부와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2)들에 의해 걸러지게 되므로 공기 유도로(14)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청정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92)는 교환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9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9)에 설치된 필터(92)들이 오염된 경우 이들을 분리시켜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거나 세척 후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에 의하면, 하향식 항온항습기가 설치되는 전산실 등과 같은 실내의 이중 마루판들 사이에 설치의 타공판들 저부에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거나, 또는 타공판을 제거하고 이에 타공판을 일체로 구비한 풍량 조절용 팬들을 설치하여 항온항습기의 하방부로 배출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및 타공판 사이의 공기 유도로를 거쳐 이중 마루판 사이에 설치된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청정된 공기를 보다 많은 량으로 강제 송풍시켜 주되, 각각의 풍량 조절용 팬들은 항온항습기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더 강하게 작동시켜 줌으로써 실내에 하향식 항온항습기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청정한 공기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어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판 사이에 많은 양의 타공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실내 미관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고, 또 실내의 빠른 온도강하를 통해 압축기(냉동기)의 운전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실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이중 마루판과 타공판의 상면 일측부에 설치된 항온항습기를 통해 습도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바닥면과 이중 마루판 및 타공판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로를 통해 하향 송풍하여 타공판들을 통해 실내로 배출시켜 주는 하향식 항온항습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들의 저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 팬을 설치하고, 상기 풍량 조절용 팬들에는 각각 인버터를 설치하여 상기 항온항습기로부터 멀리 설치되는 풍량 조절용 팬들일수록 그 거리에 부응하여 인버터들을 통해 그 회전수를 점차로 더 강하게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이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팬의 하우징 상면부에 타공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팬의 저부와 주연부에는 각각 필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교환 및 세척이 가능하게 하우징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KR1020070025961A 2007-03-16 2007-03-16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KR10076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61A KR100761779B1 (ko) 2007-03-16 2007-03-16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61A KR100761779B1 (ko) 2007-03-16 2007-03-16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779B1 true KR100761779B1 (ko) 2007-09-28

Family

ID=3873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61A KR100761779B1 (ko) 2007-03-16 2007-03-16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91B1 (ko) 2013-09-16 2015-05-15 주식회사 뉴젠스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CN108149891A (zh) * 2018-02-09 2018-06-12 上海百石通实业有限公司 一种运动木地板湿度控制系统
CN115978637A (zh) * 2023-01-13 2023-04-18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地面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WO2024148753A1 (zh) * 2023-01-13 2024-07-18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地面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636B1 (ko) * 1994-10-12 1998-08-01 김헌출 바닥취출 공기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636B1 (ko) * 1994-10-12 1998-08-01 김헌출 바닥취출 공기조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91B1 (ko) 2013-09-16 2015-05-15 주식회사 뉴젠스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
CN108149891A (zh) * 2018-02-09 2018-06-12 上海百石通实业有限公司 一种运动木地板湿度控制系统
CN115978637A (zh) * 2023-01-13 2023-04-18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地面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WO2024148753A1 (zh) * 2023-01-13 2024-07-18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地面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281B1 (ko)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US20210041136A1 (en) Adaptive modular multicoil hvac system
WO2013057844A1 (ja) 通信・情報処理機器室等の空調システム
EP3054224A1 (en) Air conditioner
KR10239668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079802B2 (ja) 栽培室用空調システム
KR20180014122A (ko) 환기장치
KR100761779B1 (ko)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KR201800822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00005319A (ko) 열전소자를 적용한 공기 청정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CN204128072U (zh) 室内空调设备
CN104089341B (zh) 室内空调设备
KR20120128757A (ko) 항온항습기의 냉방 및 제습 효율향상을 위한 흡입공기 제어장치
WO2024033798A1 (en) A smart sustainable dual zone bladeless airflow device
KR200424460Y1 (ko) 항온항습기의 전기 제어반 냉각장치
JP2007071495A (ja) 空気調和機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200452781Y1 (ko) 항온항습기 구조
JP2004003866A (ja) 換気空調装置
KR20180090684A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설정방법
KR100653235B1 (ko) 항온항습기의 증발기 코일 적상 방지장치
CN114556028B (zh) 用于配置hvac系统的改进的方法和系统
KR200335935Y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