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69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693A
KR20150031693A KR20130111214A KR20130111214A KR20150031693A KR 20150031693 A KR20150031693 A KR 20150031693A KR 20130111214 A KR20130111214 A KR 20130111214A KR 20130111214 A KR20130111214 A KR 20130111214A KR 20150031693 A KR20150031693 A KR 2015003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image
displayed
fra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종
배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693A/ko
Priority to US14/333,558 priority patent/US20150078734A1/en
Publication of KR2015003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처리부 및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틸 이미지의 프레임 간 이동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A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들도 다양해지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비율을 변환하여 움직임을 더욱 자연스럽게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동영상 재생시 특정 시점 순간을 관찰하려는 목적의 스틸 이미지인 경우에는 프레임 비율이 변환된 보간 프레임의 화면을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동영상 재생시 특정 장면을 관찰하기 위한 스틸 이미지의 프레임 간 이동시에도 프레임 비율이 변환된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 인디케이터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프레임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프레임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틸 이미지의 프레임 간 이동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경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경 명령에 따라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프레임 및 보간 프레임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스틸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영상 처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컨텐츠는 영화, 드라마, 녹화 영상, 슬로우 비디오 등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일정한 프레임 비율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스틸 이미지, 사진, 문서 등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i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처리부(130)는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동영상 컨텐츠를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0Hz의 프레임 비율을 갖는 동영상 컨텐츠는 영상 처리부(130)가 1초에 30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부(130)는 1초에 30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1초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부(120)를 통해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여기서, 일시 정지 명령은 1초의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 즉, 30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30)가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 즉, 30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1초에 30번씩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1초에 30개의 동일 이미지를 시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틸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COU(central processing unit),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영상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변경 명령은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다른 스틸 이미지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스틸 이미지(22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은 디스플레이부(210) 상에서 다음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는 "다음 프레임"으로 표시된 아이콘(2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변경 명령은 화살표 등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리모컨(미도시)의 "다음 프레임"으로 표시된 버튼 키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즉, 도 2와 같이 "다음 프레임"으로 표시된 아이콘(230) 또는 화살표 등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다음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영상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는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의 다음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0Hz의 프레임 비율을 갖는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중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어(여기서, 일시 정지 명령은 1초의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선택된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데,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는 30장의 이미지 중 15번째의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15번째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다음 프레임"으로 표시된 아이콘(230)을 통해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16번째의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30)는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연속된 이미지들을 촬영하거나 재현하는 속도의 비율로서, 프레임 레이트는 필름의 초당 24 프레임, 비디오의 초당 30 프레임과 같이 초당 진행되는 프레임의 수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가 초당 전송하는 프레임의 수가 될 수 있으며, TV 신호 등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1초에 적당한 개수의 화면(프레임)만을 전송할 수 있는데, 기존의 컬러 TV의 경우 NTSC 방식의 프레임 비율은 초당 30프레임이고 PAL, SECAM 방식에서는 초당 25프레임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프레임 비율 조절(Frame Rate Control, FRC)은 LCD와 같은 낮은 색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더 높은 색 품질을 구현해 내는 방식으로, 색상 표현 비율 조작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적은 수의 색상을 일정하게 흩어 배열하는 방법으로, 원래 표현할 수 있는 색상보다 많은 수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소정 개수의 프레임들 중 인접한 두 프레임 사이마다 평균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계산하고, 두 프레임 사이마다 계산된 평균 움직임 벡터의 크기들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간을 결정하며, 최대 움직임 벡터를 갖는 프레임 구간에서 소정 비율의 움직임 보상에 의해 새로운 프레임 즉, 보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대 움직임 벡터를 갖는 프레임 구간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되는 프레임들 사이에 소정의 움직임 보상 비율을 적용한 새로운 보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프레임 2(310) 및 프레임 3(320) 사이에서 최대 움직임 벡터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영상 처리부(130)는 프레임 2(310)에서 프레임 3(320)으로 향하는 움직임 벡터의 1/2만큼 움직임을 보상한 프레임과 프레임 3(320)에서 프레임 2(310)로 향하는 움직임 벡터의 1/2만큼 움직임을 보상한 보간 프레임(330)을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합성된 보간 프레임(330)은 프레임 2(310) 및 프레임 3(320) 사이에 새로운 프레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경 명령에 따라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동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프레임 1,2,3…29, 3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 처리부(13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프레임 2(310)라고 가정하면, 영상 처리부(130)는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될 때, 프레임 2(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2(310)가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 즉, 프레임 2(310)의 다음 보간 프레임(3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프레임 2가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프레임 3을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보간 프레임(330)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비율이 30Hz라면, 보간 프레임(330)의 프레임 비율은 60Hz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높은 프레임 비율을 갖는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되어, 원본 프레임에서 생략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제어부(140)가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310)의 다음 보간 프레임(330)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140)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다음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지, 이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지에 따라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310)의 다음 보간 프레임(330)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이전 보간 프레임(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도록 영상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프레임 및 보간 프레임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10)에는 일시 정지 명령에 따른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42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410)에 디스플레이되던 동영상 컨텐츠를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420)를 디스플레이부(4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30)는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고,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4의 일시 정지 명령에 따른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42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도 5와 같이,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420)의 다음 보간 프레임(520)을 디스플레이부(51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다음 보간 프레임(52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도 6과 같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610)에 도 5의 다음 보간 프레임(520)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620)부터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스틸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710)는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7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된 바 인디케이터(720)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지점(730)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740)을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7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되는 바 인디케이터(720)의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지점(730)에 대응되는 시점의 동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 하나(740)를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의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5개 프레임 이후의 스틸 이미지로 변경하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5개 프레임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지 변경 명령을 한 번만 입력해도 10개의 프레임 이후의 스틸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설정하면, 제어부(140)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한 번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10개 프레임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고, 이미지 변경 명령이 두 번 연달아 입력된다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20개 프레임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프레임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0).
그리고,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20).
또한,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830).
한편,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을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프레임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 및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30: 영상 처리부
140: 제어부

Claims (12)

  1.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 인디케이터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프레임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정지 시점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 프레임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 시점에 대응되는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원본 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보간 프레임의 다음에 배치된 원본 프레임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틸 이미지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는 바 인디케이터에서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원본 프레임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시점의 원본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틸 이미지를 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 이전 또는 이후의 타 스틸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스틸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프레임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111214A 2013-09-16 2013-09-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14A KR20150031693A (ko) 2013-09-16 2013-09-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333,558 US20150078734A1 (en) 2013-09-16 2014-07-1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14A KR20150031693A (ko) 2013-09-16 2013-09-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93A true KR20150031693A (ko) 2015-03-25

Family

ID=5266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214A KR20150031693A (ko) 2013-09-16 2013-09-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78734A1 (ko)
KR (1) KR201500316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6674B1 (ja) 2014-07-29 2016-0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60041398A (ko)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처리 방법
KR102512298B1 (ko) * 2018-02-23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701710A (zh) * 2021-08-02 2023-02-1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内容切换和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13B1 (ko) * 2007-02-27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지화면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9041825B2 (en) * 2011-10-12 2015-05-26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78734A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9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reen mirroring
KR102575230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255825B2 (en) Content aware adaptive display
EP2227005B1 (en) Remote controller with multimedia content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1510788B (zh)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140229834A1 (en) Method of video interaction using poster view
CN111405221B (zh) 显示设备及录制文件列表的显示方法
US201401603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utput apparatus, output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316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0294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08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1800A (ko) 전자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CN114613306A (zh) 显示控制芯片、显示面板及相关设备、方法和装置
Lee et al. FLUID-XP: flexible user interface distribution for cross-platform experience
KR20120065689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0834298B1 (en) Selective audio visual synchronization for multiple displays
CN113704517A (zh)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和装置
KR1024694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936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788380B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20140087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1073569A (ja) 映像生成プログラム
CN117812305A (zh) 显示设备、4k分辨率展示epos的方法、及存储介质
KR101621360B1 (ko)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