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360B1 -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360B1
KR101621360B1 KR1020140170113A KR20140170113A KR101621360B1 KR 101621360 B1 KR101621360 B1 KR 101621360B1 KR 1020140170113 A KR1020140170113 A KR 1020140170113A KR 20140170113 A KR20140170113 A KR 20140170113A KR 101621360 B1 KR101621360 B1 KR 10162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earning
displaying
drag inpu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원
Original Assignee
조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원 filed Critical 조세원
Priority to KR102014017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연속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연속 수신 횟수에 따라 재생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METHOD, APPARATUS AND APPICATION FOR DISPLAYING CONTENTS O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건너뛰기, 배속재생, 즐겨찾기 또는 게시판 이동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을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로부터 부여 받아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이 기능이 다양화되고 무선 네트워크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즐기고 있다.
특히 교육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생들, 시험 준비생들은 이동 중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등을 수강하며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동 중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를 보게 되면 양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않아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한 세부 조작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동영상 재생 중 2배속 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배속 명령에 대한 세부 카테고리까지 몇번을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때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휴대 단말을 붙잡고 다른 한손으로 휴대 단말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가 흔들리면 휴대 단말을 떨어뜨리는 상황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동영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한 직관적인 사용자 입력만으로 플레이어의 배속 재생, 건너 뛰기, 즐겨 찾기 설정, 게시판 이동 등에 대한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임의의 컨텐츠에 대해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카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불법 복제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동시에 권한 있는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연속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연속 수신 횟수에 따라 재생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위에서 아래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시점에 표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즐겨찾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아래에서 위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연결된 게시판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재생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 권한이 있으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컨텐츠 표시 휴대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면,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연속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연속 수신 횟수에 따라 재생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연속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연속 수신 횟수에 따라 재생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해 직관적인 사용자 입력만으로 플레이어의 중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의 불법 복제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동시에 권한 있는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컨텐츠의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플레이어가 배속재생 기능을 실행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연속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플레이어가 건너뛰기 기능을 실행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즐겨찾기로 등록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아래에서 위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컨텐츠와 연결된 게시판을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 플레이어의 건너뛰기, 배속재생, 즐겨찾기, 게시판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임의의 컨텐츠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카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을 인증하고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100는 무선통신부 110, 오디오 처리부 120, 터치스크린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및 제어부 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 110는 휴대 단말 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 160로 출력하고, 제어부 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무선통신부 110은 NFC 채널을 연결하여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 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 130는 터치패널 134 및 표시부 136를 포함한다. 터치패널 13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패널 134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패널 134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 13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 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패널 234은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 160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터치패널 134은 표시된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드래그 입력, 플레이어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 136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부136는 사진,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나아가 상기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 상기 컨텐츠와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게시판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100은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 130는 표시부 136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 134이 수행하는 기능은 이하 설명하는 입력부 140가 대신할 수 있다.
입력부 140는 휴대 단말 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 16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 100은 터치스크린부 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널 134이 입력부 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 100은 비디오 처리부와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는 홀센서,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Acceleration sensor), 근접 센서 (Proximity sensor), 지자기 센서 (Geo-magnetic sensor), 중력센서 (G-sensor), 광센서, 조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60는 휴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제어부 160는 표시부 136가 동영상 강의 등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터치패널 13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160는 사용자 입력의 형태, 방향, 수신 횟수, 수신 간격 등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한 플레이어의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60는, 사용자 입력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인 경우,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1회 수신되면 2배속, 2회 수신되면 4배속, 3회 수신되면 8배속으로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상기 드래그 입력이 연속하여 수신되는 경우, 뒤로 건너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 2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30초 이후로 건너뛰고, 연속 3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60초 이후로 건너뛰고, 연속 4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90초 이후로 건너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빠른 배속 재생의 배속 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인지 뒤로 건너뛰기를 위한 것인지 여부는 제 1 드래그 입력과 제 2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60는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0.05초 이내인 경우에는 건너뛰기를 위한 연속 입력으로, 0.05초 이상인 경우에는 빠른 배속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어부 160는, 사용자 입력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인 경우, 느린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1회 수신되면 0.8배속, 2회 수신되면 0.6배속, 3회 수신되면 0.5배속으로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연속하여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 160는 앞으로 건너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 2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30초 이전으로 건너뛰고, 연속 3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60초 이전으로 건너뛰고, 연속 4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90초 이전으로 건너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느린 배속 재생의 재생 배율 설정을 위한 것인지 앞으로 건너뛰기를 위한 것인지 여부는 제 1 드래그 입력과 제 2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 160는 위에서 아래의 수직 방향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입력 수신 시점의 컨텐츠에 대해 즐겨찾기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 160는 위에서 아래 방향의 드래그 입력 수신 시점인 “16:30 을 즐겨찾기로 등록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 160는 아래에서 위의 수직 방향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컨텐츠에 미리 연결된 별도의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웹 페이지는 재생 컨텐츠 객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드래그 진행 방향에 따라 재생 컨텐츠 객체를 잠식하여 아래에서 위로 전차적으로 올라오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 표시화면에서 전체화면으로 완전히 전화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컨텐츠와 연결된 웹페이지는 컨텐츠 공급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질문 게시판일 수 있다. 특히 동영상 강의의 경우 질문 게시판의 이용이 활발한 편인데, 상기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에 간단한 드래그 입력만으로 바로 질문 게시판으로 넘어갈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제어부 160는 플레이어 기능 설정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의 형태와 플레이어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60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의 오른쪽 기울임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면, 기울임의 각도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는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왼쪽 기울임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면, 기울임의 각도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는 느린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 160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두드리기 입력, 예를 들어 연속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두드림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동영상을 해당 동영상에 대한 즐겨찾기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 160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흔들기 입력을 센서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동영상과 연결된 게시판 등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제어부 160가 임의의 컨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 등에 대한 권한을 휴대 단말에게 인증하는 외부 장치와 NFC 통신을 연결하여 컨텐츠 불법 복제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정당한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조사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 등에 대한 권한을 최대 3개의 휴대 단말에게 부여하도록 NFC 태그를 제작하여 카드 형태로 배포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 100의 제어부 160는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다운로드 권한 또는 스트리밍 재생 권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 재생권한이 부여돼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즉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해당 컨텐츠 재생 권한이 휴대 단말에게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재생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 16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즉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 160는 재생권한 획득을 위해서NFC 카드 고유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NFC 카드의 권한 부여가 가능한 횟수가 초과한 경우에는 권한 부여 불가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60가 NFC 카드와 태그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고, 컨텐츠 재생 권한을 인증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의 단계 210에서 제어부 160는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매칭된 플레이어의 기능을 실행하는 본원발명의 일련의 단계를 휴대 단말 100에서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 1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일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 160는 사용자로부터 개별적인 명령을 수신하여 컨텐츠 플레이어의 임의의 기능에 대해 특정 사용자 입력을 매칭하는 설정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첨부된 도 8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컨텐츠 플레이어의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를 활용하면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 플레이어의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선호하는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플레이어의 건너뛰기, 배속재생, 즐겨찾기, 게시판 이동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선택하고, 해당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너뛰기 기능은 컨텐츠 표시 화면에 대한 연속된 드래그 입력, 배속 재생 기능은 컨텐츠 표시 상태에서 휴대 단말에 대한 기울임 입력, 즐겨찾기 설정 기능은 컨텐츠 표시 화면에 대한 두드리기 입력 (예를 들어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 게시판 이동 기능은 컨텐츠 표시 상태에서 휴대 단말에 대한 흔들기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속 재생 기능의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의 오른쪽 기울임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면, 기울임의 각도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는 빠른 배속 재생 기능과 매칭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왼쪽 기울임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면, 기울임의 각도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는 느린 배속 재생 기능을 매칭할 수도 있다.
즐겨찾기 기능의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두드리기 입력, 예를 들어 연속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두드림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동영상 재생 시점을 즐겨찾기로 등록하는 기능을 매칭할 수도 있다.
게시판 이동 기능의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흔들기 입력을 센서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동영상과 연결된 게시판 등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매칭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230에서 휴대 단말은 임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 9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이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을 인증하고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910에서 휴대 단말은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휴대 단말은 컨텐츠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 재생 권한이 휴대 단말에게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재생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단계 940에서 제어부 16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으로 연결하여 즉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재생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930에서 제어부 160는 재생권한 획득을 위해서 상기 NFC 태그에 대해 미리 부여된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제어부 160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 재생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930에서 제어부는, NFC 카드의 권한 부여가 가능한 횟수가 초과한 경우에는 권한 부여 불가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이 컨텐츠 재생 권한을 획득한 경우, 단계 940에서 제어부 160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 연결을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240에서 제어부 160는 컨텐츠 플레이어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후 단계 250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과 미리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플레이어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의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컨텐츠의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의 단계 310에서 휴대 단말은 컨텐츠 플레이어에 대한 UI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플레이어의 UI 객체는 표시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지고 컨텐츠 재생 화면만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휴대 단말 100의 터치 패널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단계 325에서 제어부 160는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배속 비율은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60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1회 수신되면 2배속, 2회 수신되면 4배속, 3회 수신되면 8배속으로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플레이어의 배속재생 기능을 실행하는 예시는 첨부된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및/또는 또는 플레이어(410) 표시화면에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의 플레이어는 2배속 재생(405)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속 배율은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323에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상기 드래그 입력이 연속하여 수신되는 경우, 단계 327에서 제어부 160는 뒤로 건너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 2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30초 이후로 건너뛰고, 연속 3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60초 이후로 건너뛰고, 연속 4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90초 이후로 건너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빠른 배속 재생의 배속 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인지 뒤로 건너뛰기를 위한 것인지 여부는 제 1 드래그 입력과 제 2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323에서 제어부 160는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이 0.05초 이내인 경우에는 건너뛰기를 위한 연속 입력으로, 0.05초 이상인 경우에는 빠른 배속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플레이어가 건너뛰기 기능을 실행하는 예시는 첨부된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표시화면에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연속해서 2회 드래그 입력을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의 플레이어는 재생 시점을 30초 이후로 건너뛰는(520)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너뛰는 시점은 연속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340에서 제어부 160는, 사용자 입력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인 경우, 단계 345에서 느린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배속 비율은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1회 수신되면 0.8배속, 2회 수신되면 0.6배속, 3회 수신되면 0.5배속으로 빠른 배속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43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연속하여 수신되는 경우, 단계 347에서 제어부 160는 앞으로 건너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 2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30초 이전으로 건너뛰고, 연속 3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60초 이전으로 건너뛰고, 연속 4회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90초 이전으로 건너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계 343에서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느린 배속 재생의 배속 비율을 낮추기 위한 것인지 앞으로 건너뛰기를 위한 것인지 여부는 제 1 드래그 입력과 제 2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350에서 제어부 160는 위에서 아래의 수직 방향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355에서 드래그 입력 수신 시점의 동영상 재생 시점에 대해 즐겨찾기 등록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 160는 드래그 입력 수신 시점인 “16:30을 즐겨찾기로 등록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이 위에서 아래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즐겨찾기로 등록하는 예시는 첨부된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표시화면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의 플레이어는 상기 드래그 입력 수신 시점의 재생 시점을 상기 컨텐츠의 즐겨찾기로 등록(620)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연속으로 수신하면, 상기 즐겨찾기를 해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360에서 터치 패널이 아래에서 위의 수직 방향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365에서 제어부 160는 재생 컨텐츠에 미리 연결된 별도의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컨텐츠와 연결된 웹페이지는 컨텐츠 공급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질문 게시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이 아래에서 위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컨텐츠와 연결된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예시는 첨부된 도7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표시화면에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의 플레이어는 상기 컨텐츠에 연결된 질문 게시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질문 게시판에 대한 웹 페이지는 도 7b와 같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컨텐츠 플레이어 객체 410의 하단과 연결되어 드래그 진행 방향에 따라 재생 컨텐츠 객체를 잠식하며,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 스크린부
134 : 터치패널
136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15)

  1. 휴대 단말이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이 복수회 수신된 경우, 연속된 입력인지 여부를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
    연속된 입력이 아닌 경우, 복수회 수신된 각각의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연속된 입력인 경우, 표시된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앞 또는 뒤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건너뛰어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된 입력이 아닌 각각의 입력이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높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낮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시간을 건너뛰어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된 입력이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수신 횟수의 배율로 뒤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연속된 입력이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수신 횟수의 배율로 앞으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동영상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위에서 아래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시점에 표시된 학습 동영상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즐겨찾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동영상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아래에서 위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동영상에 연결된 게시판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동영상 표시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면,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이 복수회 수신된 경우, 연속된 입력인지 여부를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연속된 입력이 아닌 경우, 복수회 수신된 각각의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연속된 입력인 경우, 표시된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앞 또는 뒤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건너뛰어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드래그 입력이 연속된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각각의 입력이 왼쪽 방향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높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각각의 입력이 오른쪽 방향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낮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드래그 입력이 연속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연속된 입력이 왼쪽 방향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횟수의 배율로 뒤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연속된 입력이 오른쪽 방향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수신 횟수의 배율로 앞으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위에서 아래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시점에 표시된 학습 동영상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즐겨찾기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아래에서 위 방향의 수직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학습 동영상에 연결된 게시판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휴대 단말에서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학습 동영상 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플레이어 객체에 대한 수평 드래그 입력을 복수회 수신하면, 연속된 입력인지 여부를 상기 수평 드래그 입력의 수신 간격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기능;
    연속된 입력이 아닌 경우, 복수회 수신된 각각의 입력의 방향 및 횟수에 따라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및
    연속된 입력인 경우, 표시된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앞 또는 뒤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건너뛰어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재생 배속을 달리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은,
    상기 연속된 입력이 아닌 각각의 입력이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높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재생 배속을 낮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시간을 건너뛰어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은,
    상기 연속된 입력이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수신 횟수의 배율로 뒤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연속된 입력이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상기 연속된 입력의 수신 횟수의 배율로 에 따라 앞으로 건너뛰는 간격을 넓게 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1020140170113A 2014-12-02 2014-12-02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KR10162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113A KR101621360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113A KR101621360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360B1 true KR101621360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113A KR101621360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3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465B2 (en) Control of remote applications using companion devic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70070767A1 (en) Contextual remote control interface
US92647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ntrol of media players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5230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26079A (ko)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13308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웹페이지의동영상 재생 방법
US20140173446A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network server
US10516721B2 (en) Remote process management
US9426203B2 (en) Remote application control interface
US2016005044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15936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140977A1 (en) Common User Interface Structure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96063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80055367A (ko) 학습 컨텐츠 표시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864854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16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1360B1 (ko)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JP6201261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8795B2 (ja) 電子機器の操作方法および画像の表示方法
JP7101336B2 (ja) Cta表示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cta表示方法、および動画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