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013A -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 Google Patents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013A
KR20150031013A KR20130110461A KR20130110461A KR20150031013A KR 20150031013 A KR20150031013 A KR 20150031013A KR 20130110461 A KR20130110461 A KR 20130110461A KR 20130110461 A KR20130110461 A KR 20130110461A KR 20150031013 A KR20150031013 A KR 2015003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pace
present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2013011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013A/ko
Publication of KR2015003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에 있어서, 특히 약통 내부에 보조 분리막을 더 설치하되, 다양한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하여 약통 내부에 존재하는 알약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알약이 약통 벽면에 부디쳐 발생하는 깨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약통 용기와; 상기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원터치 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서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과; 상기 약통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내부에 알약을 보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약통 용기의 공간을 한정하여 알약이 유동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는 보조 분리막과; 상기 약통 용기와 보조 분리막 사이에 설치되어 방습작용을 하는 방습제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A Tablet Container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from Tablet Rocking}
본 발명은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통 내부에 보조 분리막을 더 설치하되, 다양한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하여 약통 내부에 존재하는 알약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알약이 약통 벽면에 부디쳐 발생하는 깨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등와 같은 상비약, 또는 비타민제, 다시마환 등과 같은 기타 건강보조약제는 알약 또는 환약의 형태로 제조되며, 그 효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 식후 또는 식전에, 예를 들어 10알씩 소정의 갯수로 규칙적으로 복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알약 또는 환약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되어 판매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알약보관용기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알약 또는 환약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알약을 담기 위한 용기로는 공개특허 제 10-2012-96798호에 잘 설명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부에 도 2와 같이 알약이 담겨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통의 구조는 다수개의 알약이 담길 경우 용기 본체의 벽면에 알약이 부디치면서 깨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알약통은 1개의 하우징 구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알약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유격이 커서 벽면에 충돌될 경우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특히 단단한 재질의 알약일 경우에 부디치는 거리가 늘어나게 되면 보다 쉽게 부셔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습기 제거제를 삽입한 경우 상기 습기 제거제가 별도의 공간부에 존재하지 않아서 손에 닿을 경우 오염을 일으켜 위생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약통 내부에 보조 분리막을 더 삽입 설치하여 상기 보조 분리막에 의해서 알약이 움직일 수 있는 거리에 제한을 둠으로서 알약의 유동으로 인한 깨짐을 미연에 방지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습기 제거제를 별도의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알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뚜껑부에 열선을 더 삽입 설치하여 뚜껑을 연 상태에서 이를 체크하여 일정시간동안 열선을 가열시켜 용기본체 내부에 습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약통 용기(10)와; 상기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원터치 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서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20)과; 상기 약통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내부에 알약을 보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약통 용기의 공간을 한정하여 알약이 유동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는 보조 분리막(30)과; 상기 약통 용기와 보조 분리막 사이에 설치되어 방습작용을 하는 방습제(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바닥면(31)과 하부 측벽(3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31)에는 다수개의 홀(31a)을 형성하고, 아울러 하부 측벽(32)에도 다수개의 홀(32a)을 형성하여 중앙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그리고 측면 공간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칸막이(34)로서 수평바를 덧대어 2분할하거나, 또는 와이자(Y) 형태의 바를 덧대어 3분할하거나, 또는 십자형 바를 덧대어 4분할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 분리막(3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원뿔형 돌기(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뚜껑(20)에는 냉각수단(5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수단(50)은, 뚜껑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1)와, 뚜껑을 닫으면 이를 센싱하는 압력감지센서(52) 및, 상기 압력감지 센서가 작동되면 온도센서의 온도값을 파악하여 기준이상이면 동작되는 열전소자(53) 및, 제어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4)는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약통 내부가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작동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냉기를 약통 용기 내부에 전달함으로서 약통 용기 내부를 냉각시키는 동작모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약통 내부에 보조 분리막을 더 삽입 설치하여 상기 보조 분리막에 의해서 알약이 움직일 수 있는 거리에 제한을 둠으로서 알약의 유동으로 인한 깨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습기 제거제를 별도의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알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부에 열선을 더 삽입 설치하여 뚜껑을 연 상태에서 이를 체크하여 일정시간동안 열선을 가열시켜 용기본체 내부에 습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토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알약 약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통 용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약통 용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2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3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4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뚜껑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뚜껑을 오픈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알약을 투입하는 상태의 담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알약을 투입후 뚜겅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방습제를 다수개 삽입한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실제 구성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의 냉각수단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통 용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약통 용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2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3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4분할된 칸막이를 적용한 약통 용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뚜껑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뚜껑을 오픈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알약을 투입하는 상태의 담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알약을 투입후 뚜겅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방습제를 다수개 삽입한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실제 구성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의 냉각수단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약통 용기(10)와, 뚜껑(20)과, 보조 분리막(30)과, 방습제(40)와, 냉각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약통 용기(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알약을 담을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은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원터치 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서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한다.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약통 용기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약통 용기의 공간을 한정하여 알약이 유동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바닥면(31)과 하부 측벽(3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31)에는 다수개의 홀(31a)을 형성하고, 아울러 하부 측벽(32)에도 다수개의 홀(32a)을 형성하여 중앙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그리고 측면 공간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보조 분리막(3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원뿔형 돌기(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뿔형 돌기(33)에 위해서 알약이 분리되어 건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칸막이(34)로 분리막을 형성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구획할 수 있는바, 수평바를 덧대어 2분할하거나, 와이자(Y) 형태의 바를 덧대어 3분할하거나 십자형 바를 덧대어 4분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하게 되면 알약이 벽면에 부디치는 일을 더욱 줄여 주어서 알약이 깨지는 것을 보다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습제(40)는 하부 공간부 또는 측면 공간부에 설치되며, 보조 분리막(30)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알약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냉각수단(50)은 뚜껑(20)의 몸체를 통해 설치되며, 뚜껑을 열어서 알약을 사용자가 사용하고 이후 다시 뚜껑을 닫으면 이를 센싱하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작동시켜 약통 용기 내부를 냉각시킨다.
즉, 본원발명의 냉각수단은, 온도센서(51)와, 압력감지센서(52)와, 열전소자(53)와 제어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현재 뚜껑을 닫은 상태인지를 파악하고, 온도감지 센서를 통해 뚜껑 내부의 온도를 파악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현재 뚜껑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열전소자를 가동하여 냉각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열전소자(53)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소자의 일종인 펠티어소자(Peltier Element)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기는 전선(1)을 통해 접촉금속판(2)을 거쳐 N형 반도체소자(4)로 전달되어 연결금속판(3)과 P형반 도체소자(5)를 거쳐 다른 접촉금속판(2)을 흐르게 되는데, 이때 P형반도체소자(5)와 N형반도체소자(4)의 상기 접촉금속판(2) 쪽에는 방열현상이 일어나는 반면, 상기 연결금속판(3) 쪽에서는 흡열현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작용하는 복수개의 펠티어소자를 이용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53)를 만들게 되며, 개별적인 열전반도체소자들(4),(5)이 흡열판(6)과 방열판(7)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약통 용기(10)와, 뚜껑(20)과, 보조 분리막(30)과, 방습제(40)와, 냉각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약통 용기(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구조이다.
상기 뚜껑(20)은 약통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잊어버릴 염려가 없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상부의 너비가 더 크고 하부의 너비가 작은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며, 뚜껑의 내부에 강제 결합시켜 한번 결합후에는 분리가 되지 않토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분리막(30)과 약통 용기(10)의 공간부 사이에는 방습제(40)를 적절히 배치하여 보조 분리막의 공간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적절히 제거토록한다.
그리고, 뚜껑(20)에는 냉각수단(50)을 부가할 수 있는바, 이는 필요에 따라 냉장보관해야하는 약을 약통 용기(10)에 보관하여 가지고 다닐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약통 용기에 알약을 삽입한 후에 등산이나 낚시 또는 여행시에 상기 냉각수단(50)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킨 상태로 알약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장 핵심 구성요소는 보조 분리막(30)인바,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용기 본체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하게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바닥면(31)과 측벽(3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필요에 따라 2분할이나 3분할 또는 4분할하여 크기와 형태가 서로 상이한 알약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조 분리막(30)의 내주면에는 돌기(33)를 형성하여 알약이 바닥면이나 측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토록 구성하였다.
즉, 알약의 몸체가 직접 보조 분리막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면 공기의 원할한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습기가 알약으로 흡수될 수 있어서 알약의 유통기한이 짧아지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보조 분리막(30)의 내주면에 돌기(33)를 형성하여 알약이 보조 분리막(30)의 내주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토록하여 알약이 습기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분리막(30)의 하단부는 다수개의 홀(31a)을 형성되고, 또한 측벽(32)에도 다수개의 홀(3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홀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며, 아울러 보조 분리막(30)과 용기 본체(10) 사이 공간부에 방습제(40)를 삽입하기 때문에 보조 분리막(30)의 공간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약을 냉각 보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냉각수단(50)을 가동하여 보조 분리막 내부의 공간부의 온도가 일정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보조 분리막 내부의 공간부 온도를 체크하고, 뚜껑이 닫힌 상태를 체크하여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온도이면 열전 반도체를 가동하여 보조 분리막의 공간부가 일정이하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동작시킨다.
즉, 상기 뚜껑(20)에는 냉각수단(5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수단(50)은, 뚜껑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1)와, 뚜껑을 닫으면 이를 센싱하는 압력감지센서(52) 및, 상기 압력감지 센서(52)가 작동되면 온도센서(51)의 온도값을 파악하여 기준이상이면 동작되는 열전소자(53) 및, 제어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4)는 뚜껑(20)이 닫힌 상태에서 약통 용기(10) 내부가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작동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냉기를 약통 용기(10) 내부에 전달함으로서 약통 용기(1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동작모드를 갖는다.
10: 약통 용기
20: 뚜껑
30: 보조 분리막
31: 바닥면
32: 하부 측벽
33: 원뿔형 돌기
34: 칸막이
40: 방습제
50: 냉각수단
51: 온도센서
52: 압력감지센서
53: 열전소자
54: 제어부

Claims (5)

  1.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약통 용기(10)와;
    상기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원터치 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서 약통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20)과;
    상기 약통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내부에 알약을 보관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약통 용기의 공간을 한정하여 알약이 유동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는 보조 분리막(30)과;
    상기 약통 용기와 보조 분리막 사이에 설치되어 방습작용을 하는 방습제(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바닥면(31)과 하부 측벽(3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31)에는 다수개의 홀(31a)을 형성하고, 아울러 하부 측벽(32)에도 다수개의 홀(32a)을 형성하여 중앙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그리고 측면 공간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막(30)은 칸막이(34)로서 수평바를 덧대어 2분할하거나, 또는 와이자(Y) 형태의 바를 덧대어 3분할하거나, 또는 십자형 바를 덧대어 4분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막(3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원뿔형 돌기(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에는 냉각수단(5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수단(50)은, 뚜껑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1)와, 뚜껑을 닫으면 이를 센싱하는 압력감지센서(52) 및, 상기 압력감지 센서가 작동되면 온도센서의 온도값을 파악하여 기준이상이면 동작되는 열전소자(53) 및, 제어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4)는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약통 내부가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작동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냉기를 약통 용기 내부에 전달함으로서 약통 용기 내부를 냉각시키는 동작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KR20130110461A 2013-09-13 2013-09-13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KR20150031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461A KR20150031013A (ko) 2013-09-13 2013-09-13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461A KR20150031013A (ko) 2013-09-13 2013-09-13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013A true KR20150031013A (ko) 2015-03-23

Family

ID=5302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461A KR20150031013A (ko) 2013-09-13 2013-09-13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0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61B1 (ko) 2019-03-04 2020-09-0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약통
KR20200106384A (ko)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KR20200106470A (ko)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CN112722539A (zh) * 2020-11-27 2021-04-30 安徽金秋肥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肥料结块的肥料生产用储存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61B1 (ko) 2019-03-04 2020-09-0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약통
KR20200106384A (ko)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KR20200106470A (ko)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CN112722539A (zh) * 2020-11-27 2021-04-30 安徽金秋肥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肥料结块的肥料生产用储存装置
CN112722539B (zh) * 2020-11-27 2023-11-07 安徽金秋肥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肥料结块的肥料生产用储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1013A (ko)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KR101907142B1 (ko) 음료 용기용의 수소 봉입 캡
US9321570B2 (en) Stopper for food-beverage container which contains functional additive
TWI791584B (zh) 防潮容器及製造和使用彼之方法
US8397946B2 (en) Cartridge based dispenser system
PT82687B (pt) Acondicionamento estanque sob a forma de placa alveolar que permite permutas gasosas entre os alveolos
AU2011315230B2 (en) Desiccant container
BRPI0616900A2 (pt) dispositivo para embalagem e distribuição de corpos moldados sólidos, especialmente comprimidos orais ou/e cápsulas
US20050263430A1 (en) Container for effervescent tablets
JP6390895B2 (ja) 錠剤容器
CN113784898A (zh) 内容物容器
JPH11189280A (ja)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RU2005138854A (ru) Размещающий корпус для проглатывания твердой формы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ема, контейнер для размещающего корпуса и способ проглатывания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KR20140085029A (ko) 용기뚜껑
CN106043878A (zh) 一种独立双腔组合防潮容器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CN203064418U (zh) 防潮药瓶
JP6473006B2 (ja) 錠剤取出用具
JP2008161513A (ja) 錠剤収容容器
KR101972392B1 (ko) 배출부 커버부를 구비한 포장재
CN207258339U (zh) 一种多重保护的药品储存装置
CN211610755U (zh) 一种容纳颗粒药物的瓶盖
KR200360697Y1 (ko) 뚜껑을 이용한 삼중용기
CN218559590U (zh) 一种防潮式维生素胶囊存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