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70A - 약통 - Google Patents

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470A
KR20200106470A KR1020200108702A KR20200108702A KR20200106470A KR 20200106470 A KR20200106470 A KR 20200106470A KR 1020200108702 A KR1020200108702 A KR 1020200108702A KR 20200108702 A KR20200108702 A KR 20200108702A KR 20200106470 A KR20200106470 A KR 2020010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gnetic member
medicine
protrusion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707B1 (ko
Inventor
이은실
박광수
김명재
최민석
최혜민
김기표
김열중
옥정민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48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1261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10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및 약제가 보관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별개로 휴대 가능한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바디; 및 상기 제1 용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용기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제1 용기 캡부는 자력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약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통{A DRUG CONTAINER}
본 발명은 약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및 약제가 보관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별개로 휴대 가능한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바디; 및 상기 제1 용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용기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제1 용기 캡부는 자력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약통에 관한 것이다.
약제, 건강 식품, 또는 각종 식료품, 전자 제품 등의 각종 내용물을 내장하는 보관 용기의 경우, 내용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소정의 약제와 같이 정기적으로 섭취가 이루어지는 제품을 복용할 경우, 복용자는 자신의 복용 스케쥴과 복용 여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혈압, 당뇨, 갑상선 등의 질환의 경우 매일 정기적인 약제 복용이 필요한데, 자신의 복용 여부를 기억하지 못하여 복용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질환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 어려운 관계로 장기 출장, 여행 등의 경우 내용물을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사용 스케쥴 등의 내용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보관 용기가 필요하다. 아울러, 내용물을 보관할 뿐만 아니라 소량을 선택적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보관용 용기와 휴대용 용기가 서로 편리하게 탈부착되도록 하는 보관 용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5-0031013호
본 발명은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및 약제가 보관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별개로 휴대 가능한 제2 용기;를 포함하는 약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 사이의 탈부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약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품의 복용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약통에 표시부 및 지시부가 마련된 약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하면서 입체적인 약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약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은, 약제가 투입되어 보관되는 약통에 있어서,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및 약제가 보관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별개로 휴대 가능한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바디; 및 상기 제1 용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용기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제1 용기 캡부는 자력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용기 캡부와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함몰된 함몰구를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함몰구에 내삽되도록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갖는 돌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외측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표시부를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도록 표시된 지시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함몰구 또는 돌출구의 외측 둘레를 구성하는 상면 둘레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용기 캡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상면 둘레부에 형성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표시부는 서로 소정의 사이각을 갖고 배열되며 각각 요일 정보를 표시하는 7 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표시부는, 각각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며 소정의 기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몰구 내에는 제1 자성 부재가 내장되는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구 내에는 제2 자성 부재가 내장되는 제2 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홈은 상기 돌출구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몰구에는, 상기 함몰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1 자성 부재, 및 상기 함몰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자성 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2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구에는, 상기 돌출구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자성 부재와 자력 결합되는 제2-1 자성 부재, 및 상기 돌출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자성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자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제2 용기의 배향을 결정하는 제2-2 자성 부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2 자성 부재는, 상기 제1-1 자성 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7 개가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구는 정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몰구는 상기 돌출구가 내삽되도록 정다각형 홈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함몰구는 7 개의 각을 갖는 정칠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한 제2 용기가 마련됨으로서, 소량의 약제를 제2 용기에 보관하여 휴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서로 자력에 의해서 탈착 가능함으로서, 안정적인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약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및 지시부가 마련되어, 약제의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및 지시부는 약제의 복용 스케쥴을 표시함으로서, 약제의 복용 여부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통은 정확하면서 입체적인 약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와 도 1 의 제1 용기 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도 1 의 제1 용기 캡부를 아래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4 은 도 2 의 제1 용기 캡부의 A-A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제2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제1 용기 캡부와 제2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에서, 제1 용기 캡부 상에 제2 용기가 결합되어, 제2 용기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제1 용기 캡부 및 제1 용기 캡부 상에 결합된 제2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제1 용기 캡부 및 제2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통의 제1 용기 캡부 및 제 제2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약제가 투입되어 보관되는 약통(1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다른 내용물을 담는 보관 용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약제 외에 식료품, 전자 제품 등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약통(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2 내지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약통(10)의 제1 용기 캡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 는 도 1 의 제1 용기 캡부(200)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도 1 의 제1 용기 캡부(200)를 아래에서 본 것이며, 도 4 은 도 2 의 제1 용기 캡부(200)의 A-A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의 제2 용기(2)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약통(10)은, 제1 용기(1), 및 제2 용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용기(1)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용기(1)는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110)을 갖는 제1 용기 바디(100), 및 상기 제1 용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1 공간(110)을 개폐하는 제1 용기 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용기 바디(100)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제1 공간(110)을 갖는다. 제1 공간(110) 내에 약제가 일정량 보관될 수 있다. 제1 공간(110)은 일 부분이 오픈되어 있으며, 제1 용기 캡부(2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제1 용기 캡부(200)는 상기 제1 용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1 용기 바디(100)에 구비된 제1 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용기 캡부(200)와 제1 용기 바디(100)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용기 바디(100)와 제1 용기 캡부(200)에는 각각 나사 결합부(120, 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 캡부(200)는 함몰구(210), 제1 자성 부재(220), 및 표시부(230)를 가질 수 있다.
함몰구(210)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에 소정의 면적 및 깊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며, 함몰구(21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 또는 정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구(210)의 외측 둘레에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의 외측 둘레 부분을 구성하는 링 형태의 상면 둘레부(212)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면 둘레부(212)의 하부에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외측 둘레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부재(220)는 상기 함몰구(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자성 부재(220)는 상기 함몰구(2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220)는 스스로 자성을 가져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자성 부재(220)는 외부의 자기장에 의해서 자성을 가질 수 있는 자성체로서, 예컨대 철제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부재(220)는 상기 함몰구(210) 내에 고정되되 고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구(210)의 바닥면에 소정의 제1 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216) 내에 상기 제1 자성 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함몰구(210)와 제1 자성 부재(220) 사이를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자성 부재(220)를 덮어서 함몰구(210)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216)은 함몰구(210)의 아래쪽 면(후술하는 돌출구(320)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내용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약 복용 스케쥴, 복용 여부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소정의 문자,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외측 둘레부(214), 및 상면 둘레부(212)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30)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외측 둘레부(214)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부(230)는 일주일을 나타내는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용기(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용기(2)는, 소정의 용적의 제2 공간을 갖는 제2 용기 바디(300)와 상기 제2 공간을 개폐하는 제2 용기 캡부(310)를 갖는다. 제2 공간 내에 약제가 일정량 보관될 수 있다. 제2 용기(2)는 제1 용기(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용기(2)는, 원통형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용기 캡부(20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아울러 제1 용기 캡부(200) 보다 작은 상면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용기 바디(300)의 하부에는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구(3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구(320)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형 또는 정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구(320)의 외경은 함몰구(210)의 내경 이하의 크기를 가져서, 상기 돌출구(320)가 상기 함몰구(21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돌출구(320)에는 제2 자성 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자성 부재(330)는 상기 돌출구(32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자성 부재(330)는 스스로 자성을 가져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일 수도 있다. 또는, 제2 자성 부재(330)는 외부의 자기장에 의해서 자성을 가질 수 있는 자성체로서, 예컨대 철제 부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용기 캡부(200)에 구비된 제1 자성 부재(220)가 자석일 경우, 제2 자성 부재(330)는 자성체이며, 제1 자성 부재(220)가 자성체일 경우에는 제2 자성 부재(330)는 자석일 수 있다. 물론, 제1 자성 부재(220)와 제2 자성 부재(330)가 모두 자석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자성 부재(330)는 상기 돌출구(320) 내에 고정되되 고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구(320)의 바닥면에 소정의 제2 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322) 내에 상기 제2 자성 부재(330)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돌출구(320)와 제2 자성 부재(330) 사이를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제2 자성 부재(330)를 덮어서 돌출구(320)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에 제1 자성 부재(220)가 구비되며, 제2 용기(2)의 바닥면에 제2 자성 부재(330)가 구비됨으로서, 제1 용기(1)와 제2 용기(2)가 서로 자력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홈(216)은 상기 돌출구(320)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기(1)가 제2 용기(2)와 결합되었을 때 제1 자성부재(220)-함몰구(210)-제2 자성부재(330)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자성부재(220)와 제2 자성부재(330)가 서로 맞닿지 않고, 함몰구(210)를 사이에 두고 자력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기(1)와 제2 용기(2)의 탈부착 시 제1 자성부재(220)와 제2 자성부재(330)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용기(2)의 둘레면에는 지시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시부(340)는 일 지점을 표시하는 소정의 표시로서, 예컨대, 화살표 모양, V 모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시부(34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한편, 돌출구(320) 및 함몰구(210)와 관련하여, 위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에 함몰구(210)가 형성되며, 제2 용기(2)에 돌출구(32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즉,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에 돌출구(320)가 형성되며 제2 용기(2)에 함몰구(2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컨대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둘레부(212)는 돌출구(320)의 외측에 형성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2 용기(2)는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 뿐만 아니라 다른 임의의 위치(예컨대, 바닥부 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의 제1 용기 캡부(200)와 제2 용기(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에서,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제2 용기(2)가 결합되어, 제2 용기(2)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약통(10)의 결합 구조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용기(2)는 제1 용기(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용기(2)는 제1 용기(1)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져서 휴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소정의 용량의 약제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용기(2)의 원통형 돌출구(320)가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에 마련된 원형 함몰구(210)에 내삽되는 형태로 제2 용기(2)가 제1 용기(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2)는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에 자력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용기 캡부(200)에 구비된 제1 자성 부재(220)와, 제2 용기(2)에 구비된 제2 자성 부재(33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가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결합된 상태로 화살표 R1 과 같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제1 용기 캡부(200)를 제2 용기(2)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 상태로 보관 가능하여, 제2 용기(2)의 분실 위험이 경감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용기(2)가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2 용기(2)가 제1 용기 캡부(20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함으로서, 지시부(340)가 표시부(230)의 특정 문자를 선택적으로 가리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230)와 지시부(340)를 사용하여 약 복용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2)는 제1 용기(1)의 제1 용기 캡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제2 용기(2)와 제1 용기 캡부(200)가 하나의 캡 결합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약통(1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에 적절한 크기를 갖는 제2 용기(2)가 제1 용기(1)의 다른 부분에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서, 더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2)는 제1 용기 캡부(200)보다 작은 직경, 및 상면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2)가 제1 용기 캡부(200) 상의 함몰구(21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의 함몰구(210) 주변의 상면 둘레부(212)가 상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230)는 제1 용기 캡부(200)의 외측 둘레부(214) 뿐만 아니라,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 둘레부(212)에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230)가 구비될 수 있는 부분이 2 부분 이상 마련되어, 약 복용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약통의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의 제1 용기 캡부(200) 및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결합된 제2 용기(2)를 나타낸 것으로서, 표시부(2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에 의하면, 표시부(230)는, 외측 둘레부(214)에 구비되는 제1 표시부(232), 및 상면 둘레부(212)에 구비되는 제2 표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용기 캡부(200)의 외측 둘레부(214)에 구비된 제1 표시부(232)는 제1 정보(예컨대, 요일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1 용기 캡부(200)의 상면 둘레부(212)에 구비되는 제2 표시부(234)에는 제2 정보(예컨대, 복용 여부(예컨대, ○, X 표시), 또는 복용 약제의 종류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에 관한 정보를 더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약 복용스케쥴 및 약 복용 여부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제1 표시부(232)는 일주일을 나타내는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을 포함하는 7 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표시부(234)는 상기 제1 표시부(232)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의 제1 용기 캡부(200) 및 제2 용기(2)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10 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용기 캡부(200)에 구비된 제1 자성 부재(220)는, 함몰구(2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1 자성 부재(240), 및 상기 함몰구(21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자성 부재(24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2 자성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2 자성 부재(244)는, 제1-1 자성 부재(24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2 자성 부재(244)는 7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기(2)에 구비된 제2 자성 부재(330)는, 상기 돌출구(3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1 자성 부재(352), 및 상기 돌출구(32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자성 부재(352)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2 자성 부재(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가 상기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결합될 때, 상기 제1-1 자성 부재(240)는 상기 제2-1 자성 부재(352)에 자력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2-2 자성 부재(354)는, 상기 복수 개의 제1-2 자성 부재(24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자력 결합된다.
즉, 제1 용기 캡부(200) 상에 제2 용기(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용기(2)를 제1 용기 캡부(200)에 대해서 상대 회전시켜서, 복수 개의 제1-2 자성 부재(244) 중 어느 하나가 제2-2 자성 부재(354)에 자력 결합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 자성 부재(244)와 제2-2 자성 부재(354) 사이의 자력 결합에 의해서 제2 용기(2)의 배향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앞서 설명된 실시 형태에 비해서, 제2 용기(2)의 배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시부(340)가 표시부(230)의 특정한 정보를 가리키는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 복용 정보를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제1-2 자성 부재(244)의 외측에 위치한 외측 둘레면(214) 부분에 표시부(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 자성 부재(354)의 외측 둘레면 부분에 지시부(34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부(340)가 하나의 표시부(230)를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다. 아울러,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쉽게 제2 용기(2)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 은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약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에 의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돌출구(320)는 정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몰구(210)는 상기 돌출구(320)가 내삽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정다각형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구(320)와 함몰구(210)는 7 개의 각을 갖는 정칠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제2 용기(2)의 배향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용기 캡부(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 용기(2)를 제1 용기 캡부(200)에 결합시킬 때, 제2 용기(2)에 구비된 지시부(340)가 제1 용기 캡부(200)에 구비된 표시부(230)의 특정 문자를 선택하여 지시하는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처음 설명된 실시 형태에 비해서, 제2 용기(2)의 배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시부(340)가 표시부(230)의 특정한 정보를 가리키는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 복용 정보를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제1 용기
2: 제2 용기
10: 약통
100: 제1 용기 바디
110: 제1 공간
120: 나사 결합부
200: 제1 용기 캡부
202: 나사 결합부
210: 함몰구
212: 둘레부
214: 외측 둘레부
216: 제1 홈
220: 제1 자성 부재
230: 표시부
232: 제1 표시부
234: 제2 표시부
240: 제1-1 자성 부재
244: 제1-2 자성 부재
300: 제2 용기 바디
310: 제2 용기 캡부
320: 돌출구
322: 제2 홈
330: 제2 자성 부재
340: 지시부
352: 제2-1 자성 부재
354: 제2-2 자성 부재

Claims (12)

  1. 약제가 투입되어 보관되는 약통에 있어서,
    약제가 보관되는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및
    약제가 보관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별개로 휴대 가능한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을 갖는 제1 용기 바디; 및
    상기 제1 용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용기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제1 용기는 자력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캡부와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함몰된 함몰구를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함몰구에 내삽되도록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갖는 돌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한 약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외측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표시부를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도록 표시된 지시부를 갖는 약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함몰구 또는 돌출구의 외측 둘레를 구성하는 상면 둘레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용기 캡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용기 캡부의 상면 둘레부에 형성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약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서로 소정의 사이각을 갖고 배열되며 각각 요일 정보를 표시하는 7 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약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각각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며 소정의 기호를 포함하는 약통.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구 내에는 제1 자성 부재가 내장되는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구 내에는 제2 자성 부재가 내장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약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돌출구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되는 약통.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구에는,
    상기 함몰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1 자성 부재, 및
    상기 함몰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자성 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2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구에는,
    상기 돌출구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자성 부재와 자력 결합되는 제2-1 자성 부재, 및
    상기 돌출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자성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자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제2 용기의 배향을 결정하는 제2-2 자성 부재가 구비되는 약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자성 부재는,
    상기 제1-1 자성 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7 개가 배열되는 약통.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는 정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몰구는 상기 돌출구가 내삽되도록 정다각형 홈 형상을 갖는 약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와 상기 함몰구는 7 개의 각을 갖는 정칠각형 형상을 갖는 약통.
KR1020200108702A 2019-03-04 2020-08-27 약통 KR10230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02A KR102302707B1 (ko) 2019-03-04 2020-08-27 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857A KR102151261B1 (ko) 2019-03-04 2019-03-04 약통
KR1020200108702A KR102302707B1 (ko) 2019-03-04 2020-08-27 약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857A Division KR102151261B1 (ko) 2019-03-04 2019-03-04 약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70A true KR20200106470A (ko) 2020-09-14
KR102302707B1 KR102302707B1 (ko) 2021-09-15

Family

ID=7247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02A KR102302707B1 (ko) 2019-03-04 2020-08-27 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28A (ja) * 1997-07-02 1999-01-26 Senhou Fudosan Kk 積層連結容器
KR20110121047A (ko) * 2010-04-30 2011-11-07 최지연 식품용기를 이용한 장난감 블록
JP2013085627A (ja) * 2011-10-14 2013-05-13 Yamada:Kk ドラム式表示装置
KR20150031013A (ko) 2013-09-13 2015-03-23 강명석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KR20180052477A (ko) * 2016-11-10 2018-05-18 이서영 알약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28A (ja) * 1997-07-02 1999-01-26 Senhou Fudosan Kk 積層連結容器
KR20110121047A (ko) * 2010-04-30 2011-11-07 최지연 식품용기를 이용한 장난감 블록
JP2013085627A (ja) * 2011-10-14 2013-05-13 Yamada:Kk ドラム式表示装置
KR20150031013A (ko) 2013-09-13 2015-03-23 강명석 알약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알약 약통
KR20180052477A (ko) * 2016-11-10 2018-05-18 이서영 알약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07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384B2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having time-date indicators
US7886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dosage time
US8146528B2 (en) Manual prescription use recording device
US20230270628A1 (en) Medication Case for Tracking Medication use
US9021981B2 (en) Pill reminder wheel
US20140209489A1 (en) Medicine dispensing record system
US9855193B2 (en) Reminder identification article
US20210338530A1 (en) Method for improving a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s with the aid of a portable dispenser system
US9597262B2 (en) Medication administration tracker
JP2011209726A (ja) 液体薬剤容器に貼付するラベル、および容器
KR20200141737A (ko) 스마트 약통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약복용 모니터링 방법
KR102151261B1 (ko) 약통
KR20200106470A (ko) 약통
KR102161291B1 (ko) 약통
CN104609038A (zh) 一种可随身携带的智能药盒
US20120239419A1 (en) Medical Information Disk and Cap device
JP3199139U (ja) カレンダー型の投薬収納器具
US9021980B1 (en) Dosage indicator
JP2014004305A (ja) ダイヤル式カレン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薬品容器
JP3134988U (ja) 救命救急のための携帯用収納具
CN209112618U (zh) 一种新型科室用急救药品存放盒
US20150194080A1 (en) Magnet-Controlled Changeable Message Sign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07258336U (zh) 记忆容器盖和记忆容器
WO2022116220A1 (zh) 一种链式便携药盒
KR200460144Y1 (ko) 의약품 포장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