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811A -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811A
KR20150030811A KR20130109624A KR20130109624A KR20150030811A KR 20150030811 A KR20150030811 A KR 20150030811A KR 20130109624 A KR20130109624 A KR 20130109624A KR 20130109624 A KR20130109624 A KR 20130109624A KR 20150030811 A KR20150030811 A KR 20150030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nfc tag
information
product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125B1 (ko
Inventor
이민경
Original Assignee
이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경 filed Critical 이민경
Priority to KR102013010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1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NFC 판독 단말기가,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를 태깅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하는 NFC 태그 판독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진 횟수인 NFC 태깅 횟수를 1회 추가하는 업데이트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업데이트된 NFC 태깅 횟수를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NFC 태그 관리 서버는 수신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을 위한 SNS 로그인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창이 포함된 NFC 정보창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제 입력창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Method for buying and certificating place of origin}
본 발명은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 구매 시에 소비자로 하여금 원산지 인증을 하게 하여 안심하고 상품 구매를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원산지가 중요한 포도주나 농수축산물 등과 같은 상품의 구매에 있어서, 진품을 사고자 하는 소비자나 구매자가 직접 그 상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식별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 보면, 소비자 또는 구매자가 구입한 가짜 상품으로 인하여 자사 제품 또는 제품의 이미지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농수축산물의 경우 우리의 식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원산지의 진위 여부는 중요한 구매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방안으로서, 특정한 식별수단(상표, 홀로그램, 전화 확인코드 등)이 상품에 표기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상품은 물론 식별수단까지 모방하여 위조상품을 생산하여 유통시키기 때문에, 소비자는 모조품 또는 유사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분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마크, 로고 등에 의한 진품 확인방법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모방 또는 도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또 다른 방안으로서 RFID칩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RFID칩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은 고가의 RFID칩의 가격으로 대중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RFID칩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은 제품에 부착된 메모리 칩을 이용하면 가짜 제품이 정품으로 인식되기는 쉽고 위조가 더욱더 쉬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너무 쉽게 위조가 가능하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RFID칩에 인식된 정보를 믿고 정품 제품으로 오인하여 구매하는 결과를 낳아 소비자에게 큰 피해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불법 구매자가 저가 상품에 부착된 RFID칩을 고가 상품에 부착된 칩과 바꿔서 결제 NFC 판독 단말기를 통과하게 되면, 결제 NFC 판독 단말기는 저가 상품으로 인식하여 가격이 책정되어 계산되기 때문에 판매자에게 큰 피해가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제품에 RFID칩을 삽입하여 판매와 동시에 판매자가 RFID칩을 회수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124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품의 위조를 판별할 수 있는 원산지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산지 인증에 사용되어 유통 기한이 지난 NFC 태그의 사용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산지 인증에 사용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품 판매의 경로 추적을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결제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NFC 판독 단말기가,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를 태깅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하는 NFC 태그 판독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진 횟수인 NFC 태깅 횟수를 1회 추가하는 업데이트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업데이트된 NFC 태깅 횟수를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NFC 태그 관리 서버는 수신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을 위한 SNS 로그인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창이 포함된 NFC 정보창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제 입력창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상기 상품 정보창에 NFC 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사진, 상품의 진품 여부, 판매자 정보, 판매점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결제 입력창에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의 선택 및 결제 정보 입력 필드를 상기 결제 입력창에 표시한다.
상기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 조회 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이전의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 경우, 상기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 중에서 이전의 구매한 상품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상기 NFC 정보창을 표시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상기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을 통해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되는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로그인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들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방문자 계정 사이트에 상기 상품의 상품 광고 정보, 할인 쿠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상기 NFC 태그에는 NFC 태그의 유통기한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를 태깅한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유통기한 지난 NFC 태그의 태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이라는 메시지를 상기 상품 정보창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상기 NFC 태깅 횟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NFC 태그 판독 과정이 있은 후에,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를 판독한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수신한 NFC 태그 식별 정보와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날짜별로 NFC 태그의 유통 경로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위조된 상품이 아닌 진품을 식별할 수 있어 건전한 상거래 문화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기한이 지난 NFC 태그의 내장 정보를 폐기하도록 함으로써, NFC 태그의 악용 의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상품의 판매 운반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의 상품 판매 이력을 활용하여 결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산지 인증 및 구매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사용하는 NFC 판독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판독 단말기에서 NFC 정보창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FC 태그를 이용하여 원산지 인증 및 구매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품에 NFC 태그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겠으나, 상품뿐만 아니라 상품 커버, 상품 보호 박스, 상품 보호 하우징 등의 상품의 부속품에 NFC 태그가 부착된 경우에도 상품에 NFC 태그가 부착된 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산지 인증 및 구매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사용하는 NFC 판독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판독 단말기에서 NFC 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술은 무선 태그 기술 중 하나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술이다. 상술하면, NFC 통신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칩을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판독기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를 위하여 NFC 통신 기술은 NFC 태그와 NFC 판독기를 구비한다. NFC 태그에는 필요한 정보가 쓰여지거나 삭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NFC 태그에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등 적어도 하나 이상 기록되고, 이러한 NFC 태그(100)가 상품(10)에 부착된다. NFC 태그(100)는 판독되었을 때 태그 파손 등의 이유로 반응을 안 하는 경우가 0.001%에 불과하다. 특수 태그를 사용하여 충격이나 스크래치 시에도 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NFC 태그(100)의 스티커만 위조할 경우, NFC 태그(100)가 판독되면 판독기에 아무런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NFC 태그(100)는, 모든 태그에는 암호화된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태그 자체를 복제하는 것은 위조지폐를 만드는 수준의 고도화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복제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설령 위조를 한다 해도 스마트폰으로 위조 태그를 읽으면 진품 인증마크가 나타나지 않고 위조품 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NFC 판독기가 구비된 NFC 판독 단말기(300)는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판독하여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제품 박스에 있는 NFC 태그(100)에 스마트폰을 태깅하여, 화면에 진품 인증 마크, 생산자 정보, 생산일자, 유통기한 등 제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NFC 판독기가 구비된 NFC 판독 단말기(300)는 NFC 태그(100)에 기록된 정보들을 수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태깅하여 해당 상품(10)이 진품인지 아니면 위조품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독되는 정보들은 NFC 판독 단말기(300)를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FC 태그 관리 서버(200), NFC 판독 단말기(300), 유무선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망(400)은 NFC 판독 단말기(300)와 NFC 태그 관리 서버(200)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400)은 유무선 이동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판독 단말기(300)와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상호 간에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광고물 및 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부(210),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 전자 지도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통신부(210)는 NFC 판독 단말기(300)와의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송수신을 수행한다. 데이터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판독 단말기(300)로부터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를 수신하여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에는 NFC 판독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는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를 통하여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의 위치 정보, NFC 태깅 횟수를 알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품 추적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태깅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는, 곧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의 위치 정보에 해당된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의 위치 정보로서 간주하여 상품(10) 추적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상품(10)에 부착되는 NFC 태그(100)는 고유의 NFC 태그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리 등록한 상품별로 할당된 NFC 태그 식별 정보의 맵핑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신되는 NFC 태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10)의 종류를 특정지울 수 있다.
전자 지도 생성부(230)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날짜별로 NFC 태그(100)의 유통 경로를 표시한 전자 지도를 생성한다.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에 대하여 NFC 태깅이 이루어질 때마다 판독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가 NFC 태그 관리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러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즉,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에 표시하여 상품(10)의 이동 경로를 전자 지도상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다른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다양한 마켓팅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전자 지도는 구글맵, 아이폰맵, T맵 등과 같이 전자 파일 형태의 위치기반 지도 데이터이다. 위치 기반의 전자 지도는, 전자 지도 내의 각 지점마다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어, 특정 위치 지점을 전자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NFC 판독 단말기(300)는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판독하여,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 등을 표시창에 표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NFC 판독 단말기(300)는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 이외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NFC 판독 단말기(300)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디지털방송용 NFC 판독 단말기(3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과 같이 NFC 태그 관리 서버(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NFC 판독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부(302), 데이터처리부(304), 오디오처리부(306), 마이크(309), 스피커(308), 입력부(310), 표시부(360),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 SNS 광고 처리부(340), 위치 파악부(350), NFC 판독부(330)를 포함한다.
RF부(302)는 NFC 태그 관리 서버(200)와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302)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304)는 NFC 태그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이밖에 NFC 태그(100)를 통하여 판독하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NFC 태그(100)의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등을 데이터 패킷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처리부(304)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패킷 등을 처리하여 음성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306)는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308)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309)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304)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309)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며, 스피커(308)는 오디오처리부(306)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부(310)는 구매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창을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부(310)는 키 또는 숫자들의 키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하여 터치 입력 형태로 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NFC 태그(100)에서 판독되는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60)는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391),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392), 문의창(393),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창이 포함된 NFC 정보창을 포함한다.
상품 정보창(391)에는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의 사진, 상품(10)의 진품 여부, 판매자 정보, 판매점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품 정보창(391)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을 확인하여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이 진품인지 위품인지 파악할 수 있다. 이밖에 상품 정보창(391)에는 상품 이력 정보가 상품 정보창(391)에 표시되는데, 상품(10)에 대한 자세한 소개 제공, 생산자 소개, 상품 소개, 상품 출하 날짜, 출하장소, 무게, 품종, 등급 등 구체적 정보 제공, 상품(10)에 대한 동영상 서비스, 상품(10)에 대한 대표 SNS 페이지 연결 등의 동작이 될 수 있다.
결제 입력창(392)은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의 선택 및 결제 정보 입력 필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구매자가 결제 입력창(392)을 클릭하면,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결제 수단 선택창(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된다. 결제 수단 선택창(미도시)에서 특정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결제 수단을 표시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은행 이체 수단인 경우 이체될 은행계좌 번호, 은행명, 이체 금액 등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결제 정보 입력 필드(미도시)가 제공되도록 한다.
문의창(393)은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에 대한 문의가 있을 경우 상품 판매자에게 문의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메일, 음성통화, 영상통화 등의 수단을 제공한다.
SNS 로그인창(394)은, 다양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다. 상기에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란,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카톡, 카카오 스토리, 마플 등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SNS 방문자 계정 사이트라 함은, NFC 판독 단말기(300)의 소유자인 구매자가 가입한 SNS 그룹에 소속한 회원들이 사용하는 방문 계정 사이트를 말하는 것이다.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원들은 각각 고유의 방문 계정 사이트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SNS 가입자 자신의 고유한 방문 계정 사이트를 통하여 다른 SNS 멤버들과 관심 사항의 글을 공유하고 있다.
SNS 광고 처리부(340)는, 구매자가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을 통해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의 SNS 광고 처리부(340)는 로그인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들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를 파악한다. SNS 광고 처리부(340)는, 구매자로부터 광고 동의서의 약관 동의를 획득한 후, 구매자가 가입하고 있는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 멤버들에게 상품 광고, 상품 할인 쿠폰 정보를 제공한다. 즉,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예컨대, 트위터의 경우에는 '팔로워', 싸이월드의 경우에는 '일촌')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에 상품 정보, 할인 쿠폰 정보를 등록한다. 따라서 NFC 태그(100)에 태깅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소유자의 SNS 정보만 활용하면, 다수의 다른 SNS 멤버들에게 자동적으로 광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또 다른 SNS 이용자가 광고글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기하 급수적으로 상품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위치 파악부(350)는 NFC 태그(100)를 태깅하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결국,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NFC 판독 단말기(300) 주변의 이동통신기지국(BTS)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GPS 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통하여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는, 결제 입력창(392)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진 후,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에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마련되는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와, NFC 판독 단말기(300)에 마련되는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NFC 판독부(330)는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태깅하여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한다.
예를 들어, NFC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뒷면에 전자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안테나가 있기 때문에, NFC 판독부(330)는 이러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품(10)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판독할 수 있다. NFC 판독부(330)는 판독한 정보를 근거로,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391),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392),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 등을 표시부(36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 조회 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10)이 이전의 구매한 상품(10)과 동일한 상품(10)인 경우, 상기 카드 결제 수단, 자동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 중에서 이전의 구매한 상품(10)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상품에 부착된 제1NFC 태그를 판독하여 상품 정보를 파악한 후, 구매자가 카드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카드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를 완료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다. 그 후, 다시 제1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제2상품에 부착된 제2NFC 태그를 판독하여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NFC 판독부(330)는 제2상품과 동일한 상품(10)인 제1상품의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추출하여, 제1상품 결제 시에 카드 결제 수단이 선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상품을 구매하는 결제를 진행할 때, 구매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동일한 카드 결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제 수단의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밖에 NFC 판독부(330)는, NFC 태그(100)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진 횟수인 NFC 태깅 횟수를 1회 추가하는 업데이트하여 상기 NFC 태그(100)에 기록한다. NFC 판독 단말기(300)가 상기 업데이트된 NFC 태깅 횟수를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100)에 업데이트하고,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함으로써, 너무 많은 태깅이 이루어진 NFC 태그(100)를 파악할 수 있다. 기준치보다 많은 NFC 태깅이 이루어진 NFC 태그(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태깅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보다 많이 이루어진 경우, NFC 태그의 내용을 삭제하여 재사용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밖에 NFC 판독부(330)는,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100)를 태깅한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가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10)이라는 메시지를 상품 정보창(39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NFC 판독부(330)는, 유통기한 지난 NFC 태그(100)의 태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통기한이 미리 설정한 설정 기한을 초과한 경우, NFC 태그의 내용을 삭제하여 재사용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NFC 태그의 삭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NFC 태그 관리 서버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에 진열된 제품에 부착된 NFC 태그의 내용을 삭제하거나, NFC 판독 단말기(300)에 해당 NFC 태그의 기록 내용을 삭제하도록 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삭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FC 태그를 이용하여 원산지 인증 및 구매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NFC 판독 단말기(300)가,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태깅하여 상기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하는 NFC 태그(100) 판독 과정을 가진다(S502). 예를 들어, NFC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뒷면에 전자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안테나가 있기 때문에, NFC 판독부(330)는 이러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판독할 수 있다.
이밖에 NFC 판독 단말기(300)는, NFC 태그(100) 판독 과정(S502)이 있은 후에, 자신의 위치 정보(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100)를 판독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S504)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S506). 이렇게 전송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NFC 태그 식별 정보와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S512).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날짜별로 NFC 태그(100)의 유통 경로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는 NFC 판독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즉,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에 표시하여 상품의 이동 경로를 전자 지도상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다른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다양한 마켓팅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NFC 판독 단말기(300)는, NFC 태그(100) 판독 과정(S502)이 있은 후에, NFC 판독 단말기(300)가, 상기 NFC 태그(100)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진 횟수인 NFC 태깅 횟수를 1회 추가하는 업데이트하여 상기 NFC 태그(100)에 기록하는 과정(S508)과, NFC 판독 단말기(300)가 업데이트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S510)과,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과정(S51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NFC 태그(100)의 태깅 횟수를 관리할 수 있다. 어느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100)가 태깅이 가장 많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판매 마켓팅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NFC 태그(100)에 대해 설정한 최대치보다 많은 NFC 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NFC 태그(100)의 위조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당 NFC 태그(100)에 기록된 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부착된 제1NFC 태그의 태깅 횟수가 매장 내에 있는 NFC 태그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며, 해당 제1NFC 태그에 대해서 미리 설정한 최대치보다 많은 NFC 태깅이 발생한 경우 태깅 횟수 최대치를 초과하였다는 메시지가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표시한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는 해당 NFC 태그(100)에 기록된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NFC 태그(100)를 폐기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삭제는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가 소유한 NFC 판독 단말기를 이용하여 NFC 태그의 기록 내용을 삭제하고 NFC 태그를 폐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NFC 태그(100)에는 NFC 태그(100)의 유통기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NFC 판독 단말기(300)가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100)인가를 판단(S514)하여,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100)를 태깅한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가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S516)과, NFC 판독 단말기(300)가,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이라는 메시지를 상품 정보창(391)에 디스플레이(S518)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유통 기한을 판독한 NFC 판독 단말기(300)는 현재의 날짜와 비교하여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통 기한이 지난 상품인 경우 이를 NFC 판독 단말기(300)에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이라는 메시지를 상기 상품 정보창(391)에 디스플레이하여 구매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장 관리자가 소유한 NFC 판독 단말기(300)인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NFC 태그(100)를 폐기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 관리자가 진열된 상품마다의 NFC 태그(100)를 자신이 소유한 NFC 판독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판독한 후,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100)로 판독되는 경우 해당 NFC 태그(100)의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NFC 태그(100)를 폐기할 수 있다.
이밖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NFC 판독 단말기(300)가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100)를 태깅한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가, 상기 유통기한 지난 NFC 태그(100)의 태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과, NFC 태그(100)에 기록된 상품 정보가 삭제되는 과정을 가진다. 예컨대,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부착된 제1NFC 태그에 기록된 유통기한이 초과된 경우 NFC 태그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며, 해당 NFC 태그(100)의 유통기한이 초과하였다는 메시지가 NFC 태그 관리 서버(200)에 표시된다. 따라서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는 해당 NFC 태그(100)에 기록된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NFC 태그(100)를 폐기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삭제는 NFC 태그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가 소유한 NFC 판독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폐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의 NFC 태그(100) 판독 과정이 있은 후에, NFC 판독 단말기(300)가, 도 4에 표시된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391),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392),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 문의창(39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창이 포함된 NFC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한다(S520).
상품 정보창(391)에는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의 사진, 상품의 진품 여부, 판매자 정보, 판매점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품 정보창(391)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을 확인하여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이 진품인지 위품인지 파악할 수 있다. 이밖에 상품 정보창(391)에는 상품 이력 정보가 상품 정보창(391)에 표시되는데, 상품에 대한 자세한 소개 제공, 생산자 소개, 상품 소개, 상품 출하 날짜, 출하장소, 무게, 품종, 등급 등 구체적 정보 제공, 상품에 대한 동영상 서비스, 상품에 대한 대표 SNS 페이지 연결 등의 동작이 될 수 있다.
결제 입력창(392)은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의 선택 및 결제 정보 입력 필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구매자가 결제 입력창(392)을 클릭하면,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결제 수단 선택창(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된다. 결제 수단 선택창(미도시)에서 특정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결제 수단을 표시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다.
문의창(393)은 NFC 태그(100)가 부착된 상품에 대한 문의가 있을 경우 상품 판매자에게 문의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메일, 음성통화, 영상통화 등의 수단을 제공한다.
SNS 로그인창(394)은, 다양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다. 상기에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란,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카톡, 카카오 스토리, 마플 등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SNS 방문자 계정 사이트라 함은, NFC 판독 단말기(300)의 소유자인 구매자가 가입한 SNS 그룹에 소속한 회원들이 사용하는 방문 계정 사이트를 말하는 것이다.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원들은 각각 고유의 방문 계정 사이트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SNS 가입자 자신의 고유한 방문 계정 사이트를 통하여 다른 SNS 멤버들과 관심 사항의 글을 공유하고 있다.
즉,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을 통해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되는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가, 로그인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들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를 파악한다. 그 후, 구매자로부터 광고 동의서의 약관 동의를 획득한 후, 구매자가 가입하고 있는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 멤버들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에 상품 광고, 상품 할인 쿠폰 정보를 등록한다. 즉,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예컨대, 트위터의 경우에는 '팔로워', 싸이월드의 경우에는 '일촌')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에 상품 정보, 할인 쿠폰 정보를 등록한다. 따라서 NFC 태그(100)에 태깅한 NFC 판독 단말기(300)의 소유자의 SNS 정보만 활용하면, 다수의 다른 SNS 멤버들에게 자동적으로 광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또 다른 SNS 이용자가 광고글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기하 급수적으로 상품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구매자가 결제 입력창(392)을 클릭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가 이루어지며, NFC 판독 단말기(300)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상술하면, NFC 판독 단말기(300)는,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 조회 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이전의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 경우, 상기 카드 결제 수단, 자동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 중에서 이전의 구매한 상품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표시하여 결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품에 부착된 제1NFC 태그를 판독하여 상품 정보를 파악한 후, 구매자가 카드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카드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를 완료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NFC 판독 단말기(300)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다. 그 후, 다시 제1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제2상품에 부착된 제2NFC 태그를 판독하여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NFC 판독부(330)는 제2상품과 동일한 상품인 제1상품의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추출하여, 제1상품 결제 시에 카드 결제 수단이 선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상품을 구매하는 결제를 진행할 때, 구매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동일한 카드 결제 수단을 제공하여, 결제 수단의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상품 100:NFC 태그
200:NFC 태그 관리 서버 300:NFC 판독 단말기
320: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 330:NFC 판독부
340:SNS 광고 처리부 350:위치 파악부

Claims (8)

  1. NFC 판독 단말기가,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를 태깅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상품 광고 정보, 할인쿠폰 정보, NFC 태그 식별 정보, NFC 태깅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하는 NFC 태그 판독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진 횟수인 NFC 태깅 횟수를 1회 추가하는 업데이트하여 상기 NFC 태그에 기록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업데이트된 NFC 태깅 횟수를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NFC 태그 관리 서버는, 수신한 NFC 태깅 횟수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창,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결제 입력창,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을 위한 SNS 로그인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창이 포함된 NFC 정보창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제 입력창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는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를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창에 NFC 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사진, 상품의 진품 여부, 판매자 정보, 판매점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결제 입력창에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의 선택 및 결제 정보 입력 필드를 상기 결제 입력창에 표시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매 이력 데이터베이스 조회 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이전의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 경우, 상기 카드 결제 수단, 은행 이체 수단, 휴대폰 결제 수단 중에서 이전의 구매한 상품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정보창을 표시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상기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창을 통해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되는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로그인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원들의 방문자 계정 사이트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방문자 계정 사이트에 상기 상품의 상품 광고 정보, 할인 쿠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에는 NFC 태그의 유통기한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유통기한이 지난 NFC 태그를 태깅한 경우,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유통기한 지난 NFC 태그의 태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가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이라는 메시지를 상기 상품 정보창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태깅 횟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삭제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 판독 과정이 있은 후에,
    상품에 부착된 NFC 태그를 판독한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NFC 태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수신한 NFC 태그 식별 정보와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NFC 태그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NFC 판독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날짜별로 NFC 태그의 유통 경로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KR1020130109624A 2013-09-12 2013-09-12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KR10167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24A KR101675125B1 (ko) 2013-09-12 2013-09-12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24A KR101675125B1 (ko) 2013-09-12 2013-09-12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11A true KR20150030811A (ko) 2015-03-23
KR101675125B1 KR101675125B1 (ko) 2016-11-11

Family

ID=5302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624A KR101675125B1 (ko) 2013-09-12 2013-09-12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45B1 (ko) * 2020-11-30 2021-09-03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보안 태그, 인증 서버 및 인증 프로그램
KR102525542B1 (ko) * 2022-12-29 2023-04-26 주식회사 그린랩스 인공지능 기반으로 농산물에 대한 수요, 공급 데이터 기반의 가격을 예측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54A (ko) * 2003-06-04 2004-12-13 박미경 알에프 태그에 저장된 제품 확인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와 통신하는 컴퓨터에서실행 가능한 서비스 관리 방법
KR20080001247U (ko) 2006-11-16 2008-05-21 정우영 위조방지 압인 형광인쇄 라벨
KR20100039463A (ko) * 2008-10-08 2010-04-16 (주)오비트 농산물 품질 인증 서비스 방법
KR20110068116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카드 및 그 방법
KR101091349B1 (ko) * 2010-10-14 2011-12-07 홍성표 유무형 상품의 정보, 리뷰를 웹 및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전파, 공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54A (ko) * 2003-06-04 2004-12-13 박미경 알에프 태그에 저장된 제품 확인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와 통신하는 컴퓨터에서실행 가능한 서비스 관리 방법
KR20080001247U (ko) 2006-11-16 2008-05-21 정우영 위조방지 압인 형광인쇄 라벨
KR20100039463A (ko) * 2008-10-08 2010-04-16 (주)오비트 농산물 품질 인증 서비스 방법
KR20110068116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카드 및 그 방법
KR101091349B1 (ko) * 2010-10-14 2011-12-07 홍성표 유무형 상품의 정보, 리뷰를 웹 및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전파, 공유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45B1 (ko) * 2020-11-30 2021-09-03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보안 태그, 인증 서버 및 인증 프로그램
CN114580591A (zh) * 2020-11-30 2022-06-03 Psdl株式会社 防伪标签、认证服务器及认证程序
KR102525542B1 (ko) * 2022-12-29 2023-04-26 주식회사 그린랩스 인공지능 기반으로 농산물에 대한 수요, 공급 데이터 기반의 가격을 예측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125B1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458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US9978077B2 (en) Integrated payment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1301576B2 (en) Secure data delivery system
CN105190659B (zh) 用于装置到装置通信的方法、设备和布置
Want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0598266B1 (ko) 이동 단말간 정보 전달 매체에 관한 정보 공유 방법
JP6231149B2 (ja) ユーザカードに基づく情報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001482A (ja) Eクーポンの配布および個別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2049595A1 (en) Fixed location kiosk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social networking profile
BRPI0609746A2 (pt) sistema, método de operação de um servidor e meio de armazenamento que pode ser lido em compuutador, que contém um conjunto de instruções para um processador
JP5266717B2 (ja) 非接触リーダライタ、情報提供システム、リダイレクトサーバ、及びアドレス情報提供方法等
KR10135073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CN106296217A (zh) 一种基于移动定位服务的产品鉴真推广系统
KR101675125B1 (ko)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USRE49889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US20180189825A1 (en)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an online advertising campaign
KR20120020804A (ko)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730233B1 (ko) 구매정보 수집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CN102077226A (zh) 从服务提供商到移动终端用户的至少一个目标消息的通信方法
KR20120051950A (ko)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모바일 쿠폰의 처리 방법
KR20150134997A (ko) 단기보험상품 가입 방법과 그 장치
JP6070416B2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KR20130131139A (ko) Nfc태그를 이용한 상품구매 시스템
Joseph QR code as a strategic marketing tool: Bridging offline and online media
JP2007026013A (ja) 情報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