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716A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716A
KR20150030716A KR1020157000816A KR20157000816A KR20150030716A KR 20150030716 A KR20150030716 A KR 20150030716A KR 1020157000816 A KR1020157000816 A KR 1020157000816A KR 20157000816 A KR20157000816 A KR 20157000816A KR 20150030716 A KR20150030716 A KR 2015003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ntrol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273B1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요시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한 바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의 가일층의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차세대의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 논의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나, LTE의 무선 통신 기술을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어 1개의 무선 단말기로, 복수개의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개의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다른 방식의 무선 통신이며, LTE 통신과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개의 무선 단말기 내에, 복수개의 무선 통신 각각에 대응하는 회로가 병설된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 IDC(In-device co-existence)라고 불린다.
3GPP TR 36.816 V11.2.0(2011-12)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무선 통신이, 동일하거나 혹은 가까운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각 무선 통신이 각각에 대응하는 회로에서 동시에 실행되면, 무선 단말기 내에서 상호 간섭이 발생하고, 통신 성능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한 바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한다.
본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대의 할당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8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에, 본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의해 본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를 갖는다. 기지국(10)은 셀(C10)을 형성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셀(C10)에 존재하고 있다.
기지국(10)은,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3)와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장치(3)는,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 및 네트워크(2)를 통해, 다른 기지국과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들 각 구성 부분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에 의해 실현된다. 네트워크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인터페이스 회로,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실현된다.
무선 단말기(20)는, 제1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10)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제2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10)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나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제1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LTE나 LTE-A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나 Bluetooth(상표 등록)를 들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은, 동일하거나 혹은 가까운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에 준비되는 주파수대군과, 제2 무선 통신에 준비되는 주파수대군이, 이웃하는 경우나,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이, 동일한 주파수대군을 공유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도 2는 기지국(1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0)은 송신부(11)와, 수신부(12)와, 제어부(1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1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1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하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에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에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가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의 주기나, 무선 단말기(20)에서의 간헐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의 주기를 들 수 있다.
수신부(12)는,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부(12)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상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되는 간섭 통지(IDC indication)나,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포함한다. 간섭 통지는 예를 들어, 간섭의 발생이 검출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간섭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지한다.
제어부(13)는, 유선 접속 혹은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3)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13)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3)는,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수신부(12)로부터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3)는,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2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간섭 통지와 함께, 혹은 간섭 통지에 포함하여 송신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로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13)는,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결과에 기초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2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2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로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기(2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DRX의 패턴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 등)를 들 수 있다. 제어부(13)는, 무선 단말기(2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행하고,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2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계측 결과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DRX의 패턴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를 결정한다.
도 3은 무선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송신부(21A, 21B)와, 수신부(22A, 22B)와, 제어부(23A, 23B)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21A)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21)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한 레퍼런스 신호나, 간섭의 발생을 나타내는 간섭 통지나,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부(22A)는,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한 레퍼런스 신호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23A)는,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에 의한, 무선 단말기(20)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 제어부(23A)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이 동작 시의, 제1 무선 통신측에서의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에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혹은 제1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함).
또한, 제어부(23A)는, 제어부(23B)로부터 통지되는, 제2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의 검출 결과(혹은 제2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의 판정 결과)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23A)가, 제어부(23B)로부터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을 취득하여, 제2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하는(혹은 제2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3A)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어를 행한다. 간섭 제어로서는 다양한 방식이 있고,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간섭 제어로서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의 제1 무선 통신측과 제2 무선 통신측에서, 협조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하는 모드나, 무선 단말기(20) 내에서 제1 무선 통신측과 제2 무선 통신측에서 협조하여 행하는 모드나, 무선 단말기(20) 내와 기지국(10)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서 협조하여 행하는 모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 내에서 협조하여 행하는 모드에서는, 제1 무선 통신의 신호와 제2 무선 통신의 신호와의 차분을 취하는 방법이나, 제1 무선 통신의 통신 타이밍과 제2 무선 통신의 통신 타이밍을 시분할하는 방법이나, 제1 무선 통신 혹은 제2 무선 통신의 송신 전력을 줄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섭 제어로서, 특히 (1)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2)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3) 자율 정지(Autonomous Denial) 방식을 들 수 있다.
FDM 방식에서는, 제1 무선 통신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를 다른 주파수대로 핸드오버한다.
TDM 방식에서는,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에 있어서, 한쪽의 송신이 다른 쪽의 수신과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의 DRX의 패턴이 적절해지도록 제어한다.
Autonomous Denial 방식에서는, 예를 들어 FDM 방식과 TDM 방식을 사용해도 무선 단말기 내의 간섭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의 송신을 무선 단말기(20)가 자율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자율 정지의 빈도나 레벨은, 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어도 되고, 무선 단말기(20) 내에서 미리 저장되거나, 조정되어도 된다.
제어부(23A)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3A)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1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2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지향(preference)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에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어느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지향의 경우, 제1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고, 제2 무선 통신 지향의 경우, 제2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한다.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소정 비트의 정보로서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또한, 제어부(23A)는,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지향 정보나,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나, 및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과 무선 단말기(20)에서 실시 중인 통신 서비스의 종류(혹은 트래픽의 종류)를 대응시킨 정보를 기지국(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A)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3A)는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와 다른 주파수대에서의, 기지국(10)으로부터의 레퍼런스 신호를 검지하고, 수신 신호 레벨을 계측한다(다른 주파수 계측). 수신 신호 레벨은 예를 들어, 수신 전력이나 수신 품질을 포함한다. 수신 신호 레벨로서, 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수신 전력값/총 전력값),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A)는, 계측 처리를 완료하기 전에 송신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에 따라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간섭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3A)는, 계측 결과에 따라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간섭 제어를 행한다.
송신부(21B)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2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수신부(22B)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제2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제어부(23B)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21)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수신부(2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23B)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이 동작 시의, 제2 무선 통신측에서의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혹은 제2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함).
제어부(23B)는, 계측한 수신 신호 레벨을 제어부(23A)에 통지한다. 제어부(23B)는, 계측한 수신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제어부(23A)에 통지해도 된다.
도 4는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0)은,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3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3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33)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4)와, 메모리(35)와, 네트워크 IF(Interface)(36)를 갖는다. CPU는,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IF(36)를 통해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5)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11) 및 수신부(12)는, 예를 들어 RF 회로(32), 혹은 안테나(31) 및 RF 회로(3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33) 등의 집적 회로 혹은 DSP(34)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도 5는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41A, 41B)를 각각 구비하는 RF 회로(42A, 42B)와, CPU(43A, 43B)와, 메모리(44A, 44B)를 갖는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CPU(43A, 43B)에 접속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를 가져도 된다. 메모리(44A, 44B)는, 예를 들어 SDRAM 등의 RAM, ROM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21A) 및 수신부(22A)는, 예를 들어 RF 회로(42A), 혹은 안테나(41A) 및 RF 회로(42A)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A)는, 예를 들어 CPU(43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송신부(21B) 및 수신부(22B)는, 예를 들어 RF 회로(42B), 혹은 안테나(41B) 및 RF 회로(42B)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B)는, 예를 들어 CPU(43B)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 무선 단말기(20)에서의 간섭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여기서, 전제로서, 전술한 간섭 제어의 3개의 방식에 대해 검토한다. FDM 방식에서는, 다른 주파수 계측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주파 핸드오버의 실행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 다른 주파수 계측에는, 예를 들어 수십[㎳]으로부터 수백[㎳]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로부터 다른 주파수대로 핸드오버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간섭 제어가 기능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TDM 방식에서는, 제1 무선 통신의 간섭 제어에 적절한 DRX 패턴을 검출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간섭 제어가 기능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Autonomous Denial 방식은, 무선 단말기가 임의로 송신을 정지하므로, 예를 들어 QoS(Quality of Service)가 비교적 높은 통신이 연속하여 정지될 가능성이 있고, 통신의 성능이 열화된다. 이와 같이, 통신의 성능의 열화가 회피되는 신속한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도 5에서는 다른 2개의 무선 통신의 기능이 실장되어 있는 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2개에 한정되지는 않고, 3 이상의 무선 통신의 기능이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무선 단말기(20)에서 간섭 제어동작이 행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S1).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20)는,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하고,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10)으로 송신한다(S2).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한 무선 단말기(20)의 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RRC 제어 신호로서 송신된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20)는,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처리를 개시한다(S3). 계측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다른 주파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 계측된다.
이와 함께, 기지국(1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4).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파라미터로서, DRX 주기나, 스케줄링의 주기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기지국(10)은, 결정한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20)로 송신한다(S5).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으로서 송신된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20)는, 수신한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S6). 이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20)는, 계측 처리를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 계측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S7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 S7로 복귀되고, 계측 처리가 계속되고, 계측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정의 타이밍에 판단이 행해진다.
한편, 계측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S7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 무선 단말기(20)는,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2 보조 정보)를 결정하고, 기지국(1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10)은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고, 무선 단말기(70)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다른 주파수 핸드오버가 실행되거나, 적절한 DRX 패턴으로 DRX가 실행되거나, 적절한 빈도로 자율 정지가 실행됨으로써,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제2 보조 정보를 기지국(10)의 결정이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20)에서, 무선 단말기(20)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간섭 제어 동작에서는, 무선 단말기(20)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하고 나서 계측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간섭 통지와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10)으로 1회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계측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간섭의 발생을 반복하여 검출하여, 간섭 통지와 제1 보조 정보를 복수회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타이머나 카운터를 구비하고, 예를 들어 1회째의 간섭 통지와 제1 보조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까지, 혹은 소정 횟수까지, 간섭 통지와 제1 보조 정보와의 송신을 제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송신(재송)의 횟수가 상한값 N(N은 1 이상의 정수)에 의해 제한되거나, 혹은, 타이머가 계시 중의 기간만 송신(재송)을 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간섭 통지와 제1 보조 정보가 과잉으로 재송신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이 타이머나 카운터를 갖고, 송신의 제한을 무선 단말기(20)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보조 정보의 1회째의 송신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나 송신 횟수에 따라, 혹은, 간섭의 발생 상태에 따라, 무선 단말기(20)가 제1 보조 정보의 내용을 조정해도 되고, 기지국(10)이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제어 정보의 내용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계측 결과에 기초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계측 처리가 부분적으로 완료되었을 때에, 부분적인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기지국(10)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50)(후술하는 도 7에 나타냄)과, 무선 단말기(70)(후술하는 도 8에 나타냄)를 갖는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50), 무선 단말기(70) 이외에 관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70)는, 기지국(50)이 형성하는 셀에 존재하고 있다. 기지국(50)은,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3)와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장치(3)는,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50)은, 네트워크 장치(3) 및 네트워크(2)를 통해, 다른 기지국과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70)는, 제1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50)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70)는, 제2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50)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나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제1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LTE나 LTE-A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나 Bluetooth를 들 수 있다.
도 7은 기지국(5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송신/수신 안테나(51)와, 송신/수신 절환부(52)와, 수신 신호 처리부(53)와, 데이터 취득부(54)와, RS(Reference Signal) 취득부(55)를 갖는다. 또한, 기지국(50)은, 데이터 전송부(56)와, 무선 통신 제어부(58)를 갖는다. 또한, 기지국(50)은, 데이터 생성부(59)와, RS 생성부(60)와, 송신 신호 처리부(61)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수신 안테나(51)는, 수신의 경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 처리부(53)에 출력한다. 송신/수신 안테나(51)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를 수신하는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나, PUSCH나 PUCCH를 포함한다. 상향 신호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수순으로 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RACH 신호나,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나,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송신되는 간섭 통지나,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나,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결과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수신 안테나(51)는, 송신의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61)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수신 안테나(5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를 송신하는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동기 채널 PSCH(Physical Synchronization Channel), 통지 채널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DSCH 및 PDCCH를 포함한다. 하향 신호는,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나,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70)에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시그널링이나,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70)에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저장되어, 통지 채널 또는 통지 채널에서 지정되는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들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70)에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가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의 주기나, 무선 단말기(70)에서의 DRX의 주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접속이 확립된 타이밍이나,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 통지된다.
송신/수신 절환부(52)는, 송신/수신 안테나(51)의 송신과 수신을 절환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별체로 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수신 신호 처리부(53)는, 수신 신호에, A/D(Analog to Digital) 변환 등의 무선 처리나, FFT 처리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53)는, 데이터 취득부(54)에,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수신 신호 처리부(53)는, RS 취득부(55)에,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취득부(54)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에 대해, 복조 처리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취득부(54)는 예를 들어, 미리 통지되거나 혹은 저장되는 제어 정보와, 복조 처리를 위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54)는, 미리 통지되거나 혹은 저장되는 제어 정보와, 채널 추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된 신호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54)는, 복호 처리된 신호의 리오더링 처리 등을 행하고, 데이터를 취득한다.
RS 취득부(55)는, 복조를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데이터 취득부(54)에 출력한다. 또한, RS 취득부(55)는, 미리 통지되거나 혹은 저장되는 제어 정보와, 채널 추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채널 추정값을, 데이터 취득부(54)에 출력한다. 또한, RS 취득부(55)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취득되는 수신 신호 레벨을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출력한다.
데이터 전송부(56)는, 데이터 취득부(5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3)에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56)는, 네트워크 장치(3)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56)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데이터 생성부(59)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무선 단말기(70)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 등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결과에 기초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2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기(7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DRX의 패턴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 등)를 들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무선 단말기(2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행하고,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로부터 계측 결과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DRX의 패턴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를 결정한다.
데이터 생성부(59)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미리 결정된 시그널링 포맷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생성부(59)는, 시그널링 포맷에 저장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에 부호화 처리나 변조 처리를 행하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 신호 처리부(60)에 출력한다. 제어 정보는 통지 정보를 포함한다.
RS 생성부(60)는, 데이터의 복조나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신호 처리부(61)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61)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수신 안테나(51)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61)는, 예를 들어 송신 데이터나 레퍼런스 신호에 대해 안테나 포트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한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부(61)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나, D/A(Digital to Analog) 변환 처리 등의 무선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도 8은 무선 단말기(7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70)는, 송신/수신 안테나(71)와, 송신/수신 절환부(72)와, 수신 신호 처리부(73)와, 데이터 취득부(74)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와, 간섭 검출부(76)와, 데이터 생성부(77)와, 송신 신호 처리부(78)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를 갖는다. 또한, 무선 단말기(70)는, 송신/수신 안테나(82)와, 송신/수신 절환부(83)와, 수신 신호 처리부(84)와, 데이터 취득부(85)와, 제2 무선 통신 제어부(86)와, 간섭 검출부(87)와, 데이터 생성부(88)와, 송신 신호 처리부(89)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수신 안테나(71)는, 수신의 경우,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수신 신호 처리부(73)에 출력한다. 송신/수신 안테나(7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를 수신하는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PSCH나 PBCH나 PDSCH나 PDCCH를 포함한다. 하향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의 일제 호출에 사용되는 PCH(Paging Channel) 신호나,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나,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70)에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시그널링이나,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70)에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70)에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가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의 주기나, 무선 단말기(70)에서의 DRX의 주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송신/수신 안테나(71)는, 송신의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78)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송신/수신 안테나(7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를 송신하는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PRACH나 PUSCH나 PUCCH를 포함한다. 상향 신호는, RACH 신호나,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나,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송신되는 간섭 통지나,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나,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결과를 포함한다.
송신/수신 절환부(72)는, 송신/수신 안테나(71)의 송신과 수신을 절환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에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별체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수신 신호 처리부(73)는, 수신 신호에, A/D 변환 등의 무선 처리나, FFT 처리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73)는, 데이터 취득부(74)에,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나, 레퍼런스 신호나, PCH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취득부(74)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 등에 대해, 복조 처리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취득부(74)는 예를 들어, 미리 통지되거나 혹은 저장되는 제어 정보와, 복조 처리를 위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74)는, 미리 통지되거나 혹은 저장되는 제어 정보와, 채널 추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된 신호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74)는, 복호 처리된 수신 신호의 리오더링 처리 등을 행하고,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통지 정보를 포함한다.
간섭 검출부(76)는,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에 의한, 무선 단말기(70)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 간섭 검출부(76)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측에서의 내부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 간섭 검출부(76)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이 동작 시의, 제1 무선 통신측에서의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에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혹은 제1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함).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통지되었거나 혹은 미리 저장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제1 무선 통신에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어를 행한다. 간섭 제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1) FDM 방식, (2) TDM 방식, (3) 자율 정지(Autonomous Denial) 방식이 있고,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7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에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어느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지향의 경우, 제1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고, 제2 무선 통신 지향의 경우, 제2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한다.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1bit의 정보로서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와 다른 주파수대에서의, 기지국(50)으로부터의 레퍼런스 신호를 검지하고, 수신 신호 레벨을 계측한다(다른 주파수 계측).
또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계측 처리를 완료하기 전에 송신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에 따라 기지국(5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간섭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가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의 주기나, 무선 단말기(70)에서의 DRX의 주기 등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이다.
또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한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에 따라 기지국(5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간섭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DRX의 패턴이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 등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이다.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는, 무선 단말기(70)에서 실행되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등의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는,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1 무선 통신이나 제2 무선 통신을 실행시킨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는,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통화나 데이터 통신 등의 통신 서비스나 QoS 레벨 등을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에 통지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는,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를 데이터 생성부(77)나 데이터 생성부(88)에 출력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는, 취득된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취득부(74)나 데이터 취득부(85)로부터 입력한다.
데이터 생성부(77)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미리 결정된 시그널링 포맷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생성부(77)는, 시그널링 포맷에 저장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에 부호화 처리나 변조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 처리부(78)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77)는, 데이터의 복조나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신호 처리부(78)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77)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신호 처리부(78)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78)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수신 안테나(71)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78)는, 예를 들어 송신 데이터나 레퍼런스 신호에 대해 안테나 포트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한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부(78)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나, D/A(Digital to Analog) 변환 처리 등의 무선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수신 안테나(82)는, 수신의 경우,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수신 신호 처리부(84)에 출력한다. 또한, 송신/수신 안테나(82)는, 송신의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89)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송신/수신 절환부(83)는, 송신/수신 안테나(82)의 송신과 수신을 절환한다. 또한, 제2 무선 통신에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별체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무선 통신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수신 신호 처리부(84)는, 수신 신호에, A/D 변환 등의 무선 처리나, FFT 처리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취득부(85)에,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취득부(85)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 등에 대해, 복조 처리나 복호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제2 무선 통신 제어부(86)는, 통지되었거나 혹은 미리 저장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통신에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
간섭 검출부(87)는 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측에서의 내부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 간섭 검출부(87)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이 동작 시의, 제2 무선 통신측에서의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다(혹은 제2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함). 간섭 검출부(87)는 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측에서의 수신 신호의 에러 특성 등, 혹은 간섭의 발생의 검출 결과를, 간섭 검출부(76)에 출력한다.
데이터 생성부(88)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에 부호화 처리나 변조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 처리부(89)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89)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나, D/A(Digital to Analog) 변환 처리 등의 무선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수신 안테나(82)에 출력한다.
또한,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기지국(50)의 송신/수신 안테나(51)와, 송신/수신 절환부(52)와, 수신 신호 처리부(53)의 무선 처리 기능과, 송신 신호 처리부(61)의 무선 처리 기능은, 예를 들어 안테나 및 RF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기지국(50)의 수신 신호 처리부(53)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과, 송신 신호 처리부(61)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과, 데이터 취득부(54)와, RS 취득부(55)와, 데이터 전송부(56)와, 무선 통신 제어부(58)와, 데이터 생성부(59)와, RS 생성부(60)는, 예를 들어 CPU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무선 단말기(70)의 송신/수신 안테나(71)와, 송신/수신 절환부(72)와, 수신 신호 처리부(73)의 무선 처리 기능과, 송신 신호 처리부(89)의 무선 처리 기능은, 예를 들어 안테나 및 RF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무선 단말기(70)의 수신 신호 처리부(73)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과, 송신 신호 처리부(89)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과, 데이터 취득부(74)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와, 간섭 검출부(76)와, 데이터 생성부(77)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80)와, 데이터 취득부(85)와, 제2 무선 통신 제어부(86)와, 간섭 검출부(87)와, 데이터 생성부(88)는, 예를 들어 CPU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70)의 간섭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여기서, 도 9에,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에 준비되는 주파수대의 예를 나타낸다.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은, 동일하거나 혹은 가까운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에 준비되는 주파수대군과, 제2 무선 통신에 준비되는 주파수대군이, 이웃하는 경우나,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이, 동일한 주파수대군을 공유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어, ISM(Industry Science Medical) Band(2400∼2483.5㎒)는 논라이센스 밴드의 하나이며, Bluetooth나 WiFi에서 사용된다. 이때, LTE-A TDD Mode에 준비되는 Band 40(2300∼2400㎒)이나, LTE-A의 UL FDD Mode에 준비되는 Band 7(2500∼2570㎒)은, ISM Band와 이웃하는 주파수대군으로 된다. 또한, ISM Band를 LTE-A도 공유하는 경우, LTE-A와 Bluetooth나 WiFi에 동일한 주파수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비교예로서, 통상의 간섭 제어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시각 (a)에서는, 제1 무선 통신이 ON이며 제2 무선 통신이 OFF이며, 간섭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 시각 (b)에서, 제1 무선 통신이 ON이며 제2 무선 통신이 ON으로 되고, 간섭의 발생이 검출되고, 무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간섭 통지가 송신되고, 무선 단말기에서 다른 주파수 계측이 개시된다. 시각 (c), 시각 (d)에서, 다른 주파수 계측이 실행 중에서, 간섭이 발생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시각 (e)에서,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고,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보조 정보가 무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이며, FDM 방식에서 사용하는 다른 주파수 정보나, TDM 방식에서 사용하는 DRX 패턴 등이다. 이 시각 (e)에서는, 아직 간섭이 발생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기지국에서는,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이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송신되어, FMD 방식이나 TDM 방식으로 간섭 제어가 개시된다. 이에 의해, 시각 (f)에서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계측 중, 간섭이 발생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간섭 제어가 기능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도 11에,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간섭 제어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시각 (a)에서는, 제1 무선 통신이 ON이며 제2 무선 통신이 OFF이며, 간섭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 시각 (b)에서, 제1 무선 통신이 ON이며 제2 무선 통신이 ON으로 되고, 간섭의 발생이 검출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70)로부터 기지국(50)으로 간섭 통지와 함께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70)에서 다른 주파수 계측이 개시된다. 제1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 중 어느 쪽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지향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50)은, 이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이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기지국(5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70)로 송신되어, 간섭 제어가 개시된다. 시각 (c), 시각 (d)에서는, 다른 주파수 계측이 실행 중이지만,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된 상태로 된다. 시각 (e)에서,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고,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가 무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제2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이며, FDM 방식에서 사용하는 다른 주파수 정보나, TDM 방식에서 사용하는 DRX 패턴 등이다. 이 시각 (e)에서는, 간섭이 저감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기지국(50)에서는,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이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70)로 송신되어, FMD 방식이나 TDM 방식으로 간섭 제어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시각 (f)에서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계측 중이라도,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된 상태로 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예에 있어서, 제1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 중 어느 쪽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지향 정보 외에, FDM 방식에서 사용하는 다른 주파수 정보나, TDM 방식에서 사용하는 DRX 패턴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70)에서 제1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계측 결과가 이미 얻어져 있는 경우(예를 들어, 간섭 제어 이외의 제어에 관련하여, 비교적 가까운 타이밍에, 계측 처리가 행해져 계측 결과가 얻어져 있었던 경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정보는, 그 후의 계측 처리에서 얻어진 계측 결과를 반영시킨 FDM 방식에서 사용하는 다른 주파수 정보나, TDM 방식에서 사용하는 DRX 패턴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70)의 지향 정보가 제1 보조 정보를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변화하고 있으면, 제2 보조 정보로 갱신된 지향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즉, 제2 보조 정보는, 제1 보조 정보를 갱신한 정보로 할 수 있다.
도 12로 되돌아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70)의 간섭 제어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제로서, 제1 무선 통신으로서 LTE 통신(LTE나 LTE-A), 제2 무선 통신으로서 ISM 통신(WiFi나 Bluetooth)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디폴트값이, 기지국(50)으로부터 예를 들어 접속 확립의 타이밍에 미리 통지되어 있거나, 무선 단말기(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70)는, 간섭의 발생의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S21).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70)는,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을 판단하고(S22), 간섭의 발생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S22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 S21로 되돌아가고, 소정의 타이밍에 간섭의 검출을 반복한다. 한편, 간섭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S22의 판단 결과가 "예"), 무선 단말기(70)는,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하고,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한다(S23). 이 송신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제1 보조 정보는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한 무선 단말기(70)의 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테이블 (a)는 제1 보조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도 13의 테이블 (b)는 (a)의 제1 보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쌍방 간섭」은 LTE 통신과 ISM 통신의 쌍방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LTE만 열화」는 LTE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ISM만 열화」는 ISM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TE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을 지향하는(LTE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ISM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을 지향하는(ISM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가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LTE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 X=1로 설정된다. 또한, 「ISM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ISM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 X=0으로 설정된다. 또한, 「LTE 통신 지향」 또한 「ISM만 열화」, 혹은 「ISM 통신 지향」 또한 「LTE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는 송신되지 않는다.
도 13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는 1bit의 제어 정보이며,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이때, 제1 보조 정보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소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송신하는 제1 보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나,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성능이 열화되어 있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70)는,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 처리를 개시한다(S24). 계측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다른 주파수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 계측된다.
이와 함께,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25).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파라미터로서, DRX의 주기나, 스케줄링의 주기가 결정된다. 이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의해 예를 들어, 하향 수신의 빈도나, 대응하는 상향 송신[예를 들어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등의 송신]의 빈도나, 하향의 재송의 수신 간격이나, DRX가 개시되는 위치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의 경우(「LTE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의 경우(「ISM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ISM만 열화」),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기지국(50)은, 결정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한다(S26).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송신은 예를 들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S27).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 지향인 경우, DRX의 주기를 짧게 하도록, 혹은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진다. 또한,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 지향인 경우, DRX의 주기를 길게 하도록, 혹은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ISM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70)는, 계측 처리를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8). 계측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S28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 계측 처리가 계속되고, 계측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정의 타이밍에 판단이 행해진다.
한편, 계측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S28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 무선 단말기(70)는,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2 보조 정보)를 결정하고, 기지국(50)으로 송신한다(S29). 제2 보조 정보는 예를 들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기(7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이다. 무선 단말기(70)가 희망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FDM 방식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정보(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 등)나, TDM 방식에서 사용되는 DRX의 패턴이나, Auto denial 방식에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50)은,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3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파라미터로서, DRX의 패턴이나, 다른 주파 수 핸드오버처의 주파수대 등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기지국(50)은, 결정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한다(S31).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송신은 예를 들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S32). 이에 의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주파수 핸드오버가 실행되거나, 적절한 DRX 패턴으로 DRX가 실행되거나, 적절한 빈도로 자율 정지가 실행됨으로써, 간섭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상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70)에서, 무선 단말기(70)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제1 보조 정보의 결정과,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7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가, 모든 조합이 구별되도록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테이블 (a)는 제1 보조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도 14의 테이블 (b)는 (a)의 제1 보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쌍방 간섭」은 LTE 통신과 ISM 통신의 쌍방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LTE만 열화」는 LTE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ISM만 열화」는 ISM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TE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을 지향하는(LTE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ISM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을 지향하는(ISM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6종류의 정보가, 3bit의 제어 정보로서,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과,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도 14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00의 경우(「LTE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적어도 현상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유지하거나,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10의 경우(「LTE 통신 지향」에서 「LTE만 열화」),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제1 보조 정보 X=000, 011의 경우보다 크게 활성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00의 경우(「LTE 통신 지향」에서 「ISM만 열화」), 적어도 현상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유지하거나,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01의 경우(「ISM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적어도 현상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유지하거나,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11의 경우(「ISM 통신 지향」에서 「LTE만 열화」), 적어도 현상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유지하거나,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01의 경우(「ISM 통신 지향」에서 「ISM만 열화」),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제1 보조 정보 X=100, 001의 경우보다 크게 활성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간섭 통지에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예에서, 현상의 설정을 유지할지,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를 변경할지는, 간섭 레벨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S23과 마찬가지로,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정보가 결정되고, 간섭 통지와 함께 기지국(50)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7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향하는 무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 서비스의 활성도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 지향인 경우, DRX의 주기를 짧게 하도록, 혹은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진다. 또한,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 지향인 경우, DRX의 주기를 길게 하도록, 혹은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ISM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6종류의 정보가, 각각 구별 가능하게 통지되므로, 이 6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한 스케줄링을 실시하고, 적절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제1 보조 정보의 결정과,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7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에,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가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통신 서비스를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LTE 통신에 있어서, VoIP(Voice of 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 중 어느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LTE VoIP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과 LTE Data 통신과 쌍방의 통신 성능을, 다른 통신보다 우선한다.
즉, 복수개의 무선 통신 각각에 대해,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가 포함될 때, 무선 통신의 각 통신 서비스의 트래픽의 특성(패턴)이 기지이거나, 혹은 상정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통신에 있어서, VoIP 통신 서비스를 행하고 있는 경우, 트래픽의 도착은 주기적(예를 들어 20[㎳])으로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통신 서비스마다의 지향을 기지국(50)에 통지하고, 기지국(50)에서 통신 서비스마다 간섭을 제거하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적절한 간섭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지향 정보로서, 「LTE VoIP 통신 지향」 「LTE Data 통신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하는 대신, 「RLC UM 지향」 「RLC UM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LTE VoIP 통신이 RLC UM, LTE Data 통신이 RLC AM으로 실시될 때에는, LTE VoIP 통신에 지향이 있는 경우에는 「RLC UM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하고, LTE VoIP 통신과 LTE Data 통신의 양쪽에 지향이 있는 경우에는 「RLC UM 지향+RLC AM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지향 정보로서, 「LTE VoIP 통신 지향」 「LTE Data 통신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하는 대신, 「리얼타임 통신 지향」 「논리얼타임 통신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LTE VoIP 통신에 지향이 있는 경우에는 「리얼타임 통신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하고, LTE VoIP 통신과 LTE Data 통신의 양쪽에 지향이 있는 경우에는 「리얼타임 통신 지향+논리얼타임 통신 지향」이라고 하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테이블 (a)는 제1 보조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도 15의 테이블 (b)는 (a)의 제1 보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쌍방 간섭」은 LTE 통신과 ISM 통신의 쌍방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LTE만 열화」는 LTE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ISM만 열화」는 ISM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TE VoIP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를 지향하는(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의 양쪽을 지향하는(양쪽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가 송신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는 1bit의 제어 정보이며,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LTE VoIP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 X=0으로 설정된다. 또한,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 X=1로 설정된다. 또한, 「ISM만 열화」의 경우, 제1 보조 정보는 송신되지 않는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과,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도 15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 LTE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LTE VoIP의 설정은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 다른 통신의 우선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 LTE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LTE VoIP 통신의 설정은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LTE Data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간섭 통지에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예에서, 우선도를 낮추는 양이나, 활성도를 높이는 양은, 간섭 레벨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S23과 마찬가지로, 도 1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정보가 결정되고, 간섭 통지와 함께 기지국(50)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7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향하는 무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 서비스의 활성도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제1 보조 정보의 결정과,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7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가, 모든 조합이 구별되도록 송신된다. 또한,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에,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가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통신 서비스를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LTE 통신에 있어서, Vo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 중 어느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LTE VoIP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과 LTE Data 통신과 쌍방의 통신 성능을, 다른 통신보다 우선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테이블 (a)는 제1 보조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도 16의 테이블 (b)는 (a)의 제1 보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쌍방 간섭」은 LTE 통신과 ISM 통신의 쌍방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LTE만 열화」는 LTE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ISM만 열화」는 ISM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TE VoIP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를 지향하는(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의 양쪽을 지향하는(양쪽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6종류의 정보가, 3bit의 제어 정보로서,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과,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00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VoIP의 설정은 적어도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 적어도 다른 통신의 현재의 설정은 유지하거나, 혹은, 다른 통신의 우선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10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에서 「LTE만 열화」),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VoIP의 설정은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 다른 통신의 우선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00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에서 「ISM만 열화」), 적어도 현상의 설정을 유지하고, LTE Data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 LTE Data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01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VoIP 통신의 설정은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적어도 현재의 LTE Data 통신의 설정은 유지하거나, 혹은, LTE Data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11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에서 「LTE만 열화」), VoIP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VoIP 통신의 설정은 유지하고, 동시에 다른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에는, LTE Data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01의 경우(「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에서 「ISM만 열화」), 적어도 현상의 설정을 유지하고, LTE Data 통신을 실시 중인 경우, LTE Data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짧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DRX의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스케줄링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간섭 통지에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예에서, 현상의 설정을 유지할지, 혹은 LTE 통신의 활성도나 우선도를 변경할지는, 간섭 레벨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S23과 마찬가지로,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정보가 결정되고, 간섭 통지와 함께 기지국(50)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7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향하는 무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 서비스의 활성도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6종류의 정보가, 각각 구별 가능하게 통지되므로, 이 6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한 스케줄링을 실시하고, 적절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제1 보조 정보의 결정과,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6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와, 제5 실시 형태를 조합한 동작으로 된다.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와,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제어부(75)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해 무선 단말기(70)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지향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가, 모든 조합이 구별되도록 송신된다. 또한,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에,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가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통신 서비스를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지향 정보는 예를 들어, LTE 통신에 있어서, Vo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 중 어느 무선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LTE VoIP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의 경우, LTE VoIP 통신과 LTE Data 통신과 쌍방의 통신 성능을, 다른 통신보다 우선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테이블 (a)는 제1 보조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도 17의 테이블 (b)는 (a)의 제1 보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7에서, 「쌍방 간섭」은 LTE 통신과 ISM 통신의 쌍방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LTE만 열화」는 LTE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ISM만 열화」는 ISM 통신에서 간섭의 발생(통신 성능의 열화)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TE VoIP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를 지향하는(LTE VoIP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LTE VoIP 통신 지향+LTE Data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에 있어서의 VoIP 통신 서비스와 Data 통신 서비스의 양쪽을 지향하는(양쪽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ISM 통신 지향」은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을 지향하는(ISM 통신의 통신 성능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7의 예에서는, 제1 보조 정보로서,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9종류의 정보가, 4bit의 제어 정보로서, 간섭 통지에 부가하여 송신된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과,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도 17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9종류의 패턴으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S23과 마찬가지로, 도 1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정보가 결정되고, 간섭 통지와 함께 기지국(50)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7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향하는 무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 서비스의 활성도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지향 정보와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한 9종류의 정보가, 각각 구별 가능하게 통지되므로, 이 9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한 스케줄링을 실시하고, 적절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7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제1 보조 정보의 결정과, 제1 보조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도 18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단말기(7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과, 무선 통신 제어부(58)에 관한 동작이 상이하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간섭 통지와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제1 보조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무선 단말기(70)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58)는 예를 들어,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테이블 (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1의 경우(「LTE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LTE만 열화」),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활성화하는) 경우에는, Autonomous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높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 X=0의 경우(「ISM 통신 지향」에서, 「쌍방 간섭」 또는 「ISM만 열화」의 경우),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도록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Auto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낮추도록 설정된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5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S23과 마찬가지로,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정보가 결정되고, 간섭 통지와 함께 기지국(50)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50)은,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S27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70)는, 수신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간섭을 저감 혹은 회피하도록 간섭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 계측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보조 정보에 따라 간섭 제어가 조기에 개시되므로, 신속히 간섭 제어가 실행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향하는 무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 서비스의 활성도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기(70)가 LTE 통신 지향인 경우, 자율 정지의 빈도를 낮추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진다. 또한, 무선 단말기(70)가 ISM 통신 지향인 경우, 자율 정지의 빈도를 높이도록 LTE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LTE 통신의 활성도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ISM 통신의 활성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통신 제어에 의해, 활성도에 차가 생김으로써, 적어도 무선 단말기(70)가 지향하는(우선하는) 통신에 대해, 간섭이 저감 혹은 회피되어, 통신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 의해, 제7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을 제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지향 정보에 따라, 기지국(50)에서 Autonomous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무선 통신 파라미터로서 결정하여, 무선 단말기(70)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지향 정보에 따라, 무선 단말기(70)에서 Autonomous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결정하여, 결정한 빈도를 사용하여 간섭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LTE 통신의 활성도를 높이는 경우에, Autonomous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높이고, LTE 통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경우에, Autonomous Denial 방식으로 사용되는 자율 정지의 빈도를 낮추도록 하였지만, 제3∼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자율 정지에 빈도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제7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이나 LTE-A 시스템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LTE나 LTE-A 이외의 통신 방식을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제7 실시 형태는, 무선 단말기로서,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는, 유저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 이동 중계국 등,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여러 가지 통신 기기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제7 실시 형태는, 기지국으로서, 매크로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 여러 가지 규모의 기지국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제7 실시 형태는, 그 밖에, 중계국 등, 무선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여러 가지 통신 기기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제1∼제7 실시 형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를,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외부 장치로서 네트워크나 케이블 경유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1 : 무선 통신 시스템
2 : 네트워크
3 : 네트워크 장치
10 : 기지국
C10 : 셀
20 : 무선 단말기
11, 21A, 21B : 송신부
12, 22A, 22B : 수신부
13, 23A, 23B : 제어부
31, 41A, 41B : 안테나
32, 42A, 42B : RF 회로
33, 43A, 43B : CPU
34 : DSP
35, 44A, 44B : 메모리
36 : 네트워크 IF
50 : 기지국
51 : 송신/수신 안테나
52 : 송신/수신 절환부
53 : 수신 신호 처리부
54 : 데이터 취득부
55 : RS 취득부
56 : 데이터 전송부
58 : 무선 통신 제어부
59 : 데이터 생성부
60 : RS 생성부
61 : 송신 신호 처리부
70 : 무선 단말기
71 : 송신/수신 안테나
72 : 송신/수신 절환부
73 : 수신 신호 처리부
74 : 데이터 취득부
75 : 제1 무선 통신 제어부
76 : 간섭 검출부
77 : 데이터 생성부
78 : 송신 신호 처리부
80 :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82 : 송신/수신 안테나
83 : 송신/수신 절환부
84 : 수신 신호 처리부
85 : 데이터 취득부
86 : 제2 무선 통신 제어부
87 : 간섭 검출부
88 : 데이터 생성부
89 : 송신 신호 처리부

Claims (12)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정보는, 상기 계측의 완료 전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였을 때에, 상기 간섭의 발생을 나타내는 간섭 통지에,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2 보조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의 각각의 통신 성능의 열화를 판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성능이 열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정보로서, 상기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간섭의 발생 패턴을 대응시킨 정보, 및 상기 지향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간섭의 발생 패턴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시 중인 통신의 종류를 대응시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의 주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행하는 간헐 통신의 주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행하는 자율 정지의 빈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를 다른 주파수대로 변경하는 핸드오버의 실행 통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보조 정보와 상기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송신되는,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와, 상기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여 송신되는,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보조 정보와 상기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기지국.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로서,
    복수개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에서의 간섭의 발생에 따라,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1 보조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위한 계측을 행하고, 상기 간섭의 제어를 보조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보조 정보와 상기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무선 단말기.
KR1020157000816A 2012-07-20 2012-07-20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KR101706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4641 WO2014013531A1 (ja) 2012-07-20 2012-07-20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716A true KR20150030716A (ko) 2015-03-20
KR101706273B1 KR101706273B1 (ko) 2017-02-14

Family

ID=4994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816A KR101706273B1 (ko) 2012-07-20 2012-07-20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648508B2 (ko)
EP (1) EP2876942B1 (ko)
JP (1) JPWO2014013531A1 (ko)
KR (1) KR101706273B1 (ko)
CN (1) CN104471990B (ko)
WO (1) WO2014013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429275T3 (pl) * 2014-01-31 2022-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miary pomocnicze w małych komórkach ze schematem wł./wył.
DE112016006745T5 (de) * 2016-04-15 2018-12-27 Honda Motor Co., Ltd. Fahrzeugsteuersystem, Fahrzeugsteuerverfahren und Fahrzeugsteuerprogramm
JP2019110352A (ja) * 2016-04-21 2019-07-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EP3962148B1 (en) * 2019-10-17 2023-09-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932A (ja) * 2007-05-18 2008-11-27 Kyocer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干渉低減方法
JP2009060250A (ja) * 2007-08-30 2009-03-19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周波数割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8532T3 (es) * 2004-07-06 2014-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ódigos ortogonales de longitud variable no contiguos
JP4727367B2 (ja) * 2005-09-29 2011-07-20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システム
EP2063680B1 (en) * 2007-11-22 2011-08-31 Innovative Sonic Limited Enhancing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cedure re-initiation effici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246541B2 (en) 2008-02-01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UTRAN enhancements for the support of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265048B2 (en) 2008-07-11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Dominant interferer indication in access probe
CN101594669A (zh) * 2009-06-30 2009-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相近频段无线设备抗干扰的方法和装置
US8838046B2 (en) * 2010-06-18 2014-09-16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of hybrid FDM/TDM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CN102300320B (zh) * 2010-06-22 2014-04-3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小区间干扰协调的方法及装置
US8842546B2 (en) * 2010-07-22 2014-09-23 Mediatek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device with co-existence radio
US9246603B2 (en) * 2010-08-12 2016-01-26 Mediatek Inc. Method of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ellular, bluetooth, WiFi, and satellite systems coexistence
EP2624651B1 (en) * 2010-09-28 2019-06-12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therefor,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said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US20120120860A1 (en) 2010-11-16 2012-05-17 Chui Jimmy C Power optimized demodulator front end (demfront) receiver subsystem
WO2012092713A1 (zh) * 2011-01-07 2012-07-12 富士通株式会社 避免无线通信终端的设备共存干扰的方法、终端及基站
US8831611B2 (en) * 2011-02-18 2014-09-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keeping time update for handover
US9374829B2 (en) 2012-02-08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system to select ISM communications frequency bands to avoid cellular communications interference
US9100969B2 (en) * 2012-03-19 2015-08-04 Blackberry Limited Physical layer feedback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932A (ja) * 2007-05-18 2008-11-27 Kyocer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干渉低減方法
JP2009060250A (ja) * 2007-08-30 2009-03-19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周波数割当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22355 *
3GPP R2-122509 *
3GPP TR 36.816 V11.2.0(201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273B1 (ko) 2017-02-14
CN104471990A (zh) 2015-03-25
WO2014013531A1 (ja) 2014-01-23
US9648508B2 (en) 2017-05-09
US20180220316A1 (en) 2018-08-02
EP2876942A1 (en) 2015-05-27
CN104471990B (zh) 2018-11-16
EP2876942B1 (en) 2021-04-14
JPWO2014013531A1 (ja) 2016-06-23
US20160174092A1 (en) 2016-06-16
EP2876942A4 (en) 2015-07-29
US10257726B2 (en) 2019-04-09
US20150124639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8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017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i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17144B2 (en) Techniques for managing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s for high gain user equipment
EP3198934B1 (en) Detecting neighbor cell system information by low complexity user equipment
US9154278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system
US20150319643A1 (en) Ue transmitter sharing
WO2014070101A1 (en)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802203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US201301650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04158A (ko) 비면허 동작을 위한 이동성 개선들
JP6551475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
WO2014024219A1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局
KR20240036073A (ko) 경로 전환 및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