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443A -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443A
KR20150030443A KR20130109683A KR20130109683A KR20150030443A KR 20150030443 A KR20150030443 A KR 20150030443A KR 20130109683 A KR20130109683 A KR 20130109683A KR 20130109683 A KR20130109683 A KR 20130109683A KR 20150030443 A KR20150030443 A KR 2015003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mounting cup
pin
gasket
upper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096B1 (ko
Inventor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산
Priority to KR102013010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4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high-pressure containers, e.g. boilers,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0Making outlet openings, e.g. bung holes
    • B21D51/42Making or attaching spouts

Abstract

본 발명은 상금형의 핀을 이용해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타공하기 전에 평면을 확보하여 타공시 살이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얇아짐이 없이 타공부가 균일한 높이의 진원으로 타공되어 드로우잉 작업으로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한쪽이 터지거나 찢어는 현상없이 동일한 높이로 가스켓 안착돌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하고,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에도 가스켓 안착돌부의 한쪽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져 두께가 얇아지지 않도록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성형방법은 상기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 부위를 각각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는 제1 상부펀치 및 제1 하부펀치의 동시 하강 및 상승에 의한 가압력으로 평면으로 가공하고, 확보된 평면의 중앙부를 제1 상부펀치에 내장된 핀을 하강시켜 타공하는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와; 상기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에 의해 마운팅 컵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이 하부금형 상에 고정된 제2 하부펀치과 동일축을 이루도록 마운팅 컵의 확보된 평면부가 제2 하부펀치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제2 하부펀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펀치 삽입홀을 갖는 제2 상부펀치를 하강시켜 제2 하부펀치가 제2 상부펀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2 상부펀치의 펀치 삽입홀과 제2 하부펀치의 사이에서 가스켓 안착돌부가 형성되게 하는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Mounting cup for gas container and form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금형의 핀을 이용해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타공하기 전에 평면을 확보하여 타공시 살이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얇아짐이 없이 타공부가 균일한 높이의 진원으로 타공되어 드로우잉 작업으로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한쪽이 터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없이 동일한 높이로 가스켓 안착돌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하고,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에도 가스켓 안착돌부의 한쪽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져 두께가 얇아지지 않도록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용기는 LPG, DME, 프레온,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등과 같은 분사가스를 용기 내부에 충전하여 분사가스와 함께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분사가스의 압력을 이용해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분사가스를 이용한 가스용기로는 휴대용 부탄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소화기 등이 있다.
이러한 가스용기는 고온이나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용기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다. 예컨대, 가스용기를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에 장시간 방치해 두면 직사광선의 열에 의해 용기 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팽창하면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상기한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져 용기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전에 용기 내의 가스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의 변형 및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용기용 과압 안전장치, 즉 특허출원 제2011-0096479호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컵(3)의 하단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10)과, 메인하우징(10)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밸브스템(20)과, 메인하우징(10)과 마운팅 컵(3)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용 씰(40)과, 메인하우징(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서브하우징(50), 및 서브하우징(50) 내에 설치되는 안전밸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은 엘보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메인 가스유로(10a)가 형성된 것으로, 밸브스템(20)이 설치되는 공간부(11a)가 내부에 형성된 수직부(11)와, 수직부(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컵(3)의 일측에는 과압가스 배출홀(3c)이 형성되고, 수직부(11)의 외주연에는 유동방지돌부(14)가 서브하우징(50)과 대향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공간부(11a)의 내측에 복수개의 스템 가이드리브(11b) 및 스프링 가이드리브(11c)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밸브스템(20)은, 상부가 마운팅 컵(3)의 하단 중심을 관통하고, 하부가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11)에 형성된 공간부(11a) 내에 스프링(30)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부측 내에 가스유로(20a)가 형성되고, 중심부 외주연에 환상의 요입부(20b)가 형성되며, 요입부(20b)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오리피스(20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하우징(50)의 하단은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브하우징(5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12) 외주연에는 메인 가스유로(10a) 내의 과압가스가 서브하우징(50) 내로 유입되는 과압가스 유입홀(12a)이 형성된다.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아래에는 복수개의 개폐부재 가이드리브(52)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전밸브는 서브하우징(50)의 내부에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1)와, 압축스프링(62)과, 중심부에 홀(63a)이 형성된 압축스프링 고정판(63), 및 기밀유지 가스켓(64)으로 구성되고, 개폐부재(61)의 고정부(61a) 외측에 복수개의 스프링 유동방지돌부(61b)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3a)과 기밀유지 가스켓(64)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4a)은 서로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마운팅 컵의 실제 단면을 상하 방향을 바꾸어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과압가스 배출홀(3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금형의 핀(7a)을 마운팅 컵(3)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하강시켜 타공한 후,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우잉(drawing) 작업에 의해 하금형을 마운팅 컵(3)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상승시켜 관통함으로써 과압가스 배출홀(3c)의 상부측으로 과압가스 배출홀(3c)의 형상을 따라 가스켓 안착돌부(3d)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3d)의 외측으로 기밀유지 가스켓(64)이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도 5는 도 1의 마운팅 컵과 가스용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마운팅 컵(3)은 가스용기(2)의 상단부에 2개의 부분품을 겹쳐 결합시키는 시이밍(seaming) 공정에 의해 결합되고, 가스용기(2) 내부의 고압에 의해 마운팅 컵(3)이 가스용기(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이밍부(미도시)의 하부에 마운팅 컵(3)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걸림턱(9)이 형성되게 하는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방법은 상금형의 핀을 이용하여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 부분을 그대로 마운팅 컵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타공하기 때문에 원형이 아닌 타원 형태로 타공될 뿐만 아니라 마운팅 컵을 관통한 핀의 좌측 살은 얇아지는 반면에 우측 살은 아래쪽으로 밀려 살이 두꺼워짐으로써 상금형의 핀이 자주 부러져 고가의 상기 핀을 교체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하금형을 이용한 드로우잉 작업으로 가스켓 안착돌부를 성형할 때, 상기한 두께가 얇은 좌측 살이 하금형에 의해 강제로 상부측으로 밀리는 과정에서 터지거나 찢어지고 좌우측 살의 높이차로 인해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성형된 가스켓 안착돌부와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밀유지 가스켓 간의 치수 불일치로 조립의 정확성이 결여됨으로써 가스 누출로 인한 치명적인 안전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의 외측이 깊이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 가스켓 안착돌부의 일측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져 두께가 얇아지게 됨으로써 그 얇아진 부분이 가스용기 내부의 고압을 견디지 못해 터져 가스 누출로 인한 안전성에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발방지밸브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금형의 핀을 이용해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타공하기 전에 평면을 확보하여 타공시 살이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얇아짐이 없이 타공부가 균일한 높이의 진원으로 타공되어 드로우잉 작업으로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한쪽이 터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없이 동일한 높이로 가스켓 안착돌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하고,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에도 가스켓 안착돌부의 한쪽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의 한 형태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밸브스템과, 개폐용 씰과, 메인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는 서브하우징, 및 서브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안전밸브를 포함하는 폭발방지밸브가 하단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과압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 부위를 각각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는 제1 상부펀치 및 제1 하부펀치의 동시 하강 및 상승에 의한 가압력으로 평면으로 가공하고, 확보된 평면의 중앙부를 제1 상부펀치에 내장된 핀을 하강시켜 타공하는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와; 상기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에 의해 마운팅 컵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이 하부금형 상에 고정된 제2 하부펀치와 동일축을 이루도록 마운팅 컵의 확보된 평면부가 제2 하부펀치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제2 하부펀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펀치 삽입홀을 갖는 제2 상부펀치를 하강시켜 제2 하부펀치가 제2 상부펀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2 상부펀치의 펀치 삽입홀과 제2 하부펀치의 사이에서 가스켓 안착돌부가 형성되게 하는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펀치는 하단부 중앙에 핀 관통홀을 갖는 중공의 펀치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몸체의 내부에 중공의 핀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핀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펀치몸체의 하단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탄력 지지되고, 상기 펀치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제1 하부펀치는 제1 상부펀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 입구측에 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의 하부측으로 테이퍼에 의해 확공된 칩배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펀치는 하단부에 원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는, 하단부에 원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딩부를 갖는 제2 상부펀치의 하강에 의해 가스켓 안착돌부의 외측에 디핑홀이 성형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해 마운팅 컵에 과압가스 배출홀을 성형할 때 상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제1 상부펀치와 제1 하부펀치를 이용하여 타공의 대상이 되는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가압하여 평면을 확보한 후 제1 상부펀치에 내장된 핀이 하강하여 확보된 평면부위의 중앙부를 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타공부가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얇아짐이 없이 균일한 두께 및 높이의 진원으로 타공되고, 이에 따라 제2 상부펀치와 제2 하부펀치를 이용해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가 터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없이 설계된 치수에 일치되게 성형이 이루어져 기밀유지 가스켓을 포함하는 밸브와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가스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사용의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상부금형과 제2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제2 상부금형의 하단부에 형성된 라운딩부에 의해 가스켓 안착돌부의 외측에 깊이를 갖는 디핑홈을 형성하여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 가스켓 안착돌부의 한쪽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져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용기 내부의 고압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이 터져 가스가 누출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타공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에 과압가스 배출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드로우잉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에 가스켓 안착돌부를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마운팅 컵에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 내지 도 6c는 타공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에 과압가스 배출홀을 성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드로우잉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에 가스켓 안착돌부를 성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타공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에 과압가스 배출홀을 성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는, 제1 상부펀치(110)와 제1 하부펀치(120)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펀치(110)는 하단부 중앙에 펀치 관통홀(112)을 가지며 상부금형(미도시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중공의 펀치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몸체(111)의 내부에 중공의 핀(113)을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하되, 상기 핀(113)은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펀치몸체(111)의 하단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핀(113)의 상부에는 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15)과 펀치몸체(111)의 핀 관통홀(112) 외곽 사이에 스프링(116)이 탄력 설치되는 것이며, 핀(113)은 상부금형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가압장치(미도시됨)에 의해 눌려져 하강하고, 눌림이 해제되면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핀(113)의 중공부(114)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어 핀(113)의 중공부(114)측으로 에어가 핀(113)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 하부펀치(120)는 제1 상부펀치(110)의 핀(113)에 상응하는 직경의 핀 삽입공(121)이 상단부 입구측에 형성되어 핀(113)의 타공시 상기 핀(113)이 제1 하부펀치(120)의 내부로 삽입 및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121)의 하부에는 테이퍼(122)에 의해 확공된 칩배출공(123)이 형성되어 핀(113)의 타공에 의해 발생된 칩(chip)이 핀(113)의 중공부(114)를 통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제1 하부펀치(12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펀치(110)와 제1 하부펀치(120)가 동시에 하강 및 상승하면서 마운팅 컵(3)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가압하여 평면을 확보한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펀치(110)에 내장된 핀(113)이 미도시된 상부금형의 가압장치에 의해 스프링(11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면서 확보된 평면의 중앙부를 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펀치(110)의 핀(113)은 제1 하부펀치(120)의 핀 삽입공(121)을 관통하고, 타공된 마운팅 컵(3)의 칩(123a)은 핀(113)의 중공부(11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제1 하부펀치(120)의 칩배출공(123)을 통해 제1 하부펀치(120)의 하부로 배출된다.
타공후에는 핀(113)에 대한 가압장치의 누름력이 해제되면서 핀(113)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펀치몸체(111)의 내부로 인입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1 상부펀치(110)와 제1 하부펀치(120) 역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의해 다시 상승 및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마운팅 컵(3)에 대한 타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마운팅 컵(3)에 과압가스 배출홀(3c)이 형성된 후에는 드로우잉 작업을 통해 과압가스 배출홀(3c)을 형상을 따라 상부측으로 가스켓 안착돌부(3d)를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펀치(130)와 제2 하부펀치(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상부펀치(130)는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펀치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원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딩부(132)를 갖는 것으로서, 이 역시 미도시된 상부금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하부펀치(140)는 미도시된 하부금형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상부펀치(110)의 펀치 삽입홀(131)은 제2 하부펀치(14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하부펀치(140)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펀치 삽입홀(131)은 타공 작업에 의해 마운팅 컵(3)에 타공된 과압가스 배출홀(3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펀치(140)의 상부에 마운팅 컵(3)의 확보된 평면부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3c)이 상기 제2 하부펀치(140)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펀치(130)를 하강시키면 제2 하부펀치(140)가 제2 상부펀치(130)의 펀치 삽입홀(13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과압가스 배출홀(3c) 외곽의 살은 제2 하부펀치(140)와 함께 제2 상부펀치(13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 가스켓 안착돌부(3d)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3d)의 외측에는 제2 상부펀치(130)의 라운딩부(132)에 의해 깊이를 갖는 디핑홈(133)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렇게 제2 상부펀치(130)와 제2 하부펀치(140)의 작동에 의해 가스켓 안착돌부(3d) 및 가스켓 안착돌부(3d)가 형성된 후에는 제2 상부펀치(130)가 미도시됨 상부금형에 의해 상부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고, 제2 하부펀치(140)로부터 타공 및 드로우잉 작업을 마친 마운팅 컵(3)을 수거함으로써 일련에 마운팅 컵(3)에 대한 과압가스 배출홀(3c) 및 가스켓 안착돌부(3d)의 성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해 마운팅 컵에 과압가스 배출홀을 성형할 때 상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제1 상부펀치와 제1 하부펀치를 이용하여 타공의 대상이 되는 마운팅 컵의 굴곡진 경계부분을 가압하여 평면을 확보한 후 제1 상부펀치에 내장된 핀이 하강하여 확보된 평면부위의 중앙부를 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타공부가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얇아짐이 없이 균일한 두께 및 높이의 진원으로 타공되고, 이에 따라 제2 상부펀치와 제2 하부펀치를 이용해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가 터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없이 설계된 치수에 일치되게 성형이 이루어져 기밀유지 가스켓을 포함하는 밸브와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가스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사용의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상부금형과 제2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가스켓 안착돌부를 형성할 때 제2 상부금형의 하단부에 형성된 라운딩부에 의해 가스켓 안착돌부의 외측에 깊이를 갖는 디핑홈을 형성하여 아웃사이드 클램핑 가공시 가스켓 안착돌부의 한쪽이 시이밍부측으로 당겨져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용기 내부의 고압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이 터져 가스가 누출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제1 상부펀치
111: 펀치몸체 112: 핀 관통홀
113: 핀 114: 중공부
115: 지지턱 116: 스프링
120: 제1 하부펀치
121: 핀 삽입공 122: 테이퍼
123: 칩배출공
130: 제2 상부펀치
131: 펀치 삽입홀 132: 라운딩부
133: 디핑홀(deeping hole)
140: 제2 하부펀치

Claims (5)

  1. 메인하우징(10)과, 상기 메인하우징(10)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밸브스템(20)과, 개폐용 씰(40)과, 메인하우징(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서브하우징(50), 및 서브하우징(50) 내에 설치되는 안전밸브(60)를 포함하는 폭발방지밸브(1)가 하단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과압가스 배출홀(3c)이 형성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컵(3)의 굴곡진 경계 부위를 각각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는 제1 상부펀치(110) 및 제1 하부펀치(120)의 동시 하강 및 상승에 의한 가압력으로 평면으로 가공하고, 확보된 평면의 중앙부를 제1 상부펀치(110)에 내장된 핀(113)을 하강시켜 타공하는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와;
    상기 과압가스 배출홀 성형단계에 의해 마운팅 컵(3)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3c)이 하부금형 상에 고정된 제2 하부펀치(140)와 동일축을 이루도록 마운팅 컵(3)의 확보된 평면부가 제2 하부펀치(140)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제2 하부펀치(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펀치 삽입홀(131)을 갖는 제2 상부펀치(130)를 하강시켜 제2 하부펀치(140)가 제2 상부펀치(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2 상부펀치(130)의 펀치 삽입홀(131)과 제2 하부펀치(140)의 사이에서 가스켓 안착돌부(3d)가 형성되게 하는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펀치(110)는 하단부 중앙에 핀 관통홀(112)을 갖는 중공의 펀치몸체(111)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몸체(111)의 내부에 중공의 핀(113)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핀(113)은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펀치몸체(111)의 하단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탄력 지지되고, 상기 핀(113)의 중공부(1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제1 하부펀치(120)는 제1 상부펀치(110)의 핀(1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 입구측에 핀 삽입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121)의 하부측으로 테이퍼(122)에 의해 확공된 칩배출공(123)을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펀치(130)는 하단부에 원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딩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안착돌부 성형단계는, 하단부에 원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딩부(132)를 갖는 제2 상부펀치(130)의 하강에 의해 가스켓 안착돌부(3d)의 외측에 디핑홈(133)이 성형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의 성형방법.
  5. 제1항의 성형방법에 의해 형성된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KR1020130109683A 2013-09-12 2013-09-12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KR10159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83A KR101596096B1 (ko) 2013-09-12 2013-09-12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83A KR101596096B1 (ko) 2013-09-12 2013-09-12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43A true KR20150030443A (ko) 2015-03-20
KR101596096B1 KR101596096B1 (ko) 2016-02-19

Family

ID=5302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683A KR101596096B1 (ko) 2013-09-12 2013-09-12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4719A (zh) * 2016-12-28 2017-05-31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定位结构的o型圈模具
CN107088626A (zh) * 2016-06-24 2017-08-25 中航湖南通用航空发动机有限公司 密封垫成型装置及油压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529A (ko) * 1999-01-13 2001-11-14 칠-캔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자기-냉각 및 자기-가열식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저면에열교환 유닛 및 밸브를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007050411A (ja) * 2005-08-12 2007-03-01 Toyo Seikan Kaisha Ltd 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並びに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
KR20110077557A (ko) * 2009-12-30 2011-07-07 (주) 태진금속 오일필터의 보강판 제조용 프레스 장치, 보강판 및 오일필터
KR20130032719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화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529A (ko) * 1999-01-13 2001-11-14 칠-캔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자기-냉각 및 자기-가열식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저면에열교환 유닛 및 밸브를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007050411A (ja) * 2005-08-12 2007-03-01 Toyo Seikan Kaisha Ltd 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並びに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
KR20110077557A (ko) * 2009-12-30 2011-07-07 (주) 태진금속 오일필터의 보강판 제조용 프레스 장치, 보강판 및 오일필터
KR20130032719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화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8626A (zh) * 2016-06-24 2017-08-25 中航湖南通用航空发动机有限公司 密封垫成型装置及油压机
CN106734719A (zh) * 2016-12-28 2017-05-31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定位结构的o型圈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096B1 (ko)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45B1 (ko)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KR101464493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방지를 위한 과압배출용 안전밸브
CN210034558U (zh) 一种气门芯及氮气弹簧
KR100515120B1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US20170043743A1 (en) Gas generator
KR101596096B1 (ko) 가스용기용 마운팅 컵 및 그 성형방법
KR20160146682A (ko) 가스 발생기
US20160126517A1 (en) Closure plug assembly, case and rechargeable battery
KR101281536B1 (ko)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159922B1 (ko) 배터리용 안전 밸브
KR20040071484A (ko)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1064633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US20160200284A1 (en) High-pressure gas cylinder
CN215418488U (zh) 活塞型锂电池防爆阀结构
CN211839732U (zh) 一种水涨成型模具
KR20180019343A (ko) 폭발 방지용 가스 용기
KR101396896B1 (ko) 폭발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스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1468B1 (ko) 휴대용 가스용기
KR20180072958A (ko) 가스용기용 밸브의 개폐용 씰 구조
JP6670678B2 (ja) 蓄圧式吐出器
CN213176923U (zh) 一种真空袋气阀
KR101756437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가스통
CN215764607U (zh) 一种充气钢瓶用阀门
JP6259258B2 (ja) フォーマポンプ
KR102320996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압력감지식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