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387A -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387A
KR20150030387A KR20130109560A KR20130109560A KR20150030387A KR 20150030387 A KR20150030387 A KR 20150030387A KR 20130109560 A KR20130109560 A KR 20130109560A KR 20130109560 A KR20130109560 A KR 20130109560A KR 20150030387 A KR20150030387 A KR 2015003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user terminal
tagging
moving picture
targ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926B1 (ko
Inventor
홍의재
박영민
홍성주
Original Assignee
엠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9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코멘트를 태깅하고 이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모듈,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코멘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Comment tagging system for streaming video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코멘트를 태깅하고 이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시장도 해마다 그 규모가 괄목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편, 최근 네트워크 속도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많은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도 특히 동영상 컨텐츠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네트워크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서비스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유투브(Youtube)나 비메오(Vime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고, 해당 동영상에 대한 감상평이나 코멘트를 텍스트 형태의 댓글로 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동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동영상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이나 총평을 남길 수도 있지만, 해당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대한 감상을 남기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기존의 댓글 기능만으로는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한편, 자신의 독특한 생각이나 아이디어, 영화나 음악 등에 대한 감상평을 타 사용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 최근 인터넷 사용자들의 경향이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은 자신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까페나 블로그와 같은 콘텐츠 게시 서비스를 활발히 이용하고 있었다. 이후 이러한 게시 서비스들은 특정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물을 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발전하여 오고 있으며, 현재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수 억명의 사용자가 가입을 하여 활동하고 있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대한 감상평을 자신이 사용하는 SNS를 통해 타 사용자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에 대한 SNS의 이용자들의 욕구가 날로 높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은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하여, 이를 타 사용자아게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이 작성한 코멘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동영상 검색에 대해 보다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모듈,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코멘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은 소정의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스트리밍 모듈은, 상기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SNS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NS모듈은, 상기 SNS 제공시스템에 게시되는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SNS 제공시스템을 통해 게시물 콘텐츠에 접근한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태깅정보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하나인 분석대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제3사용자 단말의 검색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하는 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정보 또는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재생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동영상의 재생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재생위치표시바(bar)를 포함하는 재생 UI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동영상 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재생위치표시바 상의 위치에 상기 코멘트에 상응하는 버튼UI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버튼UI가 선택되면,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모듈,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SNS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코멘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은 소정의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e)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SNS 제공시스템에 게시되는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SNS 제공시스템을 통해 게시물 콘텐츠에 접근한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태깅정보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하나인 분석대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3사용자 단말의 검색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정보 또는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타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가 남긴 코멘트가 어떤 장면에 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는 특정 장면에 대한 자신의 코멘트를 SNS를 통하여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코멘트가 포함된 SNS의 게시물을 열람하는 타 사용자가 해당 코멘트가 어떤 장면에 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해당 장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를 활용하여 동영상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개시되는 게시물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에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하,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라고 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 내지 200-3), 소정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 및/또는 SNS 제공 시스템(400)과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은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소정의 동영상 재생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은 컴퓨터, 랩탑, 데스크탑,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기타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는 다수의 동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말로 요청된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서 공개한 소정의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저장된 동영상을 검색하거나,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동영상을 소정의 사용자 단말(300)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게시물 컨텐츠(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악 또는 이들의 조합 등)를 게시하여 타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 컨텐츠에 댓글을 작성하거나 추천/비추천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물 콘텐츠의 게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게시물 컨텐츠가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게시한 컨텐츠를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서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동영상에 포함된 특정 프레임에 소정의 코멘트가 태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코멘트는 문자열, 하이퍼링크,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스트리밍모듈(110), 수신모듈(120), 저장모듈(130), 제어모듈(140), SNS모듈(150), 인식모듈(160), 검색모듈(170) 및 데이터베이스(180; Database; 이하, 'DB'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트리밍모듈(110), 수신모듈(120), 저장모듈(130), 제어모듈(140), SNS모듈(150), 인식모듈(160), 검색모듈(170) 및/또는 DB(180)는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트리밍모듈(110), 수신모듈(120), 저장모듈(130), 제어모듈(140), SNS모듈(150), 인식모듈(160), 검색모듈(170) 및/또는 DB(18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스트리밍모듈(110), 수신모듈(120), 저장모듈(130), SNS모듈(150), 인식모듈(160), 검색모듈(170) 및/또는 DB(18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동영상 스트리밍의 중계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직접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도 있지만,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을 통하여 동영상 스트리밍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로 상기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하면,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 중계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상기 동영상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일부에 대한 검색 요청을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어로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저장된 동영상 중 일부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이 요청한 동영상이 외부 스트리밍 서버(즉,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이 상기 DB(180)에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DB(180)에 저장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동영상이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생UI(210)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a)는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에 디스플레이되는 재생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재생UI(210)는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영역(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UI(210)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재생위치표시바(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UI(210)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에서 구동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UI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위치표시바(214)는 사용자가 스트리밍되는 동영상 중 이미 재생된 부분과 앞으로 재생될 부분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바(bar) 형태의 UI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11)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프레임의 상기 동영상 내에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UI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한편,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재생 중인 프레임(212)에 코멘트가 태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의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212)이 재생되는 시점에, 상기 재생UI(210)에 포함된 코멘트 입력UI(213)에 원하는 코멘트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코멘트의 전송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상기 코멘트 입력UI(213)를 통해 입력된 코멘트 및 상기 코멘트가 태깅될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대상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 번호 또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재생시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입력UI(213)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를 상기 코멘트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깅요청에는 코멘트, 상기 코멘트가 태깅될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ID, 동영상의 URL과 같은 동영상 자체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멘트를 SNS에 공유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코멘트가 공유되는 SNS에 관한 정보, 상기 사용자의 SNS 로그인 ID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로부터 태깅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DB(18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대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DB(180)에서 상기 코멘트를 검색하거나 특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코멘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대상 프레임 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상기 코멘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코멘트 및 상기 대상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상기 DB(18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모듈(160)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하나인 분석대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160)은 인식 가능한 오브젝트가 가지는 다양한 특성(형태, 색깔, 오브젝트가 가지는 각 구성요소나 그들의 배치, 움직임 패턴 등)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분석 대상 프레임의 각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160)의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160)이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모듈(130)은 인식된 각 오브젝트의 명칭을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대상 프레임(240)에서 상기 인식모듈(160)이 태블릿PC(241), 전자사전(242) 및 손목시계(243)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저장모듈(130)은 "태블릿PC/전자사전/손목시계"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240)에 상응하는 코멘트로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사용자 단말(200-2) 역시 상기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동영상이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에 의해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상기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는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의 재생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에서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이 상기 동영상의 1분39초에 해당하는 대상 프레임(212)에 "So fun!!"이라는 내용의 코멘트를 태깅한 경우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 역시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과 동일한 재생 UI(220)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상기 제어모듈(140)로부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상기 대상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또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재생시각 등)와 상기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를 수신하고, 상기 코멘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코멘트가 상기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것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프레임(212)의 상기 동영상 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재생위치표시바 상(214)의 위치에 상기 코멘트에 상응하는 버튼UI(215-4)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버튼UI(215-4)가 선택되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에 의해 태깅된 코멘트인 "So fu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이 코멘트 "So fun!!"을 태깅하기 이전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코멘트들이 더 태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상기 동영상에 태깅된 모든 코멘트에 상응하는 버튼UI(215-1 내지 215-3)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각 버튼UI(215-1 내지 215-3)이 선택될 때마다 그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대상프레임의 재생시각 - 코멘트(예를 들면, 1:39 - So fun!! 등)의 형식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상기 재생UI(211)에 상기 대상 프레임(212)이 디스플레이 될 때,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코멘트가 태깅된 프레임이 더 존재하는 경우 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그에 상응하는 코멘트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타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가 남긴 코멘트가 어떤 장면에 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장면에 태깅한 코멘트를 SNS를 통해 공유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SNS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1)에서 태깅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태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를 작성하여,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SNS모듈(150)에 의해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된 게시물 컨텐츠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시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에서 대상 프레임(212)에 "So fun!!"이라는 내용의 코멘트를 태깅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시물 컨텐츠는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232)의 내용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231), 상기 대싱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크기, 용량 및/또는 화질을 감소시킨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일부분만을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는 상기 SNS 제공시스템(400)을 통해 게시물 콘텐츠에 접근한 제3사용자 단말(200-3)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에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동영상 및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일 수 있다.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하이퍼링크를 통해 접근한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동영상의 중간부터 스트리밍하기 위한 중간재생API 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이러한 중간재생API 를 이용하면 되지만,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가 중간재생 API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모듈(110)은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 동영상을 스트리밍받아 저장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200-3)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동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는 특정 장면에 대한 자신의 코멘트를 SNS를 통하여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코멘트가 포함된 게시물을 열람하는 타 사용자가 해당 코멘트가 어떤 장면에 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해당 장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40)은 동영상을 스트리밍받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2)로 전송하는 태깅정보에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된 게시물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2)에서 상기 게시물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시물에 대한 하이퍼링크는 이를 디스플레이한 사용자 단말(예를들면, 200-2)에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2)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식에 따라 소정의 동영상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에 코멘트가 태깅되면, 상기 동영상에 태깅된 코멘트를 동영상의 검색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색모듈(170)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3)의 검색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DB(180)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40)은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정보 또는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생UI(210)에 포함된 검색UI(218)에 동영상 검색어를 입력하여, 해당 검색어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코멘트를 검색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3)은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검색모듈(170)은 상기 DB(180)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모듈(170)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로서,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코멘트를 추출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모듈(170)은 상기 검색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포함하는 코멘트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 단말(200-1)에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소정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300)에 저장된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300)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로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00, S110). 상기 스트리밍 서버(300)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로 스트리밍하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스트리밍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130).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특정 장면(즉, 특정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200-1)은 상기 코멘트 및 상기 코멘트가 태깅될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S140),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150).
또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S160, S170).
이후, 제2사용자 단말(200-2)에서 상기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80 내지 S200).
그런데,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코멘트가 태깅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로 전송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상기 제2사용자 단말(200-2)은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멘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20).
한편, 제3사용자 단말(200-3)이 상기 SNS 제공 시스템(400)에 게시된 상기 게시물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SNS제공 시스템(400)은 상기 게시물 컨텐츠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로 제공할 수 있다(S230, S240).
그러면,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은 상기 게시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게시물 컨텐츠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선택받을 수 있다(S250).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이 상기 하이퍼링크를 통해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S260),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상기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S270),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300)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70, S280).
그런데,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코멘트가 태깅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대상 프레임에 태깅된 코멘트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290).
그러면, 상기 제3사용자 단말(200-3)은 상기 동영상을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멘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0).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코멘트 태깅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모듈;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코멘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소정의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스트리밍 모듈은,
    상기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SNS모듈을 더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NS모듈은,
    상기 SNS 제공시스템에 게시되는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SNS 제공시스템을 통해 게시물 콘텐츠에 접근한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태깅정보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하나인 분석대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 저장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은,
    제3사용자 단말의 검색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하는 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정보 또는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재생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동영상의 재생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재생위치표시바(bar)를 포함하는 재생 UI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동영상 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재생위치표시바 상의 위치에 상기 코멘트에 상응하는 버튼UI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버튼UI가 선택되면,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코멘트 태깅 시스템.
  10.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모듈;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SNS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11. (a)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코멘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상기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코멘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소정의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외부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e)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SNS 제공시스템에 게시되는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대상 프레임에 상응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SNS 제공시스템을 통해 게시물 콘텐츠에 접근한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대상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태깅정보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상기 게시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하나인 분석대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대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코멘트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3사용자 단말의 검색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코멘트 중 상기 검색요청에 포함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정보 또는 추출된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코멘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상기 제3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8.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스트리밍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디오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대상 프레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태깅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상기 태깅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태깅요청에 포함된 상기 코멘트를 포함하는 게시물 콘텐츠가 소정의 SNS 제공 시스템에 게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제공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이, 제1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KR1020130109560A 2013-09-12 2013-09-1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8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60A KR101587926B1 (ko) 2013-09-12 2013-09-1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60A KR101587926B1 (ko) 2013-09-12 2013-09-1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387A true KR20150030387A (ko) 2015-03-20
KR101587926B1 KR101587926B1 (ko) 2016-01-25

Family

ID=5302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60A KR101587926B1 (ko) 2013-09-12 2013-09-1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92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926A1 (ko) * 2016-03-04 2017-09-08 (주)잼투고 동영상 재생산 서비스 방법 및 서버
WO2017217821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을 공유하여 다자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공유 서버
CN107566906A (zh) * 2017-08-29 2018-01-0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评论处理方法及装置
KR101899240B1 (ko) * 2017-03-23 2018-09-14 김동현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CN108696765A (zh) * 2017-04-07 2018-10-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中的辅助输入方法及装置
KR20190142800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18050A1 (ko) * 2019-12-10 2021-06-17 강동기 하이라이트 영상 자동 편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47414A1 (zh) * 2020-01-22 2021-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消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1218518A1 (zh) * 2020-04-29 2021-11-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678031B2 (en) 2019-04-19 2023-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oring comments including typed hyperlinks that reference video content
US11785194B2 (en) 2019-04-19 2023-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ly-aware control of a user interface displaying a video and related user tex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83B1 (ko) * 2018-02-09 2019-10-28 엠랩 주식회사 스트리밍 미디어에 코멘트를 맵핑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57313B1 (ko) 2021-04-05 2022-02-08 주식회사 비욘드더드림 비디오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색인어를 설정하는 전자 장치의 콘텐츠 인덱싱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401B2 (ja) * 1991-01-29 1995-04-12 日本碍子株式会社 電圧非直線抵抗体
JP2012175221A (ja) * 2011-02-18 2012-09-10 Yamaha Corp 通信システム、動画再生装置、およびコメント入出力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3218B2 (ja) * 2006-12-11 2009-05-13 株式会社ドワンゴ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コメント配信サーバ、端末装置、コメント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401B2 (ja) * 1991-01-29 1995-04-12 日本碍子株式会社 電圧非直線抵抗体
JP2012175221A (ja) * 2011-02-18 2012-09-10 Yamaha Corp 通信システム、動画再生装置、およびコメント入出力端末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202A (ko) * 2016-03-04 2018-10-15 (주)잼투고 동영상 재생산 서비스 방법 및 서버
WO2017150926A1 (ko) * 2016-03-04 2017-09-08 (주)잼투고 동영상 재생산 서비스 방법 및 서버
WO2017217821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을 공유하여 다자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공유 서버
KR101899240B1 (ko) * 2017-03-23 2018-09-14 김동현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CN108696765A (zh) * 2017-04-07 2018-10-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中的辅助输入方法及装置
CN107566906B (zh) * 2017-08-29 2020-09-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评论处理方法及装置
CN107566906A (zh) * 2017-08-29 2018-01-0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评论处理方法及装置
KR20190142800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678031B2 (en) 2019-04-19 2023-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oring comments including typed hyperlinks that reference video content
US11785194B2 (en) 2019-04-19 2023-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ly-aware control of a user interface displaying a video and related user text
WO2021118050A1 (ko) * 2019-12-10 2021-06-17 강동기 하이라이트 영상 자동 편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47414A1 (zh) * 2020-01-22 2021-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消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68427B2 (en) 2020-01-22 2024-04-2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ideo messag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1218518A1 (zh) * 2020-04-29 2021-11-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926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926B1 (ko)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03253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US20190130185A1 (en) Visualization of Tagging Relevance to Video
US8973153B2 (en) Creating audio-based annotations for audiobooks
US20110060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net media content
JP2018085754A (ja) 動画コンテンツのハイライト映像を抽出して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321946B2 (en) Content entity recognition within digital video data for dynamic content generation
JP2023539820A (ja) インタラクティブ情報処理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US20130097644A1 (en) Generation and Consumption of Discrete Segments of Digital Media
US20140108541A1 (en) Terminal apparatus, terminal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279709B (zh) 提供视频推荐
WO2023016349A1 (zh) 一种文本输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40007718A1 (en) Multimedia brow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im
WO2023088006A1 (zh) 云游戏交互方法、装置、可读介质和电子设备
CN114727143A (zh) 多媒体资源展示方法及装置
WO2019146466A1 (ja) 情報処理装置、動画検索方法、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235603B (zh) 视频分发系统、方法、计算设备、用户设备及视频播放方法
US9762687B2 (en) Continuity of content
WO20121455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CA30781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of croudsourced news media from captured contents
Garaizar et al. A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view of HTML5 APIs: technical benefits and privacy risks
KR20090035989A (ko) 컨텐츠 획득 시스템 및 그 방법
Carter et al. Tools to support expository video capture and access
KR102051323B1 (ko) 사용자 상황에 따른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21485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tex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