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240B1 -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240B1
KR101899240B1 KR1020170036878A KR20170036878A KR101899240B1 KR 101899240 B1 KR101899240 B1 KR 101899240B1 KR 1020170036878 A KR1020170036878 A KR 1020170036878A KR 20170036878 A KR20170036878 A KR 20170036878A KR 101899240 B1 KR101899240 B1 KR 10189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video
yoga
moving image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7003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feedback contents)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송신하여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영상 피드백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트리밍 동영상에서 특정 부분에 대해 동영상,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파일(file) 등을 피드백하여 부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트리밍 동영상 제공자가 동영상의 특정 내용에 대해 상호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USER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MOVING IMAGE}
본 발명은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동영상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는 일방적인 방향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로서,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적절한 의견이나 감상 등을 피드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 등의 피드백은 주로 댓글이라든가 게시판 글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짧은 시간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서는 이러한 댓글이나 게시판 글에 대해서 어떠한 부분에 대한 감상이나 의견인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장시간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서는 특정 부분에 대한 감상이나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댓글이나 게시판 글을 읽는 다른 사용자들도 어떠한 부분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인지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많다.
또한 이러한 댓글이나 게시판 글, '좋아요' 추천 이외에 다른 형태의 피드백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사용자들은 피드백의 표현 형태에 있어서도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다.
한편, 이러한 스트리밍 동영상은 영화, TV 프로그램, 뉴스 등 다양한 범주가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형태는 주로 일방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강의 동영상이라든가 헬스 동영상이나 요가 동영상, 요리 동영상과 같은 다소 교육적인 목적성을 갖는 동영상도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온라인 강의가 성행하고 있지만, 온라인 강의는 이를 수강하는 수강생이나 시청자의 반응을 알 수 없고 수강생이나 시청자들이 이에 대해 적극적인 질문이나 요청을 하는 피드백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온라인 강의에 익숙치 않은 수강생이나 시청자는 오프라인 강의나 오프라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
이에, 장시간의 스트리밍 동영상에서 이를 수강하는 수강생 내지는 시청자들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하여 상호 간에 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10-0459668 10-2005-0071822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은,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feedback contents)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송신하여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부가하고, 피드백 콘텐츠가 부가된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영상 피드백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댓글, 이미지 파일(image fil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동영상 파일(moving image file), 텍스트 파일(text file) 및 컴퓨터 파일(computer fi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방법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가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feedback contents)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동영상 피드백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동영상 피드백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피드백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피드백 콘텐츠를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피드백 서버가 상기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저장된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댓글, 이미지 파일(image fil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동영상 파일(moving image file), 텍스트 파일(text file) 및 컴퓨터 파일(computer fi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트리밍 동영상에서 특정 부분에 대해 동영상,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파일(file) 등을 피드백하여 부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트리밍 동영상 제공자가 동영상의 특정 내용에 대해 상호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개념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개념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개념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A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A 동영상의 시청 중에 사용자가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동영상 제공자에게 피드백(feedback)을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 동영상의 특정 부분의 내용에 대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견이나 감상 또는 기타 콘텐츠(contents)를 실시간으로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동영상의 A-1에서 스트리밍이 일시 중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견이나 감상 또는 기타 콘텐츠를 A 동영상의 해당 시점에 부가할 수 있으며, 이를 동영상 제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의견 등이 부가된 후에는 다시 A-2 부분이 스트리밍 실행된다.
A 동영상은 TV 프로그램 동영상, 강의 동영상, 헬스 프로그램 동영상, 요가 프로그램 동영상 등 다양한 영역과 분야를 모두 망라할 수 있다.
위 피드백은 해당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내용에 대한 감상이나 의견, 질문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영상 제공자가 요청하는 내용에 대한 결과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수의 강의 동영상이 스트리밍 출력되는 경우, 이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교수의 강의 동영상의 특정 강의 내용에 대해 해당 시점에서 자신의 질문을 오디오 입력하여 부가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부가할 수 있으며, 텍스트 파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교수는 강의 동영상에서 특정 시점에서 결과물 리포트(report)를 제출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학생들은 결과물 리포트를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물 리포트의 형태는 워드 파일이나 엑셀 파일, PPT 파일 등 그 형태에 제한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요가 동영상인 경우,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이 요가 강사의 동작을 시청하면서 그대로 취해볼 수 있다. 그런데, 요가 강사는 유료 시청을 하는 사용자들의 동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동작에 대해 사용자들이 자신의 동작을 스트리밍 동영상에 부가하고, 요가 강사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을 하면서 요가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라이브(live)로 진행되는 요가 동영상이 아니더라도 요가 강사는 스트리밍이후에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에 부가된 피드백 콘텐츠를 확인할 수도 있다. 요가 강사는 피드백 콘텐츠에 대해서도 다시 피드백 콘텐츠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요가 강사는 요가 동작에 문제가 있을 때 이를 교정하는 주는 설명이나 동영상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작용이 요구되는 동영상에서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100)은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 사용자 단말(130) 및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100)은 스트리밍 동영상 제공자와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 간에 스트리밍 동영상의 특정 내용들에 대해서 상호 간에 상호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트리밍 동영상은 라이브(live)로 진행되는 스트리밍 동영상일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동영상이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110)에는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은 TV 프로그램 동영상, 영화 동영상, 강의 동영상, 요가나 헬스등의 전문가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는 라이브(live)로 동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시청자 내지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스마트 폰이나 PC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드백 콘텐츠를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스트리밍 방식의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상태에서 피드백 콘텐츠를 해당 중지 시점에 부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의 의미는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연관되어 연결되는 별도의 콘텐츠로서 스트리밍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별도로 연계되어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사용자 단말(130)은 동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의 내용에 대해 사용자의 의견이나 감상 또는 질문 등을 나타내는 피드백 콘텐츠를 입력받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콘텐츠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출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콘텐츠는 댓글, 이미지 파일(image fil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동영상 파일(moving image file), 텍스트 파일(text file), 컴퓨터 파일(computer fi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피드백 콘텐츠는 동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에서 동영상 상의 강사 등이 요청하는 숙제나 리포트(report) 등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앞서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와 그 피드백 콘텐츠를 해당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의 ID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상의 특정 부가 시점, 피드백 콘텐츠 종류, 피드백 콘텐츠 등을 피드백 서버(14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피드백 콘텐츠 및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피드백 콘텐츠와 그 피드백 콘텐츠를 해당 동영상의 특정 시점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사용자의 ID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상의 특정 부가 시점, 피드백 콘텐츠 종류, 피드백 콘텐츠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콘텐츠를 동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에 부가하도록 해당 동영상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는 사용자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식별자, 스트리밍 동영상 상의 특정 부가 시점, 피드백 콘텐츠 종류, 피드백 콘텐츠 등을 확인하여 오류 여부를 체크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에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10)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에 실시간 저장되는 피드백 콘텐츠와 해당 부가 시점, 사용자 식별자 등을 사용자 단말(1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에서는 실시간으로 부가되는 피드백 콘텐츠를 동영상 스트리밍 중에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이 부가하는 피드백 콘텐츠도 확인할 수 있다.
강의 동영상을 예로 들어 예시를 설명한다.
강사가 동영상 상에서 숙제나 리포트를 제출하라고 얘기하면, 학생들은 해당 제출하라고 하는 시점에 숙제나 리포트를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강사가 어떤 내용에 대해 설명하는 중에 질문이 있으면, 누구든지 온라인 수강 중에 질문을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동영상 파일 등으로 생성하여 부가한다. 강사는 자신의 어떠한 강의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질문하는지를 스트리밍 동영상 상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강사의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답변을 담은 피드백 콘텐츠를 부가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다.
요가 동영상을 예로 들어 예시를 설명한다.
요가 강사는 요가 동영상 상에서 특정 동작을 직접 보여주며 설명한다. 동작을 따라해 보라고 얘기하면, 수강생들은 요가 동영상을 일시 중지하고 직접 동작을 따라하면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시점에 부가한다. 요가 강사는 자신의 스트리밍 동영상 상에서 부가되는 피드백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잘못된 동작에 대해서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잘못된 동작에 대한 교정 내용이나 시범을 담은 동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시점의 피드백 콘텐츠에 부가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가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110)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한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30)이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30)이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를 생성한다(S103).
여기서, 피드백 콘텐츠는, 댓글,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동영상 파일, 텍스트 파일, 컴퓨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30)이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동영상 피드백 서버(140)로 송신하고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한다(S104).
다음으로, 동영상 피드백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피드백 콘텐츠 및 피드백 콘텐츠를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한다(S105).
다음으로, 동영상 피드백 서버(120)가 피드백 콘텐츠 및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에 실시간 저장한다(S106).
다음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120)가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10)에 실시간 저장된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사용자 단말(130)로 실시간 제공한다(S107).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120: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
130: 사용자 단말
140: 동영상 피드백 서버

Claims (4)

  1. 요가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요가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요가 동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요가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에 대해 피드백 콘텐츠(feedback contents)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를 송신하여 상기 요가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요가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요가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점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영상 피드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콘텐츠는 동영상 파일(moving image file)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생되는 요가 동영상의 소정의 재생 시점에서 상기 요가 동영상 상의 요가 강사가 소정의 요가 동작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해당 요가 동작을 촬영하여 상기 피드백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요가 동영상의 식별자, 상기 피드백 콘텐츠의 부가 시점, 상기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피드백 콘텐츠의 특정 재생 시점의 부가 요청을 상기 동영상 피드백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영상 피드백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요가 동영상의 식별자, 상기 피드백 콘텐츠의 부가 시점, 상기 생성된 피드백 콘텐츠 및 상기 피드백 콘텐츠의 특정 재생 시점의 부가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콘텐츠를 상기 요가 동영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요가 동영상에 연결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요가 동영상에 상기 요가 동영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된 피드백 콘텐츠를 상기 요가 강사가 상기 요가 동영상의 스트리밍 중 해당 부가 시점에 연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요가 강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요가 강사에게 제공되는 피드백 콘텐츠에 대한 상기 요가 강사의 교정 동작 또는 시범 동작과 해당 교정 설명을 담은 동영상을 해당 부가 시점의 피드백 콘텐츠에 부가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36878A 2017-03-23 2017-03-23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10189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8A KR101899240B1 (ko) 2017-03-23 2017-03-23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8A KR101899240B1 (ko) 2017-03-23 2017-03-23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240B1 true KR101899240B1 (ko) 2018-09-14

Family

ID=6359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878A KR101899240B1 (ko) 2017-03-23 2017-03-23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34B1 (ko) * 2020-04-20 2020-10-20 주식회사 위힐드 운동강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강의 제공 방법
KR102336325B1 (ko) * 2021-03-25 2021-12-06 최태수 필라테스 종합 서비스 시스템
KR102623618B1 (ko) * 2022-10-17 2024-01-10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68B1 (ko) 2003-08-11 2004-12-03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색인기반 동영상 콘텐츠의 녹화 및 편집 시스템
KR20050071822A (ko) 2004-01-02 2005-07-08 황정우 동영상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동영상 편집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20130082728A (ko) *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387A (ko) * 2013-09-12 2015-03-20 엠랩 주식회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68B1 (ko) 2003-08-11 2004-12-03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색인기반 동영상 콘텐츠의 녹화 및 편집 시스템
KR20050071822A (ko) 2004-01-02 2005-07-08 황정우 동영상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동영상 편집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20130082728A (ko) *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387A (ko) * 2013-09-12 2015-03-20 엠랩 주식회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34B1 (ko) * 2020-04-20 2020-10-20 주식회사 위힐드 운동강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강의 제공 방법
KR102336325B1 (ko) * 2021-03-25 2021-12-06 최태수 필라테스 종합 서비스 시스템
KR102623618B1 (ko) * 2022-10-17 2024-01-10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1356A1 (en) Interactive learning
Feeney et al. A description of the new technologies used in transforming dental education
KR101899240B1 (ko) 스트리밍 동영상의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JP2006174414A (ja) 対話式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orbeil et al. E-learning: past, present, and future
US20090181353A1 (en) Interactive learning
Safar et al. Students’ perspectives of the impact of online streaming media on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t Kuwait University
Wachtler et al. On using learning analytics to track the activity of interactive MOOC videos
US20130262569A1 (en) Content complex providing server for a group of terminals
Boyinbode et al. An interactive mobile lecturing model: enhancing student engagement with face-to-face sessions
Erickson VoiceThread
Syaifudin et al. Study of performance of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 in learning systems
Smith et al. Using Camtasia to develop and enhance online learning: tutorial presentation
Oh et al. WebRTC based remote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platform
KR20130100813A (ko) e-Book 기반 온라인 방송 학습 시스템 및 방법
Reynolds et al. Webcasting: casting the web more widely
Mchichi et al. Web 2.0 based e-learning: Moodle-openmeetings platform
Mac Callum et al. A multiple case study approach exploring innovation, pedagogical transformation and inclusion for mobile learning
Syaifudin et al. The desig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software in school computer laboratory
Viksilä Effectiveness of Video Lecturing Technology in ICT Learning
CN111726692B (zh) 音视图数据的互动播放方法
KR20090015504A (ko) 동영상을 이용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Naely et al. Using YouTube as unlimited educational video resources in teaching English skills
Myllymäki et al. A new way to produce video-based learning material
Agrawal Consultant's Report: Hybrid Systems for Delivery of Online Learning Services: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