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254A -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 Google Patents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254A
KR20150030254A KR1020157002067A KR20157002067A KR20150030254A KR 20150030254 A KR20150030254 A KR 20150030254A KR 1020157002067 A KR1020157002067 A KR 1020157002067A KR 20157002067 A KR20157002067 A KR 20157002067A KR 20150030254 A KR20150030254 A KR 2015003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precursor
feature
precursor
fea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669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와일드스미스
미첼 위드만
마크 피. 포웰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34Curing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57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urface condition of the edge, e.g. flashless, burrless, sm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34Curing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 B29D11/00153Differential curing, e.g. by differential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5Tem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4Lenses comprising decentered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8Series of lenses, lens bl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렌즈 전구체 형태의 설계를 한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105B)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는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HOB); 및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은 렌즈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존재하는 렌즈 에지 특징부,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광학 구역(125B),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115B), 및 상기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서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볼류메이터 특징부(120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렌즈 특징부들의 각각은 파라미터에 의해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특징부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들은 희망 렌즈 형상 및 하나 이상의 인접한 렌즈 특징부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방법.

Description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LENS PRECURSOR WITH FEATURES FOR THE FABRICATION OF AN OPHTHALMIC LENS}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장치를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전구체는 렌즈 전구체 형태(lens precursor form) 및 렌즈 전구체 형태와 접촉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포함하는 복합 물체이며, 상기 렌즈 전구체는 안과용 렌즈를 자유 형성 방식(free-form manner)으로 제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현재, 안과용 렌즈들은 종종 캐스트 성형(cast molding)에 의해 제조되는데, 여기서 반응성 단량체 재료가 대향하는 금형 부분품들의 광학 표면들 사이에 한정되는 공동(cavity)에 침착된다. 그러한 금형 부분품들을 사용하여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비경화 하이드로겔 렌즈 제형이 플라스틱의 일회용 전방 곡면 금형 부분품과 플라스틱의 일회용 후방 곡면 금형 부분품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 곡면 금형 부분품 및 후방 곡면 금형 부분품은 전형적으로 사출 성형 기술을 통해 형성되며, 여기서 용융된 플라스틱이 광학 품질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고도로 기계가공된 강철 공구(steel tooling) 내로 밀어 넣어진다.
전방 곡면 및 후방 곡면 금형 부분품들은 합쳐져서 희망 렌즈 파라미터들에 따라 렌즈를 형상화한다. 렌즈 제형은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열 및 광에 대한 노출에 의해 경화되고, 이로써 렌즈를 형성한다. 경화에 이어서, 금형 부분품들이 분리되고 렌즈가 수화 및 포장을 위해 금형 부분품들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캐스트 성형 공정들 및 장비의 본질은 특정 환자의 눈 또는 특정 응용에 대해 특정되는 맞춤형 렌즈들을 형성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 결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종래기술 설명에, 자유 형성 기술의 이용을 통해 맞춤형 렌즈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었다. 이들 신규한 기술의 중요한 태양은 렌즈가 자유 형성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 즉 두 개의 렌즈 표면들 중 하나가 캐스트 성형, 선반가공(lathing), 또는 다른 공구세공(tooling)을 이용할 필요 없이 자유 형성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자유 형성된 표면 및 베이스는 형성 동안 소정 지점에서 자유 형성된 표면에 포함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렌즈 전구체로 가끔 지칭되는 장치를 야기한다. 렌즈 전구체를 안과용 렌즈로 변환하기 위해 전형적으로는 고정 방사선(fixing radiation) 및 수화(hydration) 처리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자유 형성된 렌즈들 중 일부는 렌즈 전구체에 포함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제어를 위해 상이한 방법들 및/또는 구조적 특징부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전체 중 일부를 제어함으로써, 렌즈 설계의 물리적 및/또는 광학적 파라미터들이 생성될 수 있다. 새로운 방법들 및 특징부들이 본 발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렌즈 전구체 및 상기 렌즈 전구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전구체는 렌즈 전구체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하위구조의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태양들은 반복을 위한, 예를 들어 DMD 쇼(show) 및 DMD 파일의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는 렌즈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 및 장치를 포함한다. 대체로, 응용가능 환자 데이터 및 제품 데이터는 표준 또는 맞춤형 제품 설계들을 생성하도록 수집 및 이용될 수 있다. 희망 제품 설계들 또는 렌즈 전구체 설계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표면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희망 제품을 위한 렌즈 설계들이 렌즈 전구체 설계들,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별도의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이 독립형 파일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두께 맵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D 쇼들은 렌즈 전구체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 렌즈 설계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 DMD 하위 시퀀스(들) 또는 다른 방법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렌즈 전구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된 렌즈 전구체들은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과 비교되어 희망 제품 설계들에 대한 일치를 판정하게 할 수 있다. 제조된 제품이 희망 요건들에 대해 일치할 수 없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 DMD 반복 쇼들이 생성되어 희망 제품 설계에 더 가까울 수 있는 렌즈 전구체를 제조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다음은 청구되거나 청구될 수 있는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비망라 목록이다.
실시예 1: 안과용 렌즈 전구체로서,
흡광 성분(photoabsorptive component)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겔 점(gel point)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제1 가교결합 밀도 등급(crosslink density degree)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및
겔 점 미만에서 경화의 제2 가교결합 밀도 등급을 포함하는 유체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렌즈 전구체 형태 하위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된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 토폴로지 특징부들은 렌즈 에지 특징부, 범프 특징부(bump feature), 드레인 채널 특징부, 볼류메이터 특징부(volumator feature), 레이크 특징부(lake feature),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3: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토폴로지 특징부(들)의 각각을 하나 초과하여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4: 각각의 포함된 특징부가 특정 높이, 길이, 형상, 및 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5: 상기 포함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의 각도 폭이 렌즈 전구체의 360도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일 수 있는, 실시예 4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6: 상기 포함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의 각도 폭이 불연속적이고, 대체로 상기 제1 표면의 이산 부분들에 존재하는, 실시예 4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7: 상기 제1 표면은 하나 이상의 이산 부분들에 해자 특징부(moat feature)를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8: 상기 제1 표면 및 유체 제2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마크(mark)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9: 적어도 일부가 회전 대칭일 수 있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0: 렌즈 전구체의 형상이 대체로 원형일 수 있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1: 렌즈 전구체의 형상이 대체로 타원형일 수 있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2: 포함된 상기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은 특징부의 높이, 폭, 길이,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학적으로 기술될 수 있는, 실시예 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3: 포함된 상기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은 렌즈 전구체(들) 또는 그 일부들의 하나 이상의 설계들로부터 경험적으로 획득될 수 있는, 실시예 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4: 상기 렌즈 전구체는 안과용 렌즈로 추가로 처리될 수 있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5: 처리하는 것은 제2 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안정화를 포함하는, 실시예 14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6: 처리하는 것은 화학 방사선(actinic radiation)을 사용하여 제2 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겔 점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가교결합 밀도 등급으로 고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14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7: 하나를 초과하는 범프 특징부들이 이중초점 렌즈(bifocal lens)의 적어도 일부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시예 3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8: 하나를 초과하는 범프 특징부들이 삼중초점 렌즈(trifocal lens)의 적어도 일부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시예 3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19: 하나를 초과하는 범프 특징부들이 렌즈릿 어레이(lenslet array)의 적어도 일부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시예 3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0: 렌즈 전구체가 자유 형성 방식으로 형성되는, 실시예 1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1: 자유 형성 방식은 복셀별(voxel by voxel) 자유 형성 방법들을 포함하는, 실시예 20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2: 안과용 렌즈 전구체로서,
흡광 성분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겔 점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제1 가교결합 밀도 등급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및
겔 점 미만에서 경화의 제2 가교결합 밀도 등급을 포함하는 유체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안과용 렌즈 내에 렌즈 전구체를 포함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광학 배율(optical magnification)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3: 토폴로지 특징부는; 렌즈 에지 특징부, 범프 특징부, 드레인 채널 특징부, 볼류메이터 특징부, 레이크 특징부,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2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4: 하나 이상의 마크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2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5: 하나 이상의 마크들이 토폴로지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 내에 매립될 수 있는, 실시예 2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6: 하나 이상의 마크들이 토폴로지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 상에 있을 수 있는, 실시예 2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7: 안과용 렌즈 전구체로서,
흡광 성분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겔 점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제1 가교결합 밀도 등급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및
겔 점 미만에서 경화의 제2 가교결합 밀도 등급을 포함하는 유체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렌즈 전구체를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분품과 렌즈 전구체를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된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8: 토폴로지 특징부들은 렌즈 에지 특징부, 범프 특징부, 드레인 채널 특징부, 볼류메이터 특징부, 레이크 특징부,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27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29: 하나 이상의 마크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27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30: 하나 이상의 마크들이 토폴로지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 내에 매립될 수 있는, 실시예 27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31: 하나 이상의 마크들이 토폴로지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 상에 있을 수 있는, 실시예 27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32: 안과용 렌즈 전구체로서,
흡광 성분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겔 점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제1 가교결합 밀도 등급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및
겔 점 미만에서 경화의 제2 가교결합 밀도 등급을 포함하는 유체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렌즈 전구체를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시킬 시에 렌즈 식별자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된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전구체.
실시예 33: 렌즈 식별자들이 위조방지 마크(anti-counterfeiting mark)들로서 사용되는, 실시예 32의 안과용 렌즈 전구체.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기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평탄 공간(flat space)에서의 렌즈 전구체 형태의 예시적인 측면도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1b는 평탄 공간에 다수 유형의 단일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의 예시적인 측면도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1c는 평탄 공간에 단일 및 다수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의 예시적인 측면도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1d는 평탄 공간에서 해자 특징부에 더하여 단일 및 다수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의 예시적인 측면도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1e는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에 더하여 단일 및 다수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비원형(non-round) 렌즈 전구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렌즈 상에 형성된 마크들을 도시하는 이미지의 표현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더 추가적인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만곡 공간에 목표 파일의 단면 표현을 도시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예시적인 스크린 샷을 도시한다.
도 5는 두께 맵의 일부를 표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샘플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6은 목표 파일을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희망 광학 및 기계적 특징부들을 생성 및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예시적인 스크린 샷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의 예시적인 스크린 샷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부분품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세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만곡 공간에서의 렌즈 전구체의 예시적인 평면도 및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8b는 과장된 두께 프로파일들을 도시하는, 평탄 공간에서의 렌즈 전구체의 예시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 단면 표현을 도시한다.
도 9a는 평탄 및 만곡 공간 양쪽 모두에서의 연속적 표면 단일 부분품 설계의 예시적인 표현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9b는 평탄 및 만곡 공간 양쪽 모두에서의 불연속적 표면 단일 부분품 설계의 예시적인 표현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9c는 만곡 공간에서의 연속적 표면 다중 부분품 설계의 예시적인 표현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9d는 만곡 공간에서의 불연속적 표면 다중 부분품 설계의 예시적인 표현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0은 DMD 파일의 일부를 표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샘플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DMD 파일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y-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회전되고 (x-y) 평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45°만큼 회전된 예시적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2는 원주형 드레인 채널들을 포함하는 DMD 파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예시적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3a는 변경된 에지 만곡부 명령어 섹션을 갖는 원주형 드레인 채널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DMD 파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예시적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3b는 렌즈 에지 만곡부 및 드레인 채널들의 평탄해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비회전 대칭 렌즈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14는 평탄 공간에서의 목표 렌즈 설계, DMD 쇼, 및 측정된 렌즈 전구체의 두 개의 단면들(45° 및 135°)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렌즈 전구체를 제공하는데, 상기 렌즈 전구체 장치는 최종 안과용 렌즈의 특성/특징을 제어할 수 있는 하위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토폴로지 특징부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섹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바람직하고 대안적인 실시예들 둘 모두의 설명은 상세하더라도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며, 변형, 수정, 및 변경이 자명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기본적인 발명의 태양들의 넓은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단계들은 이러한 논의에서 논리적 순서로 열거되지만; 이러한 순서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그들이 구현될 수 있는 순서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용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하기 정의가 적용될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허용 기준(Acceptance Criteria)"은 제조된 안과용 렌즈,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의 측정된 파라미터들 및 값들과 상관되어 제품이 그의 의도된 목적을 위해 허용가능한지 판정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내의 특정 파라미터 범위들 및 임계 값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범프(들) 특징부들"은 겔 점 이상에서 경화되어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생성하는 경화된 반응성 매체의 렌즈 전구체 돌출부들을 지칭한다. 범프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복셀 위치(들)에서 DMD 명령어(들)에 주어진 노출 신호를 감소시켜 이러한 위치에서의 화학 방사선 노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범프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복셀 위치(들)에서 DMD 명령어(들)에 주어진 노출 신호를 증가시켜 이러한 위치에서의 화학 방사선 노출을 증가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범프들은 광학 구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위치되어 내부에서 이산 부분들을 경화시킬 시에 하나 이상의 렌즈릿 어레이들의 형성을 도울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범프들은 이중초점 렌즈의 형성을 위해 광학 구역의 사전결정된 영역들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카탈로그 아이템"은,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들 또는 데이터베이스들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불러들일 수 있는 파일, 특징부, 컴포넌트, 설계, 데이터, 또는 서술자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만곡 공간"은 설계의 만곡부가 제거되지 않은 좌표 맵핑 공간(예컨대, 직교, 극, 구 등)을 지칭한다. 그러한 것의 예시적인 실례로서, 안과용 렌즈가 후방 곡면 금형 피스(mold piece)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는, 검사될 때, 금형 피스의 3차원 형상에 근본적으로 관련되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면들이 만곡 공간으로 이러한 예시적인 렌즈에 대해 도시될 때, 이들 단면의 저부는 금형 피스의 곡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곡될 것이다. 렌즈 전방 표면 형상의 보다 양호한 분해능을 위해, 단면 묘사들의 일부 처리 시, 후방 곡면 표면 위의 재료의 두께가 확대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단면은 만곡 공간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여전히 기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맞춤형 제품"은 통상 또는 표준 제품들 외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및/또는 설정을 포함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맞춤형 제품 파라미터들은 표준 제품보다 더욱 정밀하게 목표화되는 구면 도수(sphere power), 난시 도수(cylinder power), 및 난시 축(cylinder axis)(예를 들어, -3.125D/-0.47D × 18°)을 허용할 수 있다. 맞춤형 설정은 또한 특정 제품 제공 및 제품의 의도된 사용에 기초한 기본 곡면(base curve)들, 직경들, 안정화 프로파일들 및 두께 프로파일들에 관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Digital Core Break)"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또는 제어 파라미터들의 선택 서브세트들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는 제품들의 범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도수 및 구면 범위들이 제공되는 렌즈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 계열에서, 렌즈 에지,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 및 볼류메이터 특징부들은 모든 낮은 도수 교정 범위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 제어 소프트웨어"는 DMD 파일들 및 DMD 쇼들을 희망하는 대로 조직하고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들의 제조 또는 후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 파일"은, DMD 상의 미러들을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가 제조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 데이터 포인트들의 집합을 지칭한다. DMD 파일은 다양한 포맷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x" 및 "y"가 DMD 미러들의 직교 좌표 위치들이고 "r" 및 "θ"가 DMD 미러들의 극 좌표 위치들이고, "th"가 DMD 미러 상태들을 제어하는 두께 명령어들을 표현하는 (x, y, th) 및 (r, θ, th)가 가장 보편적인 것이다. DMD 파일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grid) 상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 반복 쇼(DMD Iterative Show)"는, DMD 상의 미러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렌즈,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가 제조될 수 있게 하는 시간 기반 명령어 데이터 포인트들의 집합을 지칭한다. DMD 반복 쇼는 선행 DMD 쇼 및/또는 DMD 하위 시퀀스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보다 설계 목표에 더 가까울 수 있는 렌즈,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MD 반복 쇼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 상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 쇼"는 DMD 디바이스로부터 형성 광학부(forming optic) 상으로 방사하여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를 제조하게 하는 시간 기반 시퀀스 열들의 투사 패턴들을 지칭한다. DMD 쇼는 다수의 DMD 하위 시퀀스들로 세분될 수 있다. DMD 쇼는 다양한 포맷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x" 및 "y"가 DMD 미러들의 직교 좌표 위치들이고, "r" 및 "θ"가 DMD 미러들의 극 좌표 위치들이고, "t"가 DMD 미러 상태들을 제어하는 시간 명령어들을 표현하는 (x, y, t) 및 (r, θ, t)가 가장 보편적인 것이다. DMD 쇼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 상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 하위 시퀀스"는 DMD 쇼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지칭하는 것인데, 여기서 DMD 쇼의 투사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이 수정될 수 있다. 시퀀스에 대한 수정들은 공간 패턴, 방사상 세기 레벨, 투사할 스펙트럼 영역, 미러 비트-분할 배열, 투사 패턴의 방향, 및 투사 패턴의 시간 순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DMD"는 CMOS SRAM 위에 기능적으로 실장되는 가동 마이크로미러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쌍안정 공간 광 변조기(bistable spatial light modulator)이다. 각각의 미러는, 반사되는 광을 조종하도록 미러 아래의 메모리 셀 내로 데이터를 로딩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픽셀을 디스플레이 상의 픽셀에 공간적으로 맵핑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데이터는 2진 방식(binary fashion)으로 미러의 경사각을 정전기적으로 제어하고, 여기서 미러 상태는 +X도(온(on)) 또는 -X도(오프(off))이다. 현재 디바이스들의 경우, X는 10도 또는 12도(공칭)일 수 있다. 온 미러(on mirror)에 의해 반사된 광은 이어서 투사 렌즈를 통과하여 스크린 상에 이른다. 광은 반사되어 다크 필드(dark field)를 생성하고 이미지를 위한 블랙-레벨 플로어(black-level floor)를 한정한다. 이미지들은 관찰자에 의해 통합되기에 충분히 빠른 속도로 온 레벨과 오프 레벨 사이의 그레이-스케일 변조(gray-scale modulation)에 의해 생성된다. DMD(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는 때때로 DLP 투사 시스템들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드레인 채널"은 범프 특징부들에 대한 정의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들)에 의해 화학 방사선에 대한 복셀 위치들의 감소되는 노출 및 증가되는 노출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토폴로지 특징부를 지칭한다. 토폴로지 특징부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중합된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다른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유동하고, 그로부터 떨어지게 유동하고, 그리고 그 위에 정착함. 지형적 특징부는, 예를 들어 렌즈 전구체의 겔화 부분의 일부에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인 세그먼트화된 긴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채널들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렌즈 전구체 형태를 가로지르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조 공정 조건들"은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및 렌즈 중 하나 이상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들, 조건들, 방법들, 장비, 및 공정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평탄 공간"은 고려되고 있는 설계의 만곡부가 제거된/평탄해진 좌표 맵핑 공간(예컨대, 직교, 극, 구)을 지칭한다. 그러한 묘사의 실례로서, 예시적인 안과용 렌즈가 후방 곡면 금형 피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렌즈는, 검사될 때, 금형 피스의 3차원 형상에 근본적으로 관련되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면들이 이러한 예시적인 렌즈에 대해 평탄 공간에 묘사될 때, 이들 단면의 저부는 "제거되어/평탄해져" 평탄한 선으로 표현되고 있는 만곡된 후방 곡면 형상을 야기할 수 있다. 렌즈 전방 표면 형상의 보다 양호한 분해능을 위해, 단면 묘사들의 일부 처리 시, 현재의 "제거된/평탄해진" 후방 곡면 표면 위의 재료의 두께가 확대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단면은 평탄 공간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여전히 기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때때로 "유동성 렌즈 반응성 혼합물" 또는 "렌즈 형성 혼합물"로 지칭되는 바와 같은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그의 본래 형태, 반응된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반응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서 유동가능하고 추가 처리 시에 안과용 렌즈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는 반응성 혼합물, 예비중합체 혼합물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단량체 혼합물 또는 예비중합체 재료가 경화되어 가교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가교결합될 수 있다. 렌즈 형성 혼합물들은 UV 차단제, 틴트(tint), 광개시제 또는 촉매, 및 콘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와 같은 안과용 렌즈에서 요구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자유 형성" 및 "자유 형성되는"은, 유동성 매체 층이 있든 없든, 복셀 단위로 화학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통한 반응성 혼합물의 가교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캐스트 금형, 선반(lathe), 또는 레이저 절삭에 따라 형상화되지 않는 표면을 지칭한다. 자유 형성 방법들 및 장치의 상세한 설명은 2008년 8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194,981호, 2008년 8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195,132호, 및 EP-A-2,178,695호, EP-A-2,228,202호, EP-A-2,228,201호, EP-A-2,178,694호 및 EP-A-2,391,50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고차수 광학 수차(들)"는 광학 수차들로 인해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에서의 왜곡(들)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눈에서, 구면 수차(들), 트레포일(trefoil), 코마(coma), 및 펜타포일(pentafoil)과 같은 시력 교정의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반복 제조 공정"은 이전 것보다 희망 두께 맵/목표 설계에 더 가까울 수 있는 렌즈,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DMD 반복 쇼(들) 및 제조 공정 조건들에 대한 수정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이용함으로써 반복 루프를 실행시키는 공정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반복 루프"는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매번 루프를 통할 때마다 렌즈,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가 그의 이전 것보다 희망 목표에 더 일치하는 것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일련의 공정 단계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조건들 또는 이들 중 하나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레이크 특징부"는 일부 렌즈 전구체 설계들에 포함되는 렌즈 전구체 토폴로지 특징부를 지칭한다. 레이크 특징부는 범프 특징부들에 대한 정의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DMD 명령어(들)에 따른 제어에 의해 화학 방사선에 대한 복셀 위치들의 감소되는 노출 및 증가되는 노출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때때로 "레이크 토폴로지 특징부"로 지칭되는 레이크 특징부는 인접 영역들과 관련하여 다량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함유하도록 렌즈 전구체의 가교결합된 겔화 부분의 일부에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렌즈 설계"는, 제조되는 경우, 광학 도수 교정(optical power correction), 허용가능 렌즈 맞춤(예컨대, 각막 커버리지 및 이동), 및 허용가능 렌즈 회전 안정성을 포함하는 기능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는 희망 렌즈의 형태, 기능, 또는 양쪽 모두를 지칭한다. 렌즈 설계들은, 예를 들어 수화시킨 또는 수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평탄 공간 또는 만곡 공간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 그리고 기하학적 도면들, 도수 프로파일, 형상, 특징부들, 및 두께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렌즈 설계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렌즈 에지"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 한정된 에지를 제공할 수 있는 토폴로지 특징부를 지칭한다. 렌즈 에지 토폴로지 특징부는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둘레에서 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산적인 불연속적 구역들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렌즈 에지는 렌즈 전구체 형태의 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펜스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특징부" 또는 "토폴로지 특징부"로도 지칭되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는 렌즈 전구체에 대한 인프라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의 하위구조의 비유동성 부분을 지칭한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높이, 각도 폭, 길이, 형상, 및 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파라미터들에 의해 경험적으로 한정될 수 있거나 또는 수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특징부들은 화학 방사선의 제어된 벡터들을 이용하여 DMD 쇼 명령어들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추후 처리 시에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예들은 렌즈 에지, 안정화 구역 특징부, 볼류메이터 특징부, 광학 구역, 해자 특징부, 드레인 채널 특징부, 레이크 특징부, 및 범프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렌즈 전구체 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품질 표면을 갖는 비유동성 객체를 지칭하는데, 이는 추후 처리 시에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되는 것과 양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렌즈 전구체"는, 렌즈 전구체 형태, 및 회전 대칭일 수 있거나 또는 비회전 대칭일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와 접촉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로 구성되는 복합 물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소정 체적의 반응성 혼합물 내에서 렌즈 전구체 형태를 제조하는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형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소정 체적의 반응성 혼합물로부터 렌즈 전구체 형태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분리하여 렌즈 전구체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렌즈 전구체는 소정 양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제거 또는 소정 양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비유동성의 포함된 재료로의 변환에 의해 상이한 개체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렌즈"는 눈 안에 또는 눈 위에 있게 되는 임의의 안과용 장치를 지칭한다. 이들 장치는 광학 교정을 제공할 수 있거나 미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라는 용어는 콘택트 렌즈,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 오버레이 렌즈(overlay Lens), 안구 삽입체(ocular insert), 광학적 삽입체, 또는 시력이 교정 또는 변경되게 하거나, 또는 시력을 방해함이 없이 눈 생리 기능이 미용적으로 향상되게 하는(예를 들어, 홍채 색상) 다른 유사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및 플루오로하이드로겔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 탄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저차수 광학 수차(들)"는 광학 수차들로 인해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에서의 왜곡(들)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눈에서,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함으로써 시력 교정의 분야에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증상들을 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때때로 "MES"로 지칭되는 바와 같은 "최소 에너지 표면"은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위에 형성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에 의해 생성되는 표면을 지칭하는데, 이는 최소 에너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최소 에너지 표면들은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들 또는 매끄럽고 이산적인 세그먼트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해자"는, 하나 이상의 영역들 내의 DMD 쇼에서의 고정 값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주위 특징부들보다 높이가 더 낮은 렌즈 전구체 토폴로지 특징부를 지칭한다. 특징부가 DMD 쇼에서 고정 값들을 이용하여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해자 또는 "해자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범프 특징부들에 대한 정의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자는 볼류메이터와 같은 다른 특징부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그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해자"는 렌즈 전구체 형태의 높이의 실질적으로 불연속적인 감소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있거나 렌즈 전구체 형태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0 또는 0인 영역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다중 부분품 설계"는 희망 프로파일을 재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가 둘 이상의 파일들에 포함되는 설계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둘 이상의 파일들은 하나 이상의 이산적인 비인접 및 불연속적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부분품 설계들은 예시적인 렌즈의 평탄 공간 묘사에서 단면이 "지면 내로 향하는" 평면일 수 있는 (x-y) 평면에서의 특징부 분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예시적인 렌즈의 유사한 평탄 공간 묘사에서 단면이 지면 자체의 평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x-z) 평면에서의 분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광학 구역"은 렌즈가 형성된 후에 렌즈의 착용자가 보는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의 영역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광학 수차"는 저차수 광학 수차들 및 고차수 광학 수차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에서의 왜곡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품"은 희망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를 지칭한다. 제품은 "표준 제품" 또는 "맞춤형 제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일 부분품 설계"는 희망 프로파일의 요구되는 정보가 하나의 파일로 표현될 수 있는 설계를 지칭한다. 단일 부분품 설계들은 연속적 표면 또는 불연속적 표면을 가질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안정화 구역"은 비회전 대칭 콘택트 렌즈들이 눈 위에 정확히 배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지형적 특징부를 지칭하며, 에지 특징부의 안쪽에서 그리고 광학 도수 영역 및 광학 구역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바깥쪽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표준 제품"은 이산적인 스텝들로 가변하는 특정 설정을 현재 제공받는 것들과 같이, 제한된 제품 파라미터 가용성을 갖는 제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표준 제품들은, 구면 도수 파라미터들이 0.25D 스텝들(예컨대, -3.00D, 3.25D, -3.50D 등)에서만 이용가능할 수 있고; 난시 도수 파라미터들이 0.50D 스텝들(예컨대, -0.75D, -1.25D, -1.75D 등)에서만 이용가능할 수 있고; 난시 축 파라미터들이 10° 스텝들(예컨대, 10°, 20°, 30° 등)에서만 이용가능할 수 있는 계열의 제품들을 정의할 수 있다. 이산적인 스텝들로 제공되는 다른 표준 제품 파라미터들 및 특징부들은 베이스 커브 반경들, 직경, 안정화 프로파일들 및 두께 프로파일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기재"는 다른 개체들이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는 물리적 개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위구조"는 렌즈 전구체에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고 때때로 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폴로지 특징부들 또는 파라미터들을 지칭한다. 하위구조는 특정 렌즈 설계를 위해 포함되는 기재 및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제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섹션들에서 렌즈 전구체 내의 렌즈 반응성 매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 및 자유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생성된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때때로 "목표 렌즈 설계"로 지칭되는 바와 같은 "목표 파일"은 렌즈 설계, 두께 맵, 렌즈 전구체 설계, 렌즈 전구체 특징부 설계, 또는 상기의 것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지칭한다. 목표 파일은 수화시킨 또는 수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평탄 또는 만곡 공간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 그리고 기하학적 도면들, 도수 프로파일, 형상, 특징부들, 및 두께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목표 파일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두께 맵"은 희망 제품 또는 렌즈 전구체의 2차원 또는 3차원 두께 프로파일 표현을 지칭한다. 두께 맵들은 평탄 공간 좌표 공간 및 만곡 공간 좌표 공간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 중 어느 하나에 있을 수 있으며,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그리드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볼류메이터"는 렌즈 전구체의 외측 에지와 관련하여 유체 반응성 혼합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특징부, 또는 렌즈 전구체의 다른 특징부 또는 영역을 지칭한다. 볼류메이터는 최소 에너지 표면들의 희망 높이, 깊이, 각도 폭, 길이, 형상, 및 각도 등 중 하나 이상이 희망 렌즈 전구체 기하형상들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볼류메이터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들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인접 렌즈 특징부들을 한정하는 파라미터들 및 희망 렌즈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복셀"은 3차원 공간 내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그리드 상의 값을 표현하는 체적 요소이다. 그러나, 복셀은 3차원 픽셀로 보일 수 있고, 여기서 픽셀은 2D 이미지 데이터를 표현하고 복셀은 제3 치수를 포함한다. 게다가, 여기서 복셀들은 의학적 및 과학적 데이터의 시각화 및 분석에 빈번히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 복셀은 반응성 혼합물의 특정 체적에 도달하는 화학 방사선의 양의 경계들을 한정하는 데 사용되고, 이로써 반응성 혼합물의 그 특정 체적의 가교결합 또는 중합의 속도를 제어한다. 예로서, 복셀들은 본 발명에서 화학 방사선이 2D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는 2D 금형 표면에 대해 등각인 단일 층에 그리고 각각의 복셀의 공통 축 차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례로서, 특정 체적의 반응성 혼합물이 768×768 복셀들에 따라 가교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전구체 형태/렌즈 전구체의 하위구조의 일부로서 토폴로지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포함한다. 하위구조는 렌즈 전구체의 중합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유동성 반응성 매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전구체는 안과용 렌즈로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
많은 유형의 안과용 콘택트 렌즈들은 그들의 외관으로부터 기대되는 것보다 그리고 현재 이용되는 것과 같이 훨씬 더 복잡한 안과용 렌즈들일 수 있다. 일부 유형의 안과용 렌즈들에서, 기초 특징부들은 피크 성능, 편의성, 및 상이한 기능을 허용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 기술의 설명에서, 자유 형성 방식으로 안과용 렌즈들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련되는 다수의 그러한 특징부들이 기술된다. 이들 특징부의 신규한 태양 및 본질 중 일부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특징부들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고 작용할 수 있고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그리고 희망 제품 또는 목표 렌즈 설계의 희망 태양들을 허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자유 형성 공정의 이용을 나타내는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이어서, 이는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 기술과 일치하는 일부 예시적인 방법론을 기술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로 가면, 단면 묘사가 특징부들의 집합이 정의할 수 있는 복잡도 레벨을 실증한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두 개의 도면들은 자유 형성 기술의 기본적인 태양; 즉, 렌즈 전구체를 도시한다. 렌즈 전구체는, 그의 용어 정의가 그에 대한 상세한 정의를 제공하는 바와 같이, 겔 점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아래에 중합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영역들과 조합하는 겔 점을 초과하는 중합된 영역(들)의 조합이다. 겔 점 미만에서 중합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안과용 렌즈 제품들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높은 광학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겔화된 하위구조를 가로질러 유동하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특정 상태, 예를 들어 최소 에너지 표면 상태로 유동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한 광학적 활성 영역들의 생성을 허용할 수 있지만 또한 전체 렌즈 제품을 생성하는 복잡성을 추가할 수 있는 훨씬 매끄러운 표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한 자유 형성 설계 및 제조 기술을 이용하면 하위구조와 관련하여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태양들을 이용하여 렌즈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도 1a는 평탄 공간에서의, 때때로 렌즈 전구체 형태로 지칭되는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만의 겔화된 하위구조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겔화된 하위구조 위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층과 함께 역시 평탄 공간에서의 동일한 하위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서, 안과용 렌즈 장치들의 자연스러운 3차원 만곡부가 제거되어 특징부들 자체의 두께가 명확히 예상될 수 있는 평탄 공간에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 형태(100A)의 측면도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단면은 상이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렌즈 전구체 형태(100A)는 하나의 연속적 렌즈 에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렌즈 에지가 인접해 있다는 사실을 한정하도록 연속적인 것으로 기술될 수 있고, 단면인 도 1a에서 아이템 115A로 도시된 바와 같은 그의 이웃 특징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이러한 렌즈 전구체 에지 특징부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그것이 도 1e의 아이템 110E로 도시된 바와 같은 주변부 전체 둘레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a에 실증된 특징부들로 계속하면, 115A에, 연속적 안정화 구역 특징부가 도시되어 있다. 평면도인 도 1e에서 볼 때의 이러한 안정화 구역 특징부는 예시적인 렌즈의 어느 일 측 상에서 아이템 115E로서 표현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들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상이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은, 예를 들어 안과용 렌즈가 사용자의 눈 위에 있을 때 안과용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 그리고/또는 배향으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일부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에서, 특징부는 도 1a의 좌측, 아이템 115A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다 큰 두께를 갖는 형상을 상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징부(115B)의 영역에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안정화 구역 특징부(115B)의 국지적으로 보다 두꺼운 본질의 토폴로지 태양들로 인해 특정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도 1b에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135B)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표현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명백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단면 도 1a를 가로질러 계속가면, 120A에 예시적인 연속적 볼류메이터 특징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어지는 섹션들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부의 형상은 다양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의 위치에서, 단면의 좌측 상의 이러한 특징부(120A)는 두 부분, 즉 하측 선반부, 및 단면의 좌측 상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115A)의 높은 두께 영역에 인접해 있는 제2의 상측 선반부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정화 구역 특징부(115B)가 그렇게 두껍지 않을 수 있는 단면의 우측 상에서, 볼류메이터 특징부(120B)는 안정화 구역과 거의 동일한 두께인 단순한 선반부일 수 있다. 일부 유동성 렌즈 반응성 재료의 본질에 의하면, 상이한 높이들의 특징부들 옆의 볼류메이터의 단면에서의 이러한 예시적인 차이는 최종 제품의 생성된 희망 특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류메이터는 유동성 매체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토폴로지 특징부들 옆으로 유동하도록 더 큰 "체적" 잠재력을 가질 것을 요구할 수 있다.
125A에, 광학 구역이 도시되어 있다. 광학 구역 또는 그의 일부는 광이 안체(eye body) 내로 전달할 수 있는 눈의 일부의 전방에서 안과용 렌즈 사용자의 눈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구역에서 광학 구역 하위구조(125B) 및 유동성 매체(135B)의 조합은 전체 광학 구역의 희망 광학 특성을 야기할 수 있는 조합된 두께 프로파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부 특징은 렌즈 에지일 수 있다. 렌즈 에지는 렌즈 전구체의 외측 에지 상에 존재할 수 있고, 렌즈 전구체 둘레 전체에서 높이들 또는 각도 폭들이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렌즈 에지는 렌즈 전구체 둘레에서 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산적인 불연속적 구역들에 존재할 수 있다. 렌즈 에지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윤곽이 분명한 에지를 제공하는 펜스 구조체처럼 작용할 수 있고, 렌즈의 제조 동안 다양한 스테이지들 중에 렌즈 전구체의 에지 위에서 유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a에서, 렌즈 전구체 상의 렌즈 에지(110A)의 높이는 0.001 mm 내지 1.000 mm의 범위이어서 희망 하위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하위구조는 렌즈 전구체의 에지 근처의 유동성 반응성 매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지적 형상 또는 높이 프로파일의 한정은 더 높은 영역들을 야기하는 특정 위치에서 단량체 혼합물의 화학 방사선 노출의 세기, 파장, 또는 시간의 증가 그리고 반대로 더 낮은 영역들을 야기하는 반대되는 상대적 조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 높은 이들 영역은, 예를 들어 한정하는 에지의 일부 이산적인 부분들에서 더 높은 렌즈 에지를 가져서 유체 렌즈 반응성 매체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그들 부분에서 더 두꺼운 렌즈 에지를 포함하는 렌즈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렌즈 에지의 길이들은 또한 상이한 설계들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0.001 mm 내지 2.00 mm의 범위일 수 있는 길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에지는 주연부 둘레에서 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목표 설계에 따라 세그먼트화된 섹션들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에지 특징부의 길이는 유동성 렌즈 반응 혼합물에 대한 최소 에너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115A에, 연속적 안정화 구역 토폴로지 특징부가 도시되어 있다. 안정화 구역 토폴로지 특징부들이 이에 따라 렌즈 전구체에 존재할 수 있고, 약 0.050 mm 내지 1.000 mm의 높이 또는 두께 범위들 및 약 0.001 mm 내지 4.500 mm의 길이 범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 구역은 또한 매우 다양한 설계 태양들을 상정할 수 있고, 연속적일 수 있거나 세그먼트화될 수 있거나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 기능을 위한 두 개의 비교적 큰 돌출 영역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안정화 링이 존재할 수 있다.
120A에, 볼류메이터 토폴로지 특징부가 도시되어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렌즈 전구체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 사이에서의 유체 반응성 혼합물의 제어된 유동을 도울 수 있다. 그 결과, 국부적으로 더 비어있는 체적의 겔화된 재료로 특징부가 한정될 수 있을 때, 유동성 매체의 유동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유동이 제어되는 경우, 더 큰 체적의 유체 렌즈 반응성 혼합물이 그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로써 이는 더 큰 체적의 유체 렌즈 반응성 혼합물이 렌즈 전구체의 그러한 영역에서 후속적으로 경화되게 할 수 있다.
볼류메이터는 주연부 둘레에서 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볼류메이터의 높이 또는 두께는 범위가 0.001 mm 내지 1.000 mm인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길이의 범위가 0.001 mm 내지 4.500 mm일 수 있다.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다수의 유형들 및 높이들의 단일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105B)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100B)의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렌즈 전구체는 단일의 연속적 렌즈 에지(110B), 단일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115B), 단일의 연속적 볼류메이터 특징부(120B), 단일의 연속적 광학 구역(125B), 최소 에너지 표면(130B),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13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에너지 표면(130B)은, 유체 렌즈 반응성 매체가 놓이게 되고 더 낮은 그리고 때때로 최소인 표면 에너지 상태에 있는 최소 에너지 표면(130B)을 생성하도록, 겔 점 이상에서 중합되어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에게 작용할 수 있는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를 형성하는 반응성 매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에너지 표면들은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들일 수 있다. 그러나, 최소 에너지 표면들이 매끄러운 이산 세그먼트들에 있을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렌즈 전구체 형태의 하위구조 위에서 놓일 수 있고 유동할 수 있는 방식들의 결과로서 그의 형상을 도출할 수 있는 최소 에너지 표면의 개념을 강화(leverage)한다. 그 결과, 렌즈 전구체 형태의 특정 부분 상에 놓이거나 그에 접착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유동 및 양이 그 렌즈 전구체 형태의 형상 및 토폴로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전구체 형태에서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자체 능력으로 매끄럽고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지만; 생성된 렌즈 전구체는 렌즈 전구체 형태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조합(아이템 105B)으로 보일 때 사실상 매끄럽고 연속적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본 명세서에서 후속 섹션들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 1c를 참조하면, 상이한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105C)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100C)의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렌즈 전구체 설계에서의 특징 차이는; 도시된 특징부들 중 일부가 설계 시에 한 회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특징부들이 다수 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100C)에서, 렌즈 전구체는 단일 렌즈 에지(110C), 다수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115C), 다수의 볼류메이터 특징부들(120C), 단일 광학 구역(125C), 최소 에너지 표면(130C),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135C)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의 다수의 버전들처럼, 단일의 단면 묘사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의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버전들을, 예를 들어 도시된 최좌측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의 좌측에 나타나는 볼류메이터 및 그 안정화 구역 특징부의 우측에 나타나는 볼류메이터로서 실증할 수 있다.
다수의 버전들의 특징부들은 장치의 평면 표현을 관찰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소정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다수의 존재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렌즈 전구체 설계들의 매우 다양한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수의 특정 특징부들은 안정화 구역들 및 볼류메이터들로 제한되지 않는데, 이는 설계가 특정 제품의 목표 렌즈 설계에 따라 전술된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을 하나를 초과해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도 1d를 참조하면, 해자 특징부(140D)에 더하여 그리고 설계에 따라 단일 및 다수의 사례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105D)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100D)의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100D)에는, 단일 렌즈 에지(110D), 다수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115D), 다수의 볼류메이터 특징부들(120D), 단일 해자 특징부(140D), 다수의 광학 구역들(125D), 최소 에너지 표면(130D), 및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135D)가 포함된다. 개별적인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이 조합되고 함께 구성되어 목표 렌즈 설계들을 가능하게 할 때 매우 복잡한 안과용 렌즈들이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자 특징부(140D)는 설계들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 또는 토폴로지 특징부를 표현한다. 일부 방식들에서 볼류메이터들과 유사하게, 해자 특징부들은 주변 특징부들보다 높이가 현저히 더 낮을 수 있고, 전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해자는 볼류메이터와 같은 다른 특징부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그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자는 렌즈 전구체에서 겔 점 미만에 있는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그리고 따라서 겔 점에 도달한 렌즈 전구체의 부분에서 한정될 수 있다).
이제 도 1e를 참조하면, 단일 또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비원형 렌즈 전구체(105E)의 구조의 평면도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채널(145E)로 지칭되는 다른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는 종래의 단면 관련 논의에서는 아직 논의되지 않았지만 평면도에서는 알아볼 수 있다.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145E)은 소정 체적의 하나 이상의 축소된 겔화된 특징부(들)를 축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 채널의 형상의 본질은, 예를 들어, 추가 체적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혼합물을 특정 영역으로부터 떼어 놓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100E)에서, 평면도 관점으로부터 알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모두의 목록은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145E), 단일 렌즈 에지(110E), 다수의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115E), 다수의 볼류메이터 특징부들(120E), 및 단일 광학 구역(125E)을 포함한다.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145E)는, 하나 이상의 복셀 위치(들)에서 DMD 명령어(들)에 주어지는 노출 신호를 감소시켜 그들 위치에서의 화학 방사선 노출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는 또한, 하나 이상의 복셀 위치(들)에서 DMD 명령어(들)에 주어진 노출 신호를 증가시켜 이들 위치에서의 화학 방사선 노출을 증가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화학 방사선 노출에서의 상대적 변화는 아이템 145E의 것들과 유사한 직선형 형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대적 오목부들을 생성할 것이다. 또한,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중합된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다른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유동하고, 그로부터 떨어지게 유동하고, 그리고 그 위에 정착함. 드레인 채널 지형적 특징부는, 예를 들어 렌즈 전구체의 겔화 부분의 일부에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인 세그먼트화된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의 변형된 특징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예를 들어, 높이, 깊이, 각도 폭, 길이,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의 변형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안과용 렌즈들의 형태 및 기능 면에서의 변화로부터 온다. 더욱이,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파라미터들에서의 변형들로 인한 안과용 렌즈 특징에서의 동일한 변형들은 그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때 추가적인 발명 기술을 또한 생성한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이들 특징부와 희망 렌즈 특징 사이의 경험적으로 정의된 관계들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들 특징부는 다른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과 수학적으로 또는 경험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류메이터 특징부의 설계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에 경험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그들 사이에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 관계들을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들 특징부를 조합하여 포함시키고 이로써 결국 설계된 렌즈 특성 또는 기능을 갖게 되는 적절한 설계 선택들의 판정을 도울 수 있다.
보다 중요하게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다른 용도들은, 예를 들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일부 부분들에서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추가적으로 렌즈 전구체 제조의 정렬 및 보정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특징부들은 겔화된 재료 내에 한정될 수 있고 검사 중에 보일 수 있는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마크는 제조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유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기재들은 희망 렌즈 전구체,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제조하기 위해 정확하게 중심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겔화된 재료 내에 한정되는 마크들이 보일 수 있고, 마크들의 목표 위치(들)와 비교되어 물리적 기재에 대한 이미징 시스템의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은 또한 자유 형성 장비의 광학 배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관점에서, 겔화된 재료 내에 마크들을 한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이미징 시스템 및 특정 목표 크기를 사용함으로써, 이어서 마크들은 생성된 측정된 마크 대 이미징된 크기를 제공하도록 후속해서 측정되어 시스템의 배율의 결정 및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자유 형성 제조 공정들에서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특징부들의 높이, 깊이, 폭, 길이,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이 희망하는 대로 제조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광학 배율 값들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크들과 함께 광학 배율은 기재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판정하고 제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이 정렬, 보정, 및 광학 배율 판정 중 하나 이상에 유용할 수 있는 경우, 마크들은 파면 기술(wavefront technology)을 포함한 이미징 기술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마크들은 배향 마크들로도 지칭되는 기준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및 파라미터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자유 형성 방법들을 이용하여 렌즈 전구체들 상에 제조될 수 있다. 기준 마크들은 눈 위 렌즈 위치, 중심화(centration), 회전, 및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징 기술 및 파면 기술은 추가적으로 기준 마크들의 위치, 크기, 및 형상 중 하나 이상을 판정하는 것을 돕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눈 위의 렌즈에 대한 기준 마크 검출을 도시하는 이미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마크 특징부들은 비제한적 관점에서 문자 또는 숫자와 같은 부호들로도 형성되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유형의 마크 특징부들은 바코드들 또는 다른 광학적 인식가능 부호 특징부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조 방지 특징부들 및 제품 렌즈 식별의 생성과 같은, 안과용 렌즈 전구체 내에 형성될 부호형 특징부들에 대한 많은 용도가 있을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추가적인 기능은, 광학적 등급의 것이고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에 교정용 태양들을 제공하는 토폴로지를 야기하는 광학 구역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것이 자유 형성 공정들의 주목적이기 때문이다. 겔화된 표면들의 토폴로지를, 예를 들어 픽셀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그리고 이들 겔화된 표면 및 이웃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위에서 유동성 매체의 특징을 제어함으로써, 특정의 희망 교정용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원형 특징부들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들을 갖는 겔화된 재료의 평탄 표면들이, 일부 경우에 있어서 그리고 소정 유동성 매체 특징으로, 화학 방사선으로 고정될 때 렌즈릿이라 지칭되는 특징부를 형성하는 소형의 거의 구체 형상인 유동성 매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들 특징부가, 분리된 형태로 또는 어레이 형태로 렌즈 전구체 상에 존재하면, 그들은 그들이 커버하는 영역들의 광학 도수를 수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사이의 상호작용
이전 섹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유동의 역학관계는 유동성 매체 자체의 복합 기능, 및 특정 영역을 둘러싸는 특징부들의 형상 및 토폴로지를 포함한 수많은 다른 인자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련 태양에서, 이웃 특징부들의 영향은 이들 이웃 렌즈 전구체 특징부의 제어 파라미터들을 조정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정된 파라미터가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유체 역학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 매체의 고정 후에 생성되는 표면은 또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설계 파라미터들에서의 이들 변화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정된 비제한적 예로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광학 구역으로부터 안정화 구역 특징부로 가교함에 따라 그가 생성할 수 있는 각도는 볼류메이터 특징부의 제어 파라미터들 및/또는 광학 구역의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볼류메이터의 높이가 이웃 안정화 구역 특징부와 이웃 광학 구역 사이의 그의 위치에서 감소되는 경우, 이들 두 개의 특징부들 사이에 그리고 조정된 볼류메이터 위에 걸쳐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취하게 되는 형태의 변화가 설계 시에 고려될 수 있고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렌즈 전구체 특징부 변화가 다른 이웃 특징부들 위에서 그리고 그 둘레에서 유동성 매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유형 변화이며, 특정한 희망 효과를 야기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변화들이 존재할 수 있다.
0도 평면에서의 두께가 90도 평면에서의 두께와는 상이한 비점수차(astigmatic) 광학 구역을 참조하여 다른 비제한적 예가 기술될 수 있다. 광학 에지는, 예를 들어 0도 평면에서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일 수 있고 90도 평면에서 1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일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형태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광학 구역은 볼류메이터 특징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데, 그의 외부에는, 예를 들어 높이가 400 마이크로미터인 하나 이상의 안정화 구역들이 있을 수 있다. 광학 구역 상의 최고 포인트(150 마이크로미터)와 안정화 구역이 경사지게 정렬되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400 마이크로미터 높이의 안정화 구역들로부터 볼류메이터 특징부 위의 광학 구역 상에 있는 최고 포인트로 가교를 형성할 것이다. 동일한 기하형상 및 특징부들이 사용되지만, 광학 구역이 현재 90도만큼 회전되고 볼류메이터 및 안정화 구역들이 이전과 동일한 배향으로 머무르는 경우,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이제 400 마이크로미터의 높이에 있는 안정화 구역들로부터 이제 100 마이크로미터 높이인 광학 구역 에지로 상이하게 가교할 것이다. 이에 따라,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비점수차 광학 구역으로부터 안정화 구역 특징부로 가교함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각도는 안정화 구역 또는 광학 구역의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정(각도 정렬)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다른 특징부들에 대한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의 위치를 변화시켜 드레인되는 체적의 효과가 상이하도록 하는 것을 수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의 드레인 채널들이 광학 구역의 정중앙 내로 연장되었다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도시된 드레인 채널들의 효과와는 대조적으로, 광학 구역 내로 연장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따라 광학 구역으로부터 동일한 범위로 드레인하지 않을 렌즈의 정확한 정점으로부터 드레인될 것이다. 예를 들어, 광학 구역에 레이크 특징부가 있고 어떠한 드레인 채널들도 광학 구역 내로 연장하지 않는다면, 레이크 특징부는 드레인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드레인 채널들의 깊이, 폭, 크기, 및 범위와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은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주어진 기간에 정착하게 될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상이한 자유 형성 공정들에서, 렌즈 전구체의 처리는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렌즈 전구체 상의 유체 렌즈 반응성 혼합물 부분의 안정화 및 고정화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되는 양의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과도한 반응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장소로부터 기재 및 렌즈 전구체 형태를 분리하는 동안 렌즈 전구체 형태의 표면 상에 남겨질 수 있다. 겔화된 부분에 고착시키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에 더하여, 반응성 혼합물, 제거 속도, 및/또는 환경적 인자들(예컨대, 온도, 산소 레벨 등)의 제어의 조합이 변화되어, 형성된 렌즈 전구체에 존재하는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 혼합물의 일부는 다루기 힘들 수 있고, 또는 반대로, 추가적인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알려진 많은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렌즈 전구체에 추가될 수 있다. 이들 가능성의 각각은 상이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상호작용, 그들의 설계 태양들 각각, 및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기초 하위구조 위에서의 유동성 반응성 매체의 유체 역학관계의 본질을 가져오는 상이한 기본 조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자유 형성 방법에서, 일단 소정 양의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이 렌즈 전구체 상에 또는 그에 근접하게 그리고 적절한 곳에 있다면, 안정화 단계 후, 수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희망 렌즈를 획득하도록 고정화 공정이 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렌즈 전구체 특징부 설명에 따르면, 표면들 중 일부는 이에 따라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고정될 때까지 연속된 렌즈가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두께가 0인 렌즈 전구체 형태의 일부에 해자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두께가 0인 해자의 경우에 있어서, 겔화된 특징부들은 결국 해자 특징부의 근접 주변부에서 끝날 수 있다. 일부 조건들 하에서, 유동성 매체는 렌즈 전구체가 반응성 매체의 저장소와의 접촉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해자 부분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어서, 해자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들로부터의 추가적인 유동성 매체가 또한 해자 영역 내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동성 매체가 고정될 때까지, 이 영역에는 겔화된 재료가 없을 수 있지만, 고정 후에는, 이어서, 해자 영역은 후속 처리 후에 겔화된 렌즈 제품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렌즈 전구체 특징부를 갖는 렌즈 전구체를 형성하는 방법
이제 도 3(아이템 30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논의에서는 렌즈 설계에 포함될 수 있는 많은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설명이 있었다. 예시적인 방법 단계들은 다양한 이들 특징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렌즈들을 설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301에서, 환자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데이터의 수집은 본 기술 분야의 많은 공지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여러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데이터는 제품 베이스 커브 상에서의 안내를 가져올 수 있는 지형 검사와, 직경 및 두께 옵션들과,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과 같은 저차수 광학 수차(들)를 야기할 수 있는 덧댐 굴절 검사(over-refraction exame)와, 그리고/또는 구면 수차, 트레포일, 코마, 및 펜타포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차수 및 고차수 광학 수차 요건들을 가져올 수 있는 파면 검사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추가적인 데이터는 설문지를 통해 얻는 환자의 정보 및/또는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얻는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302에서, 환자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이 광학 수차들을 식별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식별된 광학 수차들은 적합한 표준 제품 설계 또는 맞춤형 제품 설계의 선택에 이용될 수 있다. 대체로, 표준 제품들은 이산적인 스텝들로 제공되며, 가장 가까이에서 입수가능한 표준 제품과 보다 정확한 요구 사이의 차이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순응(accommodation)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맞춤형 제품 설계가 이루어질 때, 맞춤형 제품은, 표준 제품 증가 스텝들 사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표준 제품 정의들과는 상이할 수 있는 선택가능 값들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맞춤형 제품 파라미터들은 표준 제품들보다 더 정밀한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예컨대, -3.125D/-0.47D × 18°)을 허용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특정 제품 및 그의 의도되는 사용에 기초하여 베이스 커브들, 직경들, 안정화 프로파일들, 및 두께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301에서의 특정 환자 데이터의 수집의 결과인 단계 302에서의 데이터 분석은 희망 제품이 비점수차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판정을 야기할 수 있고, 그리고 보다 정밀한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축에 대한 파라미터 요건들의 사양을 갖는 맞춤형 제품에 대해 교정이 바람직한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303에서, 희망 베이스 커브, 직경, 및 중심 두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적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다. 자유 형성되는 렌즈가 적절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304에서, 하나 이상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및 한정 파라미터들이 광학 선택(302) 및 기계적 파라미터 입력(303)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단계 302를 참조하여 논의된 예를 계속하면, 렌즈 설계가 안정화 구역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이 비점수차 교정을 적절히 배향된 상태로 유지시킬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또한, 렌즈가 렌즈의 전체 주변부 둘레에 단일 렌즈 에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학 구역 비점수차 교정의 본질로 인해, 예시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볼류메이터 특징부들이 바람직한 광학 구역 설계 및/또는 제조에 도달할 것을 요구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렌즈들을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들의 마킹들이 특징부 설계 상에 배치될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시 예시적인 관점에서,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이 또한 광학 구역들의 설계 및/또는 제조 태양들을 개선할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305에서, 목표 렌즈 두께 맵들 및 이들의 관련 파일(두께 맵의 수치 표현을 데이터파일 포맷으로 포함할 수 있음)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식별될 수 있다. 305에서, 단계 302의 광학 구역 요구의 생성된 정의, 303의 기계적 정의, 및 단계 304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의 보완이 모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모델은 다양한 영역들의 희망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설계에 의해 이론적 두께를 판정할 것이다. 모델로부터,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이 생성될 수 있다. 앞선 섹션들로부터 명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성된 설계들 및 파일들은 목표 설계를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희망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및 희망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표면들로부터 생길 수 있다.
단계 305로부터 나올 수 있는 유형의 결과의 소정 실례를 제공하기 위해, 목표 렌즈 두께 맵의 단면 표현이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다. 도시된 것은 만곡 공간에서의 렌즈 설계를 도시한다. 410에서, 후방 곡면 프로파일의 표현이 확인될 수 있다. 420에서, 전방 곡면 프로파일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맵에 대한 관련 파일이 참조될 때, 그것은 직교 좌표, 극 좌표, 구 좌표, 또는 다른 공지된 수학적 좌표 형식들과 같은 다양한 좌표계들에서의 위치 변수들을 포함하는 데이터파일일 수 있다. 관련 파일에서는 또한 좌표 표현들 각각이 몇몇 종류의 두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좌표들이 직교 좌표에 나타나는 관련 데이터파일의 일례가 주어진다. 목표 파일들 및/또는 렌즈 설계들은 다른 특징부들(예컨대, 안정화 구역과 같은 소정 유형의 안정화 메커니즘)과 함께 선택 광학 및 기계적 요건들을 조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제 도 6 및 도 6a를 참조하면, 희망 광학 및 기계적 특징부들을 생성하고 출력하여 목표 렌즈 설계를 생성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이용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610에서, 표현이 설계의 목표 두께와 관련될 수 있는 맞춤형 광학 설계의 모델이 제시된다. 설계는 아이템 6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굴절 데이터의 수집으로부터의 출력에서 비롯될 수 있다.
620에서, 안정화 구역들, 및 아이템 630에서, 스마트 볼류메이터 플로어 설계(Smart volumator Floor design)가 아이템 62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엑셀 기반 스프레드시트 설계로부터의 출력, 예를 들어 직교 좌표로서 데이터 포인트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스프레드시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세 개의 모델 요소는 아이템 640으로 도시된 맞춤형 렌즈 설계를 야기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요소들로부터의 렌즈 설계들을 제형화하는 방법들 및 이들 요소를 모델링하는 방법들은 매우 많을 수 있으며, 주어진 특정 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대안으로서, 단계 305에서 수행되는 계산은 두께 목표라기보다는 파형 목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한 목표 설계는 일부 경우에 있어서 유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계측법이 직접적으로 파형 출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305에서 생성될 수 있는 목표 렌즈 두께 맵들의 유사한 효용성이 목표 렌즈 파형들에 대해서 일어날 수 있다.
306에서, 단계 305에서 형성된 두께 목표들 또는 파형 목표들과 일치하는 렌즈 전구체를 적절히 야기할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들을 생성하도록 모델이 제형화된다. 렌즈 전구체 형태 설계 두께 맵들을 생성하기 위한 많은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유동성 매체가 단단한 겔화된 기재 재료 위에서 유동할 수 있는 방식들을 모델링할 수 있는 동역학적 유동성 매체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체적으로 경험적인 알고리즘은 렌즈 제조 처리의 이전 결과에 기초하여 유동성 매체가 안정한 상태에 도달한 후 목표 렌즈 설계를 야기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 두께 패턴에 대한 추정을 야기할 수 있다. 동적 모델링 알고리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많은 모델링 기술들 및 또한 경험적 모델들이 목표 렌즈 두께 맵을 모델로 변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결과로서, 희망 제품에 대한 목표 렌즈 설계들, 두께 맵들 및 관련 파일들이 렌즈 전구체 설계들, 두께 맵들 및 파일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목표 파일 또는 그의 부분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통적인 2차원 설계 방법들, 3차원 설계 방법들, 경험적 방법들, 및 전통적인 방법과 경험적인 방법 양쪽 모두의 조합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전통적인 방법들의 예들은 광선 트레이싱, 수학 공식, CAD/CAM/CAE, 2D 모델링 소프트웨어,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정적 모델링, 유체 모델링, 및 컴퓨터 유체 동역학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08에서, 반복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쇼들로부터 처음 생성된 DMD 쇼를 지칭할 수 있는 DMD 하위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DMD 쇼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수행되기 원하는 모델링된 누적 세기 선량의 예시적 표현이 아이템 650으로서 표현되는데; 이는 앞선 섹션들에 논의된 맞춤형 렌즈 설계(640)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었다.
이용될 반응성 단량체 혼합물에 대한 화학선 광 노출의 세기 및 시간을 상관시키는 모델들에 기초하여, 세기 및 시간의 값들이 복셀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이들 값은 DMD를 갖는 광 시스템의 제어를 실행시킬 수 있는 DMD 쇼를 생성하여 적절한 기재를 계산된 화학 방사선 노출에 복셀 단위로 노출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시간 및 세기 값들을 DMD 쇼 또는 DMD 시퀀스들로 변환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존재할 수 있다.
비제한적 관점에서, DMD 쇼(들)는 그레이 스케일 변조를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과 관련되는 복셀들에 가변 노출을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인 방법들은 전체 DMD 쇼의 특정 듀티 사이클(duty cycle) 또는 시간 백분율 동안 최대 세기 노출을 위해 복셀들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셀이 계산된 시간 백분율을 갖는다면, DMD 쇼는 다수의 프레임들이 전체 DMD 쇼("무비"로 지칭될 수 있음) 동안 판정되는 무비와 유사할 수 있고, 백분율은 프레임들의 총 개수에 대한 높은 세기를 갖는 특정 복셀 위치에서의 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과 관련될 것이다.
DMD 쇼가, 광 변조 요소로서 DMD를 포함할 수 있는 화학 방사선 노출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때, 렌즈 전구체는 단계 번호 309에서 기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가 발생한 후, 렌즈 전구체는 겔화된 형성된 재료인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최소 에너지 상태를 달성한 유동성 매체의 층을 그 겔화된 매체 위에 가질 수 있다. 이후, 이러한 렌즈 전구체는 이어서 렌즈 전구체를, 일부 경우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로 되는 완전히 겔화된 형태로 고정하도록 화학 방사선 처리될 수 있다. 그러한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중 어느 하나는 번호 309로 나타낸 공정 단계의 결과일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제조된 렌즈 전구체 또는 마무리된 안과용 렌즈가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그의 두께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두께 결과는 단계 305에서 제형화된 두께 맵들 및 그들의 관련 파일들과 비교되어 희망 제품 설계에 대한 일치를 판정하게 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두께 맵"은 파면 목표화된 맵일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310의 측정은 파면 데이터 자체를 얻을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전구체의 두께 또는 파면 정보를 측정하는 다른 방식들을 구현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단계 310에서의 측정의 결과는 허용가능할 수 있는 그의 목표 렌즈 설계에 충분히 가까운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한 환경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방법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10에서의 측정의 결과는 허용불가능할 수 있다. 결과가 희망 목표로부터 너무 동떨어져 있다면,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단계 303으로 되돌아가고 가능하게는 렌즈 전구체 설계에 대해 근본적인 변화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311에서, 요구된다면, 광학 파라미터들, 기계적 파라미터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렌즈 전구체 특징부 파라미터들,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표면 파라미터들, 제조 공정 조건들, 두께 맵들, 관련 파일들, DMD 쇼들 등의 조합이 희망 제품 설계/설계 목표에 더 가까운 렌즈 전구체를 제조하려는 시도로 추가되거나 제거되거나 또는 수정되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311에서 전술된 단계는 310에서의 측정 단계가 허용가능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발견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DMD 쇼는 설계된 특징을 갖는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의 생성을 위한 허용가능 쇼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한 쇼 및 관련 설계는 설계 특징이 허용가능 결과에 상당히 가까운 변경된 설계에 대한 바람직한 시작 포인트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311 및 312에서, 광학 파라미터들, 기계적 파라미터들,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렌즈 전구체 특징부 파라미터들,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표면 파라미터들, 제조 공정 조건들, 두께 맵들, 관련 파일들, DMD 쇼들 등의 조합은 처리 시에 추가되거나 제거되거나 또는 수정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방법 모두는 추가적인 특징부 변화, 특히 광학 구역이 병행 방식으로 방법 흐름에 추가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3a(아이템 320)로 가면, 추가적인 단계 327이 발견될 수 있다. 설계 시에 세목들을 방법 내에 추가하는 보다 일반적인 기술의 일례에서, 중차수 및 더 높은 차수의 수차 교정들이 단계 305에서의 목표 렌즈 설계 내에 또는 단계 306에서의 렌즈 전구체 형태 설계 내에 추가될 수 있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요소들의 이러한 별도의 추가는, 추가된 요소(327)가 전적으로 그것이 관련성을 갖는 목표 설계 또는 렌즈 전구체 설계의 영역의 본질을 정의하는 독립적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대안적으로, 추가된 파일들은 표준 방법 흐름을 야기하는 목표 렌즈 설계 및 렌즈 전구체 형태 설계에서의 기존 정의들과 조합될 수 있다. 단계 327에 위치되는 추가된 파일들은 추가된 내용과 관련되는 두께 맵들에 관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논의되었던 바와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추가된 파형 태양들 또는 맵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단계 327의 유사성을 공유할 수 있는 대안적인 공정은 도 3b(아이템 340)를 참조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추가적인 특징부 설계 태양들이 방법 흐름에 추가될 수 있는, 두께 또는 파면 목표화된 추가들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DMD 쇼 세목들이 DMD 하위 시퀀스들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단계 3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D 파일의 비제한적인 예는 렌즈 처방에 대한 중차수 및 고차수 수차 교정들이 기존의 DMD 쇼 내에 직접적으로 추가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추가된 DMD 하위 시퀀스를 조합하는 데 수학적 연산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DMD 쇼 또는 무비를 변경하도록 산술적 가산 연산이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소정의 정의된 복셀 위치에 대해 특정 위치들에서의 복셀 값들의 합이 계산되어 값을 프레임 단위로 대체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감산, 승산, 제산, 부울 연산 등을 포함한 많은 다른 유형의 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유사한 관점에서, 단계 343에서 DMD 하위 시퀀스 파일이 추가적인 특징부 두께 또는 파형 등가 두께를 추가하는 특징부들을 정의한다면, 기존의 DMD 쇼가 수행된 후에 이어질 가산기 DMD 파일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부가 공정이 비롯될 수 있다. 기존의 프레임들이 DMD 쇼 내의 임의의 특정 위치에서 DMD 쇼에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할 수 있다.
가능한 다양한 특징부들 및 언급된 것들을 갖는 안과용 렌즈들 및 렌즈 전구체들을 형성하는 방법들에 관한 이전 논의에서, 용어 및 논의는 특히 화학 방사선 및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제조 공정의 세목들을 제어하는 안과용 렌즈들 및 렌즈 전구체의 자유 형성 제조와 관련되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의 개념들은 DMD 기반 자유 형성 기술에 관한 것이지만 또한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DMD 시작 쇼로 표시되는 단계 번호 308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툴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렌즈 전구체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툴을 사용하여 렌즈 전구체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유형의 제조 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예를 들어 유동성 반응성 매체는 스테레오그래피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상에 추가될 수 있다. 일단 유동성 매체가 추가되면, 이제 조합은 렌즈 전구체의 등가물을 한정할 수 있다. 형태 위에서의 유동성 매체의 유동의 본질은 복셀 단위의 자유 형성되는 렌즈 전구체에서의 유동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방법이 상이한 유형의 방법들에 의해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한정하여 기본 렌즈 전구체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는데, 이는 이어서 유동성 매체와 상호작용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몇몇 예들을 언급하자면 자유 형성 복셀 기반 리소그래피, 스테레오그래피, 기계적 선반가공, 부분품 성형을 포함한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의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부를 갖는 렌즈 전구체의 설계 및 제조의 자동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부분들에 이용되는 모델링 소프트웨어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세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700)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하며, 이는 통신 디바이스(72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720)는 또한 통신 채널을 통해 정보를 통신하여 본 명세서에 논의된 기능들에 관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720)는 또한, 예를 들어: LCD 패널, 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프린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인간 판독가능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또한 저장 디바이스(730)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컨대, 자기 테이프, 무선 주파수 태그들,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디바이스들 및 ROM(Read-Only Memory)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프로세서(710)를 제어하기 위한 모델링 프로그램(7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740)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목표 렌즈 설계, 렌즈 전구체, DMD 파일들, 환자 정보, 렌즈 광학 성능, 눈 관리 전문가의 오피스 데이터,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측정된 두께 프로파일들 등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750, 760)에서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상기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저장할 수 있고 전송할 수 있다.
모델링 프로그램(740)은 프로세서(710)와 함께 동작하여 장치(700)가 안과용 렌즈의 착용자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수차들을 기술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도 3, 단계 302), 안과용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희망하는 기계적 파라미터를 기술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도 3, 단계 303), 렌즈 전구체 형태 하위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토폴로지 특징부를 기술하는 입력을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하게 하고(도 3, 단계 304), 그리고 스테레오리소그래픽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에서의 사용을 위해 DMD 쇼를 생성하게 한다(단계 308). 그것은 또한 장치가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의 적어도 일부의 설계 두께 맵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할 수 있고(도 3, 단계 305 또는 단계 306), 제조 툴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의 적어도 일부의 측정된 두께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정된 두께들을 설계 두께 맵과 비교하여 희망 설계에 대한 일치를 판정하게 할 수 있고(도 3, 단계 310), 그리고 필요하다면,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에서의 사용을 위한 대안적인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도 3, 단계 311).
동일한 방식으로, 모델링 프로그램(740)은 프로세서(710)와 함께 동작하여, 장치(700)가 도 3의 단계 312, 도 3a의 단계들 302 내지 308, 310 내지 312 및 327, 및 도 3b의 단계들 302 내지 308, 310 내지 312 및 343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목표 파일을 판정하는 경험적 방법
목표 파일 또는 그의 일부의 경험적 판정은, 자유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두께 프로파일들 또는 그의 일부가 후속 목표 파일들에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되는 렌즈, 렌즈 전구체, 렌즈 전구체 형태, 및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제조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성 매체 및 겔화된 형태 상호작용의 복잡한 본질로 인해, 시스템 설계된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과 비교시, 때때로 축소된 높이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을 가진 희망 광학 구역들을 제조하는 것만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 계산된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은, 후속적으로, 측정된 두께 생성 프로파일들을 대응시킴으로써, 개선된 제조 결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실증된 축소된 높이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로 대체될 수 있다.
단면 디스플레이에서 설계를 표현하는 방식
이제 도 8a를 참조하면, 2차원 만곡 공간에서의 비원형의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800A)의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렌즈는 단일 부분품 설계로서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단면 표현들을 갖는 평면도(아이템 801A)를 표현함으로써, 실제 토폴로지 및 두께 변형들의 복잡도 중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면(805A)은, 일부 예들에서 광학 구역의 중심일 수 있는 렌즈의 초점을 기준으로, 초점으로부터 단면 표현에서 "좌"측 에지에 대해 "우"측 에지까지의 렌즈 재료의 유사한 길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게 대칭인(즉, 거의 대칭인) 두께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시한다. 단면들(810A, 815A)은, 단면의 이러한 방향들에 대해 초점의 둘레에서 상이한 길이들 및 두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대칭인 두께 프로파일들의 예를 도시한다.
단면에 의해 렌즈들을 표현하는 상이한 방식은 2차원 평탄 공간에서의 비원형의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800B)의 단면 표현인 도 8b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평면 표현이 아이템 801B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두께 프로파일들이 과장된 이러한 예시적인 표현에서, 평탄 공간 표현은 후방 곡면 형상을 평탄 형상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유형의 표현에서, 단면(820B)은 유의하게 대칭인 두께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시한다. 단면들(825B, 830B)은 비대칭인 두께 프로파일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단일 부분품 및 다중 부분품 설계 - 배경기술
목표 파일들은 연속적 표면 특징부들, 불연속적 표면 특징부들, 및 조합될 때 완전한 연속적 표면들, 불연속적 표면들, 및 이산적 구역들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할 수 있는 이산적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매끄러운 연속적 표면들 및 단일의 불연속적 표면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표현되는 목표 파일들은 통상 도 3a 및 도 3b에서의 형상이 표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단일 부분품 설계들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목표 파일들은 다수의 이산적 특징부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설계 표현들은 통상 다중 부분품 설계들로 지칭될 수 있다.
다중 부분품 렌즈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특징부를 갖는 렌즈 전구체를 생성하는 방법
방금 언급된 바와 같이, 목표 렌즈 설계는 그를 다중 부분품 설계로 지칭되는 후보로 만드는 이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산적 특징은 설계 공정의 결과로서 랜덤 방식을 야기할 수 있지만, 보다 전형적으로, 그들은, 설계가 전체 렌즈 설계의 영역에만 관련되는 상이한 설계 "피스들"의 직접적인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형성된다. 이들 피스는 또한 함께 조합될 때 다중 부분품 설계를 생성할 수 있는 독립적 "부분품들"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한 다중 부분품 설계 개념은 희망 제품 또는 목표 파일의 불완전한 표면이 렌즈 전구체 제조에 활용되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실제로, 완전한 표면이 결코 생성될 수 없거나, 단일 또는 다수의 파일들로서 저장될 수 없거나, 또는 제조 설비로 전송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희망 제품 광학 구역, 베이스 커브, 및 직경에만 관련되는 이산적이고 매끄럽지 않는 불연속적 데이터는 윤곽 형성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희망 제품이 제조되게 하기 위해 눈 관리 요원의 사무실로부터 제조 설비로 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자체 능력만으로 렌즈 설계의 피스만을 표현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할 수 있는 전송된 데이터는 추후에 전체 설계의 나머지를 위해 다른 피스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커브 및 전체 렌즈 설계 직경을 갖는 제품 광학 구역 설계의 전송을 수신한 후, 이들 컴포넌트들을 렌즈 에지 및 희망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과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설비들과 같은 상이한 위치에서, 이들 추가적인 특징부들은 카탈로그 아이템들로부터 불러낼 수 있고,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 설계들과 함께, 매끄럽고 연속적인 제조된 렌즈 전구체를 완성할 수 있다. 다른 렌즈 제조 기술들은 희망 제품의 전체적인 완전한 표면들이 알려질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의 직접적인 선반가공으로, 다이아몬드 툴들은 희망 제품의 전체 표면을 절삭하기 위해서 사전생성된 완전한 툴 경로들을 따라야 한다.
이제 도 9a를 참조하면, 만곡 및 평탄 공간 양쪽 모두에서의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900A)의 비원형 단일 부분품 설계의 표현 및 단면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현에서, 전체적인 볼록 표면은 사실상 매끄러울 수 있고 연속적일 수 있다. 905A, 910A, 915A, 920A, 925A, 및 930A에서의 단면들의 볼록 프로파일들이 또한 매끄러운 연속적 섹션들로서 도시되어 있다.
설계를 "단일 부분품 설계"로 지정하는 것은 렌즈 설계를 생성하는 방법이 특징부 사양들의 완전한 초기 세트로부터 설계 태양들을 생성한다는 사실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생성된 렌즈의 형상 자체는 이산적인 부분품들을 갖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들이 초기 사양에서 함께 조합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렌즈는 여전히 단일 부분품 설계로서 분류될 수 있다.
이제 도 9b를 참조하면, 만곡 및 평탄 공간 양쪽 모두에서의 예시적인 렌즈 전구체(900B)의 비원형 단일 부분품 설계의 표현 및 단면 표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묘사들은 단면으로 설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표면이 사실상 매끄럽지도 연속적이지도 않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것은 단일 부분품 설계로 간주될 수 있고, 초기 설계 단계에서, 설계의 불연속적 본질을 야기하는 특징부가 선택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에서의 갭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해자 특징부(990B)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일 부분품 설계에서 매끄러움 및 연속성의 결여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표면의 단면이 935B, 940B, 945B, 950B, 955B, 및 960B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9c를 참조하면, 매끄럽고 연속적인 예시적 렌즈 전구체(900C)의 다중 부분품 설계 개념의 표현들이 주어진다. 도면에는, 렌즈 전구체 설계를 구성할 수 있는 이산적 특징부들의 단면 표현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상이한 특징부들이 965C, 970C 및 975C에 의해 표현된다. 이산적 특징부들의 이러한 조합으로부터 생성되는 매끄럽고 연속적인 볼록 단면(980C)이 또한 관찰될 수 있다. 또한, 모든 2차원 만곡 공간에서, 매끄럽고 연속적인 원형 다중 부분품 설계 렌즈 전구체(900C)를 도시하는 아이템 901C인 평면도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중 부분품 설계에 포함되는 예시적인 상이한 "부분품들"은 도시된 환형 렌즈 에지(965C), 안정화 구역 특징부(970C), 및 광학 구역(975C)일 수 있다. 매끄럽고 연속적인 볼록 단면(980C)을 생성하는 이산적 특징부들의 조합, 및 렌즈 전구체 설계(900C)의 평면도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9d를 참조하면, 매끄럽지 않고 불연속적인 예시적 렌즈 전구체(900D)의 다중 부분품 설계 개념의 표현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d에는, 렌즈 전구체 설계를 이룰 수 있는 이산적 특징부들의 단면 표현들이 포함된다.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부분품 설계는 이산적 특징부들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되는 매끄럽지 않은 불연속적 볼록 단면(985D)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도는 또한 이러한 매끄럽지 않은 불연속적 원형 다중 부분품 설계 렌즈 전구체(900D)의 평면 표현을 도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 표현들은 2차원 만곡 공간의 실례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환형 렌즈 에지(965D) 특징부, 광학 구역(975D) 특징부, 및 이산적 특징부들의 조합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이고 매끄럽지 않는 단면(985D)일 수 있다. 불연속성이 렌즈 에지(965D)와 광학 구역(975D)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 개념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를 다시 참조하면, 많은 유형의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이 상이한 설계들을 형성하도록 조합되었을 수 있다. 관련 목표 파일들은 다수의 그러한 상이한 특징부들을 함께 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조합된 특징부들 각각은 카탈로그 아이템들 및 비-카탈로그 아이템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이 경우의 비-카탈로그 아이템은 특정 렌즈 설계를 위해 새롭게 모델링되었거나 생성된 어떤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렌즈 설계가 다양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때, 새로운 렌즈 전구체 목표 설계가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전구체 목표 설계와 유사한 많은 수의 상이한 렌즈들이 또한 전구체 요소들의 동일한 조합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지만 그의 파라미터 값들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안정화 설계 및/또는 렌즈 설계의 높이, 특정 볼류메이터 특징부의 깊이가 변화하여, 유사하지만 상이한 설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소정 계열들의 관련 설계들에 대해, 선택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 및/또는 선택 특징부 제어 파라미터들을 소정 범위의 렌즈 설계들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선택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집합에 대한 특징부 제어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다른 특징부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변화할 수 있는 한편, 생성된 계열의 설계들은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들)는 소정 범위의 렌즈 설계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에서 상이한 렌즈 제조와 관련되는 DMD 파일들 또는 DMD 쇼들의 부분들이 서로 유사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명세서의 교시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의 이러한 개념을 더 이해하기 위해서, 이론적인 아큐브 토릭 프리사이스 리미티드(Acuvue Toric Precise Limited)™, 시스템 생성된 맞춤형 제품을 고려한다. 이러한 제품 계열에는 제공될 수 있는 그들의 저차수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 교정을 위한 여러가지 상이한 값들을 갖는 많은 수의 렌즈들이 있다. 그러나, 변형물은 -3.00D 내지 0.00D의 구면 도수 범위 및 -2.00D 내지 0.00D의 난시 도수 범위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계속하면, 이들 다양한 범위들 내의 이들 제품들은 제공되는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렌즈 에지,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 및 볼류메이터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아큐브 토릭 프리사이스 리미티드™는 하나의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추가 예는 이론적 맞춤형 제품인 아큐브 토릭 프리사이스 플러스(Acuvue Toric Precise Plus)™의 것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단지 저차수의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 축 교정만의 무한 파라미터들이 -20.00D 내지 +20.00D의 큰 구면 도수 범위 및 -10.00D 내지 0.00D의 난시 도수 범위로 공급될 수 있다. 아큐브 토릭 프리사이스 플러스™는 세 개의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들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20.00D 내지 -10.00D, -9.99D 내지 +9.99D 및 +10.00D 내지 +20.00D의 각각의 구면 도수 범위 내에서, 렌즈 에지,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 및 볼류메이터 특징부들이 동일할 수 있지만, 세 개의 디지털 코어 브레이크들 각각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향상된 목표 파일은 베이스 목표 파일에서 시작함으로써 그리고 이를 수정하여 특징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8°의 난시 축에서 -5.67D의 구면 도수 및 -4.56D의 난시 도수에 대한 교정과 함께 트레포일 및 코마 교정을 제공하는 렌즈 설계는 아큐브 토릭 프리사이스 플러스™ -5.67D/-4.56D×78° 설계에 대한 카탈로그 아이템들을 불러냄으로써 그리고 희망 고차수 교정 컴포넌트들을 이들 선택하여 불러낸 카탈로그 아이템들에 통합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대체로, DMD 파일들 또는 DMD 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 기술의 범주 내에 많은 방식들 및 기술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DMD 파일들 또는 DMD 쇼들은 또한 카탈로그 아이템들을 불러냄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이전의 DMD 파일들 또는 DMD 쇼들은 또한 새로운 또는 수정된 특정부들에 대한 DMD 파일들을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많은 방식들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목표 파일들과 유사하게, DMD 파일들 및/또는 DMD 쇼들은 베이스, 목표 파일들, DMD 파일들 및/또는 DMD 쇼들로부터, 그리고 중차수 또는 고차수 교정을 제조된 렌즈 내에 가져올 수 있는 명령어들을 그들에 포함시키는 것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DMD 파일들의 샘플 부분들의 예들이 도 5 및 도 10 양쪽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추가적인 태양들에서,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는 DMD 파일들 및 DMD 쇼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활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망 렌즈 전구체(105B)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100A)를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가, 렌즈 에지들,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 및 광학 구역들을 생성하라는 명령어들과 같은 단일 DMD 파일 또는 DMD 쇼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희망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는, 하나의 DMD 파일 또는 DMD 쇼들이 렌즈 에지들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을 생성하라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상이한 DMD 파일 또는 DMD 쇼가 광학 구역들 및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을 생성하라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의 DMD 파일들 또는 DMD 쇼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희망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 내에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DMD 파일들 및 DMD 쇼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걸쳐서 분배될 수 있다. y-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회전되고 x-y 평면에서 4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샘플 DMD 쇼의 일례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전체 DMD 파일 또는 DMD 쇼, 또는 그의 부분들은 선행 DMD 파일 또는 DMD 쇼, 또는 그의 부분들에 겹쳐 쓰기가 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형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DMD 파일은 선행 DMD 파일 상에 중첩되어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이 선행 DMD 파일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렌즈 전구체에 제조되게 할 수 있다. 원주형 드레인 채널들을 포함하는 샘플 DMD 쇼를 더한 DMD 파일의 일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예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D 파일을 선행 DMD 쇼 상에 중첩시켜, 제조되고 있는 렌즈 전구체의 에지 형상 및 프로파일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변화시킴으로써 DMD 파일을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3a는 DMD 쇼로부터 제조된 렌즈와 비교해서 y-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회전되고 x-y평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45°만큼 회전된 변화된 에지 만곡부 명령어 섹션을 포함하는 DMD 파일을 갖는 원주형 드레인 채널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DMD 파일을 갖는 샘플 DMD 쇼의 일례를 도시하며, 그 사진이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완전한 또는 불완전한 설계 목표 파일들, DMD 파일들, DMD 쇼들, DMD 반복 쇼들, 카탈로그 아이템들, 비-카탈로그 아이템들 등은 다른 완전한 또는 불완전한 설계 목표 파일들, DMD 파일들, DMD 쇼들, DMD 반복 쇼들, 카탈로그 아이템들, 비-카탈로그 아이템들 등과 조합될 수 있고, 희망 렌즈 전구체가 제조될 수 있게 되는 DMD 파일들 및 DMD 쇼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구역의 두께 설명만이 제조 설비에 전달된다면, 그것은 DMD 파일로 변환될 수 있고, 렌즈 에지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DMD 파일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렌즈 전구체는 완전한 렌즈 설계 또는 렌즈 전구체 설계 프로파일을 특정하지 않고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또는 조합된 DMD 파일들 중 어느 것도 완전한 표면 프로파일을 설명하지 않는다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는 광학 구역을 안정화 구역 특징부들에 여전히 접속시킬 수 있고, 이로써 표면 프로파일을 완성시킬 수 있다.
렌즈 전구체 또는 렌즈 전구체 형태는 설계 목표 파일 사전-고정화 공정, 사후-고정화 공정, 또는 사전 및 사후-고정화 공정에 대한 일치가 측정될 수 있다. 생성된 측정치들은 반복 루프에서 이용될 수 있고, 희망 렌즈 전구체(105)가 제조되게 할 수 있다. 평탄 공간에 렌즈 설계, DMD 쇼들, 및 측정된 렌즈 전구체의 (45° 및 135°에서의) 두 단면들의 표현의 일례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제조된 렌즈 전구체는 목표 파일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특정된 허용 기준들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된 렌즈 전구체는 희망 목표 두께보다 두꺼운 것, 희망 목표 두께보다 얇은 것, 및 희망 목표 두께인 것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의 이전 것보다 목표 파일에 더 가까울 수 있는 후속 렌즈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 옵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션들은 이전 시도로부터 동일한 제조 공정 조건들을 갖는 동일한 DMD 쇼, 이전 시도로부터 동일한 제조 공정 조건들을 갖는 수정된 DMD 쇼, 동일한 DMD 쇼와 수정된 제조 공정 조건들, 및 수정된 DMD 쇼와 수정된 제조 공정 조건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MD 파일 및 DMD 쇼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많은 상이한 방식들로 수정될 수 있고, 측정된 렌즈 전구체들과 희망 두께 맵들 사이의 차이 및 경험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D 파일은, 광학 구역에 대한 것과 같은 파일 내의 선택 렌즈 전구체 특징부 설계 값들 및 파라미터들을 변화시키는 것, 해자 특징부와 같은 추가적인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을 제조하기 위한 값들 및 파라미터들을 추가하는 것,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과 같은 선택 제조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값들 및 파라미터들을 제거하는 것, 및 볼류메이터 특징부와 같은 선택 제조된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값들 및 파라미터들을 공간적으로 재분포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특정 예들이 렌즈 전구체 특징부들의 생성, 및 여러가지 상이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들 및 렌즈 전구체들을 생성하는 방법들, 및 DMD 쇼들 및 DMD 파일들을 형성하여 렌즈들 및 렌즈 전구체들을 형성하는 방법들 및 본질을 예시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이들 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는 모든 변형들 및 대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51)

  1. 렌즈 전구체 형태(lens precursor form)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및
    상기 렌즈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또는 그에 인접하게 존재하는 렌즈 에지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fluent lens reactive media)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펜스 구조체(fence structure)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구조체는 상기 렌즈 에지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두께가 최대치로부터 감소하여, 그에 의해 내향 대면 펜스 표면을 형성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구조체의 최대 두께는 상기 렌즈 에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렌즈 전구체 형태.
  4. 제3항에 있어서, 두께의 상기 감소는 연속적인, 렌즈 전구체 형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대면 펜스 표면은 상기 렌즈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오목한, 렌즈 전구체 형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둘레에서 연속적인, 렌즈 전구체 형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는 이산 불연속적 구역들에 존재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의 높이는 0.001 mm 내지 1 mm인, 렌즈 전구체 형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는 상기 렌즈 에지의 일부 이산 부분들이 더 높아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제어하고 렌즈에 이러한 부분들에서 더 두꺼운 에지를 제공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에지 특징부의 반경 범위는 0.001 mm 내지 2 mm인, 렌즈 전구체 형태.
  11.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및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해자 특징부(moat feature)를 포함하며;
    상기 해자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높이에서의 실질적으로 불연속적인 감소에 의해 한정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자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두께가 0 내지 0.2 mm인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자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0 또는 0인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4.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및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해자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자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0 또는 0인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5.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및
    각각이 긴 오목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드레인 채널 특징부(drain channel feature)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를 가로질러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드레인 채널 특징부는 연속적인 오목부인, 렌즈 전구체 형태.
  17.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드레인 채널 특징부는 이산 분절형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은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방사되어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를 그 영역으로부터 떨어뜨리는, 렌즈 전구체 형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은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들로 방사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은 제한된 수의 방향들로 방사되어, 그에 의해 팬 형상 드레인 섹터(fan-shaped drain sector)를 형성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팬 형상 드레인 섹터는 2 내지 360도, 예를 들어 30 내지 120도, 또는 60 내지 90도의 협각을 갖는, 렌즈 전구체 형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채널 특징부들은 그의 외측 단부들에 있거나 그의 외측 단부들을 향하는, 또는 그의 내측 단부들에 있거나 그의 내측 단부들을 향하는, 또는 다른 어딘가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위치들에서의 원주 드레인 채널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3.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상기 렌즈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존재하는 렌즈 에지 특징부,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광학 구역, 및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 및
    상기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고, 그들 사이에서의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의 유동 및/또는 주어진 기간 후에 상기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이 정착하게 되는 형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볼류메이터 특징부(volumator feature)를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상기 유동성 반응성 혼합물의 최소 에너지 표면들의 희망 높이, 깊이, 각도 폭, 길이, 형상, 및/또는 각도를 제어하여 희망 렌즈 전구체 기하형상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두 개의 부분들인, 하부 선반부 및 안정화 구역 특징부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두께 영역에 인접해 있는 상부 선반부로 구성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인접한 안정화 구역 특징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선반부인 섹션을 포함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 특징부의 주연부의 둘레에서 연속적인, 렌즈 전구체 형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불연속적인, 렌즈 전구체 형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에 인접하고, 렌즈 축의 둘레에서 30 내지 120도, 예를 들어 45 내지 90도 또는 50 내지 70도만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렌즈 전구체 형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의 일부는 0.001 mm 내지 1 mm의 높이를 갖는, 렌즈 전구체 형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의 일부는 0.001 mm 내지 4.5 mm의 반경 범위를 갖는, 렌즈 전구체 형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메이터 특징부는 0.001 mm 내지 1 mm, 예를 들어 약 0.5 mm의 반경 범위를 갖는 해자 특징부인, 렌즈 전구체 형태.
  33. 렌즈 전구체 형태의 설계 방법으로서,
    렌즈 전구체 형태 설계를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외주연부를 한정하는 렌즈 에지; 및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은 상기 렌즈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존재하는 렌즈 에지 특징부,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광학 구역,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 및 상기 복수의 렌즈 특징부들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상기 외주연부 내에 존재하는 볼류메이터 특징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렌즈 특징부들의 각각은 파라미터에 의해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특징부를 한정하는 상기 파라미터들은 희망 렌즈 형상 및 하나 이상의 인접한 렌즈 특징부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특징부는 볼류메이터 특징부인,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유동성 렌즈 반응성 매체가 광학 구역으로부터 안정화 구역 특징부로 가교할 때 그가 생성하는 희망 각도는 그들 사이의 볼류메이터 특징부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들, 및 선택적으로 상기 광학 구역의 파라미터들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되는, 방법.
  36. 렌즈 전구체 형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를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설계하는 단계; 및
    그러한 설계로 렌즈 전구체 형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안과용 렌즈 전구체(ophthalmic lens precursor)로서,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전구체 형태로서, 흡광 성분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 매체; 및 겔 점(gel point)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제1 가교결합 밀도 등급(crosslink density degree)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제1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 및
    상기 겔 점 미만에서 경화의 제2 가교결합 밀도 등급을 포함하는 유체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안과용 렌즈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안과용 렌즈 전구체.
  38.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2 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37항의 렌즈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화학 방사선(actinic radiation)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겔 점 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가교결합 밀도 등급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0.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에서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디지털 데이터용 저장소; 및
    디지털 데이터용 상기 저장소에 저장되고 요구 시에 실행가능한 실행가능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프로세서와 작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안과용 렌즈의 착용자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수차(optical aberration)들을 기술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의 적어도 하나의 희망 기계적 파라미터를 기술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렌즈 전구체 형태 하위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토폴로지 특징부를 기술하는 입력을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게 하는,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은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툴(stereolithography manufacturing tool)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세트는 상기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시간 기반 명령어 데이터 포인트(time based instruction data point)들을 포함하는 DMD 쇼(show)인,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는 상기 프로세서와 작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의 적어도 일부의 설계 두께 맵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조 툴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 전구체 형태 또는 렌즈 전구체의 적어도 일부의 측정된 두께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두께를 상기 설계 두께 맵과 비교하여 희망 설계에 대한 일치를 판정하게 하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상기 안과용 렌즈 전구체 형태 제조 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게 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파라미터들은 베이스 커브(base curve), 직경, 및 중심 두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차들은 저차수 수차들, 중차수 수차들, 및 고차수 수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상기 특징부의 높이, 길이, 폭,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학적으로 기술될 수 있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일부를 포함하는, 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렌즈 에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해자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드레인 채널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볼류메이터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복수의 특징부들이 파라미터에 의해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특징부를 한정하는 상기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렌즈 특징부들 및 희망 렌즈 형상을 한정하는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는 상기 렌즈 전구체 형태의 광학 구역 부분 또는 안정화 구역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57002067A 2012-06-29 2013-06-28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KR102029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5973P 2012-06-29 2012-06-29
US61/665,973 2012-06-29
PCT/US2013/048572 WO2014005020A1 (en) 2012-06-29 2013-06-28 Lens precursor with features for the fabrication of an ophthalmic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54A true KR20150030254A (ko) 2015-03-19
KR102029669B1 KR102029669B1 (ko) 2019-10-08

Family

ID=4887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067A KR102029669B1 (ko) 2012-06-29 2013-06-28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9664923B2 (ko)
EP (1) EP2867004A1 (ko)
JP (1) JP6162234B2 (ko)
KR (1) KR102029669B1 (ko)
CN (2) CN104797404B (ko)
AU (2) AU2013282401B2 (ko)
BR (1) BR112014032902A2 (ko)
CA (1) CA2877380A1 (ko)
HK (2) HK1210103A1 (ko)
IL (1) IL236322A0 (ko)
IN (1) IN2015DN00379A (ko)
RU (1) RU2630103C2 (ko)
SG (1) SG11201408450QA (ko)
WO (1) WO20140050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065A (ko) * 2017-08-25 2019-03-06 한국광기술원 열경화 웨이퍼 공정을 통한 어레이 타입 렌즈 제조 방법
KR102079718B1 (ko) * 2019-10-18 2020-02-20 김지태 컨텍트렌즈 몰드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코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197B2 (en) 2012-12-21 2020-01-14 Eyeprint Prosthetics Llc Prosthetic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928653B2 (en) 2012-12-21 2021-02-23 Eyeprint Prosthetics Llc Prosthetic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52564B2 (en) 2012-12-21 2020-12-01 Eyeprint Prosthetics Llc Prosthetic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201314421D0 (en) * 2013-08-12 2013-09-25 Materialise Nv Data Processing
US11696823B2 (en) 2015-04-14 2023-07-11 Z Optics, Inc.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US10739617B2 (en) * 2015-06-12 2020-08-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mfort-optimized contact lens system for non-rotationally symmetric eye aberration
CN107847123A (zh) 2015-07-29 2018-03-27 庄臣及庄臣视力保护公司 用于确定矫正视力的系统和方法
US10359643B2 (en) 2015-12-18 2019-07-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incorporating lens features and lenses having such features
EP3470172B1 (en) * 2017-10-13 2020-09-16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of optimizing a support material for an operation of surfacing of a lens blank
US11565465B2 (en) * 2017-12-07 2023-01-3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rticle
US11029534B2 (en) * 2018-10-08 2021-06-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ple-wavelength lens forming system and method
CN110065183B (zh) * 2019-04-28 2024-01-19 青岛科技大学 一种环形胎面活络模具
US11454823B2 (en) * 2019-05-14 2022-09-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oft contact lens with reduced volume variation
EP3756863A1 (en) * 2019-06-24 2020-12-30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a manufacturing file for producing an optical element
US11963868B2 (en) 2020-06-01 2024-04-23 Ast Product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694A (ko) * 2009-01-30 2011-10-31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과용 렌즈 전구체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693A (en) * 1973-03-12 1975-09-02 American Optical Corp Mold for casting lenses
US4208364A (en) * 1976-03-24 1980-06-17 Shepherd Thomas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US4190621A (en) * 1977-03-10 1980-02-26 Martin Greshes Method for molding optical plastic lenses of the standard and bifocal type
FR2472459A1 (fr) * 1979-12-28 1981-07-03 Essilor Int Fausse lentille pour moulage en forme du face d'une monture de lunettes, et moule correspondant
US4284399A (en) * 1980-06-23 1981-08-18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Contact lens mold
US4701288A (en) * 1985-06-05 1987-10-20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rticles of dissimilar polymer compositions
GB8601967D0 (en) *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4865779A (en) * 1987-12-15 1989-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en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5034166A (en) * 1988-07-21 1991-07-23 Allergan, Inc. Method of molding a colored contact lens
US5271875A (en) *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US5326505A (en) * 1992-12-21 1994-07-0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treating an ophthalmic lens mold
JPH08187793A (ja) * 1995-01-09 1996-07-23 Nisshin Koki Kk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10527A1 (en) 1995-09-14 1997-03-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uctured index optics and ophthalmic lenses for vision correction
TW429327B (en) * 1997-10-21 2001-04-11 Novartis Ag Single mould alignment
GB9906240D0 (en) * 1999-03-19 1999-05-12 Ocular Sciences Limited Lens mould
US6869549B2 (en) * 1999-05-05 2005-03-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MXPA01012579A (es) * 1999-06-11 2002-04-10 Bausch & Lomb Moldes de lente con recubrimientos protectores para la produccion de lentes de contacto y otros productos oftalmicos.
DE60035666T2 (de) * 1999-09-01 2008-05-21 Tomey Corp., Nagoya Verfahren und gerät zum herstellen von kontaktlinsenteilen und dafür benutzte spritzgussform
US6444145B1 (en) * 1999-09-03 2002-09-0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US6866240B2 (en) * 2001-03-27 2005-03-15 Novartis Ag 16-cavity mold clamp fixture
US6997693B2 (en) * 2001-10-19 2006-02-14 Novartis Ag Casting mold half and casting mol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US20040075182A1 (en) * 2002-04-10 2004-04-22 Stephane Gobron Stackable contact lens molds
US6710945B1 (en) * 2002-06-03 2004-03-23 Amkor Technology, Inc. Injection molded lens-barrel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lens-barrel and mount assemblies
AU2003282671B8 (en) * 2002-10-28 2010-05-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ithographic method for forming mold inserts and molds
US20040099971A1 (en) * 2002-11-25 2004-05-27 Technology Resource International Corporation Lens mold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103639A1 (en) * 2003-07-11 2007-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ld for producing an optical surface, a method of producing a contact lens and a device for use with these methods
JP2005138416A (ja) * 2003-11-06 2005-06-02 Kuraray Medical Inc コンタクトレンズ用の成形型
EP1702232A1 (en) * 2003-11-14 2006-09-20 Ophthonix, Inc. System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US20050104240A1 (en) * 2003-11-14 2005-05-19 Jethmalani Jagdish M.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KR200347020Y1 (ko) * 2004-01-14 2004-04-03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EP1732750B1 (en) * 2004-03-24 2008-05-21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US20060071356A1 (en) * 2004-10-04 2006-04-06 Kevin Beebe Method for separating excess material from a lens mold
US20060103037A1 (en) * 2004-11-18 2006-05-18 Kai Su Disposable mold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202367A1 (en) * 2005-03-11 2006-09-14 Knutzen Josef V Multi stage ophthalmic lens demold
US20060145372A1 (en) * 2004-12-30 2006-07-06 Jones Thomas G Optical tool assembly for improved RCW and lens edge formation
US9102110B2 (en) * 2005-08-09 2015-08-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lenses from lens molds
US7320587B2 (en) * 2005-08-09 2008-01-22 Cooper Vision, Inc.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7731873B2 (en) *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FR2893423B1 (fr) * 2005-11-15 2007-12-21 Bnl Eurolens Soc Par Actions S Ebauche d'oculaire avec inser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RU2417959C2 (ru) * 2005-11-30 2011-05-10 Хой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и форм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11134Y1 (ko) * 2005-12-08 2006-03-10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JP2007212771A (ja) 2006-02-09 2007-08-23 Taika:Kk フレネルレンズ、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5196338B2 (ja) * 2006-03-09 2013-05-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部品の成形型、及びその成形方法
JP4756166B2 (ja) * 2006-03-09 2011-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部品の成形型
US7731872B2 (en) * 2006-05-31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US20080246171A1 (en) * 2006-09-27 2008-10-09 Berckmiller Gregory L Chilled injection molding during ophthalmic lens manufacture
US8535043B2 (en) * 2006-10-30 2013-09-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US8318055B2 (en) 2007-08-21 2012-11-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formation of an ophthalmic lens precursor and lens
US8317505B2 (en) 2007-08-21 2012-11-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pparatus for formation of an ophthalmic lens precursor and lens
CN101428477A (zh) * 2007-11-08 2009-05-13 优你康光学股份有限公司 隐形眼镜的成型方法及模具
US8313675B2 (en) * 2009-08-31 2012-11-2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during the manufacture thereof
TWI488730B (zh) * 2011-12-12 2015-06-21 Largan Precision Co Ltd 塑膠光學鏡片及其射出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694A (ko) * 2009-01-30 2011-10-31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과용 렌즈 전구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065A (ko) * 2017-08-25 2019-03-06 한국광기술원 열경화 웨이퍼 공정을 통한 어레이 타입 렌즈 제조 방법
KR102079718B1 (ko) * 2019-10-18 2020-02-20 김지태 컨텍트렌즈 몰드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코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32902A2 (pt) 2017-06-27
JP6162234B2 (ja) 2017-07-12
US20140055744A1 (en) 2014-02-27
US20170146822A1 (en) 2017-05-25
KR102029669B1 (ko) 2019-10-08
RU2630103C2 (ru) 2017-09-05
CN107263894A (zh) 2017-10-20
US20200292847A1 (en) 2020-09-17
JP2015527945A (ja) 2015-09-24
CN104797404B (zh) 2018-04-27
CA2877380A1 (en) 2014-01-03
IN2015DN00379A (ko) 2015-06-12
SG11201408450QA (en) 2015-01-29
AU2013282401A1 (en) 2015-02-19
US9664923B2 (en) 2017-05-30
RU2015102839A (ru) 2016-08-20
WO2014005020A1 (en) 2014-01-03
CN104797404A (zh) 2015-07-22
EP2867004A1 (en) 2015-05-06
IL236322A0 (en) 2015-02-26
HK1210103A1 (en) 2016-04-15
AU2018202806A1 (en) 2018-05-10
AU2013282401B2 (en) 2018-05-10
HK1245726A1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669B1 (ko)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위한 특징부들을 갖는 렌즈 전구체
EP2646788B1 (en) Ophthalmic lens measuring system and method
US1028173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US20140293426A1 (en) Lens with an Extended Range of Focus
KR20140121815A (ko) 가원근 조절을 위한 아포다이즈된 하이브리드 회절-굴절 iol
US10377096B2 (en) Contour form control
AU2015203878A1 (en) Contour form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