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505A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9505A KR20150029505A KR20140004831A KR20140004831A KR20150029505A KR 20150029505 A KR20150029505 A KR 20150029505A KR 20140004831 A KR20140004831 A KR 20140004831A KR 20140004831 A KR20140004831 A KR 20140004831A KR 20150029505 A KR20150029505 A KR 20150029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 end member
- reinforcing bar
- joining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를 이루는 철근의 이음시공 및 철근 케이지간의 이음시공이 용이하도록 접합단부재가 철근에 접합됨으로써 단부가 인접한 철근을 간단히 소켓체결을 통하여 기계식으로 정밀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철근연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를 이루는 철근의 이음시공 및 철근 케이지간의 이음시공이 용이하도록 접합단부재가 철근에 접합됨으로써 단부가 인접한 철근을 간단히 소켓체결을 통하여 기계식으로 정밀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 철근 배근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 있어서 철근의 이음을 위하여 철근의 단부에 접합철근을 부착하거나 나사가공을 통하여 이음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적인 구성에 의하여 철근 및 철근 케이지 간의 이음을 기초로 하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배근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日特許4029342號에 기계식철근이음및철근의장력도입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인접된 철근의 마주보는 단부 각각에 고정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는 각각 순나사와 역나사를 이루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각각 결합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당접되어 상기 커플러를 체결하는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한쪽 단부에 순나사 다른쪽 단부에 역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 이음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철근 이음구는 머리부가 철근 양단부에 접합된 후 상기 양단부에 접합된 머리부에 체결되는 커플러가 턴버클에 의한 결합방법과 유사하게 이음될 철근의 양단부에 모두 나사결합되는 방법이어서 상하측의 철근 케이지의 일련의 주근들의 연결작업시 양중장비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철근 케이지가 매달아 올려진 후 하측으로 내려지면 상측 철근 케이지의 주근들이 전체적으로 하측 철근 케이지의 주근들로 접근되며 커플러에 의한 나사결합방법에 의하여 각각 체결되나, 각각의 주근들의 단부 나사산이 각 시작점과 종료점을 정밀하게 맞추기 어려워 상부의 철근을 반복적으로 들었다가 놓으며 어렵게 강제적인 체결작업이 실시될 수 밖에 없어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각각의 커플러에 대한 개별적인 체결작업은 가능하나 선조립된 철근망인 철근 케이지의 체결시공에 있어서는 나사산의 맞춤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나사결합의 시공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체결될 커플러의 암나사산을 수나사산보다 넓게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플러의 체결된 나사산 사이의 공극이 심하여 커플러에 의한 연결이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플러의 중앙부근 소정개소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 부터 금속재의 5분지1 내지 10분지1의 강도에 그치는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트 충진재를 나사산 사이의 공극에 주입하여 연결강도를 증대시키도록 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 대한민국특허 제10-1014543호에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즉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나의 슬리브 및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일단부가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인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진 제1걸림턱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슬리브 및 내면에 상기 하나의 슬리브의 수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슬리브의 제1걸림턱과 맞대지면서 걸림 작용을 하도록 일단부의 내면에 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소켓 및 상기 두 슬리브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연결구는 철근의 단부에 수나사가공을 반드시 실시한 후 커플러를 통하여 이음이 되는 방법인바 철근의 단부에 수나사가공하는 시공방법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어 일부 선진국에서는 이미 철근단부에 나사를 내어 이음하는 공법에 대하여 규제되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건축물의 고층화 및 내진설계에 따른 고강도 철근에 대한 필연적인 요청으로 종래의 철근이 SD400규격으로부터 점차 강도가 증대되어 SD600 및 더욱 강도가 증대된 SD800규격 까지도 제조 및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 있어서도 SD600급이 이미 상용화된 실정이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의 단부에 스웨이징 나사가공 및 부풀림 나사가공을 행하는 과정에서 단부의 철근조직이 열간 가공시는 열에 의한 철근조직변화 및 소둔처리되는 인접단부의 조직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일어나고 냉간 절삭가공시는 조직의 인성이 저하되며 나사 가공시 절삭에 따른 철근의 섬유조직 절단문제에 따라서 철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직의 강도가 저하된 나사부로 가공되어 불량한 이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초래된다.
또한 냉간 단조가공시에는 철근의 조직단면이 표면부가 강성이 높은반면 중심부에서 강성이 저하되어 냉간 가공처리시에는 외부의 강성조직이 내부로 밀려들어가며 미세한 결정깨짐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또한 나사산 전조가공시 고강도 철근에 의하여 전조 로울러의 마모도가 증대됨으로서 소모공구의 수명이 줄어드는 손실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고강도 철근에 대하여 단부를 용융시켜 융착하는 특수용접방법을 통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법은 고강도 철근과 동일하거나 더욱 고강도인 재질로 부재를 만들어 고강도 철근단부에 순간접합을 통하여 모재재질에 대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이 된다.
나아가 양단부에 동일방향으로 나사가공된 철근의 이음에 대하여 철근 단부에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 형상의 커플러에 동일한 방향의 나사를 내어서 양단부의 철근을 이음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양단부의 철근이음을 위하여 맞대진 상태에서 철근회전을 통하여 시공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존재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철근의 단부에 접합이 가능한 독립된 연결구로서 간이한 구성요소 만으로 일체화된 결합을 통한 철근의 이음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이음될 철근의 단부가 고정된 경우에도 철근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이나 철근을 돌려 나사산을 맞추는 작업이 필요없이 견고한 철근이음을 이루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철근 케이지간의 조립에 있어서 각 철근 케이지의 이음될 주근의 단부가 불균일한 경우 자연스럽게 안내됨으로써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 주근의 단부가 꼭 끼워맞도록 맞대지게 하는데 있다.
또한,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진 후 축방향 압축력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키는데 있다.
또한, 이음될 철근이 선배근된 경우 또는 철근 케이지의 결합에 있어서 너무 멀리 이격되거나 불균일한 철근간의 이격거리에 의하여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맞대어질 수 없는 경우 또는 배근된 철근의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철근이음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가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되는 구성의 철근이음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체결소켓에 의한 체결만으로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이 이음된 상태로부터 초기슬립이 원천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철근이음의 길이조정이 중간접합부재 및 접합단부재간의 결합된구성에 의하여 보다 확정된 범위에서 단부가 상호 이격된 철근의 이음을 가능하게 하거나 시공오차를 흡수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스터드 용접 방식에 의하여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와 제1철근 및 제2철근이 접합됨에 있어서 아크의 발생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철근의 규격이 각각 상이한 경우 및 서로 이종의 철근간의 철근이음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철근의 이음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이음이 가능한 환봉을 비롯한 봉재에 대하여 이음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는,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일측단부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단부는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일측단부로 부터 이격되고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되는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이 포함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상기 제1철근 사이에 중간접합부재가 개재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와 상기 제2철근 사이에 중간접합부재가 개재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제1철근과 제2철근과의 이음길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중간접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상기 제1철근 사이 및 상기 제2접합단부재와 상기 제2철근 사이에는 중간접합부재가 각각 개재되어 제1철근과 제2철근과의 이음길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중간접합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상기 제1철근 사이에 중간접합부재가 개재되어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수용하는 중간접합부재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는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체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는 단부면에서 소정거리까지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와 상기 제2철근 사이에 중간접합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수용하는 중간접합부재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체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는 단부면에서 소정거리까지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중간접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철근 방향 중간접합부재는 일측단부는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수용하는 제1중간접합부재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체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는 단부면에서 소정거리까지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2철근 방향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수용하는 중간접합부재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체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는 단부면에서 소정거리까지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상기 제1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2철근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 내면에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내면에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이 포함되어 제1나사마디형 철근에는 제1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되고 제2나사마디형 철근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관통삽입됨과 함께 제2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된 후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및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이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호밀착지지되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은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부에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 내면에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내면에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이 포함되어 제1철근에는 제1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되고 제2철근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관통삽입 됨과 함께 제2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된 후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및 상기 제1철근의 단부면과 제2철근의 단부면이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호밀착지지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단부면은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가 접합되되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타측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상기 연결부와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소켓은 길이부재이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소켓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가 접합되되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타측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소켓은 길이부재이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소켓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중간접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가 접합되되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타측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소켓은 길이부재이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소켓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가 접합되되 상기 중간접합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는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타측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중간접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소켓은 길이부재이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소켓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됨으로서 중간접합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은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끼워맞는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끼워맞는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단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단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 및 단턱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다단형성되어 상기 체결소켓에 집중되는 인장력에 의한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걸림턱 및 단턱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 또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은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가 각각 봉재의 단부에 접합되는 경우 또는 일측에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타측에 중간접합부재가 각각 봉재의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경우 또는 일측에 상기 제2접합단부재 및 타측에 중간접합부재가 각각 봉재의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경우 또는 봉재의 단부에 나사가공되어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단부를 마주하고 인접한 봉재의 이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상기 연결소켓 내면의 암나사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한 줄 나사 이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의 형태는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1급, 2급, 및 3급 나사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철근과 제1접합단부재의 접합, 제2철근과 제2접합단부재의 접합, 제1철근과 중간접합부재의 접합 및 제2철근과 중간접합부재의 접합은 용접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철근과 제1접합단부재의 접합, 제2철근과 제2접합단부재의 접합, 제1철근과 중간접합부재의 접합 및 제2철근과 중간접합부재의 접합은 마찰용접, 선형마찰용접, 아크 스터드 용접방식, 버트용접, 초음파진동용접, 저항용접, 플라즈마용접, 전자빔용접, 레이저용접, 고주파용접 및 알곤용접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크 스터드 용접방식에 의하는 경우, 상기 제1접합단부재 또는 제2접합단부재의 용접될 단부면의 중앙에 발화팁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는 공구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상기 연결소켓 내면의 암나사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을 보존하는 보호캡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는 제1접합단부재의 형상은 일측단부는 상기 제1철근에 이음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제1철근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횡단면이 원형인 봉재형상이고 타측단부는 상기 일측단부의 봉재형상 보다 폭이 확장되고 확장된 외면에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제2접합단부재의 확장된 봉재형상의 폭에 나사산의 높이를 더한 형상의 폭을 이루어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부근에서 폭이 단차되어 확장된 봉재형상이고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는 제2접합단부재의 형상은 일측단부는 상기 제2철근에 이음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제2철근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횡단면이 원형인 봉재형상이고 타측단부는 상기 일측단부의 봉재형상 보다 폭이 확장되나 상기 체결소켓이 외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소켓의 내면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외면을 둘러 돌출띠형상의 단턱이 형성되어 단턱부근에서 폭이 단차되어 확장된 봉재형상이고 상기 돌출띠형상의 단턱은 제2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부근으로 부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면까지 둘러진 돌출띠형상이 되거나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부근에 폭이 단축되어 둘러진 돌출띠형상을 이루고 상기 체결소켓의 내면은 원통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내면이 원주를 이루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에 외면에서 제2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을 감싸며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소켓 내면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띠형상으로 중심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소켓의 내면에는 제1접합단부재 방향의 단부부근에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제2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및 제1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을 감싸도록 형성된 상기 체결소켓이 제1접합단부재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띠형상의 걸림턱 및 단턱이 상호 밀착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된 확장된 봉재형상의 단부와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확정된 봉재형상의 단부가 마주 지지된 상태로 일체화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는 일체화 체결을 이루는 제1접합단부재, 제2접합단부재 및 체결소켓은 철근의 단부에 접합이 가능한 독립된 연결구로서 간이한 구성요소 만으로도 일체화된 결합을 통한 철근의 이음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음될 철근의 단부가 고정된 경우에도 다른 철근이음방식과 같은 철근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이나 철근을 돌려 나사산을 맞추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시공자는 간단히 체결소켓을 체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견고한 철근이음을 완성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다.
또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 및 상기 형상의 수용부를 통하여 철근 케이지의 선조립된 철근망의 이음될 단부가 불균일한 경우 일시에 접촉된 다수의 주근에 접합된 접합단부재의 단부 형상의 첨단이 하부 다수의 주근 단부에 접합된 접합단부재의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수용부의 소정개소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안내됨으로써 꼭 끼워맞도록 맞대지게 된다.
또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면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진 후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축방향 압축력에 대한 응력분산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음될 철근이 선배근된 경우 또는 철근 케이지의 결합에 있어서 너무 멀리 이격되거나 불균일한 철근간의 이격거리에 의하여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맞대어질 수 없는 경우 또는 배근된 철근의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 중간접합부재를 개재시키고 중간접합부재에 나삽된 제1접합단부재 또는 제2접합단부재를 전후진 되도록 나사회전시키게 되면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꼭 끼워맞게 맞대지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시공오차가 흡수되어 철근이음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중간접합부재 및 제2중간접합부재를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에 관통나삽시켜 체결소켓에 의하여 체결이 완료됨으로서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가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밀착지지된 철근의 이음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결소켓만으로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단부가 맞대기로 맞대어져 밀착지지됨에 의하여 맞대어져 밀착지지된 단부가 밀착지지된 상태로 체결소켓을 통한 체결에 의하여 일체화 연결되므로 철근의 유동이 존재하지 않아 원천적으로 초기슬립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에 연결부 및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게 됨으로써 연결부에 의한 확장된 범위의 이음길이 조정이 가능해져 보다 멀리 이격된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맞대지도록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고 연결부를 통하여 보다 확장된 범위의 철근 길이조정 및 시공오차 흡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합단부재의 용접될 단부면에는 중심에 홈을 형성하여 발화작용을 하여 아크가 착화되도록 하는 발화팁을 접합단부재의 단부면 중앙에 삽설하여 접합단부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아크의 발생이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착화함으로 인하여 중심부로부터의 용융이 일어나 고품질의 융착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철근 및 제2철근 또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규격이 각각 상이한 경우 및 서로 이종의 철근간 철근이음의 방법에 있어서도 단부에 대한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간단한 접합을 통하여 이음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의 이음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이음이 가능한 환봉을 비롯한 봉재에 대하여 제1접합단부재, 제2접합단부재, 중간접합부재가 실시예에 따라 봉재의 단부에도 접합가능함으로서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한 봉재의 이음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가공요홈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복수의 단턱 및 걸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접합단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접합단부재에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요철면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면형상이 다단형상된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에 단부면에 발화팁이 삽설된 상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의 철근이음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의 철근이음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가공요홈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복수의 단턱 및 걸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접합단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접합단부재에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요철면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면형상이 다단형상된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에 단부면에 발화팁이 삽설된 상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의 철근이음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의 철근이음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 단면은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시 나타나는 단면 형상을 의미하고 횡방향 단면은 철근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절개시 나타나는 단면 형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면부호는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편의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른 도면부호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나타난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제1철근(100), 제2철근(110), 제1접합단부재(120), 제2접합단부재(130) 및 체결소켓(140)을 포함한다.
먼저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철근이 구비되되 마주하는 두개의 철근은 각각 제1철근(100) 및 제2철근(110)으로 되고 상기 각각의 철근은 이형철근, 나사마디형 철근 중 각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되는 철근이 된다.
먼저 상기 제1철근(100)의 단부에는 제1접합단부재(120)가 접합되되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는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부재이고 제1철근(100)과 결합되는 단부는 단면적의 폭이 제1철근(100)외면과 이음구조를 이루도록 유사한 폭의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의 이음연결을 위하여 제2접합단부재(130)와 맞대지는 방향의 단부형상은 단면적의 폭이 인장력을 지지하도록 필요에 따라서 단면적의 폭을 조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철근방향 접합면은 단부면이 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정밀전단가공되어 접합면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체결소켓(140) 결합용 수나사부(121)가 구비되는 바 상기 수나사부(121)는 후술하는 체결소켓(140)과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는 체결소켓(140) 결합용 수나사부(121)로서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구간의 범위는 상기 체결소켓(140)에 의한 이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길이와 규격을 이룬다. 상기 나사구간의 범위는 체결될 철근의 횡단면 직경의 폭과 유사한 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는 제1접합단부재(120)의 정밀한 이음을 위하여 나사부에 대하여 다양한 형상 및 등급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맞대지는 제2접합단부재(130)는 제1접합단부재(120)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이고 타측단부는 제2철근(110)의 단부에 접합되며 일측단부의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에 맞대지되 맞대지는 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에 대응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맞대지는 방향의 횡단면 폭과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맞대지는 방향의 횡단면 폭은 외면이 이음구조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체결소켓(140) 결합용 수나사부(121)가 형성된 접합단부재의 폭이 나사산 높이만큼 증가하도록 넓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일측단부로 부터 이격되되 길이방향인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되어 단턱(131)을 이루는 형상이 구비된다. 상기 단턱(131)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바 이음될 철근의 규격이 큰 경우에는 단턱(131)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폭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가 접합될 상기 제2철근(110)의 폭에 상기 단턱(131)의 폭이 더해진 형상을 이루고 단턱(131)이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복수의 단턱(131)의 폭이 모두 더해지게 되며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는 상기 제2철근(110)과 이음구조를 이루도록 유사한 폭을 이루되 단턱(131)형상에 의하여 허리부근에서 단차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가 맞대진 후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의 체결을 위하여 체결소켓(140)의 내면으로 상기 맞대진 단부가 충분히 수용되고 수용된 후 맞대진 단부의 이음이 견고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의 맞대진 단부 형상 외면이 상기 체결소켓(140)의 내면에 밀착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중공형상이되 내면의 폭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외면을 수용하는 폭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접합단부재(130)의 상기 단턱(131)에 걸림된 이후에도 상기 체결소켓(140)에 의하여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맞대진 단부가 수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소켓(14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외면을 모두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의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외면의 체결소켓(140) 결합용 수나사부(12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턱(131)에 걸림될 수 있는 형상인 걸림턱(142)이 내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턱(131)에 걸림된 후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체결소켓(140) 결합용 수나사부(121)에 상기 암나사부가 체결됨으로서 일측은 상기 단턱(131)과 걸림턱(142)의 지지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나사부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단턱(131) 및 걸림턱(142)의 형상이 체결과정에서 용이하게 정교한 걸림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턱(131) 및 걸림턱(142)을 이루는 면은 상기 체결소켓(1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소망각도를 이루도록 실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단턱(131)의 종방향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의 단부면을 축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이에 걸림되는 상기 걸림턱(142)의 형상도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면 체결과정에서 상기 체결소켓(140)이 체결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체결소켓(140)소켓의 걸림턱(142)의 예각으로 이루어진 면에 의한 걸림이 상기 단턱(131) 및 걸림턱(142)을 이루는 면이 직각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고 걸림된 후에도 밀착지지되는 면 영역이 증대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소켓(140)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가 상기 제2철근(110)에 대하여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에 선결합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가 상기 제2철근(110)에 접합된 후에 상기 체결소켓(140)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체결되는 과정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가 제2철근(110)에 접합된후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에 맞대지면 상기 체결소켓을 상기 체결소켓(140)의 걸림턱(142)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턱(131)에 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140)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가 상기 체결소켓(140)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을 이루게 된다.
일체화 체결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제2접합단부재(130) 및 체결소켓(140)은 철근의 단부에 접합이 가능한 독립된 연결구로서 간이한 구성요소 만으로도 일체화된 결합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소켓(140)을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소켓(140)의 걸림턱(142)이 상기 단턱(131)에 완전밀착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를 견인하며 이동하게 되고 상기 걸림턱(142) 및 단턱(131)에 의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가 강하게 마주견인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형상간에 상호완전밀착이 발생하고 상기 체결소켓(140)을 더욱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의 압박체결이 완성된다.
즉 이음될 철근의 단부가 고정된 경우에도 다른 철근이음과 같은 철근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이나 철근을 돌려 나사산을 맞추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시공자는 간단히 상기 체결소켓(140)을 체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견고한 철근이음을 완성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제2접합단부재(130) 및 체결소켓(1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140)과 나사결합되어 일체화되되 상기 접합단부재가 두 개로 분리되어서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와 제2접합단부재(130)를 두 철근에 각각 접합시켜 일체화 한 후 상기 체결소켓(140)으로 상기 두 접합단부재를 나사 체결하여 두 철근을 이음하는 구성을 이룬다.
먼저 제1접합단부재(120)는 형상이 제1철근(100)의 형상과 폭이 동일 또는 유사하여 이음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일측의 단부방향 형상이 횡단면이 원형인 봉재형상이고 타측의 단부방향 형상은 단부방향 형상의 폭이 확장되어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방향 폭에 유사하게 형성되어 약간 폭이 큰 봉재형상이되 확장된 부분에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121)가 형성되는바 이로 인하여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방향 형상의 폭에 나사산의 높이를 더한 형상의 폭을 가지게 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부근에서 폭이 단차되어 확장된 봉재형상이 된다.
즉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의 폭은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방향 폭보다는 상기 체결소켓(140)에 결합될 나사산의 높이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접합단부재(120)는 제2철근(110)방향을 향하는 단부부근에서 단차구조를 이루는 봉재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구조로 인하여 제1철근(100)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의 봉재형상으로 길이방향의 외면에 제2철근(110) 방향을 향하는 단부 부근에서 폭이 층상으로 단차되어 확장되는 형상의 봉재형상이 된다. 층상으로 확장되는 형상은 예각, 직각, 둔각 및 테이퍼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확장형상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이든 폭이 확장되는 구조는 모두 포함된다.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 또한 제2철근(110)의 형상과 폭이 동일 또는 유사하여 이음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어 일측의 단부방향 형상이 봉재형상이고 타측의 단부방향 형상은 약간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이되 상기 체결소켓(140)이 외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소켓(140) 내면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유동되는 상기 체결소켓(140)의 걸림턱(142)이 걸림되는 돌출띠형상의 단턱(131)이 형성되어 단차구조의 봉재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구조로 인하여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이루도록 제1철근(100) 방향을 향하는 단부 부근에서 폭이 층상으로 단차되어 확장되는 형상이 된다. 층상으로 확장되는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든 폭이 확장되는 구조는 모두 포함된다.
상기 돌출띠형상의 단턱(131)은 제2접합단부재(13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부근으로 부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면까지 둘러진 돌출띠형상이 되거나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부근에 폭이 단축되어 둘러진 돌출띠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단턱(131)이 폭이 좁도록 단축되어 둘러진 돌출띠형상을 이룰 경우에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턱(131)이 끝나는 지점 이후의 형상은 봉재형상이되 그 폭이 단턱(131)이 시작되기 전의 봉재형상의 폭과 동일하거나 미량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소켓(140)의 내면은 원통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내면이 원주를 이루며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외면에서 유동되거나 나사체결을 위하여 회전방향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봉재형상인 접합단부재의 폭을 감싸서 유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턱(131)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소켓(140) 내면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141)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띠형상으로 중심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걸림턱(142)이 구비된다. 상기 단턱(131)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외면에서 돌출띠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142)은 상기 체결소켓(140)의 내면에서 돌출띠형상을 이룬다.
상기 체결소켓(140)의 내면은 길이방향을 축으로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원주를 이루며 또한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141)가 형성되므로 체결소켓(140)의 내부로 제2접합단부재(13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이 감싸지고 제1접합단부재(120) 방향으로 더욱 돌출되는 단부의 내면에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141)가 형성됨으로써 제2접합단부재(13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 및 제1접합단부재(12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이 상호 맞대지도록 하는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체결소켓(140)이 제1접합단부재(120)의 폭이 확장된 봉재형상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121)에 나사체결됨을 가능하게 하고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띠형상의 걸림턱(142) 및 단턱(131)이 강하게 상호 밀착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121)가 형성된 확장된 봉재형상의 단부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확정된 봉재형상의 단부가 마주 지지된 상태로 일체화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10을 참조하면, 이음될 철근의 규격에 따라서 단부에 발생하는 인장력은 상기 체결소켓과 제1접합단부재의 나사결합구조 및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과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의 밀착지지된 구성으로 버팀되므로 상기 걸림턱(170)과 단턱(171)을 복수로 다단형성하게 되면 순차 상호밀착지지된 복수의 단턱(171)으로 각각 인장력이 분산되어 안정된 버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131) 및 걸림턱(142)이 체결될 철근의 인장강도를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단턱(131) 및 걸림턱(142)의 단면적은 접합될 철근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접합될 철근의 단면적에 준하여 철근의 강도에 따라 미량 가감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가 맞대지는 단부의 형상은 매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먼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이고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형상이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끼워맞는 수용부인 경우가 가능하다. 즉 제1접합단부재(120)로부터 단부가 돌출되되 상기 돌출되는 단부는 돌출되는 형상의 특징에 따라서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맞대지는 작용이 기술적으로 간이한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맞대지는 작용은 단일한 철근과 철근의 결합에서 뿐만 아니라 철근 케이지의 결합작업에 있어서 철근 케이지를 이루는 일련의 주근들이 하측에 배치된 철근 케이지의 주근과 원활한 결합을 이루게 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형상을 제1접합단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제1접합단부재(120) 방향으로 양각형성되어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음각형성 되어 수용부를 이루도록 제2철근(110)방향으로 형성하면 상기 돌출부에 꼭 끼워맞는 수용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는 반드시 제1접합단부재(12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제2접합단부재(130)에 돌출부(132)가 구비되고 반대로 제1접합단부재(120)에 상기 돌출부의 수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돌출되는 방향과 수용되는 방향의 형성은 철근이음의 위치와 조건에 따라서 상호 맞바꾸어 선택적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은 예를 들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810), 원뿔대(820), 원추(830),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840),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850),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860)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먼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810) 형상은 단부형상의 종단면이 제2철근(110) 방향으로 원뿔(810)의 첨단이 향해진 형상을 이루되 상기 원뿔(810) 하부원주의 둘레는 상기 제1철근(100)의 단면적에 대하여 다양한 면적비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원주의 둘레가 상기 제1철근(100)의 단면적에 상응하게 형성되면 상기 원뿔(810) 형상의 하부 원주에 이르도록 횡단면적이 증가되고 상기 제1철근(100)의 단면적에 비하여 감소되어 형성되면 횡단면적이 상기 원뿔(810) 형상의 하부 원주에 이르도록 횡단면적이 감소된다.
도18을 참조하면, 상기 원뿔(810) 형상에 의한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는 철근 케이지의 조립에 있어서 철근 케이지의 선조립된 철근망의 이음될 단부가 불균일한 경우 일시에 접촉된 다수의 주근 단부에 접합된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인 상기 원뿔(810) 형상의 첨단이 하부 다수의 주근 단부에 접합된 제2접합단부재(130)의 상기 원뿔(810)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수용부의 소정개소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안내됨으로써 꼭 끼워맞도록 맞대지게 된다.
즉 상측의 철근 케이지를 양중장비로 양중시켜 하측의 철근 케이지와 연결될 철근 케이지 단부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각각의 철근도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조절하면서 상측의 철근 케이지를 서서히 하강시키면 상측 철근망의 철근단부에 접합된 제1접합단부재(120)의 원뿔(810)형상 돌출부가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원뿔(810)형상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맞춰지면서 맞대지게 되고 맞대진 상태에서 각 철근망의 철근에 선결합된 상기 체결소켓(140)을 제1철근(100)방향으로 들어올려 체결함으로써 상측과 하측의 철근 케이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원뿔(810) 형상이 소정개소에서 횡방향으로 평면절단된 형상인 원뿔대(820)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뿔의 첨단이 둥그스름 하도록 가공되어 첨단에서 둥그스름한 형상을 이루는 원추(810)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원주의 둘레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외경범위 이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진 소망거리로 형성되어 맞대짐을 가능하게 하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로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원기둥 형상의 단부면이 평면인 경우 상기 평면인 단부에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및 요철면이 다시 구비된 형상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은 제1철근(100)방향 하부가 다각형을 이루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 첨단을 이루는 다각형으로부터 형성된 다각뿔, 상기 다각뿔이 소정개소에서 횡방향으로 평면절단된 형상인 다각뿔대(840)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다각뿔의 첨단이 둥그스름 하도록 가공되어 첨단에서 둥그스름한 형상을 이루는 다각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다각형을 이루는 모서리가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외경범위 이내에서 소망거리로 형성되어 맞대짐을 가능하게 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보스로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다각기둥 형상의 단부면이 평면인 경우 상기 평면인 단부에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및 요철면이 다시 구비된 형상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단부형상이 단부간의 맞대짐이 원활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절단구형상을 이루거나 일측의 내경이 확장되어 타원을 이루어 표면곡률이 개소에 따라 상이한 절단타원구형상(850)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절단구형상 및 절단타원구형상(850)은 완전한 구형이나 회전타원체가 소정개소에서 절단된 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을 이루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합단부재의 단부면에 평행 또는 비평행의 면에 의해 절단된 형상으로서 명확한 변 또는 정점을 갖는 경우 또는 명확한 변 또는 정점을 갖지 않고 둥그스름함을 갖는 형상인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에 수직인 평면(860)을 이루어 맞대지는 단면이 평면(860)을 이루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요철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형상에 대하여도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형상을 제1접합단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제1접합단부재(120) 방향으로 형상이 양각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음각형성되어 수용부를 이루도록 제2철근(110)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돌출부에 꼭 끼워맞는 수용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부형상은 반드시 제1접합단부재(12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제2접합단부재(130)에 상기 돌출부(132)형상이 구비되고 반대로 제1접합단부재(120)에 상기 형상의 수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양각형성되는 방향과 수용부를 이루는 음각형성되는 방향의 형성은 철근이음의 위치와 조건에 따라서 맞바꾸어 선택적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형상을 이루는 상기 요철면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삼각형상(910), 사각형상(920),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930),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940) 및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콜게이트 형상(95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먼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910)을 이루어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이에 대하여 제2접합단부재(130)에는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요부가 형성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삼각형상(910)의 요철면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종단면을 보면 삼각형상(910)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된 형상이고 단부면을 바라보았을 때에는 상단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원형상의 철부가 되고 제2접합단부재(130)의 종단면을 보면 동일한 형상이 음각된 형상이고 단부면을 바라보면 상기 원형상의 철부를 수용하는 요부가 된다. 또한 첨단이 라운드처리되면 둥근형상을 이루는 삼각형상의 요철면을 이룬다.
상기 요철면은 삼각형상(910) 뿐만 아니라 사각형상(920)으로 이루어진 요철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사각형상(920)의 요철면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종단면을 보면 사각형상(920)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된 형상이고 단부면을 바라보았을 때에는 상단으로 두개의 모서리가 형성된 원형상의 철부가 되고 제2접합단부재(130)의 종단면을 보면 동일한 형상이 음각된 형상이고 단부면을 바라보면 상기 원형상의 철부를 수용하는 요부가 된다. 또한 첨단이 라운드처리되면 둥근형상을 이루는 사각형상(930)의 요철면을 이룬다.
나아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면을 바라보았을때 단부형상이 다수의 절단구 또는 절단타원구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철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면을 바라보았을 때 열십자 형상(940)을 이루는 돌출부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십자를 이루는 교차된 직선상의 돌출부는 다수개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나열되어 더욱 세밀한 교차형상을 이루거나 상기 열십자 형상(940)이 원형상의 돌출부와 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단부면에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950)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면에는 상기 콜게이트 형상(950)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철면에 있어서도 제1접합단부재(120)에 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2접합단부재(130)에 철부가 형성되고 제1접합단부재(120)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호 맞바꾸어 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요철면의 돌출된 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의 직경과 비례하여 너무 적으면 단부형상간의 맞대지는 과정에서 끼워맞음이 일어나기 어렵고 너무 크게 되면 실시예에 따라서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이음시공시 간섭되거나 변형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형상을 이루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의 단부형상에 대하여 상기의 어느 하나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밀교합을 가능케 하는 상기 형상이 임의로 조합된 형상까지도 용이하게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제2접합단부재(130) 및 체결소켓은 각각 개별 구성요소로서 특히 제1접합단부재(120) 및 2접합단부재는 각각 1피스로된 독립된 부재이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각각 1피스인 3개부품이 1개조를 이루어 철근이음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철근(200), 제1철근(210), 제1접합단부재(220), 제2접합단부재(230), 체결소켓(240), 중간접합부재(250) 및 로크너트체(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할 경우 선배근되어 이미 유동될 수 없는 철근의 이음은 양단부에 조정이 가능한 여유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의 단부가 맞대질 수 없는 경우에는 체결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와 철근 사이 또는 제2접합단부재(230)와 철근 사이에 중간접합부재(250)를 개재시키거나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와의 사이에 중간접합부재(250)를 개재시켜 제1철근(200)과 제1철근(210)과의 이음길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먼저 예를들어 상기 중간접합부재(250)가 제1철근(200)과 제1접합단부재(22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중간접합부재(250)는 길이부재이되 일측단부는 제1철근(200)의 단부에 접합되고 일측단부로 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중에는 중간접합부재(250) 결합용 수나사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는 상기 중간접합부재(250)를 수용하는 수용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21)의 내면에는 중간접합부재(250) 결합용 암나사부(2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합부재가 상기 중간접합부재(250)의 나삽된 후 결합된 위치의 정밀한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음될 철근이 선배근된 경우 또는 철근 케이지의 결합에 있어서 너무 멀리 이격되거나 불균일한 철근간의 이격거리에 의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의 단부형상이 맞대어질 수 없는 경우 또는 배근된 철근의 시공오차가 발생하여 이를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접합부재(250)에 나삽된 제1접합단부재(220)를 전후진 되도록 나사회전시켜 제2접합단부재(230)의 단부에 꼭 끼워맞게 맞대지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치조정이 완료된 후 체결소켓(240)결합까지 완료되면 로크너트체(260)를 조임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로크너트체(260)는 조임에 의한 위치고정을 위하여 중간접합부재(250)에 선삽입된 후 제1접합단부재(220)가 나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9를 참조하면, 예를들어 선조립 철근망인 상측 철근 케이지가 하측 철근 케이지에 대하여 체결될 경우 양중장비에 의하여 제1접합단부재(220)가 단부에 접합된 주근으로 구성된 상측 철근 케이지가 하측 철근 케이지와 단부를 맞추어 내려지고 먼저 양단부가 끼워맞게 맞대진 철근에 대하여 상기 체결소켓(240)을 들어올려 체결하고 나서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의 단부간의 이격이 발생한 철근에 대하여 상기 중간접합부재(250)를 전후진 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의 단부형상이 맞대지도록 조정한 후에 상기 체결소켓(240)을 들어올려 나머지 철근들을 일체화 체결하고 상기 로크너트체(260)로 잠금하여 상측 및 하측 철근 케이지간의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 로크너트체(260)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어 상용하는 너트와 같이 육각형을 이루거나 육각이상의 다각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접합부재(250)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의 단부는 단부면으로 부터 소정거리까지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마주하는 한쌍 또는 복수쌍의 평면인 파지면이 구비되는 형상 중 선택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로크너트의 조임시 제1접합단부재(220)를 보다 견고하게 공구파지 할 수 있어 상기 로크너트의 조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로크너트체(260)가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에 밀착되도록 체결함으로 인하여 인장시 철근의 초기슬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육각이상의 다각형을 이루어 공구파지가 용이하고 육각형보다 횡단면적이 증대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접합부재(250)는 제2접합단부재(230)와 제1철근(210)간에 개입되거나 상기 제1접합단부재(220) 및 제2접합단부재(230) 방향 양측에 모두 구비되어 철근의 이격거리에 알맞은 이음길이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접합부재(250)가 양측에 구비된 경우에는 더 확장된 이음길이 범위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소켓(24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 제2나사마디형 철근(320), 제1접합단부재(330), 제2접합단부재(350) 및 체결소켓(3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와 철근의 접합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접합될 철근이 나사마디형 철근인 경우에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에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나사형상을 수용하는 암나사부(332)가 구비되어 나사마디형 철근과 제1접합단부재(330)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서 제1접합단부재(330)에 수용홈(331) 및 상기 수용홈(331) 내면에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320)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32)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나사마디형 철근의 이음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종래 공지된 나사마디형 철근에 대한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에 따르면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이 체결되도록 슬리브의 내면에 나사마디형 철근의 나사마디가 결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슬리브의 단부형상은 하나의 슬리브의 축 방향의 일단부가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테이퍼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슬리브의 축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테이퍼돌기부가 꼭 맞게 끼워지는 깔때기 형태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테이퍼요홈부를 이루므로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테이퍼돌기부의 형상이 아닌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331),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360)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루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형상이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331),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과 상기 체결소켓(34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제1철근(410), 제2철근(420), 제1접합단부재(430), 제2접합단부재(440) 및 체결소켓(4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철근(410) 및 제2철근(420)은 나사방식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411, 421)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430)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31)에는 상기 제1철근(41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41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32)가 형성된다. 이로서 제1접합단부재(430)에 수용홈(431) 및 상기 수용홈(431) 내면에 암나사부(432)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단부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되는 철근의 이음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종래 공지된 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철근에 대한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에 따르면 제1철근과 제2철근이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나사체결되도록 슬리브의 내면에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결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슬리브의 단부형상은 하나의 슬리브의 축 방향의 일단부가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테이퍼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슬리브의 축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테이퍼돌기부가 꼭 맞게 끼워지는 깔때기 형태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테이퍼요홈부를 이루므로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테이퍼돌기부의 형상이 아닌 상기 제1접합단부재(43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433),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460)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루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형상이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과 상기 체결소켓(4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 제1접합단부재(530), 제2접합단부재(540) 및 체결소켓(550)을 포함하되 제1접합단부재(530) 및 제2접합단부재(540)의 세부적인 구성이 제2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가진다.
즉 내면에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 1나사마디형 철근이 제1접합단부재(530)를 관통하여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면에는 체결소켓(550) 결합용 수나사부(5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이에 마주보는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에 있어서는 내면에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53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이 제2접합단부재(540)를 관통하여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여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밀착지지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540)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530)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530)의 체결소켓(550) 결합용 수나사부(53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550) 결합용 암나사부(5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540)의 단턱에 걸림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550)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540)로부터 제1접합단부재(530)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체결이 가능해진다.
상기 체결과정은 먼저 상기 1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에 제1접합단부재(530)가 관통나삽되고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에 미리 관통삽입 됨과 함께 상기 제2접합단부재(540)가 관통나삽된다. 이로써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돌출된 단부가 상호 밀착지지 가능하게 된다.
그 후 관통삽입된 상기 체결소켓(550)을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체결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체결소켓(550)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540)의 단턱에 밀착지지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면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면이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530)와 제2접합단부재(540)가 상기 체결소켓(550)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이 기계적으로 이음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서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가 상호밀착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밀착지지된 철근의 이음이 가능해진다.
상기 밀착지지되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면은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 형상은 제1실시예의 제1접합단부재(530) 및 제2접합단부재(540)의 단부 형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511),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560)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되, 다만 선택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에 대하여 가능한 가공형상은 회전운동을 통한 가공방법으로부터 절삭가능한 형상으로 되며 원뿔, 원뿔대, 절단구 및 절단타원구형상 등으로 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와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 형상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 형상이 맞바꾸어 실시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가 원뿔이나 원뿔대 형상을 이루도록하고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가 상기 형상의 수용부를 이루어 꼭 끼워맞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의 단부면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530)의 단부면적 보다 협소한 공간이 되므로 상기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상기 단부의 형상은 가공이 용이하고 수용부와의 맞대짐이 용이한 형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면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체결소켓(5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는 제1철근(610), 제2철근(620), 제1접합단부재(630), 제2접합단부재(640) 및 체결소켓(650)을 포함하되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이 제5실시예와 달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 된다.
즉 내면에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 1철근이 제1접합단부재(630)를 관통하여 제2철근(62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면에는 체결소켓(650) 결합용 수나사부(6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이에 마주보는 제2철근(620)에 있어서는 내면에 상기 제2철근(6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63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철근(620)이 제2접합단부재(640)를 관통하여 제1철근(61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여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밀착지지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640)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630)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630)의 체결소켓(650) 결합용 수나사부(63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650) 결합용 암나사부(5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640)의 단턱에 걸림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650)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640)로부터 제1접합단부재(630)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체결이 가능해진다.
상기 체결과정은 먼저 상기 제1철근(610)에 제1접합단부재(630)가 관통나삽되고 상기 제2철근(620)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2철근(620)에 미리 관통삽입 됨과 함께 상기 제2접합단부재(640)가 관통나삽된다. 이로써 상기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돌출된 단부가 상호 맞대기로 밀착지지 가능하게 된다.
그 후 관통삽입된 상기 체결소켓(650)을 제1철근(610)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체결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체결소켓(650)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640)의 단턱에 밀착지지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면과 제2철근(620)의 단부면이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630)와 제2접합단부재(640)가 상기 체결소켓(650)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610)과 제2철근(620)이 기계적으로 이음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서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1철근(610)과 제2철근(620)의 단부가 상호밀착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밀착지지된 철근의 이음이 가능해진다.
상기 밀착지지되는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단부면은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단부 형상은 제1실시예의 제1접합단부재(630) 및 제2접합단부재(640)의 단부 형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511),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560)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되, 다만 선택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단부에 대하여 가능한 가공형상은 회전운동을 통한 가공방법으로부터 절삭가능한 형상으로 되며 원뿔, 원뿔대, 절단구 및 절단타원구형상 등으로 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철근(620)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와 제1철근(610)의 단부 형상과 제2철근(620)의 단부 형상이 맞바꾸어 실시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철근(610)의 단부가 원뿔이나 원뿔대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제2철근(620)의 단부가 상기 형상의 수용부를 이루어 꼭 끼워맞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철근(610)의 단부면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630)의 단부면적 보다 협소한 공간이 되므로 상기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상기 단부의 형상은 가공이 용이하고 수용부와의 맞대짐이 용이한 형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면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체결소켓(6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는 철근이음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바람직한 구성이며 또한 로크너트체로 이음된 부분이 조임될 필요가 없어 로크너트체가 불필요하고 상기 체결소켓(650)만으로 상기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단부가 맞대어져 밀착지지됨에 의하여 철근이 이음된 상태로부터 초기슬립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맞대어져 밀착지지된 단부가 밀착지지된 상태로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연결되므로 철근의 유동이 존재하지 않아 원천적으로 초기슬립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는 제1철근(710), 제2철근(720), 제1접합단부재(730), 제2접합단부재(740), 중간접합부재(760), 체결소켓(750) 및 연결소켓(770)을 포함하되 제1접합단부재(730) 및 제2접합단부재(740)의 세부적인 구성이 제2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가진다.
상기 중간접합부재(760)는 상기 제1철근(710)과 제1접합단부재(730) 사이 또는 상기 제2철근(720)과 제2접합단부재(740) 사이 중 어느 하나만에 개재되거나 양측에 모두 개재될 수 있다.
먼저 예를들어, 제2철근(720)과 제2접합단부재(740) 사이에 상기 중간접합부재(760)가 개재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제2철근(720)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접합부재(760)가 접합되되 접합되는 상기 중간접합부재(760)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에 이르는 소정구간 중에 중간접합부재(760)와 연결소켓(770)의 나사결합을 위한 중간접합부재(760) 결합용 수나사부(761)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접합부재(760)에 대응하여 그리고 연결소켓(770)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730)의 타측단부에는 타측단부로부터 소정구간 연결부(741)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741)의 구간에는 상기 연결소켓(77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연결소켓(770) 결합용 수나사부(74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761, 742)가 각각 형성된 제1접합단부재(730)와 상기 중간접합부재(760)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741)와 상기 중간접합부재(760)를 연결하는 연결소켓(77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소켓(770)은 길이부재이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어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소켓(770)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소켓(770) 결합용 수나사부(742) 및 중간접합부재(760) 결합용 수나사부(76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77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770)을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접합부재(760)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제7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처럼 중간접합부재(760)가 개재되는 구성이나 상기 제2실시예는 중간접합부재(760)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730)와 제2접합단부재(740)에 수용홈 및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7실시예는 이와 달리 제1접합단부재(730)와 제2접합단부재(740)에 연결부(741) 및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합단부재(730)와 제2접합단부재(74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741) 및 상기 연결부(741)에 연결소켓(770) 결합용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게 됨으로써 제2실시예를 통한 이음길이조절보다 멀리 이격된 범위에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730) 및 제2접합단부재(740)의 단부형상이 맞대지도록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고 상기 연결부(741)를 통하여 보다 확장된 범위의 철근 길이조정 및 시공오차 흡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밀착지지되는 제1접합단부재(730) 및 제2접합단부재(740)의 단부형상은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가 가능하며 제1실시예의 제1접합단부재(730) 및 제2접합단부재(740)의 단부 형상에 대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체결소켓(7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 각 실시예의 제1철근(100, 200, 710)과 제1접합단부재(120, 220, 730)의 접합, 제2철근(110, 210, 720)과 제2접합단부재(130, 230, 740)의 접합, 제1철근(200, 710)과 중간접합부재(250, 760)의 접합 및 제2철근(210, 720)과 중간접합부재(250, 760)의 접합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용접에 의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마찰용접, 선형마찰용접, 아크 스터드 용접방식, 버트용접, 초음파진동용접, 저항용접, 플라즈마 용접, 전자빔 용접, 레이저 용접, 고주파용접 및 알곤용접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접합되는 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철근과 제1접합단부재의 접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마찰용접은 두 금속재료를 마찰용접기에 클램핑하여 한쪽은 고정시키고 다른 한 쪽을 2,000rpm 전ㆍ후의 고속으로 마찰회전시키면 그 마찰면에 발생되는 600℃ ~ 1,200℃ 내외의 고열로 인해 단부의 접합이 가능해지며, 이때 순간적으로 회전을 급정지하면서 강한 압력으로 가압시켜 두 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제1철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제1접합단부재를 고속회전시켜 접합될 단부를 제1철근의 단부와 마찰(friction)되도록 밀착시켜 회전시키고 고열로 인하여 단부가 접합가능하게 되면 상기 제1접합단부재를 제1철근방향으로 가압하여 접합을 시키게 된다. 실제 접합에 있어서는 상기 접합될 단부를 미리 가열하여 고열 상태의 도달이 쉽게 일어나게 하며 고열상태를 유도 과정에서도 제1접합단부재의 가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접합을 유도한다.
선형마찰용접은 접합하고자 하는 두 소재를 직선으로 왕복 운동 시켜 접합하는 방법이며 이는 마찰 용접에 있어서 접촉 단면이 어느 한쪽은 반드시 원형이어야 한다는 점을 극복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접합단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에 제1철근과의 접합에 있어서 용이한 마찰 접합방법이 된다.
상기 마찰용접 및 선형마찰용접은 고상접합으로서 접합에 필요한 에너지를 기계적 방식으로 얻게 된다.
다음으로, 아크 스터드 용접방식은 부재인 스터드볼트 또는 환봉 등의 선단과 모재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착부위가 용융되면 가압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서, 아크 타입과 콘덴서 타입(C.D Type)이 사용된다. 아크 타입은 주로 6 상제어의 전원 공급원에 의하여 볼트 또는 핀용접에 용이하며 콘덴서 타입은 주로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에 의한 단상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핀 용접이 이루어진다. 실제 접합에 있어서는 음극에 모재를 접지 시키고, 양극에 와이어(wire)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용접을 수행한다. 즉 스터드부재를 갈음하여 제1접합단부재에 스터드와 같이 음극을 접지시키고 제1철근에 양극을 접지하여 스터드 용접기로부터의 용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받아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를 제1철근의 단부에 접촉한후 용접기로부터의 용접전류가 통전된 상태에서 제1접합단부재를 미량이격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고 고열의 아크에 의하여 용융이 일어나면 다시 제1접합단부재를 가압하여 용융부위의 융착이 일어나게 한다.
도17을 참조하면, 여기서 상기 아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용접될 단부면에는 중심에 홈을 형성하여 발화작용을 하여 아크가 착화되도록 하는 발화팁(970)이 삽설될 수 있다. 상기 발화팁(970)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면 중앙에 삽설되어 상기 접합단부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아크의 발생을 원활하게 하여 고품질의 융착면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즉 접합단부재의 용접될 단부면의 중심에 홈을 형성하여 발화작용을 하여 아크가 착화되도록 하는 발화팁(970)을 접합단부재의 단부면 중앙에 삽설하게 되면 접합단부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아크의 발생이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착화함으로 인하여 중심부로부터의 용융이 일어나 접합됨으로써 고품질의 융착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착될 단부면을 둘러 세라믹재 페룰을 설치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트용접, 초음파진동용접, 저항용접, 플라즈마용접, 전자빔용접, 레이저용접, 고주파용접 및 알곤용접에 의한 제1접합단부재 및 제1철근의 접합은 두 모재에 대한 용접이음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구성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한 용접방법 중 어떠한 용접방법을 선택할 경우에도 용접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면 및 제1철근의 단부면을 비롯하여 접합될 단부면은 톱공구 및 전단가공이 용이한 가공공구를 이용하여 정밀절단가공하거나 절단된 단부면에 대하여 절삭가공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접합시 접합면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될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 즉 제1철근(100, 200, 410, 610, 710) 및 제2철근(110, 210, 420, 620, 720) 또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 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320, 520)의 규격이 각각 상이한 경우 및 서로 이종의 철근간 결합의 방법에 있어서도 단부에 대한 제1접합단부재(120, 220, 330, 430, 530, 630, 730) 및 제2접합단부재(130, 230, 350, 440, 540, 640, 740)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접합을 이루고 체결소켓(141, 751)을 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다종의 철근에 대한 이음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철근의 이음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이음이 가능한 환봉을 비롯한 봉재에 대하여 제1접합단부재(120, 220, 730), 제2접합단부재(130, 230, 740), 중간접합부재(250, 760)가 실시예에 따라 환봉을 비롯한 봉재의 단부에도 접합가능함으로서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한 봉재의 이음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예를들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및 제2접합단부재(130)가 봉재의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경우로 되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상기 제2접합단부재(230) 및 타측의 상기 중간접합부재(250)가 봉재의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경우로 되고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430) 및 제2접합단부재(440)에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봉재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경우로 되고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상기 제1접합단부재(730) 및 타측의 상기 중간접합부재(760)가 봉재의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경우로 되면 단부를 마주하고 인접한 봉재의 이음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제3 내지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 및 제2접합단부재(350)와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320)이 각각 나사결합되거나, 제1접합단부재(430) 및 제2접합단부재(440)와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철근(410) 및 제2철근(420)이 각각 나사결합되거나 제1접합단부재(530) 및 제2접합단부재(540)와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이 각각 관통나삽되어 결합되거나 제1접합단부재(630) 및 제2접합단부재(640)와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이 나사결합될 경우 체결공구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1접합단부재(330, 430, 530, 630) 및 제2접합단부재(350, 440, 540, 640)의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것에서 나아가 단부면으로부터 소정구간 또는 전체에 걸쳐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거나, 한쌍 또는 복수쌍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 평행면을 이루는 파지면이 구비되거나, 소정구간 또는 전체에 걸쳐 널링가공되거나 스플라인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과의 나사결합시 공구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의 횡단면을 다각으로 형성하거나 한쌍 이상의 파지면이 구비되도록 할 경우 제1나사마디형 철근(310) 방향으로 향해진 단부면으로 부터 약 10mm 내지 15mm 정도 또는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최초로 시작되는 지점까지만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거나 한쌍 이상의 파지면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410)과의 나사결합시 공구파지가 용이하도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430)의 횡단면을 다각으로 형성할 경우 제1철근(410) 방향으로 향해진 단부면으로 부터 약 10mm 내지 15mm 정도 또는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최초로 시작되는 지점까지만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거나 한쌍 이상의 파지면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합단부재(350, 440, 540, 640)의 외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제2접합단부재(350, 440, 540, 640)의 횡단면형상은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 또는 단턱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제1철근 방향으로의 소정거리 예를들어 약 10mm 내지 15mm 정도 이내의 구간은 원형인 횡단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이에 대한 단턱의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어 밀착대응될 경우에 체결조임시의 밀착지지면적이 가장 증대된 실시예가 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걸림턱의 형상에 대하여 밀착지지되는 단면적이 다각형을 이루는 실시예보다 증대되도록 하여 압박체결시에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체결소켓의 체결시의 원활한 체결소켓의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및 제7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소켓(770)은 외면이 스플라인가공, 널링가공, 원형 또는 다각형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또는 복수쌍의 대향하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공구파지나 체결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쌍 또는 복수쌍의 대향하는 파지면은 조임시의 공구의 용이한 사용을 위한 평행면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또는 연결소켓(770) 외면의 소망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의 경우 스플라인가공 및 널링가공은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의 외면 전체 또는 제1철근 방향으로 향해진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의 단부면으로 부터 시작되어 소정거리 예를들어 약 10mm 내지 15mm 정도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형 횡단면 형상 및 한쌍 이상의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외면 전체 또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구간의 외면에 대응하는 제2철근 방향으로 향해진 상기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단부면으로 부터 소정거리 예를들어 약 10mm 내지 15mm 정도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121, 531, 631, 731) 및 암나사부(141, 541, 641, 751),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251, 761) 및 암나사부(222)와 상기 로크너트체(260)의 나사,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742)와 상기 연결소켓의 내면의 암나사부(771)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나사산의 형성은 풀림방지 및 신속한 체결을 위하여 한줄 나사 이상의 나사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세줄 나사는 인장시 풀림될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두줄 나사까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의 형태는 단면형상이 체결에 가장 용이한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정밀급인 1급으로부터, 중급인 2급 및 거친급인 3급까지 선택하여 실시하되 종래에는 1급나사로 커플러를 형성할 경우 조임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2급 및 3급 나사로 실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소켓체결방식은 나사산의 나사체결에 용이하도록 형성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하여 1급 나사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나사의 방향은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중 체결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220, 330, 430, 530, 630, 730), 상기 제2접합단부재(130, 230, 350, 440, 540, 640, 740) 및 중간접합부재(250, 760)의 제조방법은 주조, 단조, 절삭가공, 3차원 프린팅 조형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주조 및 단조의 방법은 금속소재로 부터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구성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절삭가공은 예를 들어, 선반가공에 있어서 바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수용부를 절삭가공하여 제조함에 있어 공구인 바이트의 간섭으로 인하여 원뿔형상를 비롯하여 첨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수용부 형상인 경우 가공이 곤란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요설되는 홈을 마련하여 가공요홈(975)으로 부터 공구의 간섭을 회피하며 절삭가공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프린팅 조형방법은 입체조형물의 3차원 단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소재를 단면 적층해 나가면서 입체조형물의 조형을 완성하는 방법으로 3DP(Three Dimensional Printing)시스템과, SLS(Selective Laser Sintering)시스템 및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시스템을 통한 조형방법을 포함하여 20여가지의 조형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히 SLS시스템에서는 폴리머 바인더가 표면에 얇게 코팅되어있는 특수한 금속분말을 사용하는바 현재 400계스테인리스 및 300계 스테인리스 분말이 있으며 도포된 금속분말에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코팅된 폴리머 바인더를 녹여 분말을 고착시키고 소결열처리 후 브론즈 금속을 용융시켜 제품 내부로 침투 시키는 과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접합단부재, 제2접합단부재 및 중간접합부재 또한 금속재료를 이용한 3D 프린팅 조형방법을 통하여 제조가능하다.
상기한 제1접합단부재(120, 220, 330, 430, 530, 630, 730), 제2접합단부재(130, 230, 350, 440, 540, 640, 740),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및 중간접합부재(250, 76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220, 330, 430, 530, 630, 730), 제2접합단부재(130, 230, 350, 440, 540, 640, 740), 체결소켓(140, 240, 340, 450, 550, 650, 750) 및 중간접합부재(250, 76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후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2 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원뿔(810), 원뿔대(820), 원추(830),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840),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850)을 이루는 단부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형상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면 상기 제1접합단부재(120, 220, 730) 및 제2접합단부재(130, 230, 740)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진 후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축방향 압축력에 대한 응력분산의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제3 내지 제4실시예에 있어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840),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850)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제6실시예에 있어서 제1철근(610)의 단부형상과 제2철근(620)의 단부형상이 원뿔(810), 원뿔대(820), 원추(830),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840),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850)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형상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면 상기 제1접합단부재(330, 430) 및 제2접합단부재(350, 440)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지거나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510)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520)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지거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철근(610) 및 제2철근(620)의 단부가 맞대져 끼워진 후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축방향 압축력에 대한 응력분산의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복수의 다단을 이루는 각각의 다단은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어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에 대한 종단면이 선택된 실시예의 형상에 따라서 각각의 다단이 층상으로 연속되며 전체적으로 소정각도로 구배진 형상을 이루거나, 예를 들어, 각각의 다단이 직각 및 둔각으로 이루어진 다단으로 순차연속된 층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 공사현장으로 자재가 이동되거나 공사현장에서의 자재수급 및 관리과정에서 외부에 보호수단없이 노출된 나사산은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하여 부식되고 충격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나사산이 함몰 및 훼손되고 이에 따라 시공작업시 나사산의 불균일로 인하여 체결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시공현장에 따라서는 자재가 야적됨으로 인하여 나사산이 외부에 직접노출되어 녹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7실시예의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제2 및 제7실시예의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제3실시예의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제4실시예의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제5실시예의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제6실시예의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제7실시예의 상기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및 상기 연결소켓 내면의 암나사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의 나사산을 보존하는 보호캡이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수나사부에 대하여는 열에 의해 수축작용하는 수축부재를 상기 각 실시예의 수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두른 후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 상기 수나사부에 수축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한 부식과 충격에 의한 나사산의 훼손에서 보호되도록 하거나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인 부재를 상기 수나사부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하거나 상기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인 부재의 내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각 실시예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캡부재를 씌우거나, 절연테이프가 둘러져 접착됨으로서 보호캡을 이룰 수 있다. 암나사부에 대하여는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된 캡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에 상기 보스가 억지끼워맞춤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스의 외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캡부재를 씌워 암나사부의 외부접촉을 최소화하여 먼지침투를 막고 방청효과를 가지도록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의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410, 610, 710 : 제1철근
110, 210, 420, 620, 720 : 제2철근
310, 510 : 제1나사마디형 철근 320, 520 : 제2나사마디형 철근
120, 220, 330, 430, 530, 630, 730 : 제1접합단부재
121, 531, 631, 731 :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221 : 중간접합부재 수용홈 222 :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
332, 432, 671, 771 : 암나사부 331, 431 : 수용홈
331, 433 : 절단구형상 411, 421 : 수나사부
532, 541 : 나사마디용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
632, 641 :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130, 230, 350, 440, 540, 640, 740 : 제2접합단부재
131, 171 : 단턱
132 : 돌출부 122 : 수용부
511, 611, 810 : 원뿔형상 741 : 연결부
770 : 연결소켓 742 :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820 : 원뿔대 830 : 원추
140, 240, 340, 450, 550, 650, 750 : 체결소켓
142, 170 : 걸림턱 141, 751 :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250, 760 : 중간접합부재
251, 761 :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
260 : 로크너트체 840 : 다각뿔대
850 : 절단타원구형상 360, 460, 560, 660, 860 : 평면
910 : 삼각형상 920 : 사각형상
930 :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940 : 열십자형상 950 : 콜게이트형상
960 : 다단 970 : 발화팁
975 : 가공요홈
980, 981 : 상측 철근 케이지 990, 991 : 하측 철근 케이지
110, 210, 420, 620, 720 : 제2철근
310, 510 : 제1나사마디형 철근 320, 520 : 제2나사마디형 철근
120, 220, 330, 430, 530, 630, 730 : 제1접합단부재
121, 531, 631, 731 :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221 : 중간접합부재 수용홈 222 :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암나사부
332, 432, 671, 771 : 암나사부 331, 431 : 수용홈
331, 433 : 절단구형상 411, 421 : 수나사부
532, 541 : 나사마디용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
632, 641 :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130, 230, 350, 440, 540, 640, 740 : 제2접합단부재
131, 171 : 단턱
132 : 돌출부 122 : 수용부
511, 611, 810 : 원뿔형상 741 : 연결부
770 : 연결소켓 742 : 연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820 : 원뿔대 830 : 원추
140, 240, 340, 450, 550, 650, 750 : 체결소켓
142, 170 : 걸림턱 141, 751 :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250, 760 : 중간접합부재
251, 761 : 중간접합부재 결합용 수나사부
260 : 로크너트체 840 : 다각뿔대
850 : 절단타원구형상 360, 460, 560, 660, 860 : 평면
910 : 삼각형상 920 : 사각형상
930 :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940 : 열십자형상 950 : 콜게이트형상
960 : 다단 970 : 발화팁
975 : 가공요홈
980, 981 : 상측 철근 케이지 990, 991 : 하측 철근 케이지
Claims (12)
-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일측단부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단부는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일측단부로 부터 이격되고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되는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
이 포함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은 나사마디형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일측단부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단부는 제2철근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일측단부로 부터 이격되고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되는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
이 포함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철근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2철근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은 나사 체결되도록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이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는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에 나사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은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
내면에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내면에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
이 포함되어
제1나사마디형 철근에는 제1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되고 제2나사마디형 철근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관통삽입 됨과 함께 제2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된 후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및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이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호밀착지지되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면은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단부에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단부를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
내면에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합단부재;,
내면에 상기 제2철근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이 구비된 제2접합단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외면과 제1접합단부재의 외면을 둘러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접합단부재의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걸림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 중공형상의 체결소켓;
이 포함되어
제1철근에는 제1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되고 제2철근에는 상기 체결소켓의 연장형성된 방향이 제1철근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체결소켓이 관통삽입됨과 함께 제2접합단부재가 관통나삽된 후 상기 체결소켓의 걸림턱이 상기 제2접합단부재의 단턱에 밀착지지 및 상기 제1철근의 단부면과 제2철근의 단부면이 맞대기로 상호밀착지지 되도록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방향을 향해 상기 체결소켓을 전진시키며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접합단부재와 제2접합단부재가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일체화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호밀착지지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단부면은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및 요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고
제1철근의 단부형상이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철근의 단부형상의 수용부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단부형상이 상호 맞바꾸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면은
단부면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이르고 길이방향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라운드된 사각형상,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단부면에 형성된 열십자 형상, 열십자와 원형상이 조합된 형상 및 물결모양으로 굴곡진 콜게이트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된 철부와 상기 철부를 수용하는 형상의 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의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상기 제1나사마디형 철근 및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과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을 이루는 단부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복수의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단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및 단턱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다단형성되어 상기 체결소켓에 집중되는 인장력에 의한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걸림턱 및 단턱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 또는 제1나사마디형 철근과 제2나사마디형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은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가 각각 봉재의 단부에 접합되는 경우
또는
봉재의 단부에 나사가공되어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단부를 마주하고 인접한 봉재의 이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한 줄 나사 이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의 형태는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1급, 2급, 및 3급 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는 공구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수나사부, 상기 체결소켓 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상기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철근결합용 암나사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을 보존하는 보호캡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4831A KR20150029505A (ko) | 2014-01-15 | 2014-01-15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4831A KR20150029505A (ko) | 2014-01-15 | 2014-01-15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8033A Division KR101378723B1 (ko) | 2013-09-09 | 2013-09-09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505A true KR20150029505A (ko) | 2015-03-18 |
Family
ID=5302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04831A KR20150029505A (ko) | 2014-01-15 | 2014-01-15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950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10815A1 (ko) * | 2020-04-13 | 2021-10-21 | 기언관 | 철근연결구 |
-
2014
- 2014-01-15 KR KR20140004831A patent/KR2015002950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10815A1 (ko) * | 2020-04-13 | 2021-10-21 | 기언관 | 철근연결구 |
KR20210126947A (ko) * | 2020-04-13 | 2021-10-21 | 기언관 | 철근연결구 |
CN115398069A (zh) * | 2020-04-13 | 2022-11-25 | 奇彦官 | 钢筋连接器 |
US20230243154A1 (en) * | 2020-04-13 | 2023-08-03 | Eun Kwan KI | Reinforcing bar coupl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8723B1 (ko)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
KR100791619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014543B1 (ko) |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 |
KR20070054417A (ko)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
US20010016143A1 (en) | Connector for self coupling steel bars | |
KR200409526Y1 (ko)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
JP3799097B2 (ja) | 異形鉄筋の継手構造 | |
KR20150029505A (ko)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
CN211447500U (zh) | 套索连接器 | |
KR100514807B1 (ko) | 철근 연결구 | |
KR200404177Y1 (ko) |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 |
KR102192982B1 (ko) |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 |
KR200413225Y1 (ko) | 철근 연결구 | |
US20220403865A1 (en) | Parallel-tapered-integrated screw-coupling structur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 |
JP7282641B2 (ja) | 鉄筋用圧接治具 | |
KR20140042068A (ko) | 분리부 응력 분산을 위한 테이퍼형 절편을 구비한 커플러 | |
KR101464121B1 (ko) |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 |
KR200280065Y1 (ko) | 철근 연결구 | |
JP6014099B2 (ja) | 機械式継手 | |
KR20140075833A (ko) | 전단응력 집중형 티에스 커플러 | |
CN110863614A (zh) | 套索连接器及使用套索连接器连接钢筋的方法 | |
KR200331388Y1 (ko) | 철근 연결구 | |
KR20140054691A (ko) | 나사철근 연결장치 | |
EP1205671A1 (en) | Self-locking coupling structure | |
JP6549808B1 (ja) | 接続固定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