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121B1 -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121B1
KR101464121B1 KR1020140053877A KR20140053877A KR101464121B1 KR 101464121 B1 KR101464121 B1 KR 101464121B1 KR 1020140053877 A KR1020140053877 A KR 1020140053877A KR 20140053877 A KR20140053877 A KR 20140053877A KR 101464121 B1 KR101464121 B1 KR 10146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pe
shape member
hollow
memb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14005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21B1/ko
Priority to PCT/KR2015/004409 priority patent/WO20151708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마주보는 철근의 선단부에 연결이음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각각 결합된 후 상기 부재를 이음하여 연결되는 철근이음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선단부가 상호 향해져 대응하는 형상인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는 일측과 타측의 철근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중공형재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된 후 상기 제1중공형재에 결합되는 체결소켓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에 의하여 일체화결합된 연결이음부를 이루고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과 일측과 타측의 철근의 결합은 각각 나사결합구조에 의하고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도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REINFORCING BAR COUPLER WITH A PAIR OF HOLLOW MEMBER}
본 발명은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형재에 관통되는 중공을 구비하여 단수의 단철근이음시에는 중공형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축심맞춤수단을 통하여 연결이음되는 것이 가능하고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에는 중공형재의 중공에 결합되는 캡부재를 통하여 축심맞춤이 가능하면서도 연결이음부의 중량은 경량화 되고 경제성을 가지는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단부를 마주보는 철근의 선단부에 연결이음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각각 결합된 후 상기 부재를 이음하여 연결되는 철근이음 구조가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137872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연결이음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마주보는 철근에 대하여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부재와 상기 부재를 연결이음하되 상기 부재에 대한 이음소켓의 결합방법에 따른 연결이음부의 특성이 달라지는 구성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은 철근에 결합되는 하나의 슬리브 및 다른 하나의 슬리브의 단부에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테이퍼돌기부가 형성되어야 함으로 말미암아 슬리브 자체의 제조시 내면의 나사선을 형성하는 가공작업이 번거롭고 테이퍼 돌기부와 테이퍼 요홈부를 이루는 슬리브의 구성으로 말미암아 연결이음부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며,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구조가 연결이음될 현장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상적 실시예에 의한 축심맞춤을 위한 안내구조로 형성되기 어려웠다.
또한 본 출원인의 출원번호 10-2014-0004831호에 출원중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제1접합단부재 및 제2접합단부재에 관통되는 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철근의 단부가 상호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중공형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는 상호 맞대어지되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철근의 단부가 이격되는 구성으로서 상호 기술적 구성을 달리한다.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연결이음부의 중량은 저감되어 경량화되고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종래 개시된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와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연결이음부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에 따라 연결이음부의 특성에 따른 축심맞춤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축심맞춤을 위한 안내구조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제조시 원가가 절감되고 용이한 제작공정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주보는 철근의 선단부에 연결이음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각각 결합된 후 상기 부재를 이음하여 연결되는 철근이음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관통되는 중공이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호 향해져 대응하는 형상인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는 일측과 타측의 철근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중공형재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된 후 상기 제1중공형재에 결합되는 체결소켓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에 의하여 일체화결합된 연결이음부를 이루고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과 일측과 타측의 철근의 결합은 각각 나사결합구조에 의하고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도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각각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는 선단부에 돌출되는 제1돌출림과 상기 림이 끼움되는 제1요홈부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다단구조을 이루는 경우; 및,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심맞춤수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심맞춤수단은 선단부가 테이퍼 형성되어 맞춤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선단부가 어느 일측이 곡선형상을 이루고 타측이 상기 곡선형상의 곡율에 맞대어지는 형상을 이루어 맞춤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V홈 가공된 제2요홈부와 상기 제2요홈부에 맞춤되는 제2돌출림이 형성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및,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면서 경사진 다단 경사형 제3돌출림과 상기 제3돌출림이 끼움되는 제3요홈부 쌍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는 캡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착탈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면서 일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중공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폐합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기단부가 내입되어 선결합되어지고,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조임체결시 상기 캡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억지끼워맞춤되거나 또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캡부재 기단부의 내입깊이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의 외측둘레에는 소정의 폭으로 단차지게 확장된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이 상기 안착단턱에 축방향으로 안착되되, 안착되는 안착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다단구조에 의하여 걸림되고 상기 다단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다단이 하나 또는 복수의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은 이형철근 또는 나사마디형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은 단부에 스웨이징된 후 전조가공으로 나사가공되는 경우; 외면의 돌출형상이 제거된 후 절삭가공으로 나사가공되는 경우; 선단면에 나사이음부재가 접합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나사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 또는 체결소켓 또는 안착단턱은 외면의 소정구간에 공구파지가 용이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구조를 이루는 나사산은 한줄나사 이상의 나사선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의 형태는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1급, 2급, 및 3급 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나사산의 방향성은 왼나사선 및 오른나사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중공은 절삭가공 또는 탭공구의 관통이송을 통하여 암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은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의 위상을 잠금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이음부의 중량은 저감되어 경량화되고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종래 개시된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와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연결이음부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형재에 관통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에 캡부재가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으로서 선택적 실시에 따라 단수의 단철근이음시에는 중공형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축심맞춤수단을 통하여 연결이음되고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에는 중공형재의 중공에 결합되는 캡부재를 통하여 축심맞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캡부재는 연결이음될 현장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상적 실시예에 의한 축심맞춤을 위한 안내구조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선은 후벽이 존재하지 않는 관통되는 중공형상에 탭공구의 관통이송을 통하여 중공의 내면에 균일한 완전나사인 암나사선의 형성이 가능하여 나사선의 품질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대폭 낮추며 공구의 수명이 더욱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절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연결이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4는 캡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5는 캡부재에 의한 축심맞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6은 캡부재의 내입깊이가 규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나사마디형 철근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0은 연결이음이 완료된 연결이음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1은 수평철근이음시 다단 경사형 돌출림에 의하여 축심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2는 체결소켓 안착단턱에 체결소켓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로크너트의 결합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재는 축방향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관통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으로 부터 끝단에 둘러 형성되는 선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선단부가 상호 향해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짝을 이루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120)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의 반대측 타측으로 부터 단부를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의 철근(100, 14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중공형재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중공(115, 125)의 내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140)의 단부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되어 각각 나사결합을 이룬다.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중공(115, 125)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선은 절삭가공 또는 관통이송 되는 탭공구를 이용하여 제조가 가능함으로서 제조시에 원가가 절감되고 용이한 제작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후벽이 존재하는 홀의 내면에 나사선을 형성하는 경우 탭공구의 끝단으로 갈수록 불완전나사를 형성하는 공구날의 특성상 홀의 진입부근으로부터는 완전나사산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탭공구의 끝단 부근으로 부터 가공될 수 밖에 없는 후벽부근에서는 탭공구의 완전나사산을 형성하는 공구날의 중앙부근이 아닌 불완전나사산을 형성하는 끝단부근으로부터 가공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서 탭공구를 회전전진후 반대회전후퇴시 탭공구의 끝단 부근을 통하여만 가공된 상태로 남겨지는 후벽 부근의 나사선은 불완전나사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후벽이 존재하므로 탭공구날을 회전전진 후 반대회전후퇴 시키는 과정에서 회전전진으로 홀의 내면으로 부터 발생된 칩이 반대회전후퇴 시키는 동안 나사선과 탭공구날 사이의 공극에 협착되어 나사선을 손상하게 되므로 나사선의 조도가 낮아지고 쉽게 녹이 발생하는 등 나사선의 품질이 떨어지고 탭공구에 칩의 협착으로 인한 부하가 발생하여 공구날의 손상에 따른 공구의 소모도가 증대되고 그 결과 공구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었다.
종래 개시된 나사형 슬리브의 내부의 나사선은 후벽이 존재하는 형상으로서 탭공구의 관통이송이 불가하므로 탭공구를 회전전진 후 후벽에 규제되어 정지된 후 반대회전후퇴 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서 가공단가가 현저히 증대될 수 밖에 없고 불완전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아가 나사산의 품질 자체가 저하되고 공구소모로 인한 비용증대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후벽이 존재하지 않는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서 탭공구의 관통이송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중공의 내면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완전나사인 암나사선의 형성이 가능하고 나아가 나사선의 품질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대폭 낮추며 공구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이음부(500)의 중량은 저감되어 경량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재가 절감되어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종래 개시된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와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연결이음부(500)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먼저 타측의 철근(140)에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외면으로 유동하는 체결소켓(130)이 구비되되,상기 체결소켓(130)은 먼저 철근의 외면에 유동하도록 선결합된 후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100, 140)에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가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중공(115.125)으로 부터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맞대지는 상태에서도 철근의 단부가 상호 맞대지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되도록 결합된다.
그 후, 상기 체결소켓(130)이 상기 제2중공형재(120)를 감싸며 결합되도록 상기 제1중공형재(11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소켓(13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단턱이 걸림됨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30)이 상기 제2중공형재(120)에 축방향으로 걸림된 후 상기 제1중공형재(110)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소켓(130)이 제1중공형재(110)와 조임체결됨으로서 일체화결합된 연결이음부(500)를 이루어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100, 140) 간의 연결이음이 완료된다.
상기 체결소켓(130)의 조임체결은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외면에 수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130)의 내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소켓(130)이 상기 제2중공형재(120)를 감싸안은 상태에서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는 상호 맞대지는 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가 각각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210)을 이루어 맞대질 수 있다.
또한, 상호 맞대지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는 어느 일측으로 부터 선단부에 돌출되는 제1돌출림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림이 끼움되는 제1요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맞대지는 형상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의 형상적인 실시예는 다양하게 구성하되 연결이음부(500)의 특성에 알맞는 가장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8을 참조하면, 단철근이음이나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 연결이음부(500)를 이루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가 다단구조(270)을 이루는 경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맞닿는 단면적의 증대되어 상기 평면(210)의 경우보다 압축응력의 분산전달이 효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단구조(270)에 의한 결합은 연결이음작업시 선단부의 맞닿는 형상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작업이 가능하고 다단구조(270)에 의한 결합시 다단이 지지되는 내부로 충분히 내입되어 맞대어진 상태를 이루는 시공이 가능해지므로 현장시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히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 연결이음부(500)를 이루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는 연결이음될 일측과 타측의 철근(100, 140)의 축심맞춤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심맞춤수단은 먼저 선단부가 테이퍼(200) 형성되어 맞춤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110, 120)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일측의 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축방향에 대하여 예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측의 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상호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면 어느 일측의 선단부에 맞대지는 타측의 선단부는 테이퍼(200)에 의한 안내작용에 의하여 이음될 두 철근의 축심이 일치되어지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일측과 타측의 선단부는 상호 맞대어짐으로서 밀착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체결소켓(130)이 결합되어 조임체결시 연결이음부(500) 내부로부터의 지지구조를 이루는 상호지지구조체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는 어느 일측이 곡선형상(260)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곡선형상(260)의 곡율에 맞대지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이루게 되면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120)의 선단부의 어느 일측이 라운드진 내면 또는 외면의 끝단처리가 가능해지고 타측은 상기 라운드진 끝단에 맞대지는 곡율의 선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곡선형상은 상기 선단부의 맞닿는 형상이 축방향에 평면이거나 다단구조, 축방향에 예각 또는 둔각인 경우에 끝단처리를 통하여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V홈 가공된 제2요홈부(220)와 상기 요홈부에 맞춤되는 제2돌출림(230)이 형성되는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V홈은 원주를 따라 연속되는 또는 불연속되는 골을 가지도록 형성가능하며 상기 V홈을 이루는 측벽은 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제2돌출림(230)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V홈은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환상을 이루는 경우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V홈(250)으로 형성됨으로서 맞대지는 제2요홈부(220)와 상기 제2돌출림(230)이 맞대지는 형상의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면서 경사진 다단 경사형 제3돌출림(310)과 상기 림이 끼움되는 제3요홈부(300) 쌍을 이룰 수 있다.
즉 각각의 다단을 이루는 구조에 전체적인 경사가 구비됨으로서 사면으로 연결되는 경사를 이루는 단이 배치되어, 다단이되 각각 경사를 이루도록 하게 되면 수평근의 배근시 각각 수평근에 결합된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체결소켓(130)에 의한 결합작업시 중심축선으로 부터 어긋나 이탈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11을 참조하면, 수평의 단철근 이음시 다단의 횡단면이 환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110)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의 어느 일측이 타측으로 내입되되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구간으로부터는 일측 선단부의 타측 선단부로의 내입을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구조로 되고 이를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직경이 일정한 구간(P)으로부터는 자중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체결소켓(130)에 의한 결합시 중심축선의 이탈위험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중공(125)에는 캡부재(150)가 더 구비되어 단철근이음 및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 연결이음부(500)의 특성에 따른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단철근이음시에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선단부에 축심맞춤수단이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나 나아가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에는 이에 더하여 캡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부재(150)는 별도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또는 선결합되어져 결합고정되거나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가 축방향에 평면(210)을 이루는 경우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축심맞춤수단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캡부재(150)는 특히 선조립철근망의 다발결합시 축심맞춤구조가 상기 캡부재의 선단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도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현장시공시 연결이음부(500)의 특성에 따라서 중공(115, 125)형상을 이루는 상기 중공형재(110, 120)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캡부재(15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일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중공(15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캡부재(15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이되 축심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상적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캡부재(150)의 선단부는 원뿔, 원뿔대, 원추, 원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다각추, 다각기둥 그리고 단면형상이 절단구형상, 절단타원구형상, 삼각형상, 첨단이 라운드된 삼각형상, 사각형상, 모서리각이 모따기 또는 라운드된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캡부재(150)의 선단부가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테이퍼 형성된 선단부에 외측으로부터 걸림되어져 맞대지는 경우에도 축심맞춤을 위한 안내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부재(150)를 형성하는 소재로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등 재질에 제한됨이 없으며 프레스 소성 가공, 사출성형, 절삭가공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상기 캡부재(150)는 판재로 부터 제조되는 경우 금형의 형합을 통하여 1피스의 소정의 형상으로 소성가공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이하다. 소성가공을 통하여 제조되는 경우 상기 캡부재(150)는 일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중공(153)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캡부재(15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폐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부재(151)가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지 아니하여 폐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 151)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중공(115)에 기단부가 내입되어 선결합되어지고 상기 체결소켓(130)에 의하여 조임체결시 상기 캡부재(150)의 선단부가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중공(125)에 끼움된다.
상기 제1중공형재(110)에 내입되는 기단부가 별도의 장착수단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중공(115)을 활용하여 상기 중공(115)에 내입되는 구조로 결합가능함으로써 본 발명과 같이 중공형재에 결합시에 중공(115, 125)의 중심축선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축심안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 151)의 기단부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중공내면에 끼움공차를 가지는 외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억지끼워맞춤되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캡부재(150, 151)로 결합시키거나 선결합 되어질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 151)의 기단부 끝단은 제1중공형재(110)에 내입깊이가 규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내면에는 소정 위치에 스토퍼(156)가 형성되고 상기 기단부 끝단이 상기 스토퍼(156)에 걸림된다.
상기 스토퍼(156)는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내면에 돌출띠 형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턱을 이루거나 상기 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도6을 참조하면,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내면에 상기 일측의 철근(100)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암나사선(700)이 선단부 부근까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암나사선(700)이 이루는 나사산에 상기 캡부재(150, 151) 기단부의 끝단이 걸림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없이 나사산의 형상을 이루는 내면의 구조에 직접지지되어 상기 캡부재(150)의 내입깊이가 자연스럽게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150)의 기단부 외면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형재의 내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와 상기 제1중공형재(110)가 나사결합시에는 상기 캡부재(150)의 선단부 끝단에 다각모를 이루는 공구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구홈에 공구가 삽입된 후 회전되면 상기 캡부재가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중공(115)에 나사결합되도록 용이하게 회전된다.
나사결합구조로 결합시에도 상기 캡부재(150)의 기단부 외면에 수나사선이 형성되는 구간이 제한되거나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내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내입깊이가 규제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의 기단부가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지점에 정착고정되는 방법으로 용접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캡부재(150)는 착탈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캡부재(150)의 착탈구조는 연결이음될 현장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상적 실시예에 의한 축심맞춤을 위한 안내구조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철근의 이음시에는 상기 캡부재(150)가 탈거된 상태로 연결이음부(500)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대될 필요가 없으면서도, 연결이음부(500)의 인장강도는 종래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연결이음부(5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중공의 외측둘레에는 소정의 폭으로 단차지게 타측의 철근 방향으로 확장된 상기 체결소켓(130)의 안착단턱(6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소켓(130)이 상기 제2중공형재(120)를 감싸며 결합시 상기 제2중공형재(120)에 상기 체결소켓(130)이 안착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안착단턱(60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소켓이 결합될 축방향으로 안착된 후에 체결조임나사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안착단턱(600)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소켓(130)을 회전시 공구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으로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 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30)의 조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체결소켓(130)이 안착단턱(600)에 안착완료시에는 상기 체결소켓(130)의 중공으로 부터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단턱의 끝단이 돌출되는바 상기 끝단의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 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30)의 조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안착단턱(600)에는 상기 체결소켓(130)이 축방향으로 안착되되, 안착되는 안착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곡선형으로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단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소켓(130)은 상기 제2중공형재(120)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다단구조에 의하여 걸림됨으로서 축방향 압축응력의 분산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소켓(130)이 제2중공형재(120)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림단턱이 다단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걸림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100, 140)은 이형철근 또는 나사마디형 철근(400, 4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철근의 경우에는 단부에 수나사산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웨이징 후 전조가공을 통한 나사성형 방법, 외면의 돌출형상이 제거된 후 절삭나사를 형성하는 방법,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별도의 나사이음부재를 철근의 선단면에 접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나사이음부재는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100, 140)의 선단부에 용접 방법 특히 마찰 용접, 스터드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이음부재의 외면을 따라 소정구간에 척킹부를 형성하면 접합시 용이한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수나사산의 파손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나사마디형 철근(400, 410)의 경우에는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관통되는 중공의 내면에는 나사마디형 철근(400, 410)이 나사결합되는 나사마디형 철근(400, 410) 결합용 암나사선(800)이 형성되어 나사마디형 철근(400, 4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100, 140)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중공 규격이 각각의 철근에 맞춤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이음될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이경이음이 가능하다.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110, 120) 또는 체결소켓(130)은 외면의소정구간에 공구파지가 용이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으로 외면이 스플라인 가공되는 경우, 외면이 널링 가공되는 경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및 한 쌍 이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면이 구비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30)의 조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중공 내면의 암나사선 및 철근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선, 상기 체결소켓(130)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선 및 상기 제1중공형재(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선은 한줄나사 이상의 나사선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의 형태는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1급, 2급, 및 3급 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선의 방향성은 조임방향을 고려하여 왼나사선 및 오른나사선을 혼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선단부의 형상은 상호 맞바꾸어져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캡부재(150, 151)도 제2중공형재(120)의 중공으로 위치가 상호 맞바꾸어져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50, 151)의 위치가 맞바꾸어져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125)에 구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캡부재(150, 151)의 선단부가 상기 제1중공형재(110)에 끼움되어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150, 151)는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125)에 억지끼워맞춤되거나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150, 151)의 내입깊이는 상기 제2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캡부재(150, 151)의 내입깊이가 규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또한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130)은 상기 제1중공형재(110) 방향에서 부터 걸림되도록 상기 일측의 철근(100)의 외면에 유동가능하게 선결합되어질 수 있고, 상기 체결소켓(130)은 상기 제1중공형재(110)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며, 상기 제2중공형재(120)의 외면에는 수나사선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체결소켓(130)의 조임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의 철근 및 타측의 철근(100, 140)과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는 각각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되는 바, 상기 일측의 철근 및 타측의 철근(100, 140)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은 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철근 및 타측의 철근(100, 140)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위상을 잠금하여 소정의 나착지점에서 유동을 규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크너트는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100, 1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연장된 수나사선(910)상에서 나사회전하며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110, 120)의 철근방향 단면으로 부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110, 120)를 압지하여 임의회전을 잠금한다.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는 위상이 잠금됨으로서 전체적으로 각각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100, 140)의 길이방향 규격에 여기에서 상기 로크너트(900)로 잠금된 위상으로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110, 120)가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100, 140)의 선단부로 부터의 길이방향 규격이 더해져 각각 철근과 중공형재가 결합된 길이방향 규격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로크너트(900)의 잠금 위치와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110, 120)의 위상에 변경을 가하게 되면 각각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마주하는 철근의 전체적인 규격에 변경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거나 본 발명의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일측의 철근 : 100
타측의 철근 : 140
제1중공형재 : 110
제2중공형재 : 120
캡부재 : 150, 151
체결소켓 : 130
수나사선 : 710, 740
암나사선 : 700, 730
중공 : 115, 125
테이퍼 : 200
캡부재 중공 : 153
평면 : 210
제2요홈부 : 220
제2돌출림 : 230
복수의 V홈 : 250
곡선형상 : 260
다단구조 : 270
나사마디형 철근 : 400, 410
제3요홈부 : 300
제3돌출림 : 310
연결이음부 : 500
안착단턱 : 600
스토퍼 : 156
직경이 일정한 구간 : P
나사마디형 철근결합용 암나사선 : 800
로크너트 : 900
연장된 수나사선 : 910

Claims (21)

  1. 마주보는 철근의 선단부에 연결이음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각각 결합된 후 상기 부재를 이음하여 연결되는 철근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관통되는 중공이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호 향해져 대응하는 형상인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는 일측과 타측의 철근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중공형재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된 후 상기 제1중공형재에 결합되는 체결소켓
    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에 의하여 일체화결합된 연결이음부를 이루고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과 일측과 타측의 철근의 결합은 각각 나사결합구조에 의하고
    상기 체결소켓의 조임체결도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는 캡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각각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는 선단부에 돌출되는 제1돌출림과 상기 림이 끼움되는 제1요홈부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다단구조을 이루는 경우; 및,
    상기 제1중공형재의 선단부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심맞춤수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맞춤수단은
    선단부가 테이퍼 형성되어 맞춤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선단부가 어느 일측이 곡선형상을 이루고 타측이 상기 곡선형상의 곡율에 맞대어지는 형상을 이루어 맞춤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V홈 가공된 제2요홈부와 상기 제2요홈부에 맞춤되는 제2돌출림이 형성되는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 쌍인 경우; 및,
    상기 제1중공형재와 제2중공형재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면서 경사진 다단 경사형 제3돌출림과 상기 제3돌출림이 끼움되는 제3요홈부 쌍인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착탈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면서 일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중공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폐합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기단부가 내입되어 선결합되어지고, 상기 체결소켓에 의하여 조임체결시 상기 캡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억지끼워맞춤되거나
    또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중공에 나사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캡부재 기단부의 내입깊이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중공형재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형재의 중공의 외측둘레에는 소정의 폭으로 단차지게 확장된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이 상기 안착단턱에 축방향으로 안착되되,
    안착되는 안착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중공형재에 축방향으로 걸림되되 다단구조에 의하여 걸림되고 상기 다단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다단이 하나 또는 복수의 예각, 직각, 및 둔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거나 소정의 곡율을 이루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은 이형철근 또는 나사마디형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의 규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철근은
    단부에 스웨이징된 후 전조가공으로 나사가공되는 경우;
    외면의 돌출형상이 제거된 후 절삭가공으로 나사가공되는 경우;
    선단면에 나사이음부재가 접합되는 경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나사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8.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 또는 체결소켓 또는 안착단턱은 외면의소정구간에 공구파지가 용이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구조를 이루는 나사산은
    한줄나사 이상의 나사선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의 형태는 삼각나사, 사각나사, 타원나사, 및 둥근나사 중 선택된 어
    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의 등급은 1급, 2급, 및 3급 나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나사산의 방향성은 왼나사선 및 오른나사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형재 및 제2중공형재의 중공은 절삭가공 또는 탭공구의 관통이송을 통하여 암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철근은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중공형재 또는 제2중공형재의 위상을 잠금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로크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KR1020140053877A 2014-05-07 2014-05-07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KR10146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877A KR101464121B1 (ko) 2014-05-07 2014-05-07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PCT/KR2015/004409 WO2015170856A1 (ko) 2014-05-07 2015-05-02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877A KR101464121B1 (ko) 2014-05-07 2014-05-07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121B1 true KR101464121B1 (ko) 2014-11-20

Family

ID=5229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877A KR101464121B1 (ko) 2014-05-07 2014-05-07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4121B1 (ko)
WO (1) WO2015170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4083B (zh) * 2018-09-30 2020-12-25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筋连接定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43B1 (ko) * 2005-09-05 2011-02-14 김용근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101378723B1 (ko) * 2013-09-09 2014-03-27 김용근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526Y1 (ko) * 2005-11-23 2006-03-03 김용근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43B1 (ko) * 2005-09-05 2011-02-14 김용근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101378723B1 (ko) * 2013-09-09 2014-03-27 김용근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0856A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50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rebar segments
KR101014543B1 (ko)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200409526Y1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KR20070054417A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US20090162164A1 (en) Clamping Sleeve and Clamp Connection
US20060272140A1 (en) Positioning pin removing tool for vehicles
KR101541243B1 (ko) 철근연결구
MXPA02009558A (es) Tuerca con cuerda para sujetador, con caracteristicas de cuerda con radio anti-transroscante.
KR101464121B1 (ko)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JP4920063B2 (ja) 締結構造
JP4885030B2 (ja) 重仮設構造物の継手金具における接合法及び接合確認装置
KR200404177Y1 (ko)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US20100221065A1 (en) Handle connector for hand tool or utensil
KR10167632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101178518B1 (ko) 양방향 고정금구
US10710146B2 (en)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US11371640B2 (en) Threaded plug and protective element for a plug
KR20190016243A (ko) 볼트
EP4071370A1 (en) Parallel-tapered-integrated screw-coupling structur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KR102512667B1 (ko)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KR20200032814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US10087972B2 (en) Fastener and fastener installation tool
CN110725478A (zh) 一种建筑类连接结构件
ES2826379T3 (es) Util tipo llave para montado de espárragos y simila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