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370A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9370A KR20150029370A KR20130108488A KR20130108488A KR20150029370A KR 20150029370 A KR20150029370 A KR 20150029370A KR 20130108488 A KR20130108488 A KR 20130108488A KR 20130108488 A KR20130108488 A KR 20130108488A KR 20150029370 A KR20150029370 A KR 201500293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olefin
- ethylene
- alpha
- density
- olefin co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8—Low density, i.e. < 0.91 g/cm3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1—Rubbery or elastome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리핀계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온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융점과 연화점이 낮기 때문에, 상온보다 높은 온도 하에서 장시간 보관될 경우 서로 엉겨 붙는 블로킹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소재의 펠렛의 외부를 무기계 파우더 또는 다른 소재의 수지 파우더 등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계 파우더 또는 수지 파우더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펠렛의 외부에 잘 붙지 않을 경우, 상기 펠렛의 표면을 바인더로 처리한 후 상기 파우더를 적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전의 처리 방법으로는 블로킹 현상의 개선 정도가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온 이상의 고온 하에서는 그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온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엘라스토머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0.80 내지 0.90 g/cc의 밀도, 및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1 g/10min 이상의 용융지수를 갖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로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제공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적어도 둘의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0.85 내지 0.92 g/cc의 밀도와,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5 내지 6.0 g/10min의 융용지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온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상대적으로 밀도(또는 결정화도)가 높고 용융지수가 낮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첨가할 경우, 상온 이상의 온도(예를 들어 약 40 ℃) 하에서도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0.80 내지 0.90 g/cc의 밀도, 및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1 g/10min 이상의 용융지수를 갖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로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즉, 상기 일 구현 예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특정 물성을 만족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높은 밀도(또는 결정화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혼합됨에 따라, 유변학적 특성의 변화로 인해 상온뿐 아니라 그 이상의 온도(예를 들어 약 40 ℃) 하에서도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나타내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결정화도가 수 퍼센트 내외로 낮아 제대로 측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측정하더라도 오차 범위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는 등 유효한 측정 값을 얻기가 어렵다. 그에 따라, 수지의 밀도를 통해 대략적인 결정화도를 유추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하 수지의 밀도는 결정화도와 대체 가능한 물성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알파-올레핀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파-올레핀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파-올레핀은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및 1-헥사데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이루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함량비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부여하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또는 50 내지 90 중량%)이고, 알파-올레핀의 함량이 50 중량% 이하(또는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엘라스토머로서의 적절한 탄성이 발현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내열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부여하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50,000 내지 2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엘라스토머로서의 적절한 물성 부여에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다 낮은 밀도(또는 결정화도)와 높은 용융지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0.80 내지 0.90 g/cc, 또는 0.82 내지 0.90 g/cc, 또는 0.85 내지 0.90 g/cc, 또는 0.85 내지 0.88 g/cc일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1 g/10min 이상, 또는 0.1 내지 10 g/10min, 또는 0.3 내지 8.0 g/10min, 또는 0.5 내지 6.0 g/10min, 또는 1.0 내지 3.0 g/10min, 또는 1.1 내지 1.5 g/10min, 또는 1.1 내지 1.4 g/10min, 또는 1.15 내지 1.35 g/10min, 또는 1.15 내지 1.3 g/10min, 또는 1.2 내지 1.3 g/10min일 수 있다.
한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90 내지 99 중량%, 또는 92 내지 99 중량%, 또는 95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기본적인 물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에 따른 블로킹 정도의 개선 효과가 적절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9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일 구현 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로서, 특히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높은 밀도(또는 결정화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적정량으로 첨가되어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cc 초과 0.95 g/cc 이하, 또는 0.905 내지 0.95 g/cc, 또는 0.91 내지 0.95 g/cc, 또는 0.91 내지 0.94 g/cc, 또는 0.91 내지 0.93 g/cc, 또는 0.92 내지 0.93 g/cc일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의 용융지수가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보다 약 30% 이하, 또는 약 1 내지 30%, 또는 약 5 내지 30%, 또는 약 5 내지 25%, 또는 약 10 내지 25%, 또는 약 10 내지 20% 만큼 낮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는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8 g/10min 이상 1.1 g/10min 미만, 또는 0.8 내지 1.05 g/10min, 또는 0.8 내지 1.05 g/10min, 또는 0.9 내지 1.05 g/10min, 또는 0.95 내지 1.05 g/10min, 또는 0.95 내지 1.0 g/10min일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기본적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조금 높은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블로킹 정도의 개선 효과 발현에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8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블로킹 정도의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물성(예를 들어 저온 실링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전술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제공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전술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서, 적어도 둘의 용융점을 갖는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기인한 제 1 용융점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기인한 제 2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레스토머의 용융점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전술한 구현 예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경우, 60℃ 이하의 제 1 용융점과 90℃ 이상의 제 2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20 내지 60℃, 또는 25 내지 50℃, 또는 25 내지 40℃, 또는 28 내지 35 ℃의 제 1 용융점과; 90 내지 110℃, 또는 90 내지 105℃, 또는 100 내지 105℃의 제 2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0.85 내지 0.92 g/cc, 또는 0.85 내지 0.90 g/cc, 또는 0.85 내지 0.88 g/cc, 또는 0.86 내지 0.88 g/cc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1 내지 10 g/10min, 또는 0.1 내지 8.0 g/10min, 또는 0.3 내지 8.0 g/10min, 또는 0.5 내지 6.0 g/10min, 또는 1.0 내지 3.0 g/10min, 또는 1.0 내지 1.3 g/10min, 또는 1.05 내지 1.25 g/10min, 또는 1.1 내지 1.2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상온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개선된 블로킹 정도를 나타낼 수 있어, 펠렛 표면에 대한 외부 처리 후에도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 적용하면 보다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사: LG화학, 제품명: LC168, 밀도 약 0.862 g/cc, 용융지수 약 1.2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약 97.5 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LG화학, 제품명: BF315, 밀도 약 0.923 g/cc, 용융지수 약 1.0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약 2.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압출하여 펠렛 상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밀도 약 0.862 g/cc, 용융지수 약 1.13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중량평균 분자량 약 142000, 분자량 분포 약 2.30, 용융점 약 30.0℃ 및 약 104.3℃)를 얻었다.
비교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제품명: BF315) 대신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제조사: LG화학, 제품명: LC190, 밀도 약 0.895 g/cc, 용융지수 약 0.5 g/10min @ 2.16kg 하중 및 19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압출하여 펠렛 상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밀도 약 0.862 g/cc, 용융지수 약 1.23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중량평균 분자량 약 140000, 분자량 분포 약 2.28, 용융점 약 29.6℃)를 얻었다.
비교예
2
저밀도 폴리에틸렌(제품명: BF315) 대신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제조사: LG화학, 제품명: LC100, 밀도 약 0.903 g/cc, 용융지수 약 1.2 g/10min @ 2.16kg 하중 및 19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압출하여 펠렛 상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밀도 약 0.863 g/cc, 용융지수 약 1.28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중량평균 분자량 약 136000, 분자량 분포 약 2.28, 용융점 약 26.6℃)를 얻었다.
대조예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사: LG화학, 제품명: LC168)를 압출하여 펠렛 상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밀도 약 0.862 g/cc, 용융지수 약 1.2 g/10min @ 2.16kg 하중 및 190℃, 중량평균 분자량 약 143000, 분자량 분포 약 2.29, 용융점 약 29.4℃)를 얻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중 밀도, 용융지수 등의 물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1) 용융지수(g/10min): 고분자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는 ASTM D-1238(조건 E, 190℃, 2.16kg 하중)로 측정하였다.
(2) 밀도(g/cc): 샘플을 180℃ 프레스 몰드(Press Mold)로 두께 3mm, 반지름 2cm의 시트를 제작하고 23℃에서 부력 측정 방식으로 메틀러(Mettler) 저울에서 측정하였다.
(3) 용융점(℃): 온도를 150 ℃까지 증가시킨 후, 5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그 다음 -100℃까지 내리고, 다시 온도를 증가시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erkin Elmer사 제조) 곡선의 꼭대기를 용융점으로 하였다. 이 때, 온도의 상승과 내림의 속도는 10℃/min 이고, 용융점은 두 번째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측정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4) 블로킹 정도 테스트
: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예에 따른 펠렛에 대하여, 약 0.2 중량%의 칼슘 스테아린산 파우더(제조사: 송원산업, 제품명: SC130)를 가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9cm X 7.5cm 규격의 폴리에틸렌 백에 펠렛을 60 g씩 넣고, 그 위에 2kg의 추를 올리고, 40℃에서 6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상온 하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등급 1: 블로킹 현상이 전혀 없음
*등급 3: 폴리에틸렌 백에서 조심스럽게 빼내어도 다 해쇄되어 나옴
*등급 5: 폴리에틸렌 백에서 조심스럽게 빼내면 블로킹된 모양은 유지되나 흔들면 부서짐
*등급 7: 폴리에틸렌 백에서 조심스럽게 빼내면 블로킹된 모양이 유지되고 흔들어도 부서지지 않으나 약한 힘으로 누르면 부서짐
*등급 9: 폴리에틸렌 백에서 조심스럽게 빼내면 블로킹된 모양이 유지되고 흔들어도 부서지지 않으며 강한 힘으로 누르면 부서짐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대조예 | |
블로킹 등급 | 4 | 5 | 5 | 5 |
상기 시험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2 및 대조예에 따른 엘라스토머는 블로킹 정도가 5 등급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예 1 및 2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대신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를 첨가하였으나, 그에 따른 영향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하나의 용융점을 나타내었다.
그에 비하여, 실시예에 따른 엘라스토머는 블로킹 정도가 4 등급으로서, 비교예 및 대조예의 엘라스토머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0.80 내지 0.90 g/cc의 밀도, 및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1 g/10min 이상의 용융지수를 갖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로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0.80 내지 0.90 g/cc의 밀도, 및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1 내지 1.5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지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90 g/cc 초과 0.95 g/cc 이하의 밀도, 및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0.8 g/10min 이상 1.1 g/10min 미만의 용융지수를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올레핀은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및 1-헥사데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50,000 내지 2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보다 큰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 항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의 용융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 제 7 항에 있어서,
20 내지 60 ℃의 제 1 용융점과 90 내지 110℃의 제 2 용융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 제 7 항에 있어서,
밀도가 0.85 내지 0.92 g/cc이고, 2.16kg의 하중과 1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융용지수가 0.5 내지 6.0 g/10min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8488A KR20150029370A (ko) | 2013-09-10 | 2013-09-10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8488A KR20150029370A (ko) | 2013-09-10 | 2013-09-10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370A true KR20150029370A (ko) | 2015-03-18 |
Family
ID=5302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8488A KR20150029370A (ko) | 2013-09-10 | 2013-09-10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9370A (ko) |
-
2013
- 2013-09-10 KR KR20130108488A patent/KR201500293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65995B1 (en) | Polyethylene having faster crystallization rate and improved 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resistance | |
JP5845756B2 (ja) | プロピレン系樹脂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熱処理用包装体 | |
EP1661935A1 (en) | Transparent easy tearable film | |
KR101820213B1 (ko) |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 |
EP2836547A1 (en) | Polyolefin blend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 |
KR20170110629A (ko) |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중합체 블렌드 | |
KR100842162B1 (ko) |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 |
KR101846716B1 (ko) |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
WO2005012419A2 (en) | Improved properties of polyolefin blends and their manufactured articles | |
KR102351569B1 (ko) |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 |
KR101721512B1 (ko) |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
KR101738723B1 (ko) |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JP2008115274A (ja) |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 |
KR20150029370A (ko)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 |
AU2013351170B2 (en) | Soft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low n-hexane solubles | |
KR101309340B1 (ko)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필름 | |
EP3230330B1 (en) | A polyolefin additive, a sag resistant polyolefin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CN109312126B (zh) | 丙烯系树脂组合物及其注射成型体 | |
KR101773466B1 (ko) |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 |
KR102410418B1 (ko) | 농업용 필름 | |
CN110959025B (zh) | 聚丙烯组合物 | |
KR20190064340A (ko) |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 |
KR102104866B1 (ko) |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 |
WO2023154744A1 (en) | Polyethylene glycol-based polymer processing aids | |
WO2023149984A1 (en) | Polyethylene glycol-based polymer processing ai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