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268A -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268A
KR20150029268A KR20130108186A KR20130108186A KR20150029268A KR 20150029268 A KR20150029268 A KR 20150029268A KR 20130108186 A KR20130108186 A KR 20130108186A KR 20130108186 A KR20130108186 A KR 20130108186A KR 20150029268 A KR20150029268 A KR 20150029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ortable terminal
sign language
type
conver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근규
Original Assignee
도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근규 filed Critical 도근규
Priority to KR2013010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268A/ko
Publication of KR2015002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휴대용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휴대용 단말은 장애인 지원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 장애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애종류 설정부 및 상기 장애 종류 설정부에 설정된 장애의 종류에 따라서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전환모듈,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전환모듈 및 음성을 판독하여 기계음으로 변환하는 음성판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MOBILE DEVICE FOR SUPPORTING DISABLE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거나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음성명령을 내려서 단말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단말은 기각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장애인을 지원하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단말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러한 단말은 단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와 이를 단말가 연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구현되어 있을 뿐, 다양한 종류의 장애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장애인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기는 불편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0354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용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애인 지원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 장애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애종류 설정부 및 상기 장애 종류 설정부에 설정된 장애의 종류에 따라서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전환모듈,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전환모듈 및 음성을 판독하여 기계음으로 변환하는 음성판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시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점자 키패드를 활성화하고,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가 상기 음성전환모듈을 통해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청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수화전환모듈을 통해서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는, 상기 음성전환모듈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어 통화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뇌병변 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통화상태에서 상대방으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판독모듈을 통해 기계음으로 변환되어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지원 휴대용 단말을 이용할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가 구비되고,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전환모듈,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전환모듈 및 음성을 판독하여 기계음으로 변환하는 음성판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장애인이 좀 더 편리하게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절차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장애인 지원 단말(100)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200)가 연결되어 있어서, 글자를 눈으로 읽을 수 없는 시각 장애인이 점자 키패드(200)를 이용하여 키패드 상에 구비된 도트를 감지하여 원하는 문자나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자 키패드(200)를 별도로 구비하여 종래의 단말(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단말(100)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 대신 점자 키패드(200)를 장착하거나, 단말(100)의 전면 일부분에 구비할 수도 있고 후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점자 키패드(200)를 단말(100)에 연결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에는 장애인 지원 기능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만이 아니라, 청각 장애인이나, 뇌병변 장애인 등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100)을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100)은, 단말이 갖는 고유한 기능 외에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장애 종류 설정부(11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 및 장애 지원 어플리케이션(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100)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장애 종류 설정부(110)는 사용자가 장애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단말(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장애에 따라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 장애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 종류 설정부(110)에 설정된 장애의 종류에 따라 단말이 작동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는 장애 종류 설정부(110)에 설정된 장애의 종류에 따라서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장애 지원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10)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10)은 단말(100)의 출시와 함께 단말(100)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있거나, 추후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다운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10)은 음성전환모듈(11), 수화전환모듈(12) 및 음성판독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성전환모듈(11)은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을 할 수 없는 언어장애인이 통화 중에 상대방과 대화를 위하여 단말(100)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음성전환모듈(11)이 동작하면서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여 대응하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입력된 문자 대신 변환된 음성이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수화전환모듈(12)은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청각 장애인이 통화 중에 단말(100)을 통해 수신한 상대방의 대화음성이 수화로 변환되어 단말(100)의 화면에 동영상으로 표시됨으로써 청각 장애인은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음성을 수화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미리 구축된 수화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음성판독모듈(13)은 수신한 음성을 판독하여 기계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뇌병변 장애인의 음성을 통화 상대방이 알아듣기 쉽도록 명확한 기계음으로 변환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100)에서 장애종류 설정부(110)의 설정에 따라 장애지원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예를 설명한다.
장애종류 설정부(110)에 장애의 종류가 시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는 점자 키패드(200)를 활성화하고, 휴대용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가 음성전환모듈(11)을 통해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휴대용 단말(100)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장애종류 설정부(110)에 장애의 종류가 청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수화전환모듈(12)을 통해서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휴대용 단말(10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100)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는, 음성전환모듈(11)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어 통화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장애종류 설정부(110)에 장애의 종류가 뇌병변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통화 상태에서 상대방으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음성판독모듈(13)을 통해 기계음으로 변환되어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에서 장애인을 지원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절차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지원 단말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선 장애의 종류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말(100)에 구비된 장애 종류 설정부(110)를 통해 장애종류를 설정하게 된다(S110).
장애 종류가 "시각장애"로 설정되었다면, 단말의 점자 키패드가 활성화(S120) 되므로, 시각장애인이 점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키를 인식하고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성전환 모듈이 작동하여(S130), 시각장애인이 단말로 전송된 SMS 문자나 단말에 저장된 문서 등을 읽으려고 하는 경우, 해당문자가 음성으로 전환되어 스피커로 출력되게 된다.
장애 종류가 "청각장애"로 설정되었다면, 수화전환모듈이 작동하게 되므로(S140), 청각장애인이 전화를 받거나, 음성 파일들을 읽어 들이게 되면, 해당 음성이 수화로 변환되어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게 된다. 또한, 음성전환 모듈이 작동(S130)이 작동하여, 청각장애인이 통화 상대방과 하고 싶은 대화를 문자로 입력하면 해당 문자가 음성으로 전환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다.
장애 종류가 "뇌병변장애"로 설정되었다면, 음성판독모듈이 작동하게 되므로(S150), 뇌병변 장애인이 통화 상대방에게 말을 하게 되면, 해당 음성을 판독하여 상대방이 좀 더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기계음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애의 종류에 따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합한 모듈이 작동하게 함으로써, 장애인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과 같은 단말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구현 요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내부에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고, 각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래머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협업하는(또는 협업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며, 이는 프로그래머블 컴퓨터 시스템과 협업하여, 여기 기술된 방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수행될 때 상기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면, 기계 판독가능한 캐리어 상에 저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는 기계 판독 가능한 캐리어 상에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수행될 때,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들은, 따라서,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이며, 이는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따라서, 데이터 스트림 또는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일련의 신호이다. 데이터 스트림과 일련의 신호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연결, 예를 들면 인터넷, 을 통해 수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처리 수단, 예를 들면 컴퓨터, 또는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적용된,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예를 들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 기술된 방법의 기능성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업하여 여기 기술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법은 어느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서도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보여줄 뿐이다. 여기 기술된 배열과 세부사항에 대한 수정 및 변경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의 영역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이나 설명의 방법에 의해서 표현되는 특정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음이 의도된다.

Claims (4)

  1. 장애인 지원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
    장애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애종류 설정부 및
    상기 장애 종류 설정부에 설정된 장애의 종류에 따라서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애인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전환모듈;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전환모듈; 및
    음성을 판독하여 기계음으로 변환하는 음성판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시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점자 키패드를 활성화하고,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가 상기 음성전환모듈을 통해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청각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수화전환모듈을 통해서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통화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는, 상기 음성전환모듈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어 통화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의 종류가 뇌병변 장애로 설정된 경우에,
    통화상태에서 상대방으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판독모듈을 통해 기계음으로 변환되어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KR20130108186A 2013-09-10 2013-09-10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KR20150029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86A KR20150029268A (ko) 2013-09-10 2013-09-10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86A KR20150029268A (ko) 2013-09-10 2013-09-10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68A true KR20150029268A (ko) 2015-03-18

Family

ID=5302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186A KR20150029268A (ko) 2013-09-10 2013-09-10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03A1 (en) * 2018-01-16 2019-07-25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03A1 (en) * 2018-01-16 2019-07-25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154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JP6178198B2 (ja) 音声翻訳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49666B2 (en) Conference call service with speech processing for heavily accented speakers
CN107003823B (zh) 头戴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EP1486949A1 (en) Audio video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video conversion program
JP2003345379A6 (ja) 音声映像変換装置及び方法、音声映像変換プログラム
KR102554934B1 (ko)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EP2933607A1 (en) Navigation system having language category self-adaptive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CN102761658A (zh) 通过移动终端进行语音对讲的方法和装置
CN102799433A (zh) 一种残疾人可使用软件的实现方法
KR20150029268A (ko)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KR102299571B1 (ko) 장애인을 위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621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청각 장애인의 음성 대화를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용 언어통역 보조장치, 음성합성서버, 음성인식서버, 알람 장치, 강연장 로컬 서버, 및 음성 통화 지원 어플리케이션
KR101609585B1 (ko) 청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기
JP69507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728841B2 (ja) 提示情報出力装置
JP2004248022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KR20150137831A (ko) 청각장애인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her et al. Implementation of smart mobile app for blind & deaf person using Morse code
JP2020119043A (ja) 音声翻訳システムおよび音声翻訳方法
KR2020011665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70057606A (ko) 차량용 문자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74329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작업장 음성 지원 장치
KR102094906B1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Gopinath et al. Development of Speech and Text to Braille Script Converter for Blind and Deaf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