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906B1 -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906B1
KR102094906B1 KR1020190101391A KR20190101391A KR102094906B1 KR 102094906 B1 KR102094906 B1 KR 102094906B1 KR 1020190101391 A KR1020190101391 A KR 1020190101391A KR 20190101391 A KR20190101391 A KR 20190101391A KR 102094906 B1 KR102094906 B1 KR 10209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흠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크로
Priority to KR102019010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을 하여,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적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을 하여,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적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language)는 두뇌 안에 존재하는 낱말, 문법적 지식 등의 추상적 규칙체계를 의미하고, 말(speech)은 호흡기관, 발성기관 및 조음기관을 통한 언어의 외형적 표현을 뜻하며, 이와 같은 언어에 대해서 여러 형태로 장애(language disorders)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유형으로는 크게 언어발달지체, 단순 언어장애, 신경 언어장애가 있다.
상기 언어발달지체(developmental language delay)는 자기 나이에 비해 어린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상징체계를 보이는 경우로, 원인은 선천적으로 신경 또는 신체적인 결함(정신지체, 뇌성마비, 자폐, 난청 등)에 기인할 수 있고, 환경적 요인으로 언어발달이 지체될 수도 있다.
한편,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는 언어 이외의 다른 영역 즉, 사회성이나 인지에 문제가 없으나 언어 규칙과 언어 상징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첫 낱말과 이후의 어휘발달이 느리고 낱말 조합이 늦으며 조음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신경언어장애(neurogenic language disorders)는 뇌졸중, 뇌종양,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언어를 담당하는 두뇌부위에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후천적인 언어장애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실어증을 들 수 있다. 손상은 언어의 전 영역 즉, 말하기, 듣고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언어장애를 최근에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이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에게 의사소통 가능한 기회를 주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말을 보완하거나(Augment) 대체적인(Alternative)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하는 장애우들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을 하면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인한 문제행동의 감소, 정서적 성장, 학습활동 참여, 독립적인 생활의 촉진과 말과 언어발달의 촉진까지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대체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필요한 장애우(예: 말 운동장애, 심한 조음장애), 일상적인 생활언어를 사용하기 어려워 좀 더 직접적이고 쉬운 의사소통 방법이 필요한 장애우(예: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에게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의 사용은 일시적으로 대체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거나 영구적인 결함으로 인해 아예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하나의 언어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우에게 현재 수준과 미래 잠재력 등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말 실행증이란 근육마비나 약화 현상이 없는데도 말소리를 내는데 어려움을 나타내는 증상인데, 말 실행증 장애우는 말 명료도가 심한 장애우부터 경도의 장애우까지 보완 대체 의사소통으로부터 통해 의사소통의 보완 및 대체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적장애우도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지적 능력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 구조화된 문맥속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가르치다가 점차 일반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학계에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IT 분야에서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매우 적어 장애우들이 시스템으로 구성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이용하여 의사소통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부에 그림카드 또는 글자카드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IT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으로 옮긴 정도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기는 하나, 발화장애, 지적장애 또는 뇌성마비 장애를 갖는 장애우들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과 입력 장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의사소통 또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긴급 상황이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해결 불가능하여 당황하거나 의사소통을 포기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의사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심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293호(명칭 :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 소통 단말기 ; 출원일 : 2004년 03월 15일)
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865호(명칭 : 청각장애인용 휴대용 대화 장치 ; 출원일 : 2010년 11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을 하여,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적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인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이 탑재되고, 통신망(N)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 후 실행모듈(20)을 전송받아,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입력/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부분; 상기 기능적 부분이 수용/운용되는 하드웨어로서, 문자 또는 숫자의 입/출력 및 상징카드(10)의 착탈과 인식/출력과 관련된 기구적 구조를 제공하는 기구부분;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의사소통단말기(120)의 기능부분은 하나 이상의 상징카드(10)가 세팅된 상태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 현재 위치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어휘카테고리 또는 최우선어휘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어휘 정보 중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어휘정보처리부(122); 문자 또는 숫자 입력창을 실행모듈(20)을 통해 표출시키고,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 긴급소통요청버튼을 실행모듈(20)에 표출시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직접 또는 상기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연계 통신 접속시켜, 대화상대와 서비스제공장치(110) 운용자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설정 저장된 통신단말번호의 보호자단말기(130)와 통신 접속시키면, 대화상대와 보호자단말기(130)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는 긴급소통유도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의사소통단말기(120)의 기구부분은 경사진 상부면에 터치스크린(120b)과 전원 ON/OFF 및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한 버튼 및 음향 출력용 스피커가 마련된 본체(120a); 상기 본체(120a) 상부면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20b)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테두리(120c); 상기 안착테두리(120c)에 끼워지면서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카드안착프레임(120d);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 내측에 구획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상징카드(10) 복수개가 인식 가능한 정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구획프레임(120e); 상기 본체(120a) 외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각도 조절에 따라 본체(120a)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20f);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과 구획프레임(120e) 중 안착되었던 상징카드(10)가 밀려서 인출되는 방향의 면이 완만한 각을 가지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120f)는 본체(120a)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 형 손잡이로서, 양단을 관통하는 회전축(120g)에 의해 본체(120a)에 축설되고, 상기 축(120g)은 탄발압력에 의해 손잡이(120f) 단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누름에 의해 각도조절기어(120h)의 어긋남 또는 일치함에 따라 손잡이(120f)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카드안착프레임(120d)과 구획프레임(120e) 중 안착되었던 상징카드(10)가 밀려서 인출되는 방향의 면이 완만한 각을 가지며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징카드(10)를 사용 후 각 구획프레임(120e) 내에서 인출할 경우, 손가락으로 상징카드(10)를 밀어올리면, 상기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면을 따라 상징카드(10)가 손쉽게 인출되도록 하는 장애우에게 특히 유용한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120f)가 본체(120a)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 형 손잡이로서, 양단을 관통하는 회전축(120g)에 의해 본체(120a)에 축설되고, 상기 축(120g)은 탄발압력에 의해 손잡이(120f) 단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누름에 의해 각도조절기어(120h)의 어긋남 또는 일치함에 따라 손잡이(120f)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120f)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120f)가 위치한 후방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본체(120a)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우에게 특히 유용한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다른 대화상대와 의사를 주고받기 위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 제공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전송하면, 해당 어휘정보 중, 원하는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해당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장애우들에게 규칙을 정하고 바르고 긍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올바른 행동을 유도함은 물론, 장애우가 대화상대를 마주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중재를 통해 부드러운 의사소통 결과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서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긴급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인 장애우가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심적인 안정을 유지한 가운데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 전체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징카드 적용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징카드가 안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b)은 본 발명의 상징카드를 인출하는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작용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특정 장소들을 도시한 사용처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중 상징카드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이 장소별 상황별로 카테고리화되어 실행모듈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이 특정 장소에 접근하였을 때 비컨에 의해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이 특정 장소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어휘의 문자 내지 숫자를 표출시켜 선택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단말기(12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이 탑재되고, 통신망(N)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 후 실행모듈(20)을 전송받아,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입력/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부분; 상기 기능적 부분이 수용/운용되는 하드웨어로서, 문자 또는 숫자의 입/출력 및 상징카드(10)의 착탈과 인식/출력과 관련된 기구적 구조를 제공하는 기구부분;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기능부분은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징카드(10)가 세팅된 상태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 현재 위치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어휘카테고리 또는 최우선어휘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어휘 정보 중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어휘정보처리부(122); 문자 또는 숫자 입력창을 실행모듈(20)을 통해 표출시키고,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 긴급소통요청버튼을 실행모듈(20)에 표출시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직접 또는 상기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연계 통신 접속시켜, 대화상대와 서비스제공장치(110) 운용자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설정 저장된 통신단말번호의 보호자단말기(130)와 통신 접속시키면, 대화상대와 보호자단말기(130)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는 긴급소통유도부(124);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인 의사소통단말기(120)이 적용되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은,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의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선택 입력하거나 직접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음성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여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서비스제공장치(110)는 통신망(N)과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과 운용을 처리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입을 유도하는 서비스가입처리부(111); 이미지와 문자가 표기된 카드와 상기 이미지와 문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상징카드(10)를 제작하여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제공하는 상징카드제작부(112);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휘를 분석하여 장소 및 동선별로 카테고리화 하는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하는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산출하여 분류하는 최우선어휘분류부(114); 상기 각 상징카드(10) 및 어휘에 속하는 문자 및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음성신호저장부(115);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 위치할 경우, 상기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와 최우선어휘분류부(114)에서 생성 및 분류된 어휘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고,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어휘에 속한 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 전송되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 서비스가입과,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운용하는 실행모듈(20)을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실행모듈제공부(117);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긴급소통연결부(118);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서비스가입처리부(111) 내지 긴급소통연결부(118)를 포함한 각 부는 해당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러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운용되는 서버 및 컴퓨터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기구부분은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상부면에 터치스크린(120b)과 전원 ON/OFF 및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한 버튼 및 음향 출력용 스피커가 마련된 본체(120a); 상기 본체(120a) 상부면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20b)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테두리(120c); 상기 안착테두리(120c)에 끼워지면서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카드안착프레임(120d);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 내측에 구획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상징카드(10) 복수개가 인식 가능한 정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구획프레임(120e); 상기 본체(120a) 외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각도 조절에 따라 본체(120a)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20f);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의사소통단말기(120)와 기타통신단말기(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한 음성 및 영상 통신 가능한 기타 무선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과 구획프레임(120e) 중 안착되었던 상징카드(10)가 밀려서 인출되는 방향의 면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각을 가지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손잡이(120f)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a)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 형 손잡이로서, 양단을 관통하는 회전축(120g)에 의해 본체(120a)에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120g)은 탄발압력에 의해 손잡이(120f) 단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누름에 의해 각도조절기어(120h)의 어긋남 또는 일치함에 따라 손잡이(120f)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징카드(10)는 각 장소 또는 상황에 따라 도형, 그림, 사진과 이에 대한 단어와 같은 문자 또는 숫자가 전면에 표기되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다수의 카드로서, 해당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디지털 정보가 입력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실행모듈(20)은 서비스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와 가입 후 접속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인식된 상징카드(10)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과,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 및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운용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단말기(120)로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의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선택 입력하거나 직접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음성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여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다른 대화상대와 의사를 주고받기 위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 제공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전송하면, 해당 어휘정보 중, 원하는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해당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장애우들에게 규칙을 정하고 바르고 긍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올바른 행동을 유도함은 물론, 장애우가 대화상대를 마주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중재를 통해 부드러운 의사소통 결과를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서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긴급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인 장애우가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심적인 안정을 유지한 가운데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구적인 작용을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120a)의 경사진 상부면에 위치한 터치스크린의 테두리인 안착테두리(120c)에 카드안착프레임(120d)을 끼워서 고정시키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징카드(10)를 카드안착프레임(120d) 테두리 내에 마련되는 구획프레임(120e)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상징카드(10)를 인입시키면 터치스크린의 정확한 인식 위치에 상징카드(10)가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징카드(10)를 누르게 되면, 상징카드(10)의 RFID태그를 본체(120a)의 터치스크린 후방에 배치된 각각의 RFID수신부가 인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징카드(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징카드(10)를 각 구획프레임(120e) 내에서 인출할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상징카드(10)를 밀어올리면,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면을 따라 상징카드(10)가 손쉽게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프레임(120e)의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면은 4방으로 이루어진 구획영역 프레임 중 상방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프레임(120e)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은 상하 또는 좌우 2영역일 수도 있고 2X2 영역일 수도 있고 3X2 영역일 수도 있고 4X2 영역일 수도 있고 3X3 영역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구획되는 카드안착프레임(120d) 다수개가 세트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상징카드(10)의 사이즈도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또한,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20f)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20f)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a)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 형 손잡이로서, 양단을 관통하는 회전축(120g)에 의해 본체(120a)에 축설되고, 상기 축(120g)은 탄발압력에 의해 손잡이(120f) 단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누름에 의해 각도조절기어(120h)의 어긋남 또는 일치함에 따라 손잡이(120f)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손잡이(120f)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120f)가 위치한 후방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본체(120a)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작용을 설명하자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기타통신단말기(120') 및 보호자단말기(130)는 블루투스, 로라망(LoRa), z wave 통신, 비컨(beacon) 통신, 와이파이 통신, 이동 통신(예를 들어, 3G, 4G, 또는 5G 통신) 및 기타 근거리 통신과 같은 통신망(N)을 통해 상호 통신 접속된다.
또한, 상기 장소 내지 이동동선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장애우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10)를 휴대하고 다니는 장소 예컨대, 학교, 체육관, 학교식당, 특별교실, 병원, 마트, 대중교통 등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영역이며, 이러한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 실시예적으로 비컨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의 장애우들이 휴대한 의사소통단말기(120) 각각을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원격적으로 감지 인식하여 위치 확인과 함께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장소에 위치하거나 이동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을 하여야 할 경우,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징카드(10)를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에 접촉시키거나 디스플레이창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터치를 하면, 상기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가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주 가는 장소나 상황에 따라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어휘가 저장되어 있어, 해당 장소나 상황을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어휘에 포함된 문자(단어)나 숫자가 출력되며, 원하는 문자나 숫자를 선택하면, 상기 어휘정보처리부(122)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장애우가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특정 장소 예컨대, 재활치료실에 접근하거나 입실하게 되면, 통신망(N)을 형성하는 비컨이 의사소통단말기(120)를 인식하고, 재활치료실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문자(단어)와 숫자를 실행모듈(20)을 통해 출력시키고, 출력되는 문자(단어)와 숫자를 선택하면, 상기 어휘정보처리부(122)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에 포함된 문자(단어)나 숫자를 출력하여 손쉽게 즉각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 활성화된 실행모듈(2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를 통해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문장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장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에 표시되는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의 긴급소통연결부(118)가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20 : 의사소통단말기 121 : 상징카드정보처리부
122 : 어휘정보처리부 123 : 직접입력정보처리부
124 : 긴급소통유도부 120' : 기타통신단말기
120a : 본체 120b : 터치스크린
120c : 안착테두리 120d : 카드안착프레임
120e : 구획프레임 120f : 손잡이
120g : 회전축 120h : 각도조절기어
110 : 서비스제공장치 130 : 보호자단말기
10 : 상징카드 20 : 실행모듈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상징카드(10)가 세팅된 상태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와, 현재 위치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어휘카테고리 또는 최우선어휘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어휘 정보 중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어휘정보처리부(122)와, 문자 또는 숫자 입력창을 실행모듈(20)을 통해 표출시키고,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와, 긴급소통요청버튼을 실행모듈(20)에 표출시켜 버튼이 선택되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직접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연계 통신 접속시켜, 대화상대와 서비스제공장치(110) 운용자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거나,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설정 저장된 통신단말번호의 보호자단말기(130)와 통신 접속시키면, 대화상대와 보호자단말기(130)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는 긴급소통유도부(124)를 포함하는 기능부분;
    경사진 상부면에 터치스크린(120b)과 전원 ON/OFF 및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한 버튼 및 음향 출력용 스피커가 마련된 본체(120a)와, 상기 본체(120a) 상부면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20b)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테두리(120c)와, 상기 안착테두리(120c)에 끼워지면서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카드안착프레임(120d)과,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 내측에 구획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상징카드(10) 복수개가 인식 가능한 정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구획프레임(120e)과, 상기 본체(120a) 외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각도 조절에 따라 본체(120a)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20f)를 포함하는 기구부분; 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드안착프레임(120d)과 구획프레임(120e)의 내부에 안착되었던 상징카드(10)가 밀려서 인출되는 방향의 면이 완만한 각을 가지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0f)는 본체(120a)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 형 손잡이로서, 양단을 관통하는 회전축(120g)에 의해 본체(120a)에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120g)은 탄발압력에 의해 손잡이(120f) 단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누름에 의해 각도조절기어(120h)의 어긋남 또는 일치함에 따라 손잡이(120f)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KR1020190101391A 2019-08-19 2019-08-19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KR10209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91A KR102094906B1 (ko) 2019-08-19 2019-08-19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91A KR102094906B1 (ko) 2019-08-19 2019-08-19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906B1 true KR102094906B1 (ko) 2020-05-29

Family

ID=7091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391A KR102094906B1 (ko) 2019-08-19 2019-08-19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9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99Y1 (ko) * 2005-03-07 2005-06-07 윤국원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JP2007293395A (ja) * 2006-04-21 2007-11-08 Shodensha:Kk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
JP2008521021A (ja) * 2004-11-02 2008-06-19 カスタム ラブ ソフトウェ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補助通信デバイス
JP2017044763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匠電舎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965103B1 (ko)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스마트 aac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021A (ja) * 2004-11-02 2008-06-19 カスタム ラブ ソフトウェ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補助通信デバイス
KR200386099Y1 (ko) * 2005-03-07 2005-06-07 윤국원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JP2007293395A (ja) * 2006-04-21 2007-11-08 Shodensha:Kk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
JP2017044763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匠電舎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965103B1 (ko)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스마트 aac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099호(2005.6.7.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965103호(2019.4.2. 공고)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93395호(2007.11.8.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044763호(2017.3.2. 공개) 1부.*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8-521021호(2008.6.19. 공표)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07B1 (ko) 수화 번역기, 시스템 및 방법
Shane et al. Using AAC technology to access the world
USRE41002E1 (en) Telephone for the deaf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00026764A1 (en) Method of video call
Ok Use of iPads as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112018003273T5 (de)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aufzeichnungsmedium
Baldauf et al. Exploring requirements and opportunities of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s for the cognitively impaired
Robitaille The illustrated guide to assistive technology and devices: Tools and gadgets for living independently
KR101965103B1 (ko) 스마트 aac 시스템
Dhanjal et al. Tools and technique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US20220284254A1 (en) Reconfigurable interaction badge
KR102112822B1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Hermawati et al. Assistive technologies for severe and profound hearing loss: Beyond hearing aids and implants
Chuckun et al. Enabling the Disabled using mHealth
KR102094906B1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단말기
KR10184621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청각 장애인의 음성 대화를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용 언어통역 보조장치, 음성합성서버, 음성인식서버, 알람 장치, 강연장 로컬 서버, 및 음성 통화 지원 어플리케이션
Samim A New Paradigm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Disabilities
Shanmugam et al. A c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assistive technology: advancements, laws, and impact on improving the rehabilitation of dysarthric patients
Suvika et al. Soft Support: Specially Abled Communication
JP730417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4248022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Gandhewar et al. Accessibility in disability: revolutionizing mobile technology
Woodcock Ergonomics a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s for deaf and hard-of-hearing users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ashritha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Blind and Deaf People: A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