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637A -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Google Patents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8637A KR20150028637A KR20130107530A KR20130107530A KR20150028637A KR 20150028637 A KR20150028637 A KR 20150028637A KR 20130107530 A KR20130107530 A KR 20130107530A KR 20130107530 A KR20130107530 A KR 20130107530A KR 20150028637 A KR20150028637 A KR 201500286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heating
- pipe
- contact pin
- hea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4—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e.g. using induction, dielectric or microwave hea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 상기 팬케익부의 테두리에 결합된 워터 거터; 상기 워터 거터에 관통하게 결합된 배관;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상기 배관에 결합되고,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배관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에서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의 외곽에 워터 거터(water gutter)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워터 거터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의 테두리와 안전망 사이에 배치되고, 팬케익부의 테두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팬케익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팬케익부의 윗면으로부터 흘러 넘친 빗물이나, 헬리콥터에서 유출된 기름 등의 유체를 수집하여 처리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즉, 워터 거터로 모인 유체는 워터 거터의 바닥에 관통하게 연결된 배수 파이프 등의 배관을 통해서 선박의 유체 처리 설비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데, 헬리데크가 부유식 구조물의 본체 및 선박의 선체의 상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해상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고, 특히 겨울철 습기가 많은 배관이 겨울철 냉기에 의해 얼어서 동파 또는 파열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헬리데크의 배수 파이프 등의 배관도 역시 상기 상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공중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파 또는 파열된 배관을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거나,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서 작업하는 도중 추락사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헬리데크의 배관 자체가 겨울철 냉기에 의해 동파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배관 자체를 단열재를 덧대고, 이후 덧대어진 단열재를마감 테이프로 감는 일반적인 배관 단열 시공 공법은 헬리데크와 같은 고소의 위치에서 수행하기 매우 어렵고,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이 극지방에서 운용될 경우, 단순히 단열재만으로는 배관의 동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열 작동이 가능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제공하되,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헬리데크의 워터 거터의 배수 파이프와 같은 배관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킬 때, 기계적 결합과 전기적 접속이 동시에 구현되어 시공이 용이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 상기 팬케익부의 테두리에 결합된 워터 거터; 상기 워터 거터에 관통하게 결합된 배관;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상기 배관에 결합되고,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배관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가열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된 제 1-1 히팅부;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 1-2 히팅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 2-1 히팅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 2-2 히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배관의 상부 또는 하부를감싸는 반원 튜브 형상의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부에 충진되고, 상기 제 1-1 히팅부 또는 상기 제 1-2 히팅부가 내장된 단열코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전원입력선; 및 상기 제 1-1 히팅부와 상기 제 1-2 히팅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1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1 히팅부에 접속된 콘택트핀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을 갖는 제 1 플러그;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1-2 히팅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1 플러그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을 갖는 제 1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1 히팅부와 상기 제 2-2 히팅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2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의 제 3 전선에 접속된 콘택트핀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을 갖는 제 2 플러그;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2-2 히팅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을 갖는 제 2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배관의 외표면에 고정된 스넵 파스너 안착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마련되고, 상기 스넵 파스너 안착부와 체결되는 스넵 파스너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는 워터 거터에 결합된 배관의 외부를 감싸는 분해 조립형 동파 방지 튜브형 구조물의 일측 절반 및 타측 절반에 해당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제공하되,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단열코어부 및 제 1-1 히팅부, 제 1-2 히팅부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부착된 제 2-1 히팅부, 제 2-2 히팅부에 의해 이중가열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극지방 등에서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의 헬리데크에 설치된 배관의 동파 또는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은 각각의 하우징이 서로 대면하여 체결되는 단부에 각각 기계적 결합과 전기적 접속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배관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1 히팅부, 제 2-2 히팅부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과 배관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고, 제 1-1 히팅부, 제 1-2 히팅부용 제 1 스위치와, 제 2-1 히팅부, 제 2-2 히팅부용 제 2 스위치의 선택 사용에 따라,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분리형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1 개 또는 한 곳의 전원입력선으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각각의 내부에 마련된 제 1-1 히팅부, 제 1-2 히팅부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마련된 제 2-1 히팅부, 제 2-2 히팅부에 모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에 따라 전선 배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관의 외표면에 미리 용접으로 고정한 스넵 파스너 안착부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마련된 스넵 파스너 체결부간의 결합을 통해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을 배관의 외표면 쪽으로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은 커넥터부의 주변에 주름부를 구비하여, 커넥터부의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부주위 또는 사고로 인하여 히팅코일이 작동되지 않아서 배관이 얼어서 팽창하는 경우에도, 주름부의 변형을 통해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서로 분리되거나 체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2-1 히팅부, 제 2-2 히팅부는 주름부 사이에 배치되어 갭에 의한 보이드 공간(void space)를 제거하는 역할과 함께, 직접적으로 배관에 열을 전달하여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헬리데크로서, 헬리데크의 기본구성으로서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100)와, 팬케익부(100)의 저부에 연결된 팬케익 지지부(200) 및 팬케익 지지부(200)의 저부에 연결된 데크 지지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팬케익부(100)의 테두리에 결합된 워터 거터(300)와, 상기 워터 거터(300)에 관통하게 결합된 배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관(400)은 헬리데크와 관련된 빗물, 헬리콥터 주유시 발생 가능한 기름 또는 오일 등을 지칭하는 유체를 헬리데크의 외부 쪽으로 배출시키고, 헬리데크가 설치된 부유식 구조물의 본체 또는 선박의 선체의 외부로 노출된 배관 설비 전체를 지칭할 수 있다.
즉, 배관(400)은 워터 거터(300)의 바닥에 관통하게 연결된 배수관 또는 배수관으로부터 유체 처리 설비(미 도시)까지 연장된 각종 연결 파이프 등을 통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400)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배관 동파 방지모듈(500)에 의해 감싸져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 동파 방지모듈(500)은 조립 작업을 통해 배관(400)을 감싸도록 배관(400)에 결합되거나, 분해 작업을 통해 양분되게 분리, 즉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형상은 배관(400)의 파이프 형상(예: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상) 또는 배관(400)의 파이프 연결관부재(예: 엘보, T자 연결관)의 각 형상에 대응하여, 각 형상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 또는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관 동파 방지모듈은 단열 구조의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과, 제 1 하우징(510)과 제 2 하우징(550) 중 어느 한 곳에서 인출, 예컨대 제 1 하우징(510)에서 인출되고, 다수 개, 예컨대 제 1 내지 제 4 전선(611, 612, 613, 614)을 갖는 전원입력선(6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은 전원입력선(610)에 접속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제 1-1 히팅부(511) 및 제 1-2 히팅부(551) 쌍 또는 제 2-1 히팅부(512, 513, 514) 및 제 2-2 히팅부(552, 553, 554) 쌍 중 어느 하나의 쌍을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쌍을 모두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620)는 제 1-1 히팅부(511), 제 1-2 히팅부(551)용 제 1 스위치(621)와,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용 제 2 스위치(6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스위치부(620)는 전원공급부(630)과 접속되어 있어서, 제 1-1 히팅부(511), 제 1-2 히팅부(551),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히팅부(511), 제 1-2 히팅부(551)는 히팅코일 또는 전열선, 탄소나노튜브히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는 다수 개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 1 하우징(510) 또는 제 2 하우징(550)의 길이에 대응하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1 히팅부(511), 제 1-2 히팅부(551),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는 본 실시예에서 배관가열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배관가열수단은 제 1 하우징(510)에 내부에 설치된 제 1-1 히팅부(511)와, 제 2 하우징(55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2 히팅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관가열수단은 제 1 하우징(510)의 안쪽면(501)에 설치되고, 다수 개로 이루어져서 제 1 하우징(510)의 안쪽면(50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제 2-1 히팅부(512, 513,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510)의 안쪽면(501)이란 배관(400)의 하부쪽 외표면의 대향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1 히팅부(512, 513, 514)는 서로 연결전선(503)을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510)의 안쪽면(501)은 제 1 하우징(510)이 반원 튜브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가정할 경우, 반원 튜브형 구조물의 내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배관가열수단은 제 2 하우징(550)의 안쪽면(502)에 설치된 제 2-2 히팅부(552, 553, 5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우징(550)의 안쪽면(502)이란 배관(400)의 상부쪽 외표면의 대향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2 히팅부(552, 553, 554)는 배관(400)을 기준으로 제 2-1 히팅부(512, 513, 514)에 대하여 상하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2 히팅부(552, 553, 554)도 해당 연결전선(504)을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동파 방지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하우징(510) 또는 제 2 하우징(550)은 각각 배관(400)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감싸는 반원 튜브 형상의 외피부(531)와, 이러한 외피부(531)의 내부에 충진되고, 제 1-1 히팅부(511) 또는 제 1-2 히팅부(551)가 내장된 단열코어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피부(53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몰드형 중공 구조물로서, 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코어부(532)를 몰드형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충진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외피부(531)는 전원입력선(6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멍 혹은, 다수 개의 제 2-1 히팅부(512, 513, 514)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전선(503)통과용 연결구멍 등을 더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510) 및 상기 제 2 하우징(550) 각각은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주름부(515, 5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름부(515, 555)는 제 1 하우징(510) 및 상기 제 2 하우징(550)의 안쪽면(501, 502) 및 바깥쪽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하우징(510) 및 상기 제 2 하우징(550) 각각은 가요성 재질, 예컨대 우레탄 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서로 마주보는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단부끼리 서로 일치되게 형합시킬 때, 주름부(515, 555)가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형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510) 및 상기 제 2 하우징(550) 각각에서 주름부(515, 555)의 사이에 해당하는 안쪽면(501, 502)에는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의 사이 공간에 해당 주름부(515, 555)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주름부(515, 555)의 주름 돌출 높이에 대응하고 주름부(515, 555) 사이로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가 접착될 공간에 해당하는 갭(g)은 제 2-1 히팅부(512, 513, 514), 제 2-2 히팅부(552, 553, 554)에 의해 채워짐에 따라 대부분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400)의 외표면에 고정된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와, 상기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안쪽면(501, 502)에 마련되고, 상기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와 형합 또는 체결되는 스넵 파스너 체결부(505, 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와 스넵 파스너 체결부(505, 506)는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안쪽면(501, 502)을 배관(400)의 외표면 쪽으로 밀착 및 고정시키고,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이 배관(400)에서 회전 또는 이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는 배관(400)의 외표면에 용접되는 돌출 구조물일 수 있고,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의 내부에 탄성고정편을 구비하여, 스넵 파스너 체결부(505, 506)의 돌기의 홈에 결속 또는 스탭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와 스넵 파스너 체결부(505, 506)는 다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510)의 제 2-1 히팅부(513) 및 제 2 하우징(550)의 제 2-2 히팅부(553)에는 스넵 파스너 안착부(410, 411)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513a, 553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하우징(510) 또는 제 2 하우징(550)은 제 1-1 히팅부(511)와 제 1-2 히팅부(551)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1 커넥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부(520)는 하우징 단부 일측(예: 우측)의 커넥터(520a)와 하우징 단부 타측(예: 좌측)의 커넥터(520b)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520a, 520b)들이 하우징 단부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 1 커넥터부(5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20a)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20a)인 제 1 커넥터부(520)는 제 1 하우징(510)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제 1 하우징(510)의 제 1-1 히팅부(511)에 접속된 콘택트핀(521)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521)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522)을 갖는 제 1 플러그(5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부(520)는 제 2 하우징(550)의 제 1-2 히팅부(551)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1 플러그(523)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521)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524)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524)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522)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525)을 갖는 제 1 소켓(5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히팅부(511) 및 제 1-2 히팅부(551)의 전기적 결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전원입력선(610)에서 분기된 제 1 전선(611)은 제 1-1 히팅부(511)의 입력단(511a)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1-1 히팅부(511)의 출력단(511b)는 상기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20a)의 콘택트핀(521)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콘택트핀(521)은 터미널 콘택트(524)를 통해서 제 1-2 히팅부(551)의 입력단(551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2 히팅부(551)의 출력단(551b)은 하우징 단부 타측의 커넥터(520b)의 터미널 콘택트 및 콘택트핀을 경유하여 다시 제 1 하우징(510)의 제 2 전선(6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선(611) 또는 제 2 전선(612)에 결합된 제 1 스위치(도 2의도면부호 '621')를 온 또는 오프 시킴에 따라, 제 1-1 히팅부(511) 및 제 1-2 히팅부(551)에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원 인가시 제 1-1 히팅부(511) 및 제 1-2 히팅부(551)가 발열되어 배관(400)의 동파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510) 및 상기 제 2 하우징(550)은 제 2-1 히팅부(512, 513, 514)와 상기 제 2-2 히팅부(552, 553, 554)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2 커넥터부(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부(540)도 하우징 단부 일측(예: 우측)의 커넥터(540a)와 하우징 단부 타측(예: 좌측)의 커넥터(540b)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540a, 540b)들이 하우징 단부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 2 커넥터부(540)의 구성에 대한 설명도 역시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40a)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40a)인 제 2 커넥터부(540)는 제 1 하우징(510)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전원입력선(610)의 제 3 전선(613)에 접속된 콘택트핀(541)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541)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542)을 갖는 제 2 플러그(5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부(540)는 제 2 하우징(550)의 제 2-2 히팅부(552)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2 플러그(543)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541)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544)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544)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542)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545)을 갖는 제 2 소켓(5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1 히팅부(512, 513, 514) 및 제 2-2 히팅부(552, 553, 554)의 전기적 결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전원입력선(610)에서 분기된 제 3 전선(613)은 제 2 커넥터부(540)로서 하우징 단부 일측의 커넥터(540a)의 콘택트핀(541)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콘택트핀(541)은 터미널 콘택트(544)를 통해서 제 2-2 히팅부(552, 553, 55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다수 개의 제 2-2 히팅부(552, 553, 554)들은 해당 연결전선(504)을 통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렬 연결된 다수 개의 제 2-2 히팅부(552, 553, 554)는 하우징 단부 타측의 커넥터(540b)의 터미널 콘택트 및 콘택트핀을 통하여 제 2-1 히팅부(512, 513, 514)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제 2-1 히팅부(512, 513, 514)들도 해당 연결전선(503)을 통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 2-1 히팅부(512)는 전원입력선(610)에서 분기된 제 4 전선(61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전선(613) 또는 제 4 전선(614)에 결합된 제 2 스위치(도 2의도면부호 '622')를 온 또는 오프 시킴에 따라, 제 2-1 히팅부(512, 513, 514) 및 제 2-2 히팅부(552, 553, 554)에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원 인가시 제 2-1 히팅부(512, 513, 514) 및 제 2-2 히팅부(552, 553, 554)가 발열되어 배관(400)의 동파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제 1 커넥터부(520) 및 제 2 커넥터부(540)는 콘택트핀 및 터미널 콘택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고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체결에만 사용되도록 제 1 하우징(510) 및 제 2 하우징(550)의 단부에 더 마련된 각각의 커넥터부들은 상기의 설명에서 콘택트핀 및 터미널 콘택트를 제외한 구성의 플러그 및 소켓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팬케익부 200 : 팬케익 지지부
300 : 워터 거터 400 : 배관
410, 411 : 스넵 파스너 안착부 500 : 배관 동파 방지모듈
505, 506 : 스넵 파스너 체결부 510 : 제 1 하우징
511 : 제 1-1 히팅부 512, 513, 514 : 제 2-1 히팅부
515, 555 : 주름부 550 : 제 2 하우징
551 : 제 1-2 히팅부 552, 553, 554 : 제 2-2 히팅부
610 : 전원입력선 620 : 스위치부
300 : 워터 거터 400 : 배관
410, 411 : 스넵 파스너 안착부 500 : 배관 동파 방지모듈
505, 506 : 스넵 파스너 체결부 510 : 제 1 하우징
511 : 제 1-1 히팅부 512, 513, 514 : 제 2-1 히팅부
515, 555 : 주름부 550 : 제 2 하우징
551 : 제 1-2 히팅부 552, 553, 554 : 제 2-2 히팅부
610 : 전원입력선 620 : 스위치부
Claims (8)
-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
상기 팬케익부의 테두리에 결합된 워터 거터;
상기 워터 거터에 관통하게 결합된 배관;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상기 배관에 결합되고,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된 배관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가열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된 제 1-1 히팅부;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 1-2 히팅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 2-1 히팅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 2-2 히팅부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배관의 상부 또는 하부를감싸는 반원 튜브 형상의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부에 충진되고, 상기 제 1-1 히팅부 또는 상기 제 1-2 히팅부가 내장된 단열코어부;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전원입력선; 및
상기 제 1-1 히팅부와 상기 제 1-2 히팅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1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1 히팅부에 접속된 콘택트핀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을 갖는 제 1 플러그;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1-2 히팅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1 플러그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을 갖는 제 1 소켓을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1 히팅부와 상기 제 2-2 히팅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서로 형합되는 단부에 마련된 제 2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되고, 통전 또는 단전을 위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의 제 3 전선에 접속된 콘택트핀과, 기계적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상기 콘택트핀의 주변에 마련된 분리탭을 갖는 제 2 플러그;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2-2 히팅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콘택트핀에 접속되는 터미널 콘택트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의 주변에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탭에 체결되는 정지턱구멍을 갖는 제 2 소켓을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표면에 고정된 스넵 파스너 안착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안쪽면에 마련되고, 상기 스넵 파스너 안착부와 체결되는 스넵 파스너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7530A KR20150028637A (ko) | 2013-09-06 | 2013-09-06 |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7530A KR20150028637A (ko) | 2013-09-06 | 2013-09-06 |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8637A true KR20150028637A (ko) | 2015-03-16 |
Family
ID=5302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7530A KR20150028637A (ko) | 2013-09-06 | 2013-09-06 |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863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307B1 (ko) * | 2017-06-15 | 2018-08-0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유량계 보호용 냉온장치 |
KR101990440B1 (ko) * | 2018-09-21 | 2019-06-18 | 강현녀 | 음수대에 적용하는 동파방지시스템 |
-
2013
- 2013-09-06 KR KR20130107530A patent/KR2015002863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307B1 (ko) * | 2017-06-15 | 2018-08-0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유량계 보호용 냉온장치 |
KR101990440B1 (ko) * | 2018-09-21 | 2019-06-18 | 강현녀 | 음수대에 적용하는 동파방지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8441B2 (en) | Busbar for a power distributor in vehicles and power distributor having such a busbar | |
US5245161A (en) | Electric heater | |
EP2505937B1 (en) | 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 |
US20110272054A1 (en) | 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 |
KR101754973B1 (ko) |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 |
KR20150028637A (ko) | 배관 동파 방지모듈을 갖는 헬리데크 | |
CN101490780B (zh) | 用于供电和配电开关设备的开关 | |
US20140096860A1 (en) | 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uxiliary Heat Conduction Structur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 |
US20090201687A1 (en) | Simplified truss assembly and lighting track interconnection | |
US8944625B2 (en) | Underwater light for swimming pool | |
US10256620B2 (en) | Sleeve for shielding electrical joint | |
KR20170017096A (ko) |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 |
WO2014109705A1 (en) | A power cable arrangement for an offshore wind power park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nd disestablishing a power cable arrangement | |
RU2011149587A (ru) | Плавучая с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 |
ES2567057T3 (es) | Dispositivo para la instalación de líneas de transmisión | |
KR100699920B1 (ko) |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 |
KR20220003202A (ko) | 교류 메탈 히터와 면상 발열체가 조합된 혼합 동파방지 시스템 | |
KR101178177B1 (ko) |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 |
CN101260790A (zh) | 修井井口保温加热装置 | |
CN202523596U (zh) | 转换器 | |
KR100527045B1 (ko) |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 |
CN202856167U (zh) | 共箱母线换相转接箱 | |
CN206878192U (zh) | 防水导线连通装置及导线系统 | |
KR101288384B1 (ko) | 발열부를 구비한 파이프 | |
KR0129597Y1 (ko)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