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096A -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096A
KR20170017096A KR1020150110472A KR20150110472A KR20170017096A KR 20170017096 A KR20170017096 A KR 20170017096A KR 1020150110472 A KR1020150110472 A KR 1020150110472A KR 20150110472 A KR20150110472 A KR 20150110472A KR 20170017096 A KR20170017096 A KR 2017001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pipe
freeze protection
freez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1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096A/ko
Publication of KR2017001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배관 동파 방지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장치는, 배관에 고정되고, 혹한기에 상기 배관을 보온하여 상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 상에 위치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PIPING WITH FROZEN PREVENTING DEVICE, AND PIPE FITTING WITH FROZE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 및 배관 부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혹한기에도 효과적으로 배관을 보온할 수 있도록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혹한기 등의 경우에, 배관의 동파를 예방하기 위한 다수의 노력이 있었다.
그와 같은 노력 중에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관 내부에 히터 등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의 방법은 배관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이 히터와 접촉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배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점성이 높거나, 이 유체가 단일 유체가 아니라 다른 유체와 혼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유체 내에, 예컨대 찌꺼기와 같은 불순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히터의 존재 때문에 유체의 유동이 심각하게 방해받았으며, 특히 히터에 대해서 불순물 등이 계속 걸리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히터가 불순물 등에 의해서 파손되기도 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히터의 파손에 따른 히터의 단락에 의한 전기 폭발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까지도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 중에서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배관의 일부에 대해서 수직으로 구멍을 절개하고, 이 구멍에 히터를 삽입하는 방식(미도시)이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수직으로 구멍을 절개하는 방식은, 특허 문헌 1에서와 같이 배관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법에서의 단점에 추가하여, 이 수직 구멍에 의한 유체의 누출, 예컨대 물의 누수와 같은 다소 해결하기 까다로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관 보온 장치는, 이들 설치된 히터 중의 어느 하나가 고장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등에 의해서 파손되는 경우에, 그 교체가 대단히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즉, 작업이 진행 중인 배관에 대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등의 비상한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히터의 교체가 불가능하였다.
더 나아가서 배관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히터가 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배관에 수직으로 삽입된 히터의 경우에는 유체 등에 의해서 히터가 파손되고, 이때 히터에 의한 합선 등에 의한 전기 화재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기존의 배관 내 히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창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8827호(2007년 06월 1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배관 파이프 동파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혹한기라고 할지라도 우수한 보온 효과를 갖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히터에 대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등에 의한 화재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은, 금속 배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혹한기에 상기 금속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배관을 보온하기 위한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으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장치;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의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상기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에 상기 몸체를 고정할 때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사이에 방열 접착제가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부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감싸는 보온 단열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배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혹한기에 상기 금속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배관을 보온하기 위한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으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장치;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 부품;과 상기 배관 부품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의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상기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에 상기 몸체를 고정할 때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들 사이에 방열 접착제가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부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감싸는 보온 단열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 부품은 티(tee), 커플러(coupler), 리듀서(reducer), 엘보(elbow), 밸브(valve) 중의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과장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혹한기라고 할지라도 배관에 대한 우수한 동파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히터에 대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등에 의한 화재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을 이루는 동파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동파 방지 장치의 A-A 단면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의 B-B 단면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 요소의 상대적인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을 이루는 동파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동파 방지 장치의 A-A 단면을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을 이루는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의 B-B 단면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을 이루는 동파 방지 장치(100)는, 금속 배관(220)의 외측에 형성되고, 혹한기에 상기 금속 배관(22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배관(220)을 보온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히터(140);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장치(100);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220);과 상기 배관(220)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240);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는 상기 베이스(24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의 상기 몸체(120)의 상부면(124)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를 상기 배관(220)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구멍(122)을 더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나사 구멍(122)을 도합 6 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와 같은 나사 구멍(122)의 갯수는 더 많아지거나 더 적어질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상술한 나사 구멍(122)은 나사를 삽입하는 것으로서의 양태를 상정하였으나, 핀(pin)과 같은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위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관(220)에 상기 몸체(120)를 고정할 때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사이에 방열 접착제(미도시)가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접착제는 배관(220)과 몸체(120) 사이에 도포되어 이들 사이에서의 열 전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상술한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방열 접착제 이외에도, 열 전도를 위해서는, 전도성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배관(220)과 몸체(120) 사이에는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베이스(240)는 상기 배관(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배관(220)의 하부에 열을 가하면 이에 의해서 배관(220) 내부의 유체가 상승하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서 배관(220) 내부 전체에 걸쳐서 유체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상기 배관(220)의 외주부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를 감싸는 보온 단열재(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온 단열재를 더 설치하게 되면, 동파 방지 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동파 방지 장치(100)에 설치되는 히터(140)의 열 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요되는 전력 사용량 역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동파 방지 장치(100)는 상기 몸체(120)의 상부면(124)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1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접속부(130)는 두말할 나위 없이 몸체(120) 내에 설치되는 히터(140)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도면에서는 돌출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시에는 돌출부에 의해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구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전원 접속부(130)는 상부면(124)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전원 접속부(130)는 여기에 접속되는 전원선이 한번 삽입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제작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원 접속부(130)를 형성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동파 방지 장치(100)를 배관(220) 상의 베이스(240)에 시공할 때의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각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100)를 구비한 배관(220)의 구성에 대해서 재차 면밀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 도 2에 따르면, 히터(140)는 동파 방지 장치(100) 하부에 형성한 일 개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서는 히터(140)가 동파 방지 장치(100)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히터(140)가 동파 방지 장치(100)의 폭 방향, 즉 도면에서 보아, 좌우측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배관(220)의 길이 방향으로도 하나 이상의 히터(140)가 설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22가 지시하는 나사 구멍은 몸체(120)의 상부면(124)으로부터, 베이스(240)까지 나사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관(220)의 외주부를 따라서 배관(2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40)에는, 나사 구멍(1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 나사 구멍(122)에 삽입되는 나사 등이 베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나사의 구성을 사용하고 있지만, 당연하게 나사 이외의 고정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동파 방지 장치(100)와 배관(220)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밴드(band, 미도시), 또는 동파 방지 장치(100)와 배관(220)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테이프(tape) 등을 채택할 수 있음은 잘 알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40)의 형태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일자형의 배관(220)이 아닌, "ㄱ"자형 배관이라든가 "O" 형 배관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6 개의 나사 구멍(122; 242)이 형성된 구성 역시 다른 구성을 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로부터, 히터(140)는 몸체(120)의 가운데 부분에 적절한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삽입되어 있지만, 배관(220)에 형성된 베이스(240)에 이와 같은 종류의 개구를 먼저 형성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베이스(240)에 미리 히터(140)가 설치될 자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히터(140)를 배관(220) 상에 위치시키는 동작만으로부터 용이하게 히터(140)를 제 위치에 유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파 방지 장치(100)는 알루미늄과 같이 적절한 열 전도성과 함께 가공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배관(220)이 설치되는 공정의 종류에 따라서, 알루미늄으로 형성한 부품이 사용될 수 없는 개소를 고려하여,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구리와 같은 별도의 소재로, 동파 방지 장치(1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부터,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의 일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130)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20)의 일측부라는 것은, 당연하게도, 몸체(120)의 한쪽 가장자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120)의 가운데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도면에서 보아, 몸체(12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접속부(130)가 몸체(120)의 한 군데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파 방지 장치(100)의 실제 시공에 있어서, 배관(220)이 밀집하여 있거나 배관(220)의 설치 형태 때문에 동파 방지 장치(1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 예컨대, 일측에만 전원 공급선(미도시)을 접속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한 군데 이상의 위치에 전원 접속부(13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전원 접속부(130)는 불필요한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공 이후에, 밀봉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접속부(130)는, 도면에서는 돌출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 예를 들면, 몸체(120)의 상부면(124)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20)로부터 전원 접속부(130)가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면, 배관(220) 밀집 구역 등에서의 공간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 전원 접속부(130)에는, 예를 들면, 가운데 구멍(도 5의 도면 부호 135 참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구멍을 통해서,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에 설치되는 히터(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출한 전원 접속부(130)는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적어도 30 mm 이상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접속부(130)가 충분한 높이로 돌출하게 되면, 히터(14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미도시)이 상술한 전원 접속부(130)에 충분한 길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공급선(미도시)의 일부가 불필요하게 경화되어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이나 단선 등에 의한 불필요한 고장을 예방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동파 방지 장치(100)는 배관(2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술한 히터(140) 역시 동파 방지 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상술한 히터는 배관(220)에 설치되는 공간 상의 제약을 고려하여 배관(220)의 길이 방향, 즉 도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히터가, 예컨대 지그 재그 형상으로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 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히터(140)는 반드시 일("一")자형으로 몸체(120)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전원 접속부(130)는, 외부 전원을,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스냅인(snap-in)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전원선을 끌어와서, 동파 방지 장치(100)의 전원 접속부(130)에 형성한 구멍에 이 전원선을 단순히 꽂기만 하는 삽입 공정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히터에 대한 전원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혹한기 이외의 시기에는 동파 방지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있다가, 혹한기에 이들 전원선을 전원 접속부(130)에 꽂기만 하면 바로 동파 방지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100)는 몸체(120)와 배관(220)의 베이스(240) 사이에 히터(14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만의 하나, 몸체(120) 내에서 히터가 합선을 일으켜서 히터가 폭발하는 경우에도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가 이 폭발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최악의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배관(220)의 베이스(240)에 의해서 그 폭발이 배관(220) 내부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배관(220)의 외부로 향해서 발생하게 되므로 이 폭발에 의한 배관(220)의 손상 등이 적극 억제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배관(220) 내에서 유동하고 있는 유체가 폭발 등에 민감한 경우의 유체인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더욱이, 상술한 몸체(120)는 알루미늄(Al), 바람직하게는 강력한 재질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히터(140)의 폭발에 대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술한 몸체(120)는, 폭발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SUS와 같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스테인레스강으로 몸체(12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의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시간 등이 막대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다르게는, 상술한 몸체(120)는 열 전도성을 고려하여 구리(銅, copper)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동 제품은 강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특별한 용도인 경우에만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의 B-B 단면을 취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100)를 구비한 배관(220)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는 바, 도 4를 참조하면, 배관(220)의 일측으로 돌출한 베이스(24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베이스(240)의 양측에는, 나사 구멍(122)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24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100)를 구비한 배관(220)은 배관(220)의 형성과 동시에 베이스(240)도 동시에 형성되며, 이 때, 상술한 나사 구멍(242) 역시 동시에 형성됨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을 조립한 최종 상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 설치용 베이스를 구비한 배관(20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로부터, 동파 방지 장치(100)의 몸체(120)는 배관(220)의 일측의 표면 상에 형성된 베이스(240) 위에 올려져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는, 동파 방지 장치(100)가 배관(2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40)는 배관(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아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관(220)에 형성한 동파 방지 장치(100)의 구성 등을 감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배관(220)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배관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배관(220)의 경우에는, 도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2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정하고 있지만, 혹한기의 경우, 배관(220)과 배관(220)을 연결하는 배관 부품의 동파 우려 역시 상당하기 때문에, 본 발명자는 배관(220)에 결합되는 동파 방지 장치(100)의 구성을 확장하여 배관 부품에도 유사하게 적용한 구성을 창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부품으로는 티(tee), 커플러(coupler), 리듀서(reducer), 엘보(elbow), 밸브(valve) 중의 하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배관 부품은 통상 배관(220)과 배관(220) 사이를 연결 또는 접속하는 부품이거나, 예컨대 밸브 등과 같이 배관(220)의 일정 부분 중에 삽입되는 형식의 부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배관 부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어떤 구성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본 발명은 이들 배관 부품에 대해서도 배관(220)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곧바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배관 부품 상에도 형성되는 베이스(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베이스(240) 참조)가 형성되지만, 상술한 각각의 배관 부품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배관(220)과 달리, 유체의 이동 방향이 변화하거나 배관 부품 자체의 직경이 변동하는 등의 상이한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배관 부품 상에 형성되는 동파 방지 장치(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동파 방지 장치(100) 참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 부품 중에서 티(tee)의 경우에는 이 티의 형상과 같이 "T" 형상으로 동파 방지 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히터(140)가 일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T"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 접속부(130) 역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기타, 구성적인 측면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설명한 배관(220) 상에 형성되는 베이스(140)에 결합되는 동파 방지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로 인한 각종 특징적인 구성 및 효과 역시 대응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재할 수 있다.
(1) 본 발명은, 혹한기라고 할지라도 우수한 보온 효과를 갖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히터에 대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등에 의한 화재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00 : 동파 방지 장치
120 : 몸체
122 : 나사 구멍
124 : 몸체 상부면
130 : 전원 접속부
140 : 히터
200 : (동파 방지 장치 설치용 베이스를 구비한) 배관
220 : 배관
240 : 베이스
242 : 나사 구멍
244 : 베이스 상부면
240 : 베이스

Claims (13)

  1. 금속 배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혹한기에 상기 금속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배관을 보온하기 위한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장치;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의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배관 동파 방지 장치를 상기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상기 몸체를 고정할 때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사이에 방열 접착제가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부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감싸는 보온 단열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7. 금속 배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혹한기에 상기 금속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배관을 보온하기 위한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장치;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 부품;과
    상기 배관 부품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의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배관 동파 방지 장치를 상기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상기 몸체를 고정할 때 열 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들 사이에 방열 접착제가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부에는 상기 동파 방지 장치를 감싸는 보온 단열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관 부품은 티(tee), 커플러(coupler), 리듀서(reducer), 엘보(elbow), 밸브(valve) 중의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KR1020150110472A 2015-08-05 2015-08-05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KR2017001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72A KR20170017096A (ko) 2015-08-05 2015-08-05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72A KR20170017096A (ko) 2015-08-05 2015-08-05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96A true KR20170017096A (ko) 2017-02-15

Family

ID=5811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472A KR20170017096A (ko) 2015-08-05 2015-08-05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0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22A1 (ko) * 2017-05-16 2018-11-22 서상민 메탈 히터 시스템
KR101980890B1 (ko) 2018-06-12 2019-05-24 주식회사 엘케이 동파방지장치
KR20200048702A (ko) 2018-10-30 2020-05-08 강홍구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20210064578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메탈히터 클램프형 메탈히터
KR20220021108A (ko) 2020-08-13 2022-02-22 강홍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27B1 (ko) 2006-01-11 2007-06-19 권순락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27B1 (ko) 2006-01-11 2007-06-19 권순락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22A1 (ko) * 2017-05-16 2018-11-22 서상민 메탈 히터 시스템
US11702822B2 (en) 2017-05-16 2023-07-18 Sang Min Seo Metal heater system
KR101980890B1 (ko) 2018-06-12 2019-05-24 주식회사 엘케이 동파방지장치
KR20200048702A (ko) 2018-10-30 2020-05-08 강홍구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20210064578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메탈히터 클램프형 메탈히터
KR20220021108A (ko) 2020-08-13 2022-02-22 강홍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KR20230052861A (ko) 2020-08-13 2023-04-20 강홍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7096A (ko)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ES2611228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CN101588705B (zh) 一种机柜及机柜温控系统
BRPI1102956A2 (pt) Unidade de distribuição de refrigerante para condicionador de ar
EP3648545A1 (en) Electric heater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101905108B1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BRPI1102950A2 (pt) Unidade de distribuição de refrigerante para condicionador de ar
JP2009004405A (ja) インバータ筐体の冷却構造
KR101681956B1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1829138B1 (ko) 배관라인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매입형 발열히터
CN108790083A (zh) 一种用于玻璃基板机架成型模具的冷却装置
KR102061131B1 (ko) 배관라인의 동파방지 장치
KR101462152B1 (ko) 유튜브 밴드를 이용한 열교환기 동파 방지 장치
CN104410248A (zh) 激光器电源水冷散热器以及激光器电源
JP201006588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架台
JP2010117107A (ja) 電装品モジュール、それを組み込んだ冷凍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8464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관 또는 물 탱크의 동파 방지 장치
KR101520435B1 (ko) 극저온 냉각 방열 배관
CN102082313B (zh) 电池降温系统
CN108759546A (zh) 一种防胀裂的壳管结构及热水机
CN104110530B (zh) 隔热密封装置和空调器
CN217402048U (zh) 一种输水管道冰冻防护装置
CN205012968U (zh) 一种矿山井口加热器自动排水防冻系统
CN202578822U (zh) 高强度油冷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