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108A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1108A KR20220021108A KR1020200101500A KR20200101500A KR20220021108A KR 20220021108 A KR20220021108 A KR 20220021108A KR 1020200101500 A KR1020200101500 A KR 1020200101500A KR 20200101500 A KR20200101500 A KR 20200101500A KR 20220021108 A KR20220021108 A KR 202200211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ll
- heating wire
- wall protrusion
- freez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uel Cell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둘레로 형성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열선 및 상기 내벽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열선과 접촉하여 상기 열선의 열을 상기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관을 둘러싸서 물기가 흐르는 배관을 가열함으로써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체의 수송과정에서 혹한기 등의 계절에는 배관이 동파할 위험이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수의 노력이 있었다.
특히, 콘덴싱 보일러의 경우 배관에서 물이 떨어지기 때문에 끝단 부분이 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열을 할 필요가 있다.
종래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특허문헌 1은 배관 파이프 동파 방지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은 배관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배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체가 이 히터와 접촉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점성이 높거나, 이 유체가 단일 유체가 아니라 다른 유체와 혼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유체 내에, 예컨대 찌꺼기와 같은 불순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히터의 존재 때문에 유체의 유동이 심각하게 방해받으며, 특히 히터에 불순물 등이 계속 걸리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히터가 불순물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히터의 파손에 따른 단락에 의한 전기 폭발 사고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기술로 특허문헌 2는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배관의 외측 일부에 히터를 삽입할 수 있는 동파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히터가 배관 내의 유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에 따르면 히터가 파손되는 경우에 이를 발견하여 교체하기까지 동파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동파 방지 장치가 한 가지 히터 규격에만 맞추어 설계되기 때문에 히터의 규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동파 방지 장치도 함께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히터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쉽고 간편하게 히터의 규격을 변경할 수 있는 배관 동파 방지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을 가열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소정의 둘레로 형성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열선; 및 상기 내벽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열선과 접촉하여 상기 열선의 열을 상기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직선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나란히 사인파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나란히 구형파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바이메탈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이메탈 수용부에서는 바이메탈이 구비되어 상기 열선과 전기적 및 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열선의 과열(over heat)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몸체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체결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는 체결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용부에 상기 체결연결부가 인입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열선만을 설치하여 가열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메탈을 설치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온도가 올라가면 가열을 중단하기 때문에 유동적으로 배관을 가열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동파 방지 장치의 경우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괄적으로 배관을 가열하기 때문에 배관의 가열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일정 시간 가열이 지속되어 가열의 정도가 과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장치는 바이메탈을 설치하여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가열이 중단되므로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또,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로 장치가 구비되어 조립될 수 있고, 이 때 각각의 체결부분이 홈에 걸리는 형태로 구비되어 반쪽의 몸체를 홈에 가볍게 밀어 넣어 조립할 수 있고, 분리 시에는 홈에 걸려있는 체결부분을 살짝 눌러 다시 반대 방향으로 밀어줌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열선 가닥을 분리하여 배치함에 따라 안정적이다. 즉, 열선이 여러 가닥 뭉치면 과열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으나, 배관 동파 방지 장치 내부의 열선의 분리구조로 인해 열선이 분리되어 안정적으로 배관을 가열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도판이 구비되어 열선의 열을 배관 전체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을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전도판이 내벽돌출부와 접촉되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가 배관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전도판이 내벽돌출부와 접촉되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가 배관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전도판이 내벽돌출부와 접촉되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몸체(100), 열선(200) 및 전도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배관(400)을 가열하여 배관(400)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배관(400)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배관(400)을 둘러쌀 수 있도록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로 나뉘어 서로 체결됨으로써 배관(40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 회로가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방수될 수 있다.
상부몸체(110)에는 체결수용부(111), 제1내벽돌출부(112), 바이메탈 수용부(113) 및 방수부재 수용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은 반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수용부(111)는 하부몸체(120)와 상부몸체(110)가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 하부몸체(120)의 체결연결부(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수용부(111)는 상부몸체(110)의 둘레에서 다수개가 서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다수의 체결수용부(111)는 단면 형상의 상부몸체(110)에서 양 옆의 끝점에 상부몸체(110)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체결수용부(111)는 마주보는 체결수용부(111)끼리 서로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부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의 체결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체결력 강화를 위해 더 많은 수의 체결수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벽돌출부(112)는 상부몸체(110)의 내벽에서 열선(20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내벽돌출부(112)는 상부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다수개가 돌출되어 있고, 다수의 제1내벽돌출부(112)는 상부몸체(110)의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제1내벽돌출부(112)의 사이로 형성된 공간으로 열선(200)이 위치하고, 위치된 열선(200)은 제1내벽돌출부(112)가 열선(200)의 양측에서 지지하여 몸체(10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열선(200)이 서로 분리되어 위치함으로써 열선(200)이 서로 포개지거나 뭉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열선(200)은 다수의 제1내벽돌출부(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도 있고, 공간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바이메탈 수용부(113)는 상부몸체(110)에 형성되어 바이메탈이 위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바이메탈 수용부(113)는 상부몸체(110)의 내벽에서 어느 하나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바이메탈과 바이메탈이 구동하는 회로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바이메탈은 바이메탈 수용부(113)에 설치되어 열선 및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열선(200)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온도가 올라가면 가열을 중단하게 한다. 즉, 열선의 과열(over heat)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유동적으로 배관(400)을 가열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이메탈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수부재 수용부(114)는 열선(200)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미도시)이 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시 외부의 수분을 방수하기 위한 방수부재(미도시)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수부재 수용부(114)에는 실리콘 재질의 방수부재가 몰딩되어 수용됨으로써 열선(200) 및 전원선이 방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부재의 재질을 실리콘으로 설명하였으나, 방수를 위한 재질이라면 다양한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부몸체(120)에는 상부몸체(110)와 길이 및 크기가 동일하며, 체결연결부(121) 및 제2내벽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은 상부몸체(110)와 마찬가지로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바이메탈 수용부(113)가 상부몸체(110)에 형성되어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연결부(121)는 체결수용부(111)와 결합하여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를 서로 조립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체결연결부(121)는 하부몸체(120)에서 체결수용부(111)와 동일한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체결연결부(121)는 체결수용부(111)에 인입될 수 있도록 후크 형태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연결부(121)가 가압되어 체결수용부(111)에 인입된 후 후크 형태의 걸림부가 체결수용부(1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내벽돌출부(122)는 하부몸체(120)의 내벽에서 열선(20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내벽돌출부(122)는 하부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직선으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있고, 다수의 제2내벽돌출부(122)는 하부몸체(120)의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제2내벽돌출부(122)의 사이로 형성된 공간으로 열선(200)이 위치하고, 위치된 열선(200)은 제2내벽돌출부(122)가 열선(200)의 양측에서 지지하여 몸체(10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선(200)은 제1내벽돌출부(112)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제2내벽돌출부(122)에만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1내벽돌출부(112) 및 제2내벽돌출부(122)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열선(200)은 배관(40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열선(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서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 양쪽에 전부 구비될 수도 있다. 열선(200)은 다수개의 내벽돌출부(112, 122)가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내벽돌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200)은 내벽돌출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처럼 내벽돌출부를 경유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열선(200)이 전도판(300)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전도판(300)은 열선(200)의 열을 전도하여 몸체(100) 내부로 열을 골고루 전달함으로써 배관(400)의 동파를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도판(300)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철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도판(300)은 실시하기에 따라 열전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으로도 가능하다. 전도판(300)은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내벽에 각각 마련되며, 전도판(300)의 한쪽의 면은 열선(200)과 맞닿거나 접촉하고, 다른 한쪽의 면은 배관(400)과 맞닿거나 접촉하는 형태로 위치하여 열선(200)의 열을 배관(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가 배관(400)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가 배관(400)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배관(400)의 둘레를 몸체(100)가 둘러싸서 결합되어 배관(400)에 열을 가함으로써, 배관(400)의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가 배관(400)의 좌우 또는 상하를 둘러싼 상태에서 체결연결부(121)가 체결수용부(111)에 인입되어 걸림으로써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내벽에 위치한 전도판(300)은 배관(400)의 둘레에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몸체(100)가 배관(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다수의 내벽돌출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열선(200)에서는 열이 발산하게 되고, 발산된 열은 열선(200)과 접촉되어 있는 전도판(300)을 통해 전도되어 몸체(100) 내부에 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400)은 동파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열선(200)이 작동된 후 열선(200)과 연결된 바이메탈에 의해 열선(200)이 특정 온도의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가열을 중단하여 열선(2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도판(300)이 구비되어 열을 전도하기 때문에 열선(200)이 다수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종래에는 열선(200)이 다수로 마련되어 배관(400)에 감김으로써 배관(400)의 동파를 방지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1개 또는 2개의 열선(200)만 구비된 상태에서 전도판(300)에 의해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다수의 열선(200)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열선(200)을 다수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안전성에 있어서 종래보다 더 안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선(200)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몇몇의 열선(200)이 노후화 될 시 몸체(100)의 내부에서 합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합선의 문제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열선(200)만을 사용하면 다수의 열선(200)을 배관(400)에 밀착시키면서 각각의 열선(200)끼리 서로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은 더욱 증가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열선(200)의 개수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는다면 배관(400)에 공급되는 열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배관(400)의 동파 방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배관(400)에 위치하는 열선(200)의 개수를 줄이는 것은 오히려 배관(400)의 동파 방지를 난해하게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선 많은 열선(200)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무턱대고 열선(200)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리는 것도 문제가 되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전도판(300)을 구비하여 열선(20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열선(200)의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열선(200)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배관(40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된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제2내벽돌출부(122)가 직선으로 형성된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100)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100)에 형성된 내벽돌출부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하로 나란히 사인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제2내벽돌출부(122) 중 하나가 사인파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내벽돌출부(112) 및 제2내벽돌출부(122) 모두 사인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몸체(110)의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하부몸체(120)의 제2내벽돌출부(122)는 사인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인파 형태로 내벽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열선(200) 또한 내벽돌출부의 형상에 맞춰 다수의 내벽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사인파 형태로 몸체(100) 내부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인파 형태로 열선(200)이 위치하게 된다면, 전도판(300)과 열선(200)은 넓은 범위에서 서로 맞닿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선(200)에서 발생하는 열은 직선으로 열선(200)이 배치된 것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도판(300)의 전체 면적에 전도될 수 있을 것이다. 전도판(300)에 빠르게 전달된 열은 전도판(300)과 접촉되어 있는 배관(400)으로도 빠르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배관(400)에는 필요한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200)이 사인파 형태로 위치할 시 전도판(300)의 폭의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까지 위치할 수 있고, 열선(200)이 형성하는 다수의 파형의 거리는 각각 1mm 내지 10mm 사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된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제2내벽돌출부(122)가 구형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100)에 형성된 내벽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형성된 내벽돌출부와 밀착된 전도판(3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서 몸체(100)에 형성된 내벽돌출부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하로 나란히 구형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제2내벽돌출부(122) 중 하나가 구형파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내벽돌출부(112) 및 제2내벽돌출부(122) 모두 구형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몸체(110)의 제1내벽돌출부(112) 또는 하부몸체(120)의 제2내벽돌출부(122)는 구형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구형파 형태로 내벽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열선(200) 또한 내벽돌출부의 형상에 맞춰 다수의 내벽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구형파 형태로 몸체(100) 내부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형파 형태로 열선(200)이 위치하게 된다면, 전도판(300)과 열선(200)은 넓은 범위에서 서로 맞닿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선(200)에서 발생하는 열은 직선으로 열선(200)이 배치된 것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도판(300)의 전체 면적에 전도될 수 있을 것이다. 전도판(300)에 빠르게 전달된 열은 전도판(300)과 접촉되어 있는 배관(400)으로도 빠르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배관(400)에는 필요한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200)이 구형인파 형태로 위치할 시 사인파 형태와 동일하게 전도판(300)의 폭의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까지 위치할 수 있고, 열선(200)이 형성하는 다수의 파형의 거리는 각각 1mm 내지 10mm 사이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상부몸체
111 : 체결수용부
112 : 제1내벽돌출부
113 : 바이메탈 수용부
114 : 방수부재 수용부
120 : 하부몸체
121 : 체결연결부
122 : 제2내벽돌출부
200 : 열선
300 : 전도판
400 : 배관
110 : 상부몸체
111 : 체결수용부
112 : 제1내벽돌출부
113 : 바이메탈 수용부
114 : 방수부재 수용부
120 : 하부몸체
121 : 체결연결부
122 : 제2내벽돌출부
200 : 열선
300 : 전도판
400 : 배관
Claims (7)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둘레로 형성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열선; 및
상기 내벽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열선과 접촉하여 상기 열선의 열을 상기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도판;을 포함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직선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나란히 사인파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나란히 구형파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바이메탈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이메탈 수용부에는 바이메탈이 구비되어 상기 열선과 전기적 및 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열선의 과열(over heat)을 조절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체결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는 체결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용부에 상기 체결연결부가 인입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1500A KR20220021108A (ko) | 2020-08-13 | 2020-08-13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KR1020230046949A KR20230052861A (ko) | 2020-08-13 | 2023-04-10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1500A KR20220021108A (ko) | 2020-08-13 | 2020-08-13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6949A Division KR20230052861A (ko) | 2020-08-13 | 2023-04-10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1108A true KR20220021108A (ko) | 2022-02-22 |
Family
ID=804940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1500A KR20220021108A (ko) | 2020-08-13 | 2020-08-13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KR1020230046949A KR20230052861A (ko) | 2020-08-13 | 2023-04-10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6949A KR20230052861A (ko) | 2020-08-13 | 2023-04-10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20021108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8827B1 (ko) | 2006-01-11 | 2007-06-19 | 권순락 |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
KR20170017096A (ko) | 2015-08-05 | 2017-02-15 |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
-
2020
- 2020-08-13 KR KR1020200101500A patent/KR2022002110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4-10 KR KR1020230046949A patent/KR202300528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8827B1 (ko) | 2006-01-11 | 2007-06-19 | 권순락 |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
KR20170017096A (ko) | 2015-08-05 | 2017-02-15 |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2861A (ko) | 2023-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705327A (ko) | 가열형 유체제어 밸브(heated fluid control valves) | |
CN100512569C (zh) | 电伴随加热 | |
KR20150028468A (ko) |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 |
KR20220021108A (ko) |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 |
KR20160128393A (ko) | 유체 제어기용 가열 장치 및 유체 제어 장치 | |
KR101921456B1 (ko) | 전기 온수 보일러 | |
KR101923055B1 (ko) | 배관 동파방지를 위한 메탈 히터 장치 | |
KR20190003131U (ko) | 전자기가열식 열전달유 순환기 | |
KR101683011B1 (ko) |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 |
KR102306060B1 (ko) |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 |
KR102709697B1 (ko) |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기 | |
KR20060118822A (ko) |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 |
KR200406352Y1 (ko) | 전기히터봉 삽입식 히트파이프 | |
CN210740534U (zh) | 具有自加热功能的暖气 | |
RU208535U1 (ru) | Электрокотел | |
KR100318992B1 (ko) | 히트파이프가열장치및그방법 | |
KR102466207B1 (ko) | 순간온수장치 | |
CN217393687U (zh) | 一种溜槽保温装置 | |
KR102350290B1 (ko) | 수류가열을 위한 배관용 전기히터 | |
KR101950888B1 (ko) | 보일러 | |
KR200471705Y1 (ko) |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감지장치 | |
KR102278356B1 (ko) | 물 이송을 위한 단일 배관용 3상 4선 전기히터 | |
KR200259743Y1 (ko) | 공기가열식 보일러 | |
CN212511066U (zh) | 挂烫机及蒸汽锅炉 | |
KR200212142Y1 (ko) |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순간온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