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56B1 - 전기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전기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56B1
KR101921456B1 KR1020180087391A KR20180087391A KR101921456B1 KR 101921456 B1 KR101921456 B1 KR 101921456B1 KR 1020180087391 A KR1020180087391 A KR 1020180087391A KR 20180087391 A KR20180087391 A KR 20180087391A KR 101921456 B1 KR101921456 B1 KR 10192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oving body
heat
door
he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병오
Original Assignee
선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병오 filed Critical 선병오
Priority to KR102018008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유동 중에 순간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온수를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열히터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본 전기 온수 보일러는 도어(11)를 가지는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가열히터(3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선단에 끼워지는 선단전원연결부(4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후단에 끼워지는 후단전원연결부(50)와,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에 접속되는 선단단열접속부(6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에 접속되는 후단단열접속부(70)와, 상기 도어(11)에 설치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온수 보일러{Electric hot water boiler}
본 발명은 전기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유동 중에 순간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온수를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열히터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온수 보일러는 폭발이나 유해가스 등에 대한 위험요소가 없고, 소음과 냄새 발생이 없으므로 가정이나 영업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가스관 등의 부재로 가스 공급에 제한이 있는 장소에서도 많이 쓰인다.
이러한 전기 온수 보일러는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된 냉수가 전열히터에 가열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난방배관 및 저수조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배출용 배관을 통하여 온수를 생활용수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열히터에 의한 가열수단으로서는 대부분 하나의 공간에 구성하는 저수조 내부로 코일식 혹은 직관식으로 배치된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전열히터의 열교환에 의해서 저수조에 채워진 냉수가 가열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기 온수 보일러는 전열히터 주변으로 가열된 물이 자연 대류로 순환되면서 저수조 내부의 물 전체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데 상대적으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전열히터는 저수조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그 고장시에 교체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2-0033509호 "순간 전기 온수 보일러"(2012.04.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유동 중에 순간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온수를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열히터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는, 정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가 설치되는 사각 입방체 형태의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관이 상기 본체케이스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상기 본체케이스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면서 전면에서 배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다수개의 가열관이 상호 근접되게 상하로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사각 입방체 형태의 저수조와; 상기 가열관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가열관을 가열시켜 상기 가열관의 주변으로 상승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가열히터의 선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선단전원연결부와; 상기 가열히터의 후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후단전원연결부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의 전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선단전원연결부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선단단열접속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의 배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후단전원연결부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후단단열접속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에 공급되는 전원 및 물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히터는, 각각의 상기 가열관에 밀착되면서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8개의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에 각각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열되는 전열코일과, 상기 원형홈의 양단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전열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삽입구멍을 가지고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삽입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전원연결부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의 전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원판체와, 상기 제1 원판체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1 연결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원판체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1 접속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전원연결부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의 배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원판체와, 상기 제2 원판체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판체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2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단열접속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의 선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단열커버와, 각각의 상기 제1 원판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열커버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1 관형지지체와, 상기 제1 관형지지체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걸림턱과, 후단이 상기 제1 관형지지체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체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턱과, 상기 제1 이동체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재와, 상기 제1 장착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이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단자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와, 상기 제1 단열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제1 이동체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단열접속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의 후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단열커버와, 각각의 상기 제2 원판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열커버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2 관형지지체와, 상기 제2 관형지지체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턱과, 후단이 상기 제2 관형지지체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체와,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체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턱과, 상기 제2 이동체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재와, 상기 제2 장착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이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단자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와, 상기 제2 단열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제2 이동체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동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물이 유동 중에 순간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온수를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고, 전열히터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져 고장 수리 및 유지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저수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선단전원연결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후단전원연결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는 도어(11)를 가지는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가열히터(3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선단에 끼워지는 선단전원연결부(4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후단에 끼워지는 후단전원연결부(50)와,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에 접속되는 선단단열접속부(6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에 접속되는 후단단열접속부(70)와, 상기 도어(11)에 설치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정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11)가 설치되는 사각 입방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저수조(20)를 둘러싸서 이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11)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을 개방하여 상기 가열히터(3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컨트롤러(80)가 설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조(2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관(21)이 상기 본체케이스(10)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관(22)이 상기 본체케이스(10)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11)에 대응되면서 전면에서 배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다수개의 가열관(23)이 상호 근접되게 상하로 설치되며 사각 입방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로 가열될 물이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관(21)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로 가열될 물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출관(22)은 상기 저수조(20)에서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관(23)은 상기 저수조(20)를 관통하여 상기 가열히터(3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가열히터(30)에 의해 상기 가열관(23) 자체가 가열되어 상기 가열관(23)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물을 급속하게 고온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히터(30)는 상기 가열관(23)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가열관(23)을 가열시켜 상기 가열관(23)의 주변으로 상승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가열히터(30)는 각각의 상기 가열관(23)에 밀착되면서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발열체(31)와, 상기 발열체(3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8개의 원형홈(32)과, 상기 원형홈(32)에 각각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열되는 전열코일(33)과, 상기 원형홈(32)의 양단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전열코일(3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삽입구멍을 가지고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삽입소켓(34)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31)는 상기 전열코일(33)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전열코일(33)과 함께 전체적으로 가열된 봉을 형성하여 상기 가열관(23)을 고르게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발열체(31)는 원통형의 봉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열관(23)에 삽입되거나 빼내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히터(30)의 고장시에 그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홈(32)은 상기 전열코일(33)과 삽입소켓(34)이 끼워지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열코일(33)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삽입소켓(34)은 상기 전열코일(33)에 전원을 연결하면서 삽입구멍으로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가 끼워져 각각의 상기 전열코일(33)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는 상기 가열히터(30)의 선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열히터(3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31)의 전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원판체(41)와, 상기 제1 원판체(41)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42)와, 상기 제1 고정부재(42)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단자(43)와, 상기 제1 연결단자(4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34)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1 접속플러그(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판체(41)는 상기 발열체(31)의 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부재(42)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42)는 상기 제1 연결단자(4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원판체(41)에 상기 제1 연결단자(43)가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연결단자(43)는 상기 선단단열접속부(60)와 접속되면서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외부 전원을 상기 제1 접속플러그(44)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접속플러그(44)는 상기 삽입소켓(34)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전원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는 상기 가열히터(30)의 후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열히터(3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31)의 배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원판체(51)와, 상기 제2 원판체(51)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52)와, 상기 제2 고정부재(52)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단자(53)와, 상기 제2 연결단자(5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34)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2 접속플러그(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원판체(51)는 상기 발열체(31)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제2 고정부재(52)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고정부재(52)는 상기 제2 연결단자(5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2 원판체(51)에 상기 제2 연결단자(53)가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연결단자(53)는 상기 후단단열접속부(70)와 접속되면서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외부 전원을 상기 제2 접속플러그(54)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접속플러그(54)는 상기 삽입소켓(34)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전원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단열접속부(60)는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열히터(30)의 전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선단단열접속부(60)는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선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단열커버(61)와, 각각의 상기 제1 원판체(4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열커버(61)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1 관형지지체(62)와,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걸림턱(63)과, 후단이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체(64)와, 상기 제1 걸림턱(6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체(64)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턱(65)과, 상기 제1 이동체(64)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재(66)와, 상기 제1 장착부재(66)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이동체(6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단자(43)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67)와, 상기 제1 단열커버(61)의 내부면과 상기 제1 이동체(6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체(6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6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커버(61)는 상기 제1 원판체(4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선단을 통해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이러한 열기에 의한 제반 부품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는 상기 제1 이동체(64)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걸림턱(63)은 상기 제1 이동체(64)가 걸리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이동체(64)는 상기 제1 장착부재(66)와 제1 접속단자(67)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도어(11)의 폐쇄시에 상기 제1 원판체(41)에 밀착되면서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돌턱(65)은 상기 제1 걸림턱(63)에 걸리어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에서 상기 제1 이동체(64)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장착부재(66)는 상기 제1 접속단자(67)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이동체(64)에 상기 제1 접속단자(67)가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접속단자(67)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의 제1 연결단자(43)와 접촉되어 이에 외부 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탄성스프링(68)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체(64)를 내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 이동체(64)의 외부면이 상기 제1 원판체(41)의 외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단단열접속부(7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열히터(30)의 배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후단단열접속부(7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후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단열커버(71)와, 각각의 상기 제2 원판체(51)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열커버(71)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2 관형지지체(72)와,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턱(73)과, 후단이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체(74)와, 상기 제2 걸림턱(7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체(74)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턱(75)과, 상기 제2 이동체(74)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재(76)와, 상기 제2 장착부재(76)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이동체(7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단자(53)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77)와, 상기 제2 단열커버(71)의 내부면과 상기 제2 이동체(7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동체(7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78)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열커버(71)는 상기 제2 원판체(5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후단을 통해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이러한 열기에 의한 제반 부품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는 상기 제2 이동체(74)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걸림턱(73)은 상기 제2 이동체(74)가 걸리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이동체(74)는 상기 제2 장착부재(76)와 제2 접속단자(77)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상기 가열관(23)에 상기 발열체(31)가 삽입되면서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돌턱(75)은 상기 제2 걸림턱(73)에 걸리어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에서 상기 제2 이동체(74)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장착부재(76)는 상기 제2 접속단자(77)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2 이동체(74)에 상기 제2 접속단자(77)가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접속단자(77)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의 제2 연결단자(53)와 접촉되어 이에 외부 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78)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이동체(74)를 내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2 이동체(74)의 외부면이 상기 제2 원판체(51)의 외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도어(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열히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면서 상기 저수조(20)의 수용된 물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1 : 도어
20 : 저수조
21 : 유입관 22 : 배출관
23 : 가열관
30 : 가열히터
31 : 발열체 32 : 원형홈
33 : 전열코일 34 : 삽입소켓
40 : 선단전원연결부
41 : 제1 원판체 42 : 제1 고정부재
43 : 제1 연결단자 44 : 제1 접속플러그
50 : 후단전원연결부
51 : 제2 원판체 52 : 제2 고정부재
53 : 제2 연결단자 54 : 제2 접속플러그
60 : 선단단열접속부
61 : 제1 단열커버 62 : 제1 관형지지체
63 : 제1 걸림턱 64 : 제1 이동체
65 : 제1 돌턱 66 : 제1 장착부재
67 : 제1 접속단자 68 : 제1 탄성스프링
70 : 후단단열접속부
71 : 제2 단열커버 72 : 제2 관형지지체
73 : 제2 걸림턱 74 : 제2 이동체
75 : 제2 돌턱 76 : 제2 장착부재
77 : 제2 접속단자 78 : 제2 탄성스프링
80 : 컨트롤러

Claims (1)

  1. 정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11)가 설치되는 사각 입방체 형태의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관(21)이 상기 본체케이스(10)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관(22)이 상기 본체케이스(10)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11)에 대응되면서 전면에서 배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다수개의 가열관(23)이 상호 근접되게 상하로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사각 입방체 형태의 저수조(20)와;
    상기 가열관(23)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가열관(23)을 가열시켜 상기 가열관(23)의 주변으로 상승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3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선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3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선단전원연결부(40)와;
    상기 가열히터(30)의 후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3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후단전원연결부(50)와;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30)의 전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선단단열접속부(6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30)의 배면을 커버하여 단열시키면서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에 외부 전원을 접속시키는 후단단열접속부(70)와;
    상기 도어(11)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30)에 공급되는 전원 및 물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히터(30)는,
    각각의 상기 가열관(23)에 밀착되면서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발열체(31)와,
    상기 발열체(3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8개의 원형홈(32)과,
    상기 원형홈(32)에 각각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열되는 전열코일(33)과,
    상기 원형홈(32)의 양단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전열코일(3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삽입구멍을 가지고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삽입소켓(34)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전원연결부(40)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31)의 전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원판체(41)와,
    상기 제1 원판체(41)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42)와,
    상기 제1 고정부재(42)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단자(43)와,
    상기 제1 연결단자(4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34)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1 접속플러그(44)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전원연결부(50)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31)의 배면에 밀착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원판체(51)와,
    상기 제2 원판체(51)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52)와,
    상기 제2 고정부재(52)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단자(53)와,
    상기 제2 연결단자(5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소켓(34)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8개의 제2 접속플러그(54)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단열접속부(60)는,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원판체(4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선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단열커버(61)와,
    각각의 상기 제1 원판체(4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열커버(61)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1 관형지지체(62)와,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걸림턱(63)과,
    후단이 상기 제1 관형지지체(62)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체(64)와,
    상기 제1 걸림턱(6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체(64)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턱(65)과,
    상기 제1 이동체(64)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재(66)와,
    상기 제1 장착부재(66)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이동체(6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단자(43)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67)와,
    상기 제1 단열커버(61)의 내부면과 상기 제1 이동체(6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체(6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68)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단열접속부(7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원판체(51)의 선단과 상기 발열체(31)의 후단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단열커버(71)와,
    각각의 상기 제2 원판체(51)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열커버(71)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관형으로 형성되는 제2 관형지지체(72)와,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턱(73)과,
    후단이 상기 제2 관형지지체(72)의 내측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체(74)와,
    상기 제2 걸림턱(7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체(74)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턱(75)과,
    상기 제2 이동체(74)의 중앙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재(76)와,
    상기 제2 장착부재(76)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이동체(7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단자(53)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77)와,
    상기 제2 단열커버(71)의 내부면과 상기 제2 이동체(7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동체(7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KR1020180087391A 2018-07-26 2018-07-26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92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91A KR101921456B1 (ko) 2018-07-26 2018-07-26 전기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91A KR101921456B1 (ko) 2018-07-26 2018-07-26 전기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56B1 true KR101921456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91A KR101921456B1 (ko) 2018-07-26 2018-07-26 전기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74B1 (ko) 2019-07-15 2020-04-24 이충규 전기 온수 보일러
CN111490382A (zh) * 2020-03-31 2020-08-04 江苏蕴石灵实业有限公司 一种碳纤维模组单元连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51Y1 (ko) 2009-03-19 2011-01-28 여형구 찜질용 방열장치
KR101160793B1 (ko) 2011-12-12 2012-06-27 윤미자 양어장용 전기보일러
KR101467337B1 (ko) 2013-04-09 2014-12-01 가부시키가이샤 마스닥 과열 증기 발생 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51Y1 (ko) 2009-03-19 2011-01-28 여형구 찜질용 방열장치
KR101160793B1 (ko) 2011-12-12 2012-06-27 윤미자 양어장용 전기보일러
KR101467337B1 (ko) 2013-04-09 2014-12-01 가부시키가이샤 마스닥 과열 증기 발생 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74B1 (ko) 2019-07-15 2020-04-24 이충규 전기 온수 보일러
CN111490382A (zh) * 2020-03-31 2020-08-04 江苏蕴石灵实业有限公司 一种碳纤维模组单元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8570A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electric engine coolant heater
KR101921456B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950885B1 (ko)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US5832179A (en) Floor heater with water tube and thin copper electric heating element inserted therein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WO2008091057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101028214B1 (ko) 탄소히터를 구비한 보일러
KR100742401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1652268B1 (ko) 직접가열식 대용량 전기보일러
US1837597A (en) Water heater
KR20090109245A (ko) 난방용 온수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장치
KR101760375B1 (ko) 냉각수 가열장치
CN218354683U (zh) 一种气溶胶产生装置的加热结构和气溶胶产生装置
CN104654429A (zh) 电暖器
KR101008844B1 (ko) 개선된 열교환구조와 발열구조를 가지는 축열식전기보일러에 사용하는 온수가열장치
US2518982A (en) Space heater
KR101950887B1 (ko) 보일러
CN211502916U (zh) 灶台面板以及集成灶
KR101078875B1 (ko) 고온의 가열기기의 온도제어를 위한 플러그의 결합구조
CN215127312U (zh) 烹饪设备
RU208535U1 (ru) Электрокотел
KR102669167B1 (ko) 전도열과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한 전기난로
CN210441312U (zh) 一种新型加热器
KR101285505B1 (ko) 전기온수가열용 히팅파이프
KR100958693B1 (ko) 축열식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