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885B1 -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885B1
KR101950885B1 KR1020160089223A KR20160089223A KR101950885B1 KR 101950885 B1 KR101950885 B1 KR 101950885B1 KR 1020160089223 A KR1020160089223 A KR 1020160089223A KR 20160089223 A KR20160089223 A KR 20160089223A KR 101950885 B1 KR101950885 B1 KR 10195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heating
cover
electro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826A (ko
Inventor
김인수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인수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6008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885B1/ko
Priority to CN201710406434.5A priority patent/CN107621077B/zh
Publication of KR201800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0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트롤러에 제어되고, 순환펌프의 제3 난방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4 난방수 유입구와, 보일러 케이스의 제1 난방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4 난방수 배출구가 형성된 난방수 가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난방수 가열기는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 및 커버와,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과 커버 내부에 설치되고, 콘트롤러와 양극(+)과 음극(-)으로 번갈아가며 각각 연결되는 전극봉이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를 포함하고, 하우징과 커버는 사각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한쪽이 개방되어 제1,2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워지도록 제1,2내부공간의 양쪽 내면에 다수개의 제1,2끼움단이 형성되며, 다수개 제1,2끼움단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으로 난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흑연 발열체보다 폭이 큰 제1,2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는 제1,2내부공간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은 양단에 각각 제1내부공간과 통하는 제4 난방수 유입구와 제4 난방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 전극봉의 한쪽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어, 난방수가 제1,2가이드홈 및 각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Heating water heater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수를 내부에 길게 머무르게 하면서 난방수의 가열을 길게 해주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석유, 가스 등의 연료 또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에너지로 매질 즉, 물을 가열하여 난방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보일러는 에너지원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등으로 구분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가열바와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이 형성된 천정면에 가열바가 끼움되는 상부격벽이 다수개로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결합되며, 난방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들어오는 난방수유입구가 후방에 설치되고, 일 측면에 가열바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가열바가 끼움되는 하부격벽이 다수개로 형성된 몸체로 구성한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보일러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난방수유입구로 유입된 난방수는 각 가열바 사이의 공간으로 한번에 이동하면서, 각 가열바 사이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난방수배출구로 신속하게 배출되었다.
즉, 신속한 난방수의 이동에 의해 난방수 가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246289호
이에 본 발명은, 난방수를 내부에 종래보다 길게 머무르게 하면서 난방수의 가열을 길게 해주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트롤러에 제어되고, 순환펌프의 제3 난방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4 난방수 유입구와, 보일러 케이스의 제1 난방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4 난방수 배출구가 형성된 난방수 가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난방수 가열기는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 및 커버와,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과 커버 내부에 설치되고, 콘트롤러와 양극(+)과 음극(-)으로 번갈아가며 각각 연결되는 전극봉이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를 포함하고, 하우징과 커버는 사각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한쪽이 개방되어 제1,2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워지도록 제1,2내부공간의 양쪽 내면에 다수개의 제1,2끼움단이 형성되며, 다수개 제1,2끼움단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으로 난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흑연 발열체보다 폭이 큰 제1,2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는 제1,2내부공간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은 양단에 각각 제1내부공간과 통하는 제4 난방수 유입구와 제4 난방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 전극봉의 한쪽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어, 난방수가 제1,2가이드홈 및 각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방수가 제1,2가이드홈 및 각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안내되면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에 발생되는 열에 고르게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즉, 난방수가 각 사각흑연 발열체 사이의 제1,2내부공간을 하나씩 거치면서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난방수를 상호 결합되 하우징 및 커버의 내부에 길게 머무르게 하면서 난방수의 가열을 길게 하여, 난방에 알맞는 온도에 맞게 가열된 난방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방수 가열기에서 난방수의 누수를 제1,2밀폐링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제1,2밀폐링으로 밀폐력을 증가시켜, 난방수 가열기에서 난방수의 누수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전극판으로 양극(+)의 전기를 다수의 전극봉에 한번에 공급하고, 제2전극판으로 음극(-)의 전기를 다수의 전극봉에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신속하게 난방수를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전극판이 너트에 의해 커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난방수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상관없이 양극(+) 및 음극(-)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다수의 전극봉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난방수의 가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난방수 가열기가 설치된 보일러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난방수 가열기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난방수 가열기의 상세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난방수 가열기가 설치된 보일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난방수 가열기(50)가 설치된 보일러(100)는 사각통 형상으로 벽체(1)에 설치되고, 외부의 하부면에 난방을 위해 순환된 난방수가 유입되는 제1 난방수 유입구(11)와, 상기 난방수가 배출되는 제1 난방수 배출구(12)가 형성된 보일러 케이스(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제1 난방수 유입구(11)와 제1이동파이프(2)로 연결된 제2 난방수 유입구(21)와, 제2 난방수 배출구(22)가 형성된 수조(20)가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20)는 수도관과 연결이 안되었을 때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보일러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뚜껑(23)이 구성되며, 콘트롤러(30)에 제어되고 상기 수조(20)의 수위를 조절해주는 수위조절 PCB(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파이프(2)는 너트에 의해 제1 난방수 유입구(11)와 제2 난방수 유입구(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수조(20)에 PCB(31)가 구비된 콘트롤러(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제1 난방수 유입구(11)의 옆으로 보충수 유입구(13)가 보일러 케이스(10)의 외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충수 유입구(13)는 제1이동파이프(2)와 연결파이프(3)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충수 유입구(13)는 콘트롤러(30)에 제어되어 연결파이프(3)를 통해 제1이동파이프(2)로 보충수를 공급해주는 물 보충 스위치(13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3)는 너트에 의해 보충수 유입구(1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콘트롤러(30)를 ON/OFF 해주는 전원 스위치(32)가 수조(20)의 옆, 즉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콘트롤러(30)에 제어되며, 제2 난방수 배출구(22)와 제2이동파이프(4)와 연결된 제3 난방수 유입구(41)와, 제3 난방수 배출구(42)가 형성된 순환펌프(40)가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이동파이프(4)는 너트에 의해 제2 난방수 배출구(22)와 제3 난방수 유입구(4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0)는 콘트롤러(30)에 제어되며, 제3 난방수 배출구(42)와 제3이동파이프(5)와 연결된 제4 난방수 유입구(51)와, 제1 난방수 배출구(12)와 제4이동파이프(6)와 연결된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형성된 난방수 가열기(50)가 순환펌프(40)의 옆, 즉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제4 난방수 유입구(51)가 아래쪽에 위치되고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위쪽에 위치되도록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이동파이프(5)는 너트에 의해 제3 난방수 배출구(42)와 제4 난방수 유입구(5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제4이동파이프(6)도 너트에 의해 제1 난방수 배출구(12)와 제4 난방수 배출구(5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53) 및 커버(5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53)과 커버(54) 내부에 설치되고, 콘트롤러(30)와 양극(+)과 음극(-)으로 번갈아가며 각각 연결되는 전극봉(55a)이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가 포함된다.
즉, 상기 콘트롤러(30)와 양극(+)으로 연결되는 전극봉(55a)이 구비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로, 상기 콘트롤러(30)와 음극(-)으로 연결되는 전극봉(55a)이 구비된 사각흑연 발열체(55)가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3)과 커버(54)는 사각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한쪽이 개방되어 제1,2내부공간(53a)(54a)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가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워지도록 상기 제1,2내부공간(53a)(54a)의 양쪽 내면에 다수개의 제1,2끼움단(53b)(54b)이 형성되며, 다수개 상기 제1,2끼움단(53b)(54b)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의 제1,2내부공간(53a)(54a)으로 난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각흑연 발열체(55)보다 폭이 큰 제1,2가이드홈(53c)(54c)이 서로 마주보는 제1,2내부공간(53a)(54a)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가이드홈(53c)(54c)은 폭 방향의 제1,2끼움단(53b)(54b)의 사이로 한 쌍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3)은 양단에 각각 제1내부공간(53a)과 통하는 제4 난방수 유입구(51)와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커버(54)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제1끼움구멍(54d)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상기 제1끼움구멍(54d)은 각 전극봉(55a)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커버(54)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제2내부공간(54a)의 내면과 인접한 제1끼움구멍(54d)의 한쪽에 밀폐홈(54d')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홈(54d')에 끼워지는 제1밀폐링(54e)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폐링(54e)은 사각흑연 발열체(55)가 밀착되어 밀폐홈(54d')에서 압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각 제1끼움구멍(54d)에서 노출되어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56a)이 다수개 형성되고, 콘트롤러(30)와 양극(+)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판(56)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전극봉(55a)은 제1전극판(56)의 제2끼움구멍(56a)에 끼워지면서 콘트롤러(30)와 양극(+)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100)는 콘트롤러(30)의 제어되고, 상기 콘트롤러(30)와 연결된 연결전극판(33a)과 제1전극판(56)을 양극(+)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 해주는 전기제어 PCB(3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각 제1끼움구멍(54d)에서 노출되어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57a)이 다수개 형성되고, 콘트롤러(30)와 음극(-)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판(57)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전극봉(55a)은 제2전극판(57)의 제3끼움구멍(57a)에 끼워지면서 콘트롤러(30)와 음극(-)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각 제2,3끼움구멍(56a)(57a)에서 노출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에 수나사부(55a')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55a')에 체결되는 너트(5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하우징(53)의 개방된 한쪽의 주변에 사각띠 형태의 밀폐돌기(53d)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54)의 개방된 한쪽의 주변에 밀폐돌기(53d)가 끼워지는 밀폐구멍(54f)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밀폐돌기(53d)와 밀폐구멍(54f) 사이에 끼워지는 제2밀폐링(54g)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밀폐링(54g)은 밀폐돌기(53d)에 밀착되어 밀폐구멍(54f)에서 압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난방수 가열기(50)가 설치된 보일러(100)는 전원 스위치(32)를 작동시켜 콘트롤러(30)를 ON 시킨 후, 상기 콘트롤러(30)의 PCB(31) 제어를 통해 순환펌프(40)와 난방수 가열기(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난방수가 순환펌프(40)의 펌핑 작동에 의해, 제1 난방수 유입구(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는 제1이동파이프(2)와 연결된 수조(20)의 제2 난방수 유입구(21)로 유입되면서, 상기 수조(20)의 제2 난방수 배출구(22)로 배출된다.
그러면서, 상기 난방수가 제2이동파이프(4)와 연결된 순환펌프(40)의 제3 난방수 유입구(41)로 유입되면서, 상기 순환펌프(40)의 제3 난방수 배출구(42)로 배출된다.
그 다음, 상기 난방수가 제3이동파이프(5)와 연결된 난방수 가열기(50)의 제4 난방수 유입구(51)로 유입되면서, 상기 난방수 가열기(50)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제4 난방수 배출구(52)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난방수 가열기(50)의 난방수 가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난방수가 제4 난방수 유입구(51)를 통해 난방수 가열기(50)의 제1,2내부공간(53a)(54a)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난방수는 제1,2가이드홈(53c)(54c) 및 각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의 제1,2내부공간(53a)(54a)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안내된다.
여기서, 각 상기 사각흑연 발열체(55)는 콘트롤러(30)의 제어로 상기 콘트롤러(30)와 각각 양극(+) 및 음극(-)으로 연결된 제1,2전극판(56)(57)과, 제2,3끼움구멍(56a)(57a)에 끼워진 각 전극봉(55a)을 통해, 상기 콘트롤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하우징(53) 및 커버(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끼움단(53b)(54b)에 끼워진 각 사각흑연 발열체(55)의 홀수 번째는 제1전극판(56)으로부터 양극(+)의 전기를 공급받고, 각 상기 사각흑연 발열체(55)의 짝수 번째는 제2전극판(57)으로부터 음극(-)의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56)은 콘트롤러(30)의 제어로 전기제어 PCB(33)가 작동되어, 상기 콘트롤러(30)와 연결된 연결전극판(33a)과 연결되면서 양극(+)의 전기를 공급받는다.
그래서, 각 상기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에서 전류 이동에 따른 열이 발생되어 난방수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제4 난방수 유입구(51)가 아래쪽에 위치되고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위쪽에 위치되도록 보일러 케이스(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난방수는 상기 난방수 가열기(5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안내되면서 각 사각흑연 발열체(55)에 의해 발생된 열에 서서히 가열된다.
한편, 상기 제1밀폐링(54e)은 밀착되는 사각흑연 발열체(55)에 의해 밀폐홈(54d')에서 압착되어, 전극봉(55a)과 상기 전극봉(55a)이 끼워진 제1끼움구멍(54d) 사이를 밀폐시켜준다.
즉, 상기 제1밀폐링(54e)이 난방수가 난방수 가열기(5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제2밀폐링(54g)은 하우징(53)과 커버(54)의 상호 결합에 의해 밀폐돌기(53d)에 밀착되어 밀폐구멍(54f)에서 압착된다.
즉, 상기 제2밀폐링(54g)이 하우징(53)과 커버(54)의 개방된 한쪽의 주변을 밀폐시켜서, 난방수가 난방수 가열기(5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너트(58)에 의해 제1,2전극판(56)(57)이 커버(54)에 고정되기 때문에, 난방수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2전극판(56)(57)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준다.
그래서, 가열된 상기 난방수는 제4이동파이프(6)와 연결된 제1 난방수 배출구(12)로 배출되어 난방을 위해 순환된다.
아울러, 상기 난방수가 부족할 경우, 콘트롤러(30)의 제어로 물 보충 스위치(13a)를 작동시켜 보충수 유입구(13)를 통해 보충수를 연결파이프(3)와 연결된 제1이동파이프(2)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100)가 수도관과 연결이 안될 경우, 뚜껑(23)을 열어서 수조(20)에 물을 넣어 보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콘트롤러(30)의 제어로 수위조절 PCB(24)를 작동시켜, 수조(2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보일러 케이스 11 : 제1 난방수 유입구
12 : 제1 난방수 배출구 20 : 수조
21 : 제2 난방수 유입구 22 : 제2 난방수 배출구
30 : 콘트롤러 40 : 순환펌프
41 : 제3 난방수 유입구 42 : 제3 난방수 배출구
50 : 난방수 가열기 51 : 제4 난방수 유입구
52 : 제4 난방수 배출구 53 : 하우징
53a : 제1내부공간 53b : 제1끼움단
53c : 제1가이드홈 53d : 밀폐돌기
54 : 커버 54a : 제2내부공간
54b : 제2끼움단 54c : 제2가이드홈
54d : 제1끼움구멍 54d' : 밀폐홈
54e : 제1밀폐링 54f : 밀폐구멍
54g : 제2밀폐링 55 : 사각흑연 발열체
55a : 전극봉 55a' : 수나사부
56 : 제1전극판 56a : 제2끼움구멍
57 : 제2전극판 57a : 제3끼움구멍
58 : 너트 100 : 보일러

Claims (5)

  1. 콘트롤러(30)에 제어되고, 순환펌프(40)의 제3 난방수 배출구(42)와 연결된 제4 난방수 유입구(51)와, 보일러 케이스(10)의 제1 난방수 배출구(12)와 연결된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형성된 난방수 가열기(50)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가열기(50)는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53) 및 커버(54)와,
    상호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53)과 커버(54) 내부에 설치되고, 콘트롤러(30)와 양극(+)과 음극(-)으로 번갈아가며 각각 연결되는 전극봉(55a)이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3)과 커버(54)는 사각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한쪽이 개방되어 제1,2내부공간(53a)(54a)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가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워지도록 상기 제1,2내부공간(53a)(54a)의 양쪽 내면에 다수개의 제1,2끼움단(53b)(54b)이 형성되며, 다수개 상기 제1,2끼움단(53b)(54b)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의 제1,2내부공간(53a)(54a)으로 난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각흑연 발열체(55)보다 폭이 큰 제1,2가이드홈(53c)(54c)이 서로 마주보는 제1,2내부공간(53a)(54a)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53)은 양단에 각각 제1내부공간(53a)과 통하는 제4 난방수 유입구(51)와 제4 난방수 배출구(52)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54)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제1끼움구멍(54d)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끼움구멍(54d)에서 노출되어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56a)이 다수개 형성되고, 콘트롤러(30)와 양극(+)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판(56)과, 각각의 상기 제1끼움구멍(54d)에서 노출되어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이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57a)이 다수개 형성되고, 콘트롤러(30)와 음극(-)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판(57)을 포함하며,
    상기 난방수가 제1,2가이드홈(53c)(54c) 및 각 사각흑연 발열체(55) 사이의 제1,2내부공간(53a)(54a)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4)는 제2내부공간(54a)의 내면과 인접한 제1끼움구멍(54d)의 한쪽에 밀폐홈(54d')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홈(54d')에 끼워지는 제1밀폐링(54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2,3끼움구멍(56a)(57a)에서 노출되는 각 전극봉(55a)의 한쪽에 수나사부(55a')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55a')에 체결되는 너트(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3)의 개방된 한쪽의 주변에는 밀폐돌기(53d)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54)의 개방된 한쪽의 주변에는 밀폐돌기(53d)가 끼워지는 밀폐구멍(54f)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돌기(53d)와 밀폐구멍(54f) 사이에 끼워지는 제2밀폐링(54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KR1020160089223A 2016-07-14 2016-07-14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KR10195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23A KR101950885B1 (ko) 2016-07-14 2016-07-14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CN201710406434.5A CN107621077B (zh) 2016-07-14 2017-06-02 锅炉用采暖水加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23A KR101950885B1 (ko) 2016-07-14 2016-07-14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26A KR20180007826A (ko) 2018-01-24
KR101950885B1 true KR101950885B1 (ko) 2019-02-21

Family

ID=610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23A KR101950885B1 (ko) 2016-07-14 2016-07-14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0885B1 (ko)
CN (1) CN107621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2829A1 (en) * 2018-06-22 2019-12-26 Aquateq Development Water treating system and device
KR102111654B1 (ko) 2019-01-16 2020-05-15 김범수 보일러용 흑연전극블록 연속대량 제조방법
KR102111657B1 (ko) 2019-01-16 2020-05-15 김범수 보일러용 흑연전극블록 연속대량 제조장치
KR102128482B1 (ko) * 2019-09-11 2020-06-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외부 온도 감응 방식의 보일링 시스템
KR102128451B1 (ko) * 2019-09-11 2020-06-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전극보일러에 사용되는 표면적 확장형 전극봉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8949A1 (en) 2002-11-12 2005-08-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Gas heating method and gas heating device
JP2011231982A (ja) 2010-04-28 2011-11-17 Tonami Kiden Kogyo Kk 冷暖房用などのパネル
KR101125924B1 (ko) * 2009-05-06 2012-03-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듐 냉각 고속로의 모의 노심 가열장치
KR101246289B1 (ko) * 2012-11-27 2013-03-25 김상현 보일러
US9250021B2 (en) 2009-04-20 2016-02-02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S20160076230A1 (en) * 2014-09-11 2016-03-17 Ying Lin Cai Thermal energy exchanger for bathing shower wa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31A (ko) * 2004-03-06 2005-09-09 김종철 중형 전기보일러
KR20090074844A (ko) * 2007-09-21 2009-07-08 주식회사 한진에너지 난방과 온수 라인이 구별된 카본섬유 히터 보일러
CN202630213U (zh) * 2012-05-28 2012-12-26 佛山市南海雅登电热电器有限公司 一种采暖电壁挂炉
CN203231531U (zh) * 2013-04-18 2013-10-09 宋显明 节能环保采暖锅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8949A1 (en) 2002-11-12 2005-08-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Gas heating method and gas heating device
US9250021B2 (en) 2009-04-20 2016-02-02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KR101125924B1 (ko) * 2009-05-06 2012-03-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듐 냉각 고속로의 모의 노심 가열장치
JP2011231982A (ja) 2010-04-28 2011-11-17 Tonami Kiden Kogyo Kk 冷暖房用などのパネル
KR101246289B1 (ko) * 2012-11-27 2013-03-25 김상현 보일러
US20160076230A1 (en) * 2014-09-11 2016-03-17 Ying Lin Cai Thermal energy exchanger for bathing shower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1077B (zh) 2020-03-17
CN107621077A (zh) 2018-01-23
KR20180007826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885B1 (ko)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KR101246289B1 (ko) 보일러
KR102337878B1 (ko) 내부 순환형 보일러
KR100957822B1 (ko) 고주파 가열 보일러
KR101950887B1 (ko) 보일러
KR101028214B1 (ko) 탄소히터를 구비한 보일러
KR100561624B1 (ko) 전기보일러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102081174B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921456B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20160117966A (ko) 보일러
US11041662B2 (en) Instantaneous water heater having guide portion
KR101652268B1 (ko) 직접가열식 대용량 전기보일러
KR19990054160A (ko) 이온운동에너지를 이용한 유체가열방식의 전기보일러
KR101983736B1 (ko)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체의 순환 가열 구조를 가지는 보일러
KR101757756B1 (ko)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KR20200016009A (ko) 보일러
KR102432880B1 (ko) 이온가열기가 장착된 챔버
CN111936789A (zh) 电解方式快速蒸汽发生装置
KR102484470B1 (ko) 판형 전극 보일러
KR102535622B1 (ko) 이온 발열체가 장착된 챔버
KR100561625B1 (ko) 전기보일러
EP4325137A1 (en) Modular ptc electric heater
KR20170050477A (ko) 가정용 2회로 온수난방 보일러
KR20200089014A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