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756B1 -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 Google Patents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756B1
KR101757756B1 KR1020160158437A KR20160158437A KR101757756B1 KR 101757756 B1 KR101757756 B1 KR 101757756B1 KR 1020160158437 A KR1020160158437 A KR 1020160158437A KR 20160158437 A KR20160158437 A KR 20160158437A KR 101757756 B1 KR101757756 B1 KR 10175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ransformer
pipe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연
김진민
Original Assignee
유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연 filed Critical 유동연
Priority to KR102016015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와 이러한 트랜스들의 배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수막 탱크, 그리고 상기 물수막 탱크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들의 최외측 및 트랜스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상기 물수막 탱크와 트랜스들 그리고 보조 물탱크들로 이루어진 배치 구성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 공급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막 탱크는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물수막 탱크와 보조 물탱크들은 상기 물 공급 탱크를 통한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서로 복수의 배관들로 연결되되, 상기 배관들은 각각의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랜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들이 인입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물수막 탱크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을 배치하여 상기 배관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관들은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동 파이프로 구성한 것으로부터 트랜스에서 유도된 전기자장과 전극판에 의한 단락 열을 이용하여 난방용수와 각종 생활용수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BOILER USING ELECTRODE PLATE AND TRANSFORMER}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방식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판과 트랜스를 통한 단락 열을 이용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에너지원으로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가스보일러, 석유보일러, 전기보일러 등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 중 가스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배기에 공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복잡한 설비 구성으로 인해 고장 발생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는 언젠가 고갈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고갈되지 않는 무형자원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가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기보일러는 고체저항체를 발열시켜 이 열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체저항체가 산화되거나 고체저항체를 발열시키는 과정에서 전력사용료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아직 대중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기열선을 이용한 보일러는 순간적인 발열량이 적어 일정 규격의 통 또는 관 내부를 흐르는 유속이 빠른 유체를 섭씨 8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운전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유도전류를 이용한 고주파 발열(High Frequency Heating) 방식의 보일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도가열 보일러는 소비 전원이 적게 들고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도 1은 유도가열 방식 보일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난방수가 채워지는 사각형상의 본체(11) 내부에 제1 가열실(13)과 제2 가열실(14)을 구분하는 격판(12)이 설치되고 격판(12)의 상부는 일정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열실(13)의 저면에는 난방수환수관(16)이 형성되고 제2 가열실(14)의 측면에는 난방수입수관(15)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가열실(13)(14)에는 내부에 유도코일(22)(42)이 형성된 원통형의 절연관(21)(42) 및 상기 절연관(21)(41)의 외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열관(23)(43)으로 구성된 유도가열장치(20)(40)와, 상기 유도가열장치(20)(4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발열하는 원통형상의 가열부재(30)(50)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도가열 방식의 고주파 난방 보일러는 폭발위험이 전혀 없으며 종래의 경유 또는 가스 난방에 비해 연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유도가열 보일러 장치들은 유동로를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는 유체를 적절히 가열하는데는 아직 한계가 있으며, 이는 보일러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트랜스에서 유도된 전기자장과 전극판에 의한 단락 열을 이용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통해 난방용수나 각종 생활용수를 신속하게 가열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를 중심으로 상기 트랜스의 양 방향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보조 물탱크가 배치되고, 보조 물탱크들은 이들 사이에 물이 순환할 수 있게 복수의 배관들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들은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랜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들이 인입되는 보조 물탱크들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을 배치하여 상기 배관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와 이들 트랜스의 최외측 및 트랜스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그리고 상기 보조 물탱크와 트랜스의 배치 구성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 공급 탱크를 포함하며, 보조 물탱크들은 이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복수의 배관들로 서로 연결되되, 일측의 최외곽 보조 물탱크는 급수관에 의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의 최외곽 보조 물탱크는 배수관에 의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배관들은 각각의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랜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들이 인입되는 보조 물탱크들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을 배치하여 상기 배관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와 이러한 트랜스들의 배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수막 탱크, 그리고 상기 물수막 탱크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들의 최외측 및 트랜스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상기 물수막 탱크와 트랜스들 그리고 보조 물탱크들로 이루어진 배치 구성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 공급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막 탱크는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물수막 탱크와 보조 물탱크들은 상기 물 공급 탱크를 통한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서로 복수의 배관들로 연결되되, 상기 배관들은 각각의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랜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들이 인입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물수막 탱크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을 배치하여 상기 배관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배관들은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동 파이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수막 탱크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외부로 유출되는 물이 수막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수막 형성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막 형성 수단은 물수막 탱크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수구, 즉 유입구와 유출구 측이 각각 소정의 낙차를 갖도록 구성하거나 분무 방식에 의해 수막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을 통해 물 공급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배관들의 일부를 통해 일측의 보조 물탱크와의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고, 또한 상기 배관들의 다른 일부를 통해 다른 일측의 보조 물탱크와의 사이에 물을 유동시켜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을 통해 물 공급 탱크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수막 탱크는 유도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탱크의 벽면을 동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일측의 보조 물탱크로부터 유입된 물이 다시 타측의 보조 물탱크로 유출되기까지 탱크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가열되기 용이하도록 일정 폭의 유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랜스에서 유도된 전기자장과 전극판에 의한 단락 열을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난방용수와 각종 생활용수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가열 방식 보일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제1 실시예로서, 도 2a는 제1 실시예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b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제2 실시예로서, 도 3a는 제2 실시예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b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기 단락 가열 보일러의 제3 실시예로서, 도 4a는 제3 실시예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b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제1 실시예로서의 평면 구성과 이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는 가운데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10)를 중심으로 상기 트랜스의 양 방향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보조 물탱크(20)(30)가 배치되고, 이 보조 물탱크(20)(30)들은 이들 사이에 물이 순환할 수 있게 복수의 배관(41,42,…)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보조 물탱크(20)(30)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41,42,…)들은 트랜스(10)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게 동 파이프로 구성하여 상기 트랜스(10)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관(41,42,…)들이 인입되는 보조 물탱크(20)(30)들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21)(31)을 배치하여 동 파이프(41,42,…)를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21)(31)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보조 물탱크(20)(30)들의 각 단부들에 위치된 전극판(21)(31)에서 유도전기에 의해 단락이 일어날 경우 매우 높은 온도의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보조 물탱크(20)(30)들 사이를 순환하는 동안 각각의 전극판(21)(31)을 통과하는 배관(41,42,…)들의 표면이 가열되어 배관 내부의 물이 데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배관(41,42,…)들 내부의 물은 최소 4번 이상의 가열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렇게 데워진 물은 상기 타측의 보조 물탱크(30)로부터 배수관(32)을 통해 일반 가정집이나 소형 건물 등의 난방 사이클(S1)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일반 가정집이나 소형 건물 등의 난방 사이클(S1)을 거치며 냉각된 물은 급수관(22)을 통해 상기 일측의 보조 물탱크(20)로 회수되어 다시 유도전기와 전극판의 단락에 의한 가열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3은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제2 실시예로서의 평면 구성과 이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11)(12)와 이들 트랜스의 최외측 및 그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50,60)(70)를 포함하고, 이들 보조 물탱크(50,60)(70)들 및 트랜스(11)(12)들의 배치 구성의 일측에는 대형의 물 공급 탱크(80)를 배치한다.
보조 물탱크(50,60)(70)들은 이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복수의 배관(41,42,43,44…)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들 중 일측의 외곽 보조 물탱크(50)는 급수관(52)에 의해 물 공급 탱크(80)와 연결되고, 또한 타측의 외곽 보조 물탱크(60)는 배수관(62)에 의해 물 공급 탱크(80)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보조 물탱크(50,60)(70)들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41,42,43,44…)들은 각각의 트랜스(11)(12)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동 파이프로 구성하여 상기 트랜스(11)(12)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관(41,42,43,44…)들이 인입되는 보조 물탱크(50,60)(70)들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51,61)(71,72)을 배치하여 동 파이프(41,42,43,44…)를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51,61)(71,72)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보조 물탱크(50,60)(70)들의 각 단부들에 위치된 전극판(51,61)(71,72)에서 유도전기에 의해 단락이 일어날 경우 매우 높은 온도의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보조 물탱크(50,60)(70)들 사이를 유동하는 동안 각각의 전극판(51,61)(71,72)을 통과하는 배관(41,42,43,44…)들의 표면이 가열되어 배관 내부의 물이 데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배관(41,42,43,44…)들 내부의 물은 최소 8번 이상의 가열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렇게 데워진 물은 상기 타측의 외곽 보조 물탱크(60)로부터 배수관(62)을 통해 물 공급 탱크(80)로 운반되고, 물 공급 탱크(80) 내부의 물은 관로를 따라 비닐하우스나 빌딩 또는 공장 등의 중대형 난방 사이클(S2)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비닐하우스나 빌딩 또는 공장 등의 중대형 난방 사이클(S2)을 거치며 냉각된 물은 다시 물 공급 탱크(80) 내부로 순환되고, 물 공급 탱크(80) 내부로 회귀한 냉각된 물은 급수관(52)을 통해 상기 일측의 외곽 보조 물탱크(50)로 공급되어 다시 유도전기와 전극판(51,61)(71,72)의 단락에 의한 가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4는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의 제3 실시예로서의 평면 구성과 이를 이용한 난방시설 사용상태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11)(12)와 이러한 트랜스들의 배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수막 탱크(90), 그리고 상기 물수막 탱크(9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11)(12)들의 최외측 및 그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50(60)들을 포함하고, 상기 물수막 탱크(90)와 트랜스(11)(12)들 그리고 보조 물탱크(50)(60)들로 이루어진 배치 구조의 일측에 대형의 물 공급 탱크(80)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물수막 탱크(90)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외부로 유출되는 물이 수막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수막 형성 수단(미도시)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수막 형성 수단은 물수막 탱크(90)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수구, 즉 유입구(97a,98a)와 유출구(97b,98b) 측이 각각 소정의 낙차를 갖도록 한 구성으로부터 수막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어 분무 등의 방식으로 수막을 발생시키는 등 매우 다양한 방식의 수막 발생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물수막 탱크(90)는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95)을 통해 물 공급 탱크(80)에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96)을 통해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물수막 탱크(90)와 보조 물탱크(50(60)들은 상기 물 공급 탱크(80)를 통한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복수의 배관(41,42,43,44…)들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수막 탱크(90)는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95)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다시 상기 배관(43,41)들을 통해 일측의 보조 물탱크(50)와의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고, 또한 상기 일측의 보조 물탱크(50)로부터 공급된 물을 다시 상기 배관(42,44)들을 통해 다른 일측의 보조 물탱크(60)와의 사이에 유동시켜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96)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80)로 배출한다.
물수막 탱크(90)의 일측 또는 타측의 보조 물탱크(50)(60)들 사이를, 또는 물수막 탱크(90)의 일측 또는 타측의 보조 물탱크(50)(60)와 물수막 탱크(90)를 연결하는 배관(41,42,43,44…)들은 각각의 트랜스(11)(12)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동 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트랜스(11)(12)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관(41,42,43,44…)들이 인입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50)(60) 및 물수막 탱크(90)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51,61)(91,92)을 배치하여 상기 동 파이프(41,42,43,44…)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51,61)(91,92)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조 물탱크(50)(60) 및 물수막 탱크(90)의 각 단부들에 위치된 전극판(51,61)(91,92)에서 유도전기에 의해 단락이 일어날 경우 매우 높은 온도의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보조 물탱크(50)(60)들과 물수막 탱크(9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41,42,43,44…)들의 표면이 각각의 전극판(51,61)(91,92)을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어 배관 내부의 물이 데워질 수 있다.
도 4에서 물수막 탱크(90)는 유도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탱크 벽면을 동판으로 구성하고, 아울러 일측의 보조 물탱크(50)로부터 유입된 물이 다시 타측의 보조 물탱크(60)로 유출되기까지 탱크(90)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가열되기 용이하도록 일정 폭의 유로 형태의 구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경우, 배관(41,42,43,44…)들 내부의 물은 최소 8번 이상의 가열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렇게 데워진 물은 상기 물수막 탱크(90)의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96)을 통해 물 공급 탱크(80)로 배출되고, 물 공급 탱크 내부의 물은 관로를 따라 빌딩이나 공장 등의 대형 난방 사이클(S3)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비닐하우스나 빌딩 또는 공장 등의 대형 난방 사이클(S3)을 거치며 냉각된 물은 다시 물 공급 탱크(80) 내부로 순환되고, 물 공급 탱크 내부로 회귀한 냉각된 물은 물수막 탱크(90)의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95)을 통해 물수막 탱크(90)로 공급되어 다시 트랜스에 의한 전기자장으로부터 유도된 유도전기와 전극판의 단락에 의한 가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랜스에서 유도된 전기자장과 전극판에 의한 단락 열을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난방용수와 각종 생활용수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일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11,12 : 트랜스
20,30,50,60,70 : 보조 물탱크
21,31,51,61,71,72,91,92 : 전극판
22,52,95 : 급수관
32,62,96 : 배수관
41,42,43,44… : 배관
80 : 물 공급 탱크
90 : 물수막 탱크
97a,98a : 유입구
97b,98b : 유출구
S1, S2, S3 : 난방 사이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둘 이상의 트랜스와 이러한 트랜스들의 배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수막 탱크, 그리고 상기 물수막 탱크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들의 최외측 및 트랜스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상기 물수막 탱크와 트랜스들 그리고 보조 물탱크들로 이루어진 배치 구성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 공급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막 탱크는 일측에 마련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물수막 탱크와 보조 물탱크들은 상기 물 공급 탱크를 통한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서로 복수의 배관들로 연결되되, 상기 배관들은 각각의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이 미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트랜스의 적어도 일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들이 인입되는 복수의 보조 물탱크 및 물수막 탱크의 각 단부들에는 전극판을 배치하여 상기 배관들을 통해 전달된 유도전기가 전극판에서 단락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막 탱크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외부로 유출되는 물이 수막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수막 형성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막 형성 수단은 물수막 탱크에 구비되는 유입구 측 및 유출구 측이 각각 소정의 낙차를 갖추어 상기 낙차를 통해 각각 수막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거나, 분무 방식에 의해 수막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막 탱크는 유도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탱크 벽면을 동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일측의 보조 물탱크로부터 유입된 물이 다시 타측의 보조 물탱크로 유출되기까지 탱크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가열이 용이하도록 일정 폭의 유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들은 트랜스로부터 전기자장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동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를 이용하는 난방 사이클을 갖는 구조물.
KR1020160158437A 2016-11-25 2016-11-25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KR10175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37A KR101757756B1 (ko) 2016-11-25 2016-11-25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37A KR101757756B1 (ko) 2016-11-25 2016-11-25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756B1 true KR101757756B1 (ko) 2017-07-17

Family

ID=5944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37A KR101757756B1 (ko) 2016-11-25 2016-11-25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7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474A (ja) 2002-10-25 2004-05-20 Dai Ichi High Frequency Co Ltd 加熱処理装置
WO2004068033A1 (ja) 2003-01-28 2004-08-12 Izumi Information Co., Ltd. 過熱蒸気生成装置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JP2008281287A (ja) * 2007-05-11 2008-11-20 Toshio Wakamatsu 電気式連続湯沸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474A (ja) 2002-10-25 2004-05-20 Dai Ichi High Frequency Co Ltd 加熱処理装置
WO2004068033A1 (ja) 2003-01-28 2004-08-12 Izumi Information Co., Ltd. 過熱蒸気生成装置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JP2008281287A (ja) * 2007-05-11 2008-11-20 Toshio Wakamatsu 電気式連続湯沸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468B1 (ko) 고주파유도가열방식의 전기보일러
CN107621077B (zh) 锅炉用采暖水加热器
KR101787626B1 (ko)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보일러 시스템
US3666917A (en) Heating system utilizing an electrolytic device in a closed hydraulic circuit
KR101757756B1 (ko) 전극판과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기 유도가열 보일러
RU2400944C1 (ru) Вихревой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огрева для помещения
KR101602105B1 (ko) 난방 온수 겸용 인덕션 보일러
KR101190273B1 (ko) 직렬 연결형 전기 보일러
KR20160058441A (ko) 인덕션 보일러
WO2018147758A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жидкостей
KR100776782B1 (ko) 고주파 유도 가열 전기보일러
CN216011265U (zh) 一种工频感应电磁锅炉用的高效热交换结构
RU2138137C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текучих сред
KR20140119618A (ko) 인덕션 보일러
KR102352057B1 (ko) 냉각수 히터
KR101950887B1 (ko) 보일러
KR102597029B1 (ko) 전극 쇼트 가열 패널 구조체와 이를 구비한 유도가열자기장 보일러
RU2625719C2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жидкостей
KR102408704B1 (ko) 냉각수 히터
RU171171U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тороидаль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жидкостей
CN219063755U (zh) 一种基于半导体发热材料的板换结构电加热器
KR20170037171A (ko) 인덕션 보일러
CN212463548U (zh) 一种三维迷宫式电磁加热器
KR101521814B1 (ko) 유도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온수 및 난방 시스템
CN215175981U (zh) 一种磁化效果好的工频感应电磁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