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875A -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875A
KR20150027875A KR20130103073A KR20130103073A KR20150027875A KR 20150027875 A KR20150027875 A KR 20150027875A KR 20130103073 A KR20130103073 A KR 20130103073A KR 20130103073 A KR20130103073 A KR 20130103073A KR 20150027875 A KR20150027875 A KR 2015002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ble
terminal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410B1 (ko
Inventor
정승균
고영
황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4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004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the gear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by rolling members or by specially adapted surfaces on the gears, e.g. by a rolling surfa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tch cir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터미널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센서프레임과 상기 센서프레임이 삽입되어 보호되기 위한 센서컵을 가지는 복수의 센서 앗세이; 상기 센서 앗세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보호튜브와 상기 케이블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앗세이; 및 상기 케이블 앗세이와 상기 센서 앗세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앗세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터미널 앗세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Speed Sensor Assembly For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용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기의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스피드 센서를 포함하는 스피드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의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각각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드 센서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피드 센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고 일측에 소켓부(2)가 구비되는 상부하우징(3)과, 상부하우징(3)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하부하우징(4)과, 상기 상부하우징(3)과 하부하우징(4) 내에 구비되며 다수의 전자부품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몰드프레임(5)을 포함하고 있다.
몰드프레임(5)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은 터미널(6), 다이오드, 레지스터, 홀IC(7), 마그네트(8)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회로기판에 고정된 후에, 사출 성형에 의해 몰드프레임(5)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터미널(6)은 몰드 프레임(5)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몰드프레임(5)이 상부하우징(3)에 고정될 때, 상부하우징(3)의 소켓부(2)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외부에서 전기 공급을 위한 커넥터가 상기 소켓부(2)에 결합되어 터미널(6)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부하우징(3)은 그 외주 일측에 고정홀(9)이 형성되어 있어, 변속기 몸체의 상면에 밀착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4)은 변속기 몸체에 형성된 장착용 구멍으로 삽입되면서 그 헤드 선단이 변속기 내부에 설치된 기어와 일정거리 유지하여 에어갭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6)과 일체로 1차 사출 성형된 몰드 프레임(5)이 상부하우징(3)에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며, 이 상부하우징(3)의 저면으로는 하부하우징(4)이 오버몰딩되면서 상부하우징(3)과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5)에 노출된 터미널(6)은 홀IC(7) 및 마그네트(8)에 용접에 의해 접속된 후에, 하부하우징(4)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충진되는 몰드액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드 센서(1)는 자동변속기의 입력측 스피드 센서와 출력측 스피드 센서가 각각 낱개로 구성되어 각각 별도로 고정부재에 의해 변속기 몸체에 고정됨으로, 스피드 센서(1)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피드 센서(1)를 구비한 센서 조립체일지라도 변속기의 진동 또는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피드 센서(1)구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스피드 센서에 착탈가능한 케이블을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변속기의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누전 또는 단락 등이 빈번히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스피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스피드 센서 각각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한 터미널 앗세이 구조를 갖는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변속기의 진동 또는 충격이 있어도 누전 또는 단락이 생기지 않는 구조를 갖는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터미널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센서프레임과 상기 센서프레임이 삽입되어 보호되기 위한 센서컵을 가지는 복수의 센서 앗세이; 상기 센서 앗세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보호튜브와 상기 케이블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앗세이; 및 상기 케이블 앗세이와 상기 센서 앗세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앗세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터미널 앗세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센서터미널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마련된 센서프레임을 센서컵에 삽입 설치하여 센서 앗세이를 마련하는 단계; 커넥팅터미널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커넥팅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센서 앗세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보호튜브와 상기 케이블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앗세이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앗세이와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를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드 센서를 변속기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기의 진동 또는 충격이 있어도 센서 조립체가 파손되지 않고, 케이블에 누전 또는 단락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차량의 잔고장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피드 센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10)는 복수의 센서 앗세이(20)와 케이블 앗세이(30)와 터미널 앗세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앗세이(20)는 센서터미널(21)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센서프레임(22)과 상기 센서프레임(22)이 삽입되어 보호되기 위한 센서컵(2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앗세이(20)는 홀IC, 마그넷 같은 전자부품들과 센서터미널(21)이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센서프레임(22)과 이 센서프레임(22)이 수용되는 센서컵(2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그넷과 센서터미널(21)을 인서트하고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센서프레임(22)에 홀IC를 고정 설치한 뒤에 홀IC가 고정 설치된 센서프레임(22)을 센서컵(23)에 삽입 장착하여 센서 앗세이(20)를 마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홀IC는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센서프레임(22)의 상단부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 원통 형상은 센서프레임(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센터축(C)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프레임(22)의 상단부의 내부는 센서터미널(21)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프레임(22)은 센서터미널(21)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센서터미널(21)이 전자부품들과 함께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단에 센서터미널(21)이 형성된 센서프레임(22)을 만들 수 있다.
센서컵(23)은 센서프레임(22)과 전자부품들을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서컵(23)은 상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센서컵(23)의 개구부를 통하여 센서컵(23)의 내부로 센서프레임(22)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센서컵(23)의 상단부와 센서프레임(22)의 상단부는 형상적으로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센서컵(23)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센서컵(23) 내부의 전자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 앗세이(30)는 상기 센서 앗세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31)과 상기 케이블(31)을 둘러싸는 보호튜브(32)와 상기 케이블(31)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튜브(32)는 케이블(31)을 습기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튜브(32)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코로게이트된 튜브일 수 있다. 보호튜브(32)와 케이블(31) 사이에는 절연튜브(33)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앗세이(30)는 케이블(31) 외부를 절연튜브(33)가 둘러싸고 절연튜브(33)의 외면을 보호튜브(32)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는 가이드블럭에 커넥터터미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가이드블럭과 커넥터터미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가이드블럭의 평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편의상 하나의 블럭만 도시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40)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커넥터(40)는 복수의 커넥터터미널(41)과 가이드블럭(42)과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터미널(41)의 일단(41a)은 실시예에 따라서 알파벳 U자 형태의 클립의 형상일 수 있다. 커넥터터미널(41)의 타단(41b)은 평평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커넥터터미널(41)의 일단(41a)과 타단(41b) 사이는 타단(41b)에 형성된 플레이트보다 폭이 더욱 두껍게 형성된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일단(41a)과 타단(41b)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고정홀(4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홀(41c)은 후술할 가이드블럭(42)에 형성된 돌출부(43)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커넥터터미널(4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 개의 커넥터터미널(41)이 하나의 커넥터(40)에 설치된다.
가이드블럭(42)은 복수의 커넥터터미널(41)이 요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블럭(42)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41)이 요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44)과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41)이 상기 가이드블럭(4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에 걸림돌기(43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탄성적 변형이 가능하도록 요홈(43b)이 형성된 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블럭(42)은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블럭(42)의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면인 타면에는 가이드블럭(4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가이드편(4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편(44)은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편(44) 각각의 간격은 커넥터터미널(41)의 커넥터터미널(41)과 타단(41b)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의 너비와 유사할 수 있다.
가이드블럭(42)의 돌출부(43)는 측면에 걸림돌기(43a)가 형성되고, 돌출부(43)의 내부는 요홈(43b)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는 두 개의 가이드편(4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는 커넥터터미널(4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넥터터미널(41)의 고정홀(41c)에 가이드블럭(42)에 형성된 돌출부(43)가 끼워질 때, 돌출부(43) 내부에 형성된 요홈(43b)으로 인하여 걸림돌기(43a)가 탄성적으로 후퇴하였다가 커넥터터미널(41)이 가이드블럭(42)에 완전히 끼워진 경우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돌출부(43)가 탄성적으로 완전히 복원된 뒤에는 걸림돌기(43a)가 커넥터터미널(41)의 이탈을 방지한다.
커넥터터미널(41)이 가이드블럭(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터미널(41)의 커넥터터미널(41)에 형성된 클립부를 압착하여 케이블(31)을 연결함으로써 케이블(31)과 커넥터(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버부는 커넥터터미널(41)의 타단(41b)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커넥터터미널(41)을 커버부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하고 사출 성형하여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미널 앗세이(50)는 상기 케이블 앗세이(30)와 상기 센서 앗세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앗세이(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앗세이(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앗세이(50)는 복수의 커넥팅터미널(51)과 커넥팅프레임(54)과 하우징(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터미널(51)을 센서터미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터미널(51)은 케이블(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프레임(54)은 복수의 커넥팅터미널(51)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5)은 커넥팅프레임(54)과 대응하고, 센서 앗세이(20)를 차량의 변속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6)와 복수의 리브(55a,55b) 또는 홈부가 형성된 윗면 또는 밑면과 상기 케이블(31)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터미널(51)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터미널(51)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팅프레임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되어 일체로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커넥팅터미널(51)이 배치된 커넥팅프레임(54)을 만들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터미널(51) 각각은 제1서브커넥팅터미널(52)과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52)보다 길이가 짧은 제2서브커넥팅터미널(53)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52)과 상기 제2서브커넥팅터미널(53) 각각은 모두 요구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터미널 앗세이(50)는 차량의 변속기의 외면에 부착되므로 터미널 앗세이(50)가 접촉하는 변속기의 외면과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미널 앗세이(50)의 형상은 터미널 앗세이가 부착되는 변속기의 외면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앗세이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팅프레임도 마찬가지로 터미널 앗세이의 형상과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절곡부(51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52)과 상기 제2서브커넥팅터미널(53) 각각의 일단은 상기 센서터미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센서접촉부(51a)를 형성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케이블(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클립부(51b)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접촉부(51a)는 커넥팅터미널(51)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접촉부(51a)는 센서터미널(21)과 용접으로 연결할 수 있다. 클립부(51b)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클립부(51b)에 케이블(31)을 놓고 압착하여 커넥팅터미널(51)과 케이블(31)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서브커넥팅터미널(52)과 제2서브커넥팅터미널(53)은 클립부(51b)가 형성된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커넥팅프레임(54)이 형성되고, 커넥팅터미널(51)의 센서접촉부(51a)가 센서 앗세이(20)의 센서터미널(21)과 연결되고, 커넥팅터미널(51)의 클립부(51b)가 케이블(31)과 연결된 상태에서 센서 앗세이(20)와 커넥팅 앗세이를 인서트하여 일체로서 사출 성형하여 하우징(55)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55)은 복수의 리브(55a,55b) 또는 홈부가 형성된 윗면 또는 밑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5a,55b)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1리브(55a)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2리브(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55a)와 제2리브(55b)는 서로 엇갈리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1홈부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홈부와 제2홈부는 서로 엇갈리면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앗세이(50)는 변속기의 외면에 직접 접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변속기의 진동 또는 충격이 터미널 앗세이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터미널 앗세이의 파손 가능성이 크다.
하우징(55)의 리브 또는 홈이 형성된 윗면의 구조는 하우징(55)의 강도를 향상시키므로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센서 앗세이(20)를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 시킬 때 오링(24)을 함께 인서트 시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오링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센서 앗세이와 터미널 앗세이 사이의 밀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상기 센서 앗세이(20)와 상기 커넥팅프레임(54)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30)를 인서트 시킬 때 부싱(56a)을 추가로 인서트 시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부싱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스피드 센서 조립체를 변속기에 고정시 과도한 볼트 조임에 의해서 스피드 센서 조립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10)의 조립방법은 센서터미널(21)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마련된 센서프레임(22)을 센서컵(23)에 삽입 설치하여 센서 앗세이(20)를 마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 앗세이(20)을 마련하기 위해서 센서 앗세이(20)를 마련하는 단계(S100)를 필요한 센서 앗세이(20)의 개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터미널(51)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커넥팅프레임(54)을 마련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앗세이(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31)과 상기 케이블(31)을 둘러싸는 보호튜브(32)와 상기 케이블(31)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케이블 앗세이(30)를 마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앗세이(20)와 상기 커넥팅프레임(54)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30)를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하우징(55)을 형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 앗세이(20)를 마련하는 단계(S100)는 마그넷과 상기 센서터미널(21)을 인서트 시키고 사출 성형하여 상기 센서프레임(22)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프레임(22)에 홀IC를 고정 설치하여 홀IC센서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홀IC센서프레임을 센서컵(23)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55)을 형성하는 단계(S400)는 상기 커넥팅터미널(51)의 일단에 상기 센서터미널(21)을 접합시키고, 타단에 상기 케이블(31)을 접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서 앗세이(20)와 상기 커넥팅프레임(54)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30)를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55)을 형성하는 단계(S400)는 상기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상기 센서 앗세이(20)와 상기 커넥팅프레임(54)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30)를 인서트시킬 때 부싱(56a)을 추가로 인서트시켜 사출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20 : 센서 앗세이
30 : 케이블 앗세이
40 : 커넥터
50 : 터미널 앗세이

Claims (12)

  1. 센서터미널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센서프레임과 상기 센서프레임이 삽입되어 보호되기 위한 센서컵을 가지는 복수의 센서 앗세이;
    상기 센서 앗세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보호튜브와 상기 케이블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를 가지는 케이블 앗세이; 및
    상기 케이블 앗세이와 상기 센서 앗세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앗세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하는 터미널 앗세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앗세이는,
    상기 센서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팅터미널;
    상기 복수의 커넥팅터미널이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커넥팅프레임; 및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대응하고, 상기 센서 앗세이를 차량의 변속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윗면과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부를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터미널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터미널 각각은 제1서브커넥팅터미널과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보다 길이가 짧은 제2서브커넥팅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과 상기 제2서브커넥팅터미널 각각은 모두 요구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팅터미널과 상기 제2서브커넥팅터미널 각각의 일단은 상기 센서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센서접촉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클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1리브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커넥터터미널;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이 요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과 상기 가이드블럭을 둘러싸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둘러싸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이 요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과 상기 복수의 커넥터터미널이 상기 가이드블럭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탄성적 변형이 가능하도록 요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9. 센서터미널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마련된 센서프레임을 센서컵에 삽입 설치하여 센서 앗세이를 마련하는 단계;
    커넥팅터미널을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커넥팅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센서 앗세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보호튜브와 상기 케이블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앗세이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앗세이와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를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앗세이를 마련하는 단계는,
    마그넷과 상기 센서터미널을 인서트 시키고 사출 성형하여 상기 센서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센서프레임에 홀IC를 고정 설치하여 홀IC센서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홀IC센서프레임을 센서컵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팅터미널의 일단에 상기 센서터미널을 접합시키고, 타단에 상기 케이블을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앗세이와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를 인서트 시키고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 성형용 금형에 상기 센서 앗세이와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앗세이를 인서트 시킬 때 부싱을 추가로 인서트 시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20130103073A 2013-08-29 2013-08-29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51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73A KR101514410B1 (ko) 2013-08-29 2013-08-29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73A KR101514410B1 (ko) 2013-08-29 2013-08-29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875A true KR20150027875A (ko) 2015-03-13
KR101514410B1 KR101514410B1 (ko) 2015-05-06

Family

ID=5302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073A KR101514410B1 (ko) 2013-08-29 2013-08-29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891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만도 휠 속도센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58B1 (ko) * 2018-09-17 2023-06-16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14B1 (ko) * 2010-11-24 2012-09-14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140035B1 (ko) * 2010-11-25 2012-05-02 주식회사 케피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891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만도 휠 속도센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410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1149B2 (en) Moving object detection device
US10010006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40148019A1 (en) Component module, ma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nent module and mating connector
US9583928B2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JP5704350B2 (ja) 電気接続箱
JP4851243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2331863B1 (ko) 전기 커넥터의 부착구조 및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제조방법
JP5638932B2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US20110273854A1 (en) Magnetic Field Sensor
JP5570568B2 (ja) 車載用防水型電子機器筐体
KR101514410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2005227156A (ja) センサ装置
JP5974971B2 (ja) リレーユニット
JP4434885B2 (ja) モータ
KR101181114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WO2015098567A1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における外装ケースの成形方法
KR20160124332A (ko) 자성코어 및 홀 센서 집적회로가 일체로 모듈화된 전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JP2020087694A (ja) カバーとハウジングとの組付構造、及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144793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60048526A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351228B (zh) 旋转检测装置
JP7212209B1 (ja) 温度センサ、組付体、回転電機、および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KR102629367B1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US20230288198A1 (en) Sensor unit
CN110062887B (zh) 移动体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