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768A - 구강 보호구 - Google Patents

구강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768A
KR20150027768A KR1020147036597A KR20147036597A KR20150027768A KR 20150027768 A KR20150027768 A KR 20150027768A KR 1020147036597 A KR1020147036597 A KR 1020147036597A KR 20147036597 A KR20147036597 A KR 20147036597A KR 20150027768 A KR20150027768 A KR 2015002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edge
oral
shaped profil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브라우드
Original Assignee
엠오 205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오 205 filed Critical 엠오 205
Publication of KR2015002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61C5/88W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강 보호구는 구강내의 한 쪽에 위치하는 치열궁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치과용 웨지(2)와, 혀를 밀어내도록 되어 있는 제1부(3A)와 구강내의 다른 쪽에 밀착하게 되는 제2부(3B)를 포함하는 보호 블레이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3)의 제2부(3B)가 입술의 구석에 위치하는 후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리턴부(3C, return)에 의하여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구강 보호구 {Intraoral Protection}
본 발명은 치아에 대한 작업을 하는 동안에 입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에 대한 작업을 하는 동안에, 환자는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의사가 치아나 구강 작업을 하기 위하여 치아에 접근할 수 있고, 볼 안쪽이나 혀에 상처를 주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에 접근하기 위해서, 환자는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치료 작업이 길어지면, 입을 오랫동안 벌리고 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턱이 점차 닫히게 된다.
따라서, 첫번째 문제는 입을 오랫동안 벌리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 문제는 혀나 볼의 안쪽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오래된 하나의 기술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작업 측면의 어느쪽이나 치열궁(dental arches) 사이에 놓이는 원기둥형 면 패드로 볼과 혀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혀를 뒷 쪽으로 밀고 입을 벌린 채로 유지하는 기구에 의하여 개선되었다.
입을 벌린 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료하고자 하는 치아가 위치하는 쪽에 대하여 맞은편 쪽에 치열궁 사이에 위치하는 두꺼운 웨지(wedge)를 포함하는 기구가 있다.
입을 보호하기 위하여, 앞에 언급한 두꺼운 웨지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혀를 상기 블레이드 뒤로 밀어내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 2003/134253, 미국특허 US 5730599).
이러한 블레이드는 혀를 밀어주는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입의 다른 쪽을 지지하는 사이드 플랩(side flap)에 연결되어 있고, 치아와 볼 사이에 위치한다. 편평하게 놓이는 상기 블레이드는 앞에서 보아 대략 8자를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를 정확하게 그리고 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웨지와 블레이드 사이의 연결이 단단하게 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를 방향잡아 주는 것이 상기 웨지의 위치가 된다. 개개인의 입은 개별적인 반면에 상기 기구는 표준형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의 단단함은 상기 기구의 설계와 위치결정에 있어서 해결하기 어려운 제한 요소가 된다.
1. 미국공개특허 US 2003/134253 2. 미국특허 US 5730599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내의 한 쪽에 위치하는 치열궁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치과용 웨지, 및 혀를 밀어내도록 되어 있는 제1부와 구강내의 다른 쪽에 밀착하게 되는 제2부를 포함하는 보호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강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제2부가 입술의 구석에 위치하는 후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리턴부(return)에 의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고, 기구의 설계와 위치결정에 용이한 보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강 보호구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몇 가지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보호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구강 보호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구강 보호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구강 보호구의 블레이드만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블레이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웨지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웨지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과 작업에 사용되기 위한 구강 보호구(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보호구는 환자의 입을 벌린 채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위하여 웨지(2)가 사용되는데, 웨지의 높이와 치열궁에서의 위치가 입의 벌림 정도를 결정한다.
상기 웨지(2)와 함께, 혀를 밀어내는 제1부(3A)와 구강내의 다른쪽에 밀착하게 되는 제2부(3B)를 포함하는 보호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제2부(3B)는 입술의 구석에 위치된 후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 볼 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리턴부(3C)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뒷 쪽을 향하여 굽어져 있다.
상기 보호구가 위치되었을 때, 양쪽 단부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턱 사이의 상기 웨지에 의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후크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2부(3B)와 상기 리턴부(3C)에 의하여 형성되고 볼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확실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부(3A)는 혀를 밀어내어 혀를 보호하게 되고, 상기 제2부(3B)는 볼과 치아 사이에서 미끄러짐으로써 볼을 보호하게 되고, 이 영역은 볼 내부(vestibule)로 지칭한다.
추가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제1부(3A)는 구강 바닥과 구강 천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높이를 가져서, 블레이드가 제 위치에 놓였을 때 굽혀지게 하고 이렇게 굽혀지는 밀착은 고정을 강화시킨다. 상기 블레이드의 여러 부분들 사이에는 서로에 대하여 부분을 정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재료에 있어서 감소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제1부(3A)와 제2부(3B) 사이에 있는 상기 감소부(30)는 어금니 뒤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파지(gripping)에 의하여 쐐기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실행을 함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위치를 잡는 것부터 시작하고 그 다음 웨지의 위치를 잡는다.
상기 리턴부는 구강보호를 위해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쐐기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웨지에 대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정위를 용이하게 하는 간격을 가진 신속 고정 형태의 유연성 연결부(1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웨지의 정면에 형성되는데, 말하자면, 구강의 바닥의 반대편 웨지면에 형성된다.
상기 웨지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상기 연결부(100)는 다음과 같다:
상기 블레이드(3)는 C자 프로파일 형태로 된 숫부(5)를 포함하고, 상기 C자 형태의 오목부(6)는 상기 웨지 쪽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C자 프로파일은 상응하는 공동부(7)에 끼워지고, 상기 공동부는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억지끼움에 대하여 변형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있다.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수용하는 상기 공동부(7)는 상기 웨지의 전면에 위치한다.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웨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오목부(6)는 림(8)을 덮는다. 상기 C자 프로파일은 상기 림(8)에 대하여 약간 각이동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상기 블레이드(3)가 제위치로 방향잡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웨지는 탄성을 가져서 상기 C자 프로파일이 입부(9, lips)를 벌려서 상기 웨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장착될 수 있게 하고, 이는 상기 공동부(7)의 입구를 감소시켜 준다. 상기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것은 상기 웨지에 대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 조정이나 이동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다른쪽 단부는 입술의 구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정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웨지는 압축되면 탄성적으로 변형이 되고, 치아에 대하여 2 개의 마주보는 지지 영역을 갖는다.
상기 웨지의 (낮게 유지되는) 이러한 탄성은 환자에 대하여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환자는 불유쾌한 느낌을 받지 않고 상기 웨지를 물 수 있고, 상기 웨지를 물 때, 환자는 상기 C자 프로파일을 잡아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 C자 프로파일)의 반 튜브에서의 이러한 형상의 자유단은, 상기 웨지의 개방된 상기 공동부(7)에서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5A)를 구비한다. 상기 반 튜브 형상은 제한된 길이 범위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구의 위치나 방향을 신속하게 조정가능하며 유연성있는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웨지와의 연결 수단의 2개의 상응하는 부분 중의 하나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반 튜브 형상(속이 빈 반 실린더)은, 상기 리턴부의 전면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제2부의 단부에서 가능한 멀리 연장되고, 그리하여 종방향으로 주름진 형상으로 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강성을 부여하는 종방향 리브(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호구를 보면, 상기 제1부(3A)는 길다란 나뭇잎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넓어진 다음에 상기 웨지로부터 멀어지면서 좁아져서, 만곡되고 상기 제1부에 대하여 90도 정도의 방향으로 상기 제2부(3B)를 위치시키는 천이 영역인 상기 감소부(30)에 의하여 연장되게 되고, 상기 제2부(3B)는 리턴부(3C)에 의하여 연장되어 후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만곡된 면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오목면은 앞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즉, 구강의 전면인 입구를 향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와 위치에 있어서의 다양한 선택은 이러한 블레이드에 다소간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변두리에 노치(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게 되는데,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유체는 뽑아내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웨지는 압축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엄격하게 견고하지는 않다. 접촉 영역에 있는 리브(16)는 상기 웨지의 종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접촉 영역은 치아의 이동을 횡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횡방향 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치아를 쉽게 위치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웨지 사이의 해제가능한 연결은 신속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보다 나은 소독을 위하여 보호구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개별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웨지의 재료는 상기 블레이드의 재료와 다른 속성을 가질 수 있어서 개별 부품이 독자적으로 몰딩될 수 있고, 동시 사출이 수행될 때의 몰딩 응력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른 속성의 재료 사용으로, 세트로 된 웨지 중에서 하나의 웨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크기의 세트로 된 블레이드 중에서 하나의 블레이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부품은 소독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구강 보호구 2: 웨지
3: 블레이드 3A: 제1부
3B: 제2부 3C: 리턴부
6: 오목부 7: 공동부
8: 림 10: 리브
15: 노치 16: 리브
30: 감소부 100: 연결부

Claims (10)

  1. 구강내의 한 쪽에 위치하는 치열궁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치과용 웨지(2)와, 혀를 밀어내도록 되어 있는 제1부(3A)와 구강내의 다른 쪽에 밀착하게 되는 제2부(3B)를 포함하는 보호 블레이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강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의 제2부(3B)가 입술의 구석에 위치하는 후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리턴부(3C, return)에 의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의 상기 제1부(3A)는 구강 바닥과 구강 천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높이를 가져서, 블레이드(3)가 제 위치에 놓였을 때 굽혀지게 하고 이렇게 굽혀짐으로 밀착되어 고정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2)에 대하여 상기 블레이드(3)의 정위를 용이하게 하는 간격을 가진 신속 고정 형태의 유연성 연결부(100)를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3)가 상기 웨지(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연결부(100)는 C자 프로파일 형태로 된 숫부(5)를 포함하고, 상기 C자 프로파일 형태의 오목부(6)는 상기 웨지(2) 쪽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C자 프로파일은 상응하는 공동부(7)에 끼워지고, 상기 공동부(7)는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억지끼움에 대하여 변형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자 프로파일의 길이는 상기 C자 프로파일이 이를 수용하는 상기 공동부(7)에서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자 프로파일의 오목부는 상기 웨지(2)에서 림(8)을 덮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2)는 압축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치아에 대하여 마주보는 접촉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에 대하여 마주보는 접촉 영역은, 상기 웨지의 종방향 축을 따르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리브(16)를 구비하고, 이러한 접촉 영역은, 치아를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횡방향 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의 상기 제1부(3A)는 길다란 나뭇잎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웨지로부터 멀어지면서 좁아져서, 만곡되고 상기 제1부에 대하여 90도 정도의 방향으로 상기 제2부(3B)를 위치시키는 천이 영역인 감소부(30)에 의하여 연장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부(3B)는 리턴부(3C)에 의하여 연장되어 후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제1부(3A)와 제2부(3B) 사이에 있는 재료에 있어서의 감소부(30)가 어금니 뒤에 위치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파지(gripping)에 의하여 쐐기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보호구.
KR1020147036597A 2012-06-26 2013-06-10 구강 보호구 KR20150027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01799A FR2992161B1 (fr) 2012-06-26 2012-06-26 Protection intra-buccale
FR12/01799 2012-06-26
PCT/FR2013/000145 WO2014001655A1 (fr) 2012-06-26 2013-06-10 Protection intra-bucc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68A true KR20150027768A (ko) 2015-03-12

Family

ID=4678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597A KR20150027768A (ko) 2012-06-26 2013-06-10 구강 보호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27071B2 (ko)
EP (1) EP2863830B1 (ko)
JP (1) JP2015525593A (ko)
KR (1) KR20150027768A (ko)
BR (1) BR112014032616A2 (ko)
CA (1) CA2877834A1 (ko)
ES (1) ES2644963T3 (ko)
FR (1) FR2992161B1 (ko)
MX (1) MX353921B (ko)
WO (1) WO2014001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9969B2 (en) 2012-12-07 2023-02-28 Solmetex, Llc Intraoral device with mesh
US8911232B2 (en) 2012-12-07 2014-12-16 Incept, Inc.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BR112021022474A2 (pt) 2019-05-10 2022-01-04 Dryshield Llc Aparelho dentário
CN110464503B (zh) * 2019-09-04 2024-01-2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金属正畸开口器
WO2022221575A1 (en) * 2021-04-14 2022-10-20 Harman Bond Dental aspiration preven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599A (en) * 1996-11-12 1998-03-24 Pak; Elizabeth Y. Protective dental shield
US6022214A (en) * 1998-11-17 2000-02-08 Hirsch; James A.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974321B2 (en) * 1998-11-17 2005-12-13 Innerlite, Inc. Intraoral device
KR100654392B1 (ko) * 2005-09-13 2006-12-06 김재수 구강조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0211A1 (en) 2015-07-09
US9827071B2 (en) 2017-11-28
MX2014015380A (es) 2015-03-05
EP2863830B1 (fr) 2017-08-23
WO2014001655A1 (fr) 2014-01-03
FR2992161B1 (fr) 2014-07-11
MX353921B (es) 2018-02-06
CA2877834A1 (fr) 2014-01-03
FR2992161A1 (fr) 2013-12-27
BR112014032616A2 (pt) 2017-06-27
JP2015525593A (ja) 2015-09-07
EP2863830A1 (fr) 2015-04-29
ES2644963T3 (es)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0103B2 (en) Cheek retractor device and method
US10117725B2 (en) Interproximal dental tool
KR20150027768A (ko) 구강 보호구
CN110087590B (zh) 护齿
US9636197B2 (en)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EP1844728A1 (en) Cheek and lip retractor for dentistry
JP2016539710A5 (ko)
US20170000586A1 (en) Bite Block Lip Protector
EP2996624B1 (en) An improved dental wedge
US5057016A (en) Forceps having replaceable tips for removing a dental prosthetic
US5122058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premolar and anterior dental crowns
US11589959B2 (en) Intraoral device with a pair of articulated dental aligners
JP5705817B2 (ja) リップバンパー
US4632093A (en) Surgical retractor
KR20080036728A (ko) 치과용 진료용 입술 및 혀 리트랙터
US10314672B2 (en) Cheek and tongue retractor
KR102030922B1 (ko) 치과용 리트랙터
MX2021011571A (es) Protector dental.
WO2008037250A1 (en) Preformed dentistry matrix band
JP6996054B2 (ja) バイトブロック
KR102588607B1 (ko) 치과용 석션호스고정부재
CN212089802U (zh) 壳状牙科器械
KR101011538B1 (ko) 통증완화 덴탈 미러
TH2003001629C3 (th) เครื่องมือดึงรั้งและป้องกันเนื้อเยื่ออ่อนด้านแก้มสำหรับการผ่าตัดภายในช่องปาก
JP2002065705A (ja) 歯科治療を安全に行うため及び長時間口を開けていることの患者の負担を軽くするための歯科治療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