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49A - 용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지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6749A KR20150026749A KR20140019316A KR20140019316A KR20150026749A KR 20150026749 A KR20150026749 A KR 20150026749A KR 20140019316 A KR20140019316 A KR 20140019316A KR 20140019316 A KR20140019316 A KR 20140019316A KR 20150026749 A KR20150026749 A KR 201500267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sensor
- unit
- marking means
- kick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음이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되어 용지가 적층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적층된 용지를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흡착수단과, 상기 흡착수단에 의해 이동된 용지를 공급받아 원하는 공급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키커로 이루어진 공급수단이 구비된 용지공급부와, 상기 용지공급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 발생에 따른 동작 중단 시에도 용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대기 중인 용지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되어 용지가 적층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적층된 용지를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흡착수단과, 상기 흡착수단에 의해 이동된 용지를 공급받아 원하는 공급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키커로 이루어진 공급수단이 구비된 용지공급부와, 상기 용지공급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 발생에 따른 동작 중단 시에도 용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대기 중인 용지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체인에 장착된 키커를 이용하여 용지공급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재 원단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포장박스 등이 널리 이용되며, 이러한 포장박스의 경우 인쇄는 물론 적정 규격으로의 절곡과 절취를 위한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장치로 용지를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의 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흡착수단을 통해 용지를 흡착하여 공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흡착을 통해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는 용지를 흡착하는 흡착수단과 용지를 밀어주는 공급부재가 단일로 구비된다. 따라서 흡착수단은 용지를 흡착한 뒤 흡착된 용지를 공급부재가 밀어 가공장치로 전달하고, 공급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공급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흡착부재는 다음 용지를 흡착하고 공급부재는 용지를 가공장치로 전달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용지를 가공장치로 전달하는데 공급부재가 단일로 구비됨으로써 흡착수단의 작동정지시간이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 8월 21일자로 출원된 발명인 "용지공급장치(등록번호 10-0959200)는 가공장치로 용지를 공급함에 있어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공급부재가 구비되는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용지공급장치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용지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용지 공급을 연속동작으로 수행함에 있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효율에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용지공급장치를 살펴보면, 용지 공급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 용지공급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사용자가 장치 내로 들어가서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지의 공급을 위한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작업 대기 중인 용지의 효과적인 보관이 어려워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타발기에 용지를 공급할 때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부재가 이송하기도 하고, 타발기에 용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지가 계속 유입되는 등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정지하지 못하므로 용지공급장치뿐만 아니라 타발기에도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공급 중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의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용지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 중단 시에도 용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대기 중인 용지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한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단계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하므로 어느 한 공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구성한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설치되어 용지가 적층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 적층된 용지를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흡착수단과, 상기 흡착수단에 의해 이동된 용지를 공급받아 원하는 공급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키커로 이루어진 공급수단이 구비된 용지공급부와, 상기 용지공급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지공급부가 용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수단과, 상기 용지공급부가 용지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수단은 상기 용지공급부가 용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되는 용지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용지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호 이격거리가 용지의 폭 방향 길이에 대응하도록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용지공급부에는 상기 공급수단에 적어도 둘 이상의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수단에는 용지의 둘레 어느 일단에 걸리는 걸림바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바는 용지의 양단에 상호 대향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와 상기 복원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로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로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로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바에는 용지에 걸리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에는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 사이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스프라킷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단은, 전후방의 상기 스프라킷에 감긴 체인과, 상기 체인에 고정된 상기 키커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고 하방을 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대상이 되도록 상기 키커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식수단은 용지가 상기 키커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용지에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식수단에 대한 상기 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에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키커에 용지가 삽입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키커에서 용지가 이탈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 상기 표식수단이 감지되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제2센서에 표식수단이 감지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공급을 중단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커로부터 최종적으로 용지를 공급받는 타발기의 회전축에 대향하는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와,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수단은 지지판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끝단에 장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장착된 실린더센서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실린더센서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승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대향하는 바늘대범위 감지센서와,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대범위 감시센서와 표식수단이 대응할 때 상기 승강블록은 하강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감지하지 않아도 에러로 인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진공해제 감지센서와,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한 상태는 상기 흡착수단이 용지를 흡착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수단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키커삽입 감지센서와,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한 상태는 상기 키커에 용지가 삽입되기 전이고 상기 제1센서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한 상태일 때, 상기 제1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멈추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영점센서와, 상기 영점센서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성된 표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영점센서가 상기 표식수단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수단이 용지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가 상기 키커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식수단(60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공기분사노즐(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한 회전하는 체인에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용지를 원하는 위치로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음 및 진동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의 직선구간을 왕복운동하는 공급수단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구조에 비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키커의 걸림부재를 고정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용지 위치나 용지 상태에 따라 걸림부재의 장착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문제 발생에 따른 동작 중단 시에도 용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작업 대기 중인 용지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키커 이송 구간 전체에 걸쳐서 에러 감지 시스템을 적용하여 에러를 신속 정확하게 감지하여 급지 불량으로 인한 정지 및 운전의 반복으로 인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급지 속도의 변화에 따라서 작업자가 매순간 키커의 구동 타이밍과 진공 폐기 타이밍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틀 형상을 이루는 본체(1)에 설치되어 용지(11)가 적층되는 적층부(100)와, 상기 적층부(100)에 적층된 용지(11)를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흡착수단(210)과, 상기 흡착수단(210)에 의해 이동된 용지(11)를 공급받아 원하는 공급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체인(221)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키커(222)로 이루어진 공급수단(220)이 구비된 용지공급부(200)와,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용지공급부(200)는, 상기 이송부(300)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지지판(20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20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201) 사이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0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3)은 전후방으로 1개씩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3)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스프라킷(35)이 구성된다. 즉, 전방(타발기 쪽)의 회전축(203)에 서로 이격된 2개의 스프라킷(35)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라킷(35)에 대응하도록 후방의 회전축(203)에 서로 이격된 2개의 스프라킷(35)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 발생으로 인한 경우에도 용지공급부(200)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용지(11)를 공급하는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게 되며, 결국 사용자가 시야에서 벗어난 용지공급부(20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수단(310)과,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폭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이송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1이송수단(310)은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레일(31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수단(320)은 상기 이송레일(311)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플레이트(321)와, 상기 플레이트(3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피니언(322)과, 상기 피니언(3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321)가 용지(1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랙(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이송수단(320)을 랙-피니언과 같은 기어 결합을 사용할 경우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등 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수단(310)은 이송레일(311)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판(201)에 고정된 가이드(20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205)는 상호 연결되어 동시에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적층되는 용지(11)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대기 중인 용지(11)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용지(11)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용지(11)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상호 이격거리가 용지(11)의 폭 방향(y) 길이에 대응하도록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되는 용지(11)의 폭 방향(y) 길이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지(11)의 폭 방향(y)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42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가이드부재(410)가 본체(1)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용지공급장치 주변에서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가이드부(400)에 스토퍼부재(420)가 구비되어 가이드부재(4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가이드부재(410)가 본체(1)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지공급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공급수단(220)은, 전후방으로 배치된 스프라킷(35)에 감겨서 회전하는 체인(221)이 구성되고, 양측으로 대응하는 체인(221)에 상기 키커(222)가 고정되어 구성되는데, 2개가 한 조가 되도록 양측 체인(221)에 나란하게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1)에는 회전축(203)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4)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4)는 스프라킷(35)에 기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스프라킷(35)은 용지(11)의 이동궤적만큼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다. 스프라킷(35)에는 체인(221)이 감긴다.
체인(221)은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동력전달 수단으로, 판재와 판재를 체인핀(31a)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커(222)는 용지(11)가 얹어지는 홈이 형성된 걸림부재(41)와, 걸림부재(41)가 일측에 연결되고 체인(221)의 체인핀(31a)에 장착되는 고정부재(42)와, 걸림부재(41)에 장착되어 용지(11)를 가압하는 판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42)에는 장공(42a)이 형성되고, 걸림부재(41)는 장공(42a)에 고정핀(43)으로 고정된다. 고정핀(43)은 장공(42a)을 따라 미세이동 가능하다. 짝을 이루는 키커(222)는 체인(221)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키커(222)의 설치간격과 설치개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흡착수단(210)은 지지판(201)에 장착된 액추에이터(211)와 액추에이터(211)의 끝단에 장착되는 흡착판(212)으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211)는 공압으로 작동되므로 상기 흡착판(212)이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흡착판(212)에는 에어호스가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 및 흡입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발기(500)에도 일부 설치되므로 타발기(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키커(222)로부터 최종적으로 용지(11)를 공급받아서 절곡 절단하는 타발기(500)로서, 전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스프라킷(503)이 구성되고, 상기 스프라킷(503)에 감긴 체인(505)이 구성되며, 상기 체인(505)에 고정되어 회전하므로 용지(11)를 잡고 이송시키는 바늘대(501)가 구성된다.
상기 스프라킷(503)과 체인(505)은 양측방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늘대(501)는 용지(11)를 상부에서 찍을 수 있도록 바늘이 구성된 것으로서 양측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늘대(501)의 출발 지점의 하방에 승강하도록 상기 타발기(500)에 구성된 승강블록(540)이 구성되는데 양측방으로 가이드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가 레일을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블록(540)에는 전방에 후술하는 레버(530)가 삽입되는 홈(54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540)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타발기(500)에 회동하도록 구성된 레버(530)가 구성된다. 상기 레버(530)는 ㄱ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홈(543)에 삽입되고 상대측은 후술하는 푸셔캠(5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셔캠(520)은 별도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53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타발기(500)에 장착된 푸셔캠(520)이 구성되고, 상기 푸셔캠(520)이 고정되고 상기 타발기(50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회전축(55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50)이 회전하면 푸셔캠(520)에 의해서 레버(530)는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승강블록(540)은 상하방으로 왕복하게 되는데, 상방에 용지(11)가 공급되었을 때 상승하여 바늘대(501)에 용지(11)가 꽂히게 하고, 바늘대(501)는 체인(505)의 회전으로 용지(11)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발기(500)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에러 없이 용지(11)를 타발기(5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도 6 내지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판(201)에 지지되고 하방을 향하는 센서(603)가 구성되는데, 양측 회전축(203)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603)의 감지 대상이 되도록 상기 키커(222)에 구성된 표식수단(602)이 구성된다.
상기 표식수단(602)은 용지(11)가 키커(222)에 삽입되었을 때 용지(11)에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표식수단(602)에 대한 센서(603)의 감지여부에 따라 에러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모터(34)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센서(600)는, 키커(222)에 용지(11)가 삽입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센서(601)와, 제1센서(601)의 전방에 배치되어 키커(222)에서 용지(11)가 이탈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2센서(60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식수단(602)은 일례로서 도 10에서처럼 키커(222)의 측면에 돌출된 플레이트(P)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표식수단(602)은 일례로서 반사판, 자석, 기호, 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1센서(601)와 제2센서(603)는 표식수단(602)들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센서(601)에 상기 표식수단(602)이 감지되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34)에 전기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제2센서(603)에 표식수단(602)이 감지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34)에 전기공급을 중단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2)이 구성된다.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는 상기 흡착수단(210)이 용지(11)를 흡착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표식수단(702)은 반사판, 자석, 기호, 돌기 등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상기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수단(2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구성되고,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4)이 구성된다.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표식수단(704)을 인식한 상태는 키커(222)에 용지(11)가 삽입되기 전이고 제1센서(601)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식수단(704)은 반사판, 자석, 기호, 돌기 등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상기 표식수단(704)을 인식한 상태일 때, 상기 제1센서(601)가 상기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모터(34)의 작동을 멈추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영점센서(705)가 구성되고, 상기 영점센서(705)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6)이 구성된다. 상기 영점센서(705)가 상기 표식수단(706)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수단(210)이 용지(11)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1)가 키커(222)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블록(54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식수단(706)은 반사판, 자석, 기호, 돌기 등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점센서(705)가 상기 표식수단(706)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수단(210)이 용지(11)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1)가 상기 키커(222)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타발기(500)의 회전축(550)에 대향하도록 타발기(500)에 지지된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550)에 구성된 표식수단(55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550)에 대향하는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550)에 구성된 표식수단(559)이 구성된다.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 및 바늘대범위 감시센서(557)가 표식수단(555, 559)과 대응할 때 상기 승강블록(540)은 하강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표식수단(555, 559)은 회전축(550)의 원주 둘레의 일부를 차지하는 것으로서 회전축(550)의 회전에 의해서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 및 바늘대범위 감시센서(557)가 표식수단(555, 559)의 영역을 지나는 동안에는 승강블록(540)은 하강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표식수단(555, 559)은 반사경, 자석, 기호, 돌기 등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11)가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211)에 장착된 실린더센서가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센서는 흡착판(212)이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일례를 들면, 액추에이터(211)의 표면에 부착된 자석과 상기 애추에이터(211)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에 장착된 자석감지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가 상기 표식수단(555)을 인식하고 상기 실린더센서가 상기 액추에이터(211)의 상승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34)를 구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가 상기 표식수단(559)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603)가 상기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않아도 에러로 인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축(203)을 회전시켜서 영점센서(705)가 표식수단(706)과 대응하도록 하면, 상기 액추에이터(211)의 흡착판(212)이 하강하여 용지(11)를 흡착한 후 상승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와 키커삽입 감지센서(703)는 각각 표식수단(702, 704)과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에서 흡착수단(2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상기 표식수단(704)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601)가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모터(34)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액추에이터(211)가 용지(11)를 흡착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4)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지공급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적층부(100)에 용지(11)가 적층된 상태로 있으면, 용지공급부(200)는 흡착판(212)이 용지(11)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이송부(300)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용지(11) 공급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부(300)를 통해 용지공급부(200)가 본체(1) 영역 내에서 어느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치우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용지(11)를 적층부(100)에 적층시키는 작업 등을 실시하기가 용이하다.
그 상태에서 액추에이터(211)가 작동되어 흡착판(212)이 하강되어 용지(11)를 흡착한다. 흡착판(212)에는 공압이 공급되어 용지(11)가 흡착판(2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상태로 액추에이터(211)가 상승되면서 용지(11)가 함께 상승된다.
구동모터(34)에 의해 체인(221)이 회전되고, 키커(222)는 체인(221)을 따라 이동된다. 키커(222)가 이동되는 도중에 상승된 용지(11)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걸림부재(41)의 홈에 용지(11)가 삽입되는 순간, 흡착판(212)에 공급되었던 공압을 제거하여 용지(11)가 흡착판(212)과 분리된다.
흡착판(212)에서 분리된 용지(11)는 일측이 걸림부재(41)에 얹어진 상태로 키커(222)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착수단(210)에 의한 용지(11)의 수직이동과 공급수단(220)에 의한 용지(11)의 수평이동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면서 용지(11) 공급을 진행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공급부(200)에는 상기 공급수단(220)에 적어도 둘 이상의 용지(11)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수단(230)에는 용지(11)의 둘레 어느 일단에 걸리는 걸림바(231)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바(231)는 용지(11)가 흡착수단(210)에 상향 이동 시 용지(11)의 둘레 일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걸림바(231)를 구성하면 흡착수단(210)에 의해 직접적으로 흡착되지 않고 정전기 등에 의해 추가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되는 용지(11)가 걸리게 되며, 흡착수단(210)에 의해 직접 흡착된 용지(11)만 공급수단(22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걸림바(231)는 용지(11)의 양단에 상호 대향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231)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11)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더욱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231)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11)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232)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지(11)가 반복적으로 상향 이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바(231)와 상기 복원스프링(232)을 지지하는 지지로드(2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로드(233)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로드(234)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공급되는 용지(11)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걸림바(231)에는 용지(11)에 걸리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에는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지(11)가 걸림면에 더욱 효과적으로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축(203)을 회전시켜서 영점센서(705)가 표식수단(706)과 대응하도록 하면, 상기 액추에이터(211)의 흡착판(212)이 하강하여 용지(11)를 흡착한 후 상승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와 키커삽입 감지센서(703)는 각각 표식수단(702, 704)과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에서 흡착수단(2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즉, 흡착판(212)이 용지(11)를 흡착하여 상승함과 동시에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표식수단(702)과 대응하므로 진공이 해제되도록 하여 용지(11)가 흡착판(212)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흡착수단(210)이 상승한 상태에서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순간에 타발기(500)의 회전축(550)이 회전하면서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가 표식수단(555)과 대응하게 되면, 상기 흡착수단(210)의 실린더센서를 통해서 흡착판(212)이 상승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34)에 전기를 인가한다.
이렇게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가 표식수단(555)을 인식한 상태에서 실린더센서를 통해서 흡착판(212)의 상승 상태가 이루어져야만 구동모터(34)를 작동시키는 이유는 흡착판(212)이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키커(222)가 전진하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착판(212)이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는 액추에이터(211)의 마모, 액추에이터(211) 내에 수분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어 왕복 운동이 원활하지 못한 점, 진공펌프 결함으로 진공 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스프라킷(35)이 회전하면서 체인(221)이 회전하게 되어 키커(222)가 전진하면서 용지(11)를 클립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서처럼, 용지(11)가 양측의 키커(222)에 모두 적재된 상태이면 평행하게 용지(11)를 옮길 수 있다. 그리고, 용지(11)에 의해서 표식수단(602)이 커버된 상태이므로 제1센서(601)에 의해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구동모터(34)에 전기를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도 11에서처럼, 키커(222)가 제대로 용지(11)를 클립하지 않게 되면 표식수단(602)이 노출되므로 제1센서(601)가 표식수단(602)을 감지하게 되어 구동모터(34)에 인가되는 전기를 단락시켜서 구동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한쪽 키커(222)에만 용지(11)가 삽입되어 비틀어진 상태로 용지(11)가 공급되므로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키커(222)가 전진하게 되면 용지(11)는 상기 승강블록(540)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제2센서(603)는 키커(222)의 표식수단(602) 상방에 위치하지만 용지(11) 때문에 표식수단(602)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푸시캠(520)에 의해서 레버(530)는 승강블록(540)을 하강시킨 상태가 되고,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는 표식수단(559)을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2센서(603)가 표식수단(602)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에러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축(550)이 회전하여 표식수단(559)이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를 벗어나게 되면 제2센서(603)가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34)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푸쉬캠(520)의 회전에 의해서 레버(530)가 승강블록(540)을 상승시켜서 바늘대(501)에 용지(11)가 꽂혀서 이송하게 되면 키커(222)에서 용지(11)가 이탈되므로 상기 표식수단(602)이 노출된다. 이때는 제2센서(603)가 표식수단(602)을 인식하더라도 정상으로 판단하고 구동모터(34)를 회전시켜서 키커(222)가 스타트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도록 제어부는 컨트롤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본체 100 : 적층부
200 : 용지공급부 210 : 흡착수단
220 : 공급수단 230 : 분리수단
300 : 이송부 310 : 제1이송수단
320 : 제2이송수단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부재 420 : 스토퍼부재
200 : 용지공급부 210 : 흡착수단
220 : 공급수단 230 : 분리수단
300 : 이송부 310 : 제1이송수단
320 : 제2이송수단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부재 420 : 스토퍼부재
Claims (23)
- 본체(1)에 설치되어 용지(11)가 적층되는 적층부(100);
상기 적층부(100)에 적층된 용지(11)를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흡착수단(210)과, 상기 흡착수단(210)에 의해 이동된 용지(11)를 공급받아 원하는 공급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체인(221)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키커(222)로 이루어진 공급수단(220)이 구비된 용지공급부(200);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송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수단(310)과,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폭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이송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310)은 상기 용지공급부(200)가 용지(1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레일(31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수단(320)은 상기 이송레일(311)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플레이트(321)와, 상기 플레이트(3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피니언(322)과, 상기 피니언(3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321)가 용지(1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랙(3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적층되는 용지(11)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용지(11)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상호 이격거리가 용지(11)의 폭 방향(y) 길이에 대응하도록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4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부(200)에는 상기 공급수단(220)에 적어도 둘 이상의 용지(11)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23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230)에는 용지(11)의 둘레 어느 일단에 걸리는 걸림바(23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231)는 용지(11)의 양단에 상호 대향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231)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11)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걸림바(231)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용지(11)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23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231)와 상기 복원스프링(232)을 지지하는 지지로드(23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로드(233)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로드(23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231)에는 용지(11)에 걸리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에는 치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부(200)는, 상기 이송부(300)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지지판(201)과,
상기 지지판(20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201) 사이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03)과,
상기 회전축(203)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스프라킷(35)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단(220)은, 전후방의 상기 스프라킷(35)에 감긴 체인(221)과,
상기 체인(221)에 고정된 상기 키커(222)와,
상기 지지판(201)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03)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201)에 지지되고 하방을 향하는 센서(603)와,
상기 센서(603)의 감지 대상이 되도록 상기 키커(222)에 구성된 표식수단(602)을 포함하고,
상기 표식수단(602)은 용지(11)가 상기 키커(22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용지(11)에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식수단(602)에 대한 상기 센서(603)의 감지여부에 따라 에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34)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00)는, 상기 키커(222)에 용지(11)가 삽입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센서(601)와,
상기 제1센서(60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키커(222)에서 용지(11)가 이탈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2센서(6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센서(601)에 상기 표식수단(602)이 감지되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34)에 전기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제2센서(603)에 표식수단(602)이 감지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모터(34)에 전기공급을 중단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커(222)로부터 최종적으로 용지(11)를 공급받는 타발기(500)의 회전축(550)에 대향하는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와,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550)에 구성된 표식수단(555)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수단(210)은 지지판(201)에 장착된 액추에이터(211)와,
상기 액추에이터(211)의 끝단에 장착되는 흡착판(212)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11)가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211)에 장착된 실린더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하사점범위 감지센서(553)가 상기 표식수단(555)을 인식하고 상기 실린더센서가 상기 액추에이터(211)의 상승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34)를 구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50)에 대향하는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와,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550)에 구성된 표식수단(559)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대범위 감시센서(557)와 표식수단(559)이 대응할 때 상기 승강블록(540)은 하강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늘대범위 감지센서(557)가 상기 표식수단(559)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603)가 상기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않아도 에러로 인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진공해제 감지센서(701)와,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2)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상기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는 상기 흡착수단(210)이 용지(11)를 흡착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해제 감지센서(701)가 상기 표식수단(702)을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수단(2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키커삽입 감지센서(703)와,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4)을 포함하고,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상기 표식수단(704)을 인식한 상태는 상기 키커(222)에 용지(11)가 삽입되기 전이고 상기 제1센서(601)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커삽입 감지센서(703)가 상기 표식수단(704)을 인식한 상태일 때, 상기 제1센서(601)가 상기 표식수단(602)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모터(34)의 작동을 멈추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3)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영점센서(705)와,
상기 영점센서(705)에 감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3)에 구성된 표식수단(706)을 포함하고,
상기 영점센서(705)가 상기 표식수단(706)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수단(210)이 용지(11)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1)가 상기 키커(222)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수단(60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공기분사노즐(8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2716 | 2013-08-28 | ||
KR20130102716 | 2013-08-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6749A true KR20150026749A (ko) | 2015-03-11 |
Family
ID=5302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19316A KR20150026749A (ko) | 2013-08-28 | 2014-02-19 | 용지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674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36857A (zh) * | 2022-04-25 | 2022-05-27 | 江苏互憓通包装有限公司 | 一种纸箱制作输送装置 |
-
2014
- 2014-02-19 KR KR20140019316A patent/KR2015002674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36857A (zh) * | 2022-04-25 | 2022-05-27 | 江苏互憓通包装有限公司 | 一种纸箱制作输送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72247B2 (en) | Tape cut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 |
CN109626038B (zh) |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 |
US995773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fence panels | |
KR101770353B1 (ko) | 라벨 부착 장치 | |
CN105109960B (zh) | 进料型单工位上料料架 | |
KR101395368B1 (ko) |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 |
KR101769139B1 (ko) | 필름 박리 시스템 | |
KR101191439B1 (ko) | 용지공급장치 | |
CN113135032B (zh) | 用于在印刷机上进行印刷版操纵的设备 | |
KR101056597B1 (ko) |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 |
KR100959200B1 (ko) | 용지공급장치 | |
KR20150026749A (ko) | 용지공급장치 | |
CN210417159U (zh) | 包装机送袋装置及挂面自动包装机 | |
CN110386304B (zh) | 一种挂面自动包装机 | |
JP2860612B2 (ja) | 板状シートの積層方法および装置 | |
CN114314079B (zh) | 一种自动分选上料输纸方法 | |
JP2012213874A (ja) | ブランクシートの搬送装置 | |
KR101776580B1 (ko) | 목재 적재 장치 | |
CN210558170U (zh) | 送纸机铺瓦前的整纸装置 | |
KR20180000045A (ko) |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 |
KR101210953B1 (ko) | 용지공급장치 | |
KR101257557B1 (ko) | 시트 가공 장치 | |
CN116119330B (zh) | 一种撕膜机 | |
CN213386890U (zh) | 一种rfid贴标机用纸张上料装置 | |
JP2005029345A (ja) |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