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524A - 맨홀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524A
KR20150026524A KR20130105502A KR20130105502A KR20150026524A KR 20150026524 A KR20150026524 A KR 20150026524A KR 20130105502 A KR20130105502 A KR 20130105502A KR 20130105502 A KR20130105502 A KR 20130105502A KR 20150026524 A KR20150026524 A KR 20150026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manhole
closing
right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13010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524A/ko
Publication of KR2015002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탈/부착이 쉬우면서 악취 차단효율이 우수한 맨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전후 및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5)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부(7)(8) 및 전후면부(10)(11)와, 상기 좌우측부(7)(8)와 전후면부(10)(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수(B) 유입구(9)와, 상기 좌우측부(7)(8) 상부에 형성되고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과, 상기 몸체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좌우 개폐부(18)(19)와, 상기 좌우 개폐부(18)(19)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20)과, 상기 전후면부(10)(11)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전후면 걸림부(1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맨홀 악취차단장치{STINK INTERCEPT DEVICE OF MANHOLE}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탈/부착이 쉬우면서 악취 차단효율이 우수한 맨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발생되는 오수(하수, 우수 등을 포함한다)는 주변에 설치되는 맨홀로 유입되어 집수(集水)된 다음 하수관을 따라 오/폐수처리장치로 이동하여 정화처리된다.
상기 맨홀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크고 거친 이물질 들이 걸러지며, 오수는 유입된 다음 하수관을 따라 배수된다.
상기 맨홀로 유입되는 오수에는 다량의 이물질이나 쓰레기, 토사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하수관을 따라 흐를 때 유속이 약해지는 곳에 일부 침전되고 맨홀 바닥에도 일부 침전되면서 오수의 원활한 흐름(배수)을 방해할 뿐 아니라, 청소작업도 힘들게 하고 있어서 하수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한 상기 맨홀 및 하수관의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오수가 부폐하면서 악취가 발생될 뿐 아니라, 각종 해충(곤충이나 벌레 등)의 서식처 및 이동 통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발생되는 악취는 맨홀과 생활하수의 발생지점으로 역류 및 발산되면서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으면서 청소와 시공(설치)이 쉽고,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맨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이다.
한편, 이러한 현실에 응하여 다수의 맨홀 악취 차단장치가 개발되거나 안출된 바 있으나, 대부분 구성이 복잡하여 비용이 고가이고, 원활한 동작이 구현되지 않아 악취가 완전히 차단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국지성 폭우나 장마철의 집중호우시 많은 양의 물을 배수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291612호(발명의 명칭: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2013. 8. 1. 등록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985호(고안의 명칭: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2009. 4. 29. 실용신안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312호(발명의 명칭: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2010. 10. 27. 특허공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탈/부착이 쉬우면서 악취 차단효율이 우수한 맨홀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자석 또는 영구자석의 흡자력을 이용하여 확실히 개폐되는 맨홀 악취차단장치를 제공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맨홀 악취차단장치는, 몸체의 전후 및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5)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부(7)(8) 및 전후면부(10)(11), 상기 좌우측부(7)(8)와 전후면부(10)(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수(B) 유입구(9), 상기 좌우측부(7)(8) 상부에 형성되고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 상기 몸체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좌우 개폐부(18)(19), 상기 좌우 개폐부(18)(19)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20), 상기 전후면부(10)(11)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전후면 걸림부(1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좌우측부(7)(8)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좌우측 걸림부(1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우 개폐부(18)(19)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경사면(23)(24)(25)을 각각 형성하여 좌우 개폐부(18)(19)의 보다 원활한 개폐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의 안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만곡형이나 만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우 개폐부(18)(19)에 각각 형성되는 하향 확장부(26)(27), 상기 하향 확장부(26)(27)에 매입되는 분말자석(28)(29)이나 영구자석(28a)(29a)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식 차단구조에 의해 맨홀 및 하수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차단되고 각종 해충의 상승이나 이동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 개폐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좌우 개폐부의 보다 원활한 개폐가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의 안쪽 모서리 부분에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오수(B)가 쉽게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후면 걸림부(12)(13)와 좌우측 걸림부(16)(17)에 의해 맨홀덮개(4)의 유입공(5)에 충분한 지지력으로 결합되므로 유입되는 오수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맨홀덮개(4) 부분에 요입홈(4a)(4b)을 각각 형성하여 전후면 걸림부(12)(13)와 좌우측 걸림부(16)(17)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맨홀덮개(4)의 상부면과 전후면 걸림부(12)(13) 및 좌우측 걸림부(16)(17)의 높이가 같아져 오수(B)가 저항없이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 개폐부의 하향 확장부에 매입되는 분말자석 또는 영구자석의 흡자력을 이용하여 좌우 개폐부가 보다 확실히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으면서 청소와 시공(설치)이 쉽고, 악취와 해충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덮개가 설치된 일반 맨홀의 평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실시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실시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4 :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도 3의 평면도.
도 6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7 : 본 발명 도 3의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도 4의 단면도.
도 9 : 본 발명 도 4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도 4의 개폐부 부분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도 11의 평면도.
도 14 : 본 발명 도 11의 개폐부 부분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도 14의 A-A`선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도 11의 단면도.
도 17 : 본 발명 도 12의 단면도.
도 18 : 본 발명 도 12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9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20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1 : 본 발명 도 19의 개폐부 부분 사시도.
도 22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로 도시한 맨홀 또는 맨홀덮개 부분 평면도로, 틀부재(1)와, 틀부재(1)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테두리부(2)와, 테두리부(2) 바깥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3)와, 테두리부(2)의 안쪽에 형성되는 단턱부(도시안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맨홀덮개(4)와, 맨홀덮개(4)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오수 유입공(5)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공(5)에는 본 발명 악취차단장치(6)가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된다.
도 3,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맨홀 악취차단장치(6)의 사시도이고, 도 5, 도 6은 그 평면도이고, 도 7, 도 8은 그 단면도이다.
본 발명 맨홀 악취차단장치(6)는, 맨홀덮개(4)의 유입공(5) 부분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유입공(5)과 같은 형상(또는 크기와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전후 및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5)과 같은 높이를 갖는 좌우측부(7)(8) 및 전후면부(10)(11)와, 좌우측부(7)(8)와 전후면부(10)(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수(B) 유입구(9)와, 좌우측부(7)(8) 상부에 형성되고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과, 몸체 바닥에 형성되고 자체 탄성력이 부여되는 복수의 좌우 개폐부(18)(19)과, 좌우 개폐부(18)(19)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20)과, 전후면부(10)(11)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전후면 걸림부(1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부(7)(8)의 상단부에도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의 상부면에 각각 걸림되는 좌우측 걸림부(16)(17)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우측부(7)(8)의 상단부에 좌우측 걸림부(16)(17)가 형성되는 경우, 안내홈(14)(15)은 좌우측 걸림부(16)(17)와 전후면 걸림부(12)(13)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우 개폐부(18)(19)는 도 5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유입구(9)의 상/하부는 유입공(5)의 상/하부 처럼 만곡형이므로 유입구(9)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좌우 개폐부(18a)는 직각 삼각형 구조이다. 물론 상기 좌우 개폐부(18a)는 하나로 연결시켜 개폐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좌우 개폐부(18)(19)가 마주하는 부분은 오수(B)의 배수와, 개폐동작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마모가 심한 상태이므로 도 6과 같이 좌우 개폐부(18)(19)가 마주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생략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후면 걸림부(12)(13)는 유입구(9)로 유입되는 오수(B)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유입공(5)에 충분이 결합되어 있는 크기의 결합면적이 유지되며, 좌우측 걸림부(16)(17)에 의해 좌우측부(7)(8)의 결합면적이 확장되고 결합력은 더욱 보강된다.
상기 좌우 개폐부(18)(19)는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기면서 연한 성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가 바람직하며, 또한 자체 탄성(탄성력 또는 복귀력)이 부여되며, 유입구(9)로 폐쇄력을 파괴하는 양 이상의 오수(B)가 유입되면 오수(B)의 무게(하중)에 의해 좌우 개폐부(18)(19)가 도 9와 같이 하향 이동하고 접촉면(20)이 확개되면서(벌어지면서) 오수(B)가 낙하하게 되고, 오수(B)의 낙하가 완료되거나 낙하가 끝날 무렵 오수(B)의 하중이 점차 줄어들면서 도 8, 도 9와 같이 탄성에 의해 좌우 개폐부(18)(19)가 상승 복귀하면서 접촉면(20)이 접촉하거나 원래 크기로 축소되면서 좌우 개폐부(18)(19)의 상하 공간이 격리되므로, 악취가 차단되고, 각종 해충의 상승이나 이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좌우측부(7)(8)와 전후면부(10)(11) 및 좌우측 걸림부(16)(17)와 전후면 걸림부(12)(13)는 결합상태가 유지되거나 외력(外力) 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질기면서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도 19, 도 20과 같이 맨홀덮개(4) 부분에 요입홈(4a)(4b)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후면 걸림부(12)(13)와 좌우측 걸림부(16)(17)가 결합하여 맨홀덮개(4)의 상부면과 전후면 걸림부(12)(13) 및 좌우측 걸림부(16)(17)의 높이가 같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수(B)가 저항없이 유입구(9)로 유입된다.
도 10은 본 발명 좌우 개폐부(18)(19)를 일 예로 도시한 것으로, 대체로 사각형상이며 좌우 대칭구조이다. 좌우 개폐부(18)(19)는 상부면 또는 저부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되 접촉면(20)이 위치하는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구성함으로써 유입구(9)로 오수(B)가 유입 낙하될 때 도 9와 같이 좌우 개폐부(18)(19)가 보다 원활히 개방되고, 오수(B)의 낙하가 완료되면 도 7, 도 8과 같이 좌우 개폐부(18)(19)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하면서 접촉면(20)이 밀착 및 폐쇄되므로 맨홀 내부 및 하수관으로 역류하는 악취가 차단되고, 해충의 상승이나 이동 또한 방지된다.
상기 좌우 개폐부(18)(19)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10과 같이 경사면(23)(24)(25)을 형성하거나, 도 22와 같이 경사면(23)을 형성하여 좌우 개폐부(18)(19)의 보다 원활한 개폐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8, 도 9와 같이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의 안쪽 모서리 부분은 만곡형으로 형성하거나 만곡면을 구성하여 오수(B)가 보다 쉽게(큰 저항없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1 ~ 도 1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좌우 개폐부(30)(31)를 삼각형으로 구성하되, 좌우 개폐부(30)(31)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20)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3 처럼 몸체의 전후 및 양측에 유입공(5)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부(7)(8) 및 전후면부(10)(11)와, 전후면 걸림부(12)(13) 및 좌우측 걸림부(16)(17)를 구성한 것이고, 도 12는 상기 좌우측 걸림부(16)(17)의 구성을 생략한 것이다.
도 14는 상기 좌우 개폐부(30)(31)의 사시도로, 대체로 길쭉한 삼각형 구조이지만, 도 13과 같이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지그재그형의 접촉면(20)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 개폐부(30)(31)는 도 10과 같이 상부면 또는 저부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되 끝이 뽀족한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구성함으로써 유입구(9)로 오수(B)가 유입 낙하될 때 도 18과 같이 보다 원활히 개방되며, 오수(B)의 낙하가 완료되면 도 16, 도 17과 같이 좌우 개폐부(30)(31)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면서 폐쇄되므로 맨홀 내부 및 하수관으로 부터 역류하는 악취가 차단되고, 해충의 상승이나 이동 또한 방지된다.
상기 좌우 개폐부(30)(3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14, 도 15와 같이 경사면(32)(33)을 형성하여 좌우 개폐부(30)(31)의 보다 원활한 개폐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7, 도 18과 같이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의 안쪽 모서리 부분은 만곡형으로 형성하거나 만곡면을 구성하여 오수(B)가 보다 쉽게(큰 저항없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개폐부(30)(31)는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기면서 연한 성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가 바람직하며, 또한 자체 탄성(탄성력 또는 복귀력)이 부여되어 오수(B)가 유입되면 오수(B)의 무게(하중)에 의해 좌우 개폐부(30)(31)가 도 18과 같이 하향 이동하고 접촉면(20)이 확개되면서(벌어지면서) 오수(B)가 하방(C방향)으로 낙하하게 되고, 오수(B)의 낙하가 완료되거나 낙하가 끝날 무렵 오수(B)의 하중이 점차 줄어들면서 도 16, 도 17과 같이 탄성에 의해 좌우 개폐부(30)(31)가 상승 복귀되면서 접촉면(20)이 원래 크기로 축소되거나 없어지면서 좌우 개폐부(30)(31)의 상하 공간이 격리되므로, 악취 상승이 차단되고, 각종 해충의 상승이나 상부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도 13에서 유입구(9) 상/하부는 유입공(5)처럼 만곡형이므로 상/하부에 위치하는 좌우 개폐부(18a)는 직각 삼각형 구조이다. 물론 상기 좌우 개폐부(18a)는 하나로(일체형으로) 연결시켜 개폐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8 ~ 도 21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분말자석이나, 막대형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좌우 개폐부(18)(19)의 보다 확실한 개폐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좌우 개폐부(18)(19)가 마주하는 부분에 하향 확장부(26)(27)를 각각 형성하여 마주하는 접촉면(20)이 형성되도록 하되, 하향 확장부(26)(27)에 분말자석(26)(27) 또는 도 22와 같이 막대형 영구자석(26a)(27a)을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매입(내장)시켜 좌우 개폐부(18)(19)의 탄성(탄성력)과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좌우 개폐부(18)(19)의 확실한 개폐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1은 하향 확장부(26)(27)가 형성된 좌우 개폐부(18)(19)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하향 확장부(26)(27)에 일측으로 개방된 개방홈(도시안됨)을 형성한 다음 적당량의 분말자석(26)(27) 또는 적당 크기의 막대형 영구자석(26a)(27a)을 수납시킨 다음 별도의 마개로 개방홈을 막거나 접합(접착)시켜 분말자석(26)(27)이나 영구자석(26a)(27a)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9와 같이 마주하는 하향 확장부(26)(27)에 반대 극성을 띄는 분말자석(26)(27) 또는 반대 극성(N극과 S극이 마주보는 극성)의 막대자석(26a)(27a)을 매입(내장)설치함으로써 오수(B)가 유입되지 않는 평소에는 도 19와 같이 좌우 개폐부(18)(19)의 탄성(탄성력)과 분말자석(26)(27) 또는 영구자석(26a)(27a)의 흡자력(吸磁力)에 의해 하향 확장부(26)(27)가 상승 복귀된 상태로 접촉면(20)이 마주 붙어 접촉되면서 확실한 폐쇄(밀폐)가 달성되므로 악취의 상승 확산이 차단되고 해충의 상승이나 이동이 방지되며, 도 20과 같이 폐쇄력을 파괴하는 양 이상의 오수(B)가 유입되면 오수(B)의 무게(하중)에 의해 좌우 개폐부(18)(19)가 하향 이동하고 접촉면(20)이 확개되면서(벌어지면서) 오수(B)가 하방(C방향)으로 낙하 배수되며, 오수(B)의 낙하 배수가 완료되거나 낙하가 끝날 무렵 오수(B)의 하중이 점차 줄어들면서 도 19와 같이 탄성과 흡자력(吸磁力)에 의해 좌우 개폐부(18)(19)가 상승 복귀되면서 접촉면(20)이 합쳐지면서 밀착 폐쇄되며, 하향 확장부(26)(27)에 매입된 분말자석(26)(27) 또는 영구자석(26a)(27a)의 흡자력(吸磁力)에 의해 하향 확장부(26)(27)의 접촉면이 더욱 밀착되므로 좌우 개폐부(18)(19)의 완고한 폐쇄가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틀부재 (2)--테두리부
(3)--보강부 (4)--맨홀덮개
(4a)(4b)--요입홈 (5)--유입공
(6)--악취차단장치 (7)--좌측부
(8)--우측부 (9)--유입구
(10)--전면부 (11)--후면부
(12)--전면 걸림부 (13)--후면 걸림부
(16)--좌측 걸림부 (17)--우측 걸림부
(18)(18a)(19)(30)(31)--개폐부 (20)--접촉면
(23)(24)(25)(32)(33)--경사면 (26)(27)--하향 확장부
(28)(29)--분말자석 (28a)(29a)--영구자석
(B)--오수

Claims (4)

  1. 몸체의 전후 및 양측에 형성되고 맨홀덮개(4)의 유입공(5)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부(7)(8) 및 전후면부(10)(11);
    상기 좌우측부(7)(8)와 전후면부(10)(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수(B) 유입구(9);
    상기 좌우측부(7)(8) 상부에 형성되고 오수(B)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4)(15);
    상기 몸체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좌우 개폐부(18)(19);
    상기 좌우 개폐부(18)(19)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20);
    상기 전후면부(10)(11)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전후면 걸림부(12)(13);
    를 포함하는 맨홀 악취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측부(7)(8)의 상단부에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맨홀덮개(4) 상부면에 걸림되는 좌우측 걸림부(16)(17);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악취차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좌우 개폐부(18)(19)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23)(24)(25);
    을 더 포함하는 맨홀 악취차단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좌우 개폐부(18)(19)에 각각 형성되는 하향 확장부(26)(27);
    상기 하향 확장부(26)(27)에 매입되는 분말자석(28)(29)이나 영구자석(28a)(29a) 중 어느 하나;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악취차단장치.
KR20130105502A 2013-09-03 2013-09-03 맨홀 악취차단장치 KR20150026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502A KR20150026524A (ko) 2013-09-03 2013-09-03 맨홀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502A KR20150026524A (ko) 2013-09-03 2013-09-03 맨홀 악취차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03A Division KR101539980B1 (ko) 2015-04-30 2015-04-30 맨홀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24A true KR20150026524A (ko) 2015-03-11

Family

ID=5302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502A KR20150026524A (ko) 2013-09-03 2013-09-03 맨홀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5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57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KR20230005618A (ko) * 2021-07-01 2023-01-10 이용운 살충 효과를 가지는 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57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KR20230005618A (ko) * 2021-07-01 2023-01-10 이용운 살충 효과를 가지는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571B1 (ko) 악취 및 역류 차단용 배수트랩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0941371B1 (ko) 집수정용 악취방지 차단 및 배수가 용이한 차단장치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20120132024A (ko) 배수 트랩
KR20150026524A (ko) 맨홀 악취차단장치
KR101539980B1 (ko) 맨홀 악취차단장치
KR100359464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101922537B1 (ko)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KR100878252B1 (ko) 집수구의 배수트랩
KR200437512Y1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차단구
KR101142816B1 (ko) 트랩
KR101722462B1 (ko) 그레이팅 구조를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CN216108878U (zh) 一种雨水口截污防异味组合装置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0737121B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443083Y1 (ko) 우수맨홀용 악취차단장치
JP2015528077A (ja) 汚物流入防止及び逆流防止用一体型マンホールカバー
KR20110046976A (ko) 탄성체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배수 장치
KR101292132B1 (ko)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0454098Y1 (ko) 하수구 악취 역상방지 트랜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