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983A -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983A
KR20150025983A KR20130104229A KR20130104229A KR20150025983A KR 20150025983 A KR20150025983 A KR 20150025983A KR 20130104229 A KR20130104229 A KR 20130104229A KR 20130104229 A KR20130104229 A KR 20130104229A KR 20150025983 A KR20150025983 A KR 20150025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id
oil
omija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
Original Assignee
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2013010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983A/ko
Publication of KR2015002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탄소수 12 내지 18의 하나 이상의 지방산 30 내지 50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40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4 내지 10 중량%; 오미자 오일, 삼백초 및 상백피의 중량비가 3:1:1의 비율로 혼합된 오미자 추출혼합물 5 내지 20 중량%; 물 5 내지 13 중량%; 및 동백유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은 항균력 및 보습력을 부여하면서도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화장비누로서 우수한 세정력, 기포력, 및 소취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TOILET SOAP COMPOSITION CONTAINING MIXTURE OF THE EXTRACT OF SCHIZANDRA}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미자 씨로부터 추출된 오미자 오일을 함유하여 강도, 세정력, 기포력 및 소취력이 우수한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비누는 유지 또는 유지를 분해하여 얻어지는 지방산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으로 비누화한 지방산계 비누와 보조 세정성분으로 계면활성제를 다량 함유시키는 혼합비누,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성분으로 한 합성계면활성제 비누로 분류될 수 있다.
지방산계 비누는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며 단단하여 쉽게 무르거나 닳아지는 현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용액 상에서 알칼리를 나타내어 자주 사용하면 피부의 피지 성분을 과다하게 제거하고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된다.
혼합비누와 합성계면활성제 비누의 경우 계면활성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되며, 피부의 피지 성분을 과다하게 제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누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스웨팅으로 비누가 물러지는 단점이 있으며, 빨리 닳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누의 반복사용 후나 보관시에 비누가 갈라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외관적으로나 사용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8051호는 합성계면활성제 비누가 갖는 장점인 우수한 보습력 및 저자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누의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기포도 및 감촉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35 내지 70 중량%, 알칼리지방산 비누 10 내지 40중량% 및 지방산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10-0998051호도 세정력 및 소취력 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화장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갈라짐을 방지하고 일정한 강도를 제공하여 물러짐을 개선함으로써 단단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포력, 세정력 및 소취력이 우수한 품질이 개선된 화장비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갈라짐을 방지하고 일정한 강도를 제공하여 물러짐을 개선함으로써 단단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포력, 세정력 및 소취력이 우수한 품질이 개선된 화장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수 12 내지 18의 하나 이상의 지방산 30 내지 50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40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4 내지 10 중량%;
오미자 오일, 삼백초 및 상백피의 중량비가 3:1:1인 오미자 추출혼합물 5 내지 20 중량%;
물 5 내지 13 중량%; 및
동백유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미자 오일은 초임계유체법, 용매추출법 또는 열수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은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pH가 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은 항균력 및 보습력을 부여하면서도 강도를 개선하여 단단한 화장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장비누로서 우수한 세정력, 기포력, 및 소취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소수 12 내지 18의 하나 이상의 지방산 30 내지 50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40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4 내지 10 중량%; 오미자 추출혼합물 5 내지 20 중량%; 물 5 내지 13 중량%; 및 동백유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미자 씨로부터 얻어지는 오미자 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유체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초임계유체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추출방법에 비하여 추출 속도가 빠르고, 추출 용매로 환경에 무해한 물질(이산화탄소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추출 방법, 용매 추출법 및 열수 추출법 등에 의하여 추출된 오미자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혼합물은 오미자 씨로부터 추출된 오미자 오일에 추가적으로 삼백초 및 상백피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오미자와 삼백초 및 상백피의 혼합비율은 3:1:1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미자는 학명은 Schizandra chinensis BAALL.이다. 이 식물은 각지의 산골짜기, 특히 전석지(轉石地: 모가 나지 않고 둥글둥글한 돌이 있는 곳)에서 군총을 이루어 자라는 식물로 잎이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을 이루고 있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대뇌신경을 흥분시키고 강장작용이 나타났으며 호흡중독에도 직접 작용하고 있다. 또한, 심장활동을 도와서 혈압을 조절하고 간장에 들어가서는 간장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약성은 완만하고 맛이 시며 독성은 없다. 성신경의 기능을 항진시김으로 유정(遺精)·몽정(夢精)·정력감퇴·유뇨(遺尿) 등에 효과가 현저하다. 또, 당뇨환자가 입이 자주 마르고 갈증을 느낄 때에 복용하면 갈증이 제거되고,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난 뒤에 복용하여도 더위를 견디고 갈증을 적게 느끼게 된다.
삼백초는 제주도를 비롯한 대한민국 남부지방의 물기가 많은 땅에서 자라는 오래살이 풀이다. 삼백초는 악취를 풍기는 유세포를 갖고 있어 해독작용을 하며, 항균성이 있기 때문에 세균성 설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상백피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뽕나무와 산뽕나무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이다. 이뇨 작용이 있어 신장염이나 알레르기성, 혈관부종 등의 치료에 응용된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몸이 가렵거나 두드러기가 날 때 상백피 달인 물로 목욕을 하였다. 최근에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결합력을 증가시켜 강도와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지방산을 포함한다.
지방산은 30 내지 50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지방산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적당한 소성 및 결합력을 얻기 어려우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지방산이 갖는 점성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헹굼성이 낮을 수 있다.
지방산은 우지, 돈지 등의 동물 유지, 야자유, 팜핵유, 팜유, 팜스테아린유 등의 식물 유지로부터 얻어진 지방산, 또는 지방산을 분별증류한 후 수소첨가하여 수득한 지방산일 수 있으며, 지방산은 고형 비누의 특성 유지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일예로는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함량은 다른 구성성분과의 상용성과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중량%로 사용되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생분해도가 저하되고, 항균성 및 보습력 부여의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며,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침전 및 상 안전성의 저해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포네이트, 설포지방산 화합물, 지방산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페이트, 하이드록실기가 혼합된 에테르 설페이트, 페티엑시드 아마이드(에테르)설페이트, 모노- 또는 디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설포 트리글리세라이드, 아마이드 소프, 알킬 올리고글루코사이드 설페이트, 알킬 아미노슈가 설페이트 및 알킬(에테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아미노프로필 베타인, 알킬 디메틸 베타인, 알킬 모노암포아세테이트 및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 아릴 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 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디-알킬 메틸 아민옥사이드, 알킬 아미노프로필 아민옥사이드, 알킬 글루카마이드 및 알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최적화된 계면 활성 효과 및 저온에서의 담점(Cloud Point)이 나타나는 문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비누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상기 성분들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다. 이때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액체상이거나 또는 실온에서 액체용매에 용해되어 단순한 충전제의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가용화제, 유기용매 및 상안정성을 위한 전해질 등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의 pH의 범위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0 내지 8.0의 범위를 갖는다. pH가 5.0 미만일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들이 수소이온에 의해 분해되므로 계면활성제로서의 성능이 떨어지고, pH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높아져 피부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비누 조성물은 MBAS(Methylene Blue Active Substances)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생분해도가 70% 내지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9%의 생분해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구성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화장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첨가제를 잔량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지방알콜,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 피마자 오일 및 지방 알킬 케톤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로는 덱스트린, 전분, 무수망초, 소금 및 탈크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소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는 공지의 물질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초임계추출법을 통하여 오미자 오일을 오미자로부터 추출하였다. 오미자 오일에 삼백초, 상백피를 중량비 3: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혼합물 10g, 라우릴산 30g, 미리스틴산 10g, 글리세린 33g, 계면활성제(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5g, 수산화칼륨 6g, 동백유 3g, 물 13g을 혼합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조성물을 아말가메이터(Amalgamator)와 롤밀(Roll mill)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화장비누 제조 장치에서 성형 및 압출 공정을 거쳐 형타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15g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20g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25g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에 따른 각 구성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라우릴산 30 30 30 30 30
미리스틴산 10 10 10 10 10
글리세린 33 33 33 33 33
계면활성제 5 5 5 5 5
수산화칼륨 6 6 6 6 6
동백유 3 3 3 3 3
13 13 13 13 13
오미자
추출혼합물
- 10 15 20 25
Total 100 110 115 120 125
비누 베이스에 대한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의 지방산과의 반응 정도를 조절하여 pH 5.5~9까지의 강도, 기포력, 세정력 관능적으로 판단하였다.
pH 5.5 pH 6.5 pH 7.5 pH 9
강도 55 74 89 93
기포력 83 85 92 95
세정력 72 90 92 92
피부당김 89 90 90 80
평가 및 결과
강도, 기포력 및 세정력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결과에 대하여 강도, 기포력, 세정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대상으로 30-50세의 여성 5명, 남성 5명을 선정하여 100점 평가법에 의하여 평가 각각의 점수를 합산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강도 90 95 90 77 65
기포력 79 98 95 96 94
세정력 83 95 94 92 90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비누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혼합물이 첨가됨에 따라 기포력 및 세정력이 개선되고, 오미자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기포력이 더 개량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공오염포를 이용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세척 후 백도 측정을 통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세척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치화하였다.
세척력(%)= (세척 후 백도- 세척 전 백도)/( 원포 백도-세척 전 백도) X 100
1회 2회 3회 4회 5회
실시예 2
세척력
70.6 71.3 72.9 68.2 72.4
비교예 1
세척력
54.4 52.6 55.0 58.1 52.3
또한 35℃ 0.25%의 농도에서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이용하여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회 2회 3회 4회 5회
실시예 2 포고(mm) 230 228 248 233 218
비교예1 포고(mm) 184
표 5 및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세척력 및 기포력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취력 평가
pH 7.5의 비누베이스의 실시예 2 비누에 대한 소취력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팔미톨레익산 100mg, 인산 완충액(pH6.0) 1.25ml을 20ml 용량의 유리 바이알병에 채취 후 시험하고자 하는 오미자를 함유한 화장비누 시료를 첨가하였다. 이 바이알병을 60℃에서 4시간 동안 보관 후 10명을 대상으로 잔류 냄새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패널 1 패널 2 패널 3 패널 4 패널 5 패널 6 패널 7 패널 8 패널 9 패널 10
관능평가 ++ + + + ++ ++ + + + +
■ 같은 정도 이상 (+++)
■ 약간 약함 (++)
■ 분명히 약함 (+)
■ 냄새를 느낄 수 없음 (-)
상기 표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비누 조성물은 소취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포함한 화장비누 조성물은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어 단단할 뿐만 아니라 화장비누로서 우수한 세정력, 기포력, 및 소취력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탄소수 12 내지 18의 하나 이상의 지방산 30 내지 50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40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4 내지 10 중량%;
    오미자 오일, 삼백초 및 상백피의 중량비가 3:1:1의 비율로 혼합된 오미자 추출혼합물 5 내지 20 중량%;
    물 5 내지 13 중량%; 및
    동백유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오일은 초임계유체법, 용매추출법 또는 열수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KR20130104229A 2013-08-30 2013-08-30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KR20150025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229A KR20150025983A (ko) 2013-08-30 2013-08-30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229A KR20150025983A (ko) 2013-08-30 2013-08-30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83A true KR20150025983A (ko) 2015-03-11

Family

ID=5302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229A KR20150025983A (ko) 2013-08-30 2013-08-30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9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2757A (zh) * 2015-10-18 2016-05-25 周庆莉 一种安神助眠养生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2757A (zh) * 2015-10-18 2016-05-25 周庆莉 一种安神助眠养生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CN105362141B (zh) 一种抗菌擦手湿巾
JP6522867B2 (ja) 洗浄剤組成物
CN105476950B (zh) 保湿泡沫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07595735A (zh) 一种含艾叶的氨基酸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07375063A (zh) 一种沐浴露及制备方法
CN104818152A (zh) 一种清肤淡印紫草手工皂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06119A (zh) 杀菌消毒无水洗手剂
CN108245454A (zh) 一种含有天然抗氧化成分的温和洁面膏及其制备方法
CN109010178A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JP2004002517A (ja) 生姜成分を含む石鹸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5983A (ko) 오미자 추출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KR20150141813A (ko) 메이크업 리무브 거꾸로 클렌징 조성물
KR102247962B1 (ko)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CN107412104A (zh) 一种含茶油的婴幼儿用湿纸巾
CN104622748A (zh) 植物纳米沐浴露
KR960002195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970004981B1 (ko) 화장비누 조성물
CN107233231A (zh) 深层卸妆湿巾
CN106675895A (zh) 一种低刺激香皂及其制备方法
JP2004182779A (ja) 洗浄剤組成物
KR20100029969A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100438001B1 (ko) 아연피리치온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