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81B1 - 화장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81B1
KR970004981B1 KR1019940039927A KR19940039927A KR970004981B1 KR 970004981 B1 KR970004981 B1 KR 970004981B1 KR 1019940039927 A KR1019940039927 A KR 1019940039927A KR 19940039927 A KR19940039927 A KR 19940039927A KR 970004981 B1 KR970004981 B1 KR 97000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eight
extract
cosmetic
cosmetic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999A (ko
Inventor
이유순
장문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4003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981B1/ko
Publication of KR96002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11D2111/10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비누 조성물
본 발명은 수세미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살균 및 소취 작용, 보습효과 및 피부 유연효과가 뛰어난 수세미 추출액을 0.5 내지 15.0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세미는 피부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스테필로코커스)에 대한 살균 및 소취작용, 보습효과 및 피부 유연효과가 우수한 오이과 식물주의 하나로서, 지금까지는 피부미용을 위해 주로 화장품에 사용되어 왔다. 수세미는 특유의 방향성 성분과 보습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중 방향성 성분으로는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고, 땀과 땀내의 마스킹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2,6-노나디엔-1-올(2,6-Nonadiene-1-ol)과 2,6-논디엔알(2,6-Nondienal)을 함유하고 있고, 주요 보습활성 성분으로는 사포닌, 아미노산 및 당류를 특히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수세미에는 사포닌과 함께 존재함으로써 보습작용에 활성을 부여하며 피부에 대하여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칼륨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활성은 태양광선의 영향을 받아 분해됨으로써 당과 칼륨 등의 무기염이 떨어지고 사포닌 등의 트리테르파노이드가 되면 이때 보습작용과 함께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 메타니즘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여기서 사포닌은 스테롤계 배당체로서 스테롤의 C3 위치 수산기에 복잡한 당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둘다 가지고 있어 용액에 계면활성을 부여하며 그로 인해 수분을 함유하는 능력이 있을 뿐 아니라 세정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수세미가 화장비누에 요구되는 상기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성질들을 지니고 있음에 착안하여 수세미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를 제조하게 되었으며, 제조된 화장비누 조성물에 대해 여러 가지 효과 확인 실험, 즉 소취효과, 유연효과, 피부자극도, 보습효과, 비누제조시의 작업성 등에 대해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이 기존의 조성물에 비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의 비누 베이스에 살균 및 소취작용, 보습효과 및 피부 유연효과가 뛰어난 수세미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수세미 추출액을 0.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 및 소취효과, 보습효과 및 유연효과가 미약하고, 15.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비누의 경도가 낮고 끈적끈적하여 작업성이 나빠 비누제조가 어렵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에서 수세미 추출액은 0.5 내지 15.0중량% 범위로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중량% 함유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수세미 추출액은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프로필렌글리콜로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즉, 신선한 수세미(루파 실린드리카 엠 로멘 ; Luffa Cylindrica M Roe-men)를 수세하고 그늘에서 건조시킨 다음 약 3 내지 5cm 크기로 절단한다. 절단한 수세미 10kg에 40% 프로필렌글리콜 20ι를 가하고, 20 내지 25℃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침적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침출액을 추출한다.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침출액(약 18ι)을 냉암소(0 내지 5℃)에서 7 내지 10일간 정치시킨 후 여과한다. 여액에 프로필렌글리콜 약 2ι를 가하여 프로필렌글리콜의 최종 농도를 약 45%에 조정하고 다시 여과함으로써 추출과정이 완료되며, 생성된 추출액의 pH는 6.5 내지 8.0이고, 비중은 1.037 내지 1.047이다.
추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수세미 추출액 5.0mg을 증발접시에 넣고 항온수조상에서 증발 및 건조시킨 후 클로로포름 5ml를 가하여 용해시킨다.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에 황산 3ml를 서서히 가할때 클로로포름층이 적색을 띠면 추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인 수세미 추출액과 함께 주성분으로서 통상의 비누 베이스를 사용하며, 여기서 비누 베이스는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염을 기제로 사용하는 지방산계 비누 베이스, 합성 계면황성제를 기제로 사용하는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 베이스 또는 지방산계 비누 베이스와 합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복합 비누 베이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방산계 비누 베이스로는 탄소수 8 내지 20개의 지방산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을 사용하는데, 여기에서 지방산은 야자유, 팜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팜핵유 등의 식물유와 우지, 돈지, 어유 등의 동물 유지로부터 얻어진 것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 베이스로는 소듐라우릴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의 소듐염,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아실글루타메이트의 알칼리금속염 등 통상적으로 비누 베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비누 베이스로는 상기 지방산계 비누 베이스 및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 베이스를 각각 주기제 또는 보조기제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상기 설명한 비누 베이스 및 수세미 추출액 이외에도 향료, 색소, 살균제, 소염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물성 개선을 위하여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비누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비누 베이스(탄소수 8 내지 20인 지방산 나트륨염을 사용하며, 수분 14중량%를 포함하는 것) 98.5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0.5중량%, 향료(그린 후로랄 무스크 향) 1.0중량%를 가하여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다음, 비누 제조기계에서 압출, 절단 및 형타하여 고형 비누형태의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비누 베이스 98.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1.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화장비누 베이스 96.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3.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화장비누 베이스 94.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5.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화장비누 베이스 91.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8.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화장비누 베이스 89.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10.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화장비누 베이스 86.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13.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화장비누 베이스 84.0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15.0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장비누 베이스 99.0중량%에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장비누 베이스 98.9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0.1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화장비누 베이스 83.5중량%에 수세미 추출액 15.5중량%, 향료 1.0중량%를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화장비누 조성물의 효과 비교
A. 살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비누 조성물 각각에 대해 피부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에 대한 살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페트리디쉬(박테리아 배양용 접시)에 혐기성 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종의 피부상재균을 배양하고 여기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비누 3% 수용액을 떨어뜨린 다음 2일 경과후 집락수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거하여 살균율을 계산함으로써 피부상재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피부상재균에 대한 살균율은 90% 이상이 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B. 소취효과 실험
사람체취에 대한 화장비누 조성물의 소취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성인 남여 9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2주일 동안 왼쪽 겨드랑이에는 비교예의 비누만을 사용하게 하고 오른쪽 겨드랑이에는 실시예의 비누만을 사용하게 하였다. 이때, 비누 사용시에는 깨끗한 젖은 천에 15초 동안 각각의 비누를 문지르게 하고, 해당되는 겨드랑이에 30초 동안 비누를 묻힌 천으로 닦고나서 헹군 다음 마른 수건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마른 와이셔츠를 입도록 한 다음 5시간이 경과된 후에 냄새의 정도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0 내지 5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기준에 의한 소취효과의 평가는 각 비누에 대한 판정자들의 점수를 합한 후, 그 수치를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C. 보습효과 실험
피부 보습력에 대한 실험은 스키콘-100 히그로미터(Skicon-100 Hygrometer)를 사용하여 비누 사용전과 비누 사용후의 피부 표면 수증기압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으며(단위 : g/m /h), 측정값의 수치가 높을수록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D. 피부 유연효과 실험
피부 유연효과에 대한 실험은 남여 90명의 피험자를 상대로 60일간 비누를 사용하게 한 후, 피부에서 느끼는 부드러움 즉 유연효과를 하기 표 2에 기준에 의거하여 실험자의 판단에 의해 평가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수치가 낮을수록 유연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E. 피부자극도 실험
피부자극도에 대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비누 조성물 4% 수용액을 자극성 시험용 반창고의 거즈 부분에 1ml 흡수시킨 후 대상자의 팔 윗부분에 붙였다. 붙인 후 48시간이 경과한 다음 반창고를 제거하고 1시간 후 피부를 관찰하였다. 관찰후, 하기 표 3의 기준에 의거하여 남녀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5가지 실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결과로부터, 수세미 추출액을 0.5 내지 15.0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실시예 1 내지 8)가 수세미 추출액을 함유하지 않은 비누(비교예 1)와 0.1중량% 함유하는 비누(비교예 2)보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살균, 소취 및 피부유연, 보습효과 및 피부자극도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수세미 추출액을 15중량%이상(15.5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비교예 3)는 피부상재균에 대한 살균, 소취 및 피부 유연,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누제조시 작업이 안되는 단점이 있어서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화장비누 베이스에 수세미 추출액을 0.5 내지 15.0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세미 추출액을 1.0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수세미 추출액을 3.0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수세미 추출액이 프로필렌글리콜에 의해 추출된 것임을 화장비누 특징으로 하는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장비누 베이스가 지방산계 비누 베이스,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 베이스 또는 이들이 혼합된 복합 비누 베이스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40039927A 1994-12-30 1994-12-30 화장비누 조성물 KR97000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27A KR970004981B1 (ko) 1994-12-30 1994-12-30 화장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27A KR970004981B1 (ko) 1994-12-30 1994-12-30 화장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99A KR960022999A (ko) 1996-07-18
KR970004981B1 true KR970004981B1 (ko) 1997-04-10

Family

ID=1940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927A KR970004981B1 (ko) 1994-12-30 1994-12-30 화장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53B1 (ko) * 2006-04-06 2009-01-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수세미 외 속 섬유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WO2019231244A1 (ko) * 2018-05-29 2019-12-05 Park Young Oh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53B1 (ko) * 2006-04-06 2009-01-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수세미 외 속 섬유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WO2019231244A1 (ko) * 2018-05-29 2019-12-05 Park Young Oh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99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8523A (zh) 一种氨基酸洁面乳
JP200012873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DE60120113T2 (de) Erfrischende Zusammensetzugen
JP200015411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7982086A (zh) 一种卸妆啫喱及其制备方法
CN107375063A (zh) 一种沐浴露及制备方法
JPH09202721A (ja) 消臭・防臭剤
CN107854329B (zh) 一种易冲洗型抑菌保湿泡沫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9010178A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KR20190080429A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CN107693439A (zh) 一种沙棘亮白保湿沐浴露
KR970004981B1 (ko) 화장비누 조성물
US3950509A (en) Method of controlling perspiration odor with a biological protease inhibitor
Lane et al. Cutaneous detergents
CN108300622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960004496B1 (ko) 양파, 마늘 분말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JPS62209009A (ja) 化粧料
KR100528033B1 (ko)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01302495A (ja) 皮膚洗浄剤および皮膚洗浄用品
KR970002052B1 (ko) 버드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RU2799443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волосистой части головы
KR960002195B1 (ko) 화장비누 조성물
JP3775350B2 (ja) 清拭剤組成物
KR20010010118A (ko) 항균·살충성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