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8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84A
KR20150025084A KR20130102242A KR20130102242A KR20150025084A KR 20150025084 A KR20150025084 A KR 20150025084A KR 20130102242 A KR20130102242 A KR 20130102242A KR 20130102242 A KR20130102242 A KR 20130102242A KR 20150025084 A KR20150025084 A KR 2015002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tub
hose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14B1 (ko
Inventor
김나은
김동원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에 연통하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 중 특히 세탁기는 세탁을 위하여 세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세탁기에는 일반적으로 세제 투입을 위한 세제저장부를 구비된다.
종래 의류처리장는 외형을 형성하며 세탁대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드럼,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및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로 세탁수와 세제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부를 포함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세제투입부는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제를 투입구의 상부까지 들어올려야만 세제투입부에 세제를 공급 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에 연통하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에 연통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및 제3저장부;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어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동시에 개방 가능한 분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터브 공급유로;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공급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1호스;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2호스;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를 동시에 개방시키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에 연통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제3저장부 및 제4저장부;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어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4저장부로 안내하는 제4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4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동시에 개방 가능한 분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터브 공급유로;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공급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1호스;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2호스; 상기 제4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3호스; 상기 제1호스, 상기 제2호스 및 상기 제3호스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는 동시에 개방 가능한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 및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 도어, 상기 개구부 도어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및 제3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2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가 구비된 세제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로착탈부; 상기 유로착탈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세제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대상물의 세탁, 건조, 세탁 및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T)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T) 및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L)는 제1처리장치(T)와 마찬가지로 세탁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처리장치의 사용에 필요한 악세서리나 세탁대상물을 단순히 저장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2처리장치(T)는 제1처리장치(T)의 하부면을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악세서리나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드로워(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T)가 세탁대상물의 세탁을 위한 수단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로워(7)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내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 내부에는 외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수단, 외조 내부의 세탁수를 하우징(5)로 배출시키는 배수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처리장치(T)가 세탁대상물의 건조도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하우징(5) 내부에는 외조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며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위치되는 캐비닛(1),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5),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드럼(16), 터브(15)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8), 터브(15)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3)를 포함한다.
캐비닛(1)의 전방면은 프론트패널(11)에 의해 형성되는데, 프론트패널(11)에는 세탁대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2),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입구 도어(14)가 구비된다.
프론트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1)과 표시부(미도시)는 투입구 도어(14)의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컨트롤패널(141)과 표시부 중 어느 하나는 투입구 도어(14)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터브(15)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투입구(12)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151)를 포함하며, 터브지지부(155)에 의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터브투입구(151)와 투입구(12)는 가스켓(153)에 의해 연결되며, 가스켓(153)이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구비된다면 가스켓(153)은 터브(15)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16)은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수단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며, 터브투입구(151)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161),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163)을 포함한다.
드럼(16)은 터브(15)의 배면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구동부는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73), 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71), 터브(15)의 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16)과 로터(171)를 연결하는 회전축(1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18)는 후술할 세제공급부(3)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는 급수밸브(181), 급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유로(183)를 포함한다.
급수유로(183)는 급수밸브(181)와 터브(15)를 연결하는 터브 공급유로(184), 급수밸브(181)와 세제공급부(3)를 연결하는 저장부 공급유로(18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밸브(181)는 터브 공급유로(184) 및 저장부 공급유로(18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거나 터브 공급유로(184) 및 저장부 공급유로(185)를 동시에 개폐가능한 형태(예: 2 way valve)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급수유로(183)는 저장부 공급유로(185)만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세제공급부(3)가 터브(15)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므로 터브(15)는 급수밸브(181), 저장부 공급유로(185) 및 세제공급부(3)를 통해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급수부(18)는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15)를 연결하는 제2급수유로(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급수유로는 터브(15)에 연결된 제2급수관(187a), 제2급수관을 개폐하며 온수급수원에 연결된 제2급수관 밸브(187b)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5)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19)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배수부(19)는 터브(15)와 배수펌프(195)를 연결하는 제1배수유로(191), 배수펌프(195)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유로(913)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3)는 터브(15)로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수단으로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3)는 투입구(1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수단이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에 필요한 세제를 공급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3)는 투입구(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어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3)에는 투입구(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34)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저장부(34)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세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4개의 저장부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저장부가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저장부(34)는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1저장부(341), 제2저장부(343), 제3저장부(345), 제4저장부(347)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저장부(341, 343. 345, 347)의 세제투입구(344)는 도어(14)가 투입구(11)를 개방한 때 외부에 노출되도록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저장부(341, 343, 345, 347)의 세제투입구(344)에는 각 세제투입구(344)의 개폐를 위한 뚜껑(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각 저장부(341, 343, 345, 347)의 바닥면에는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홀(349)이 구비되며, 각 배출홀(349)은 배출유로(36)를 통해 펌프(38)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38)를 통해 각 저장부에서 배출된 세제는 세제공급유로(39)를 통해 터브(15)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각 저장부(341, 343, 345, 347)는 물공급유로(35)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물공급유로는 제1저장부(341)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351), 제2저장부(343)에 물을 공급하며 제1유로(351)와 교차하는 제2유로(353), 제1유로와 제2유로의 교차점(X)에서 제3저장부(345)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355), 제4저장부(347)에 물을 공급하는 제4유로(357)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351), 제2유로(353) 및 제4유로(357)는 분배밸브(37)를 통해 저장부 공급유로(185)에 연결된다.
분배밸브(37)는 제1유로(351), 제2유로(353) 및 제4유로(357)의 개폐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제1유로(351)와 제2유로(353)는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분배밸브(37)에 의해 제1유로(351)만 개방되면 제1저장부(341)에만 물이 공급되고, 제2유로(353)만 개방되면 제2저장부(343)에만 물이 공급되며, 제4유로(357)만 개방되면 제4저장부(347)에만 물이 공급될 것이다.
그러나, 분배밸브(37)에 의해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동시에 개방되면 제1유로(351)를 따라 이동하는 물과 제2유로(35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교차점(X)에서 충돌하여 제3유로(355)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제3저장부(345)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제1유로(351)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가지는 힘벡터와 제2유로(35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가지는 힘벡터의 합벡터 방향을 따라 제3유로(355)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이다.
한편, 각 저장부(341, 343, 345, 347)에 공급된 물은 각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와 함께 배출홀(349), 배출유로(36), 펌프(38) 및 세제공급유로(39)를 통해 터브(15)로 이동한다.
다만, 분배밸브(37)를 통해 각 유로(351, 353, 355, 357)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높게 제어한다면 상술한 펌프(38) 및 배출유로(36)는 구비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세제공급유로(39)는 배출홀(349)에 직접 연결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유로(183)도 터브 공급유로(184)와 저장부 공급유로(185)로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의 저장부 공급유로(185)는 세제공급부의 제1유로(351)에 연결되는 제1호스(185a), 제2유로(353)에 연결되는 제2호스(185b), 제4유로(357)에 연결되는 제3호스(185c)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된다.
제1호스(185a), 제2호스(185b), 제3호스(185c) 및 터브 공급유로(184)는 급수밸브(181)를 통해 급수원에 연결된다.
급수밸브(181)는 각 호스(185a, 185b, 185c) 및 터브 공급유로(184)의 개폐를 제어하되 적어도 제1호스(185a)와 제2호스(185b)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술한 급수밸브(181)가 도 2의 분배밸브(37)로써 기능하는 것이 특징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 역시 터브 공급유로(184)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급수밸브(181)는 각 호스(185a, 185b, 185c)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적어도 제1호스(185a)와 제2호스(185b)는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공급부(3)가 프론트패널(11)에서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패널(11)은 투입구(12)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구부(13)를 더 포함하는데, 세제공급부(3)는 상기 개구부(13)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도어(31)에 구비된다.
이 경우, 개구부 도어(31)는 힌지(325)를 통해 지지패널(32, 캐비닛(1)에 고정되며 개구부에 위치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부(34)는 개구부 도어(31)에 고정되며, 저장부(34)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15)로 이동시키는 펌프(38)는 지지패널(32)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패널(32)에는 저장부(34)와 펌프(38)를 연결하는 배출유로(36)가 삽입되는 관통홀(32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패널(32)에는 지지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필터착탈홀(3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착탈홀(321)에는 제1배수유로(19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터브(15)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197)가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착탈홀(321)을 통해 필터(197)를 제1배수유로(191)로부터 분리하거나 제1배수유로(191)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개구부 도어(31)는 제1각도,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설정된 제2각도만큼 개구부(13)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각도는 각 저장부(341, 343, 345, 347)에 구비된 세제투입구(344)가 노출되는 각도로 설정(도 5 (a))되고, 제2각도는 필터착탈홀(321)에 구비된 필터(197)가 노출되는 각도(도 5 (b))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 도어(31)가 제1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스토퍼(311), 개구부 도어(31)가 제2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4) 및 물공급유로(35)는 도 3에 도시된 저장부 및 물공급유로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저장부는 제1유로(351)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제1저장부(341), 제2유로(353)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제2저장부(343), 제1유로(351)와 제2유로(353)의 교차점에서 연장되는 제3유로(355)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제3저장부(345), 제4유로(357)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제4저장부(347)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로(351, 353, 355, 357)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공급유로(185)는 제1호스(185a), 제2호스(185b) 및 제3호스(185c)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 공급유로(185)가 3개의 호스로 구비될 경우, 제1호스(185a)는 제1유로(351)에 연결되고, 제2호스(185b)는 제2유로(353)에 연결되며, 제3호스(185c)는 제4유로(357)에 연결된다.
또한, 급수밸브(181)는 각 호스의 개폐를 제어하되 제1호스(185a)와 제2호스(185b)는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3저장부(34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각 호스(185a, 185b, 185c)는 제1유로(351), 제2유로(353) 및 제4유로(357)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개구부 도어(31)가 개구부(13)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상 본 실시예는 물공급유로(35)와 저장부 급수유로(185)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착탈부(3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착탈부(33)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개구부 도어(31)가 개구부(13)를 폐쇄한 때 저장부 급수유로(185)의 제1호스(185a), 제2호스(185b) 및 제3호스(185c)를 물공급유로의 제1유로(351), 제2유로(353) 및 제4유로(357)에 각각 연결시키는 수단이다.
도 7은 저장부 공급유로(185)가 하나의 유로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제공급부(3)에 구비된 제1유로(351), 제2유로(353) 및 제4유로(357)는 유로착탈부(33)에 구비된 제1호스(185a), 제2호스(185b) 및 제3호스(185c)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부 공급유로(185)는 분배밸브(37)에 연결되며, 분배밸브(37)는 유로착탈부에 구비된 각 호스(185a, 185b, 185c)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밸브(37)는 제1호스(185a)와 제2호스(185b)는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유로착탈부(33)가 분배밸브(37)로써 기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분배밸브(37)는 생략되고 저장부 공급유로(185)는 상기 유로착탈부(33)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1:캐비닛
11: 프론트패널 12: 투입구 13: 개구부
14: 투입구 도어 15: 터브 16: 드럼
18: 급수부 181: 급수밸브 183: 급수유로
184: 터브 공급유로 185: 저장부 공급유로 185a: 제1호스
185b:제2호스 185c: 제3호스 187: 제2급수유로
19: 배수부 191: 제1배수유로 193: 제2배수유로
195: 배수펌프 197: 필터 3: 세제공급부
31: 개구부 도어 32: 지지패널 34: 저장부
341:제1저장부 343: 제2저장부 345: 제3저장부
345: 제4저장부 349: 배출홀 35: 물공급유로
351: 제1유로 353: 제2유로 355: 제3유로
357: 제4유로 33:유로 착탈부 36: 배출유로
37: 분배밸브 38: 펌프 39: 세제공급유로
L: 제2처리장치 5: 하우징 7: 드로워

Claims (10)

  1.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에 연통하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에 연통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및 제3저장부;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어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동시에 개방 가능한 분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터브 공급유로;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공급유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1호스;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2호스;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를 동시에 개방시키는 급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에 연통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제3저장부 및 제4저장부;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2저장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어 구비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4저장부로 안내하는 제4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4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동시에 개방 가능한 분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터브 공급유로;
    상기 분배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공급유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1호스;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2호스;
    상기 제4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제3호스;
    상기 제1호스, 상기 제2호스 및 상기 제3호스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는 동시에 개방 가능한 급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 및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 도어, 상기 개구부 도어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제2저장부 및 제3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2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제1유로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저장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가 구비된 세제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로착탈부;
    상기 유로착탈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102242A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KR10216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242A KR102163914B1 (ko)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242A KR102163914B1 (ko)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84A true KR20150025084A (ko) 2015-03-10
KR102163914B1 KR102163914B1 (ko) 2020-10-12

Family

ID=5302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242A KR102163914B1 (ko)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93A (ko) * 2017-01-24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620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60023016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20044427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제함
KR20130010800A (ko)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620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60023016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20044427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제함
KR20130010800A (ko)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93A (ko) * 2017-01-24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900418S1 (en) 2017-12-21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958479S1 (en) 2017-12-21 2022-07-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14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5084A (ko) 의류처리장치
EP3056599B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JP600642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49338A (ko) 의류처리장치
EP3541981B1 (en) Washing machine
KR20130016932A (ko) 세탁기
US8783071B2 (en) Washing machine
KR2016001497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14973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39294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66909A (ko) 세탁기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2637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382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709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4567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KR20140036560A (ko) 의류처리장치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20170006644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