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10A -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710A
KR20150024710A KR20130101978A KR20130101978A KR20150024710A KR 20150024710 A KR20150024710 A KR 20150024710A KR 20130101978 A KR20130101978 A KR 20130101978A KR 20130101978 A KR20130101978 A KR 20130101978A KR 20150024710 A KR20150024710 A KR 2015002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data
condition
filtering
upp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0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710A/ko
Priority to US14/291,137 priority patent/US2015006714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UTOSAR 기반 통신방법은,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또는 제2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함에 따라, 인터럽트 동작의 길이를 줄여 응용 시스템 전반에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Method and apparatus on the basis of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UTOSAR 기반 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표준을 적용한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증가 추세에 있는데, 각 ECU는 통신 버스(communication bus)라는 환경에 구성이 되어 서로 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ECU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로 간에 통신할 데이터의 크기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펌웨어에서는 통신 메시지의 숫자가 많아도 자유도가 넓기 때문에 개발자가 메시지의 인터럽트(interrupt) 처리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나, AUTOSAR 플랫폼에서는 이미 정형화된 규칙으로 인하여 제약사항이 많아진다. 그래서 메시지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인터럽트 동작이 많아지고 응용 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속도가 지연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메시지 설계자나 응용 시스템 개발자에게는 설계 단계에서 부담이 가중된다. 실제로 통신 메시지의 수가 증가하여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마치고도 재설계하여 개발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AUTOSAR CAN 인터페이스 모듈의 필터 기능 확장을 통하여 인터럽트 동작의 길이를 줄여 응용 시스템 전반에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더불어 응용 개발자나 CAN 네트워크 개발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AUTOSAR 기반 통신방법은,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UTOSAR 기반 통신방법은, 유효 데이터의 절대값 또는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UTOSAR 기반 통신장치는,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구간 필터와, 유효 데이터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절대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1 유효 데이터 필터와, 유효 데이터의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현재 입력 데이터와 이전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UTOSAR 표준의 확장을 통하여 통신에서 사용되는 CPU 점유율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통신에 사용되는 CPU 점유율을 줄이면 사용자 응용프로그램과 각 태스크에서 기본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의 확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 또한 통신에서 획득하는 센서 데이터나 기타 통신 값의 변화에 대한 코드를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와 같이 많은 데이터가 오가는 ECU에서 통신에서 소요되는 기능을 최적화함으로써, 값이 비교적 저렴한 MCU를 선택할 수 있고, 부품 단가와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UTOSAR 표준의 CAN 통신의 흐름을 보여주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AN 통신을 위한 데이터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대값을 이용한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값을 이용한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표준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의 흐름을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내 각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세부적으로, CAN BUS(10)를 거쳐 CAN 드라이버(11)로 입력된 메시지는 CAN IF(12)를 통해 내부에서 정의된 메시지 형태로 변경되고, PDUR(Protocol Data Unit Router)(13), COM(14) 및 RTE(Runtime Environment)(15)를 거쳐 사용자 응용프로그램(user application)(16)에 전달된다. CAN 드라이버(11), CAN IF(12), PDUR(13), COM(14) 및 RTE(15)는 메시지를 인터럽트하는 인터럽트 섹션(Interrupt section)에 해당된다. CAN 드라이버(11)와 CAN IF(12)는 각각 SW 필터와 HW 필터를 가지며, 각 필터를 통과한 메시지만 상위 모듈로 전달된다.
그런데, 만약 CAN IF(12)가 이전에 100이라는 값을 가진 A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응용프로그램(16)에 전달한 이후, 현재 100이라는 동일한 값을 가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메시지를 인터럽트 섹션 내에서 RTE(15)로 전달한다면 여러 제약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메시지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인터럽트 동작이 많아지고 전반적인 응용 시스템의 처리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메시지 설계자나 응용 시스템 개발자에게 설계 단계에서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실제로 통신 메시지의 수가 많아져서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마치고도 재설계하여 개발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N IF(12)에 두 개의 필터, 즉 데이터 구간 필터(Data Range Filter) 및 유효 데이터 필터(Valid Data Filter)를 추가하여, 인터럽트 동작의 길이를 줄여 응용 시스템 전반에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데이터 구간 필터는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는 유효 데이터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절대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는 유효 데이터의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현재 입력 데이터와 이전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CAN IF(12)는 데이터 구간 필터나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또는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각각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AN IF(12)는 전술한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CAN IF(12)는, 사용 가능한 필터를 통한 필터링 조건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AN IF(12)는, 사용 가능한 필터를 통한 필터링 조건들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필터링되는 메시지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인터럽트 동작이 줄어들게 된다. 즉, 입력 데이터가 소정의 필터링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CAN IF(12)에서 현재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바로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므로, 동작시간을 줄여 전반적으로 시스템에 좋은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CAN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차량 내 통신을 위주로 설명하나, 통신 프로토콜은 CAN뿐만 아니라, LIN, FlexRay 등과 같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차량 내 통신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AN 통신을 위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UTOSAR에서 CAN 통신을 위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즉, AUTOSAR CAN 통신에서 최소 단위인 byte 단위로 처리하거나, signal 단위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signal의 단위는 bit나 byte 모두가 될 수 있다. 즉 1개의 signal의 크기는 1개의 bit가 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byte를 묶어서 1개의 signal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AUTOSAR에는 없는 데이터 구간 필터와 유효 데이터 필터가 추가된다. 이때, 필터는 byte 단위 또는 signal 단위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는 AUTOSAR 표준에서 두 개의 단위의 접점을 가진 CAN IF 모듈에 위치한다.
필터링되는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필터링 방법을 분류하자면, 후술되는 도 3 내지 도 5는 byte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도 6은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또한, 필터 종류에 따라 필터링 방법을 분류하자면, 도 3은 데이터 구간 필터를 사용한 것이고, 도 4는 절대적인 값을 이용한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를 사용한 것이며, 도 5는 상대적인 값을 이용한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모두를 이용하여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다양한 필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간 필터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이때, 데이터 구간 필터는 byte 단위나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byte 단위로 필터링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는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 내의 값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 내의 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한다.
특히, 입력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단위, 제2 데이터 단위 및 제3 데이터 단위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 구간 필터의 필터링 조건은, 제1 데이터 단위가 제1 데이터 구간 내의 값이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가 제2 데이터 구간 내의 값이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단위는 byte 또는 signal이다. 입력 데이터의 제3 데이터 단위에 대해서는 필터링 조건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는, 입력 데이터가 전술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는, 입력 데이터가 전술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한다.
이하, 전술한 데이터 구간 필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의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후술한다. 도 3의 참조부호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간 필터에 이용되는 Byte는 0번째와 1번째 byte이다. 이때, AND 동작 또는 OR 동작을 이용할 수 있는데, AND 동작은 0, 1번째 바이트 모두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을 의미하고, OR 동작은 0, 1번째 중 어느 하나라도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은, 도 3의 참조부호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번째 Byte가 0x10보다 크고 0x40보다 작은 경우에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 조건과, 1번째 Byte가 0x20보다 크고 0x70보다 작은 경우에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하며, 2번째 Byte는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0번째와 1번째 byte 모두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310), 데이터 구간 필터는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0번째 byte는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나 1번째 byte는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32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또한, 1번째 byte는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나 0번째 byte는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33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비해, 0,1번째 byte 모두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340),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대값을 이용한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는 절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이때, 유효 데이터 필터는 byte 단위나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byte 단위로 필터링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효 데이터 필터의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절대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특히, 입력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단위, 제2 데이터 단위 및 제3 데이터 단위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필터링 조건은 제1 데이터 단위와 제1 절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와 제2 절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 단위는 byte 또는 signal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의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후술한다. 도 4의 참조부호 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효 데이터 필터에 이용되는 Byte는 0번째와 1번째 byte이고, 2번째 Byte는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AND 동작을 통해서는 0, 1번째 byte 모두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고, OR 동작을 통해서는 0, 1번째 byte 중 하나라도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은, 도 4의 참조부호 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번째 Byte가 0x1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 조건과, 1번째 Byte가 0x2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0번째와 1번째 byte가 각각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410), 제1 유효값 필터는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0번째 byte는 제1 조건을 만족하나 1번째 byte는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42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또한, 1번째 byte는 제2 조건을 만족하나 0번째 byte는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43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비해, 0,1번째 Byte가 각각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440),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값을 이용한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는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이때, 유효 데이터 필터는 byte 단위나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데, 도 5에서는 byte 단위로 필터링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은 현재 입력 데이터와 이전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위 모듈로 현재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특히, 입력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단위, 제2 데이터 단위 및 제3 데이터 단위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필터링 조건은 제1 데이터 단위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제1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제2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 단위는 byte 또는 signal이다.
이하, 전술한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의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후술한다. 도 5의 참조부호 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효 데이터 필터에 이용되는 Byte는 0번째와 1번째 byte이고, 2번째 Byte는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AND 동작을 통해서는 0, 1번째 Byte가 각각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고, OR 동작을 통해서는 0, 1번째 중 하나라도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은, 도 5의 참조부호 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입력된 데이터의 0번째 Byte가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와의 차이가 0x1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 조건과, 현재 입력된 데이터의 1번째 Byte가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와의 차이가 0x2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이때, 이전 입력 데이터는 0번째 byte는 0x10이고, 1번째 byte는 0x10이며, 2번째 byte는 0x40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510).
일 실시 예에 따라, 0번째와 1번째 byte가 각각 제1 및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520), 제2 유효값 필터는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0번째 byte는 제1 조건을 만족하나 1번째 byte는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53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또한, 1번째 byte는 제2 조건을 만족하나 0번째 byte는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54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비해, 0,1번째 Byte가 각각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550),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세부적으로, 도 6은 signal 단위로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고, 필터는 데이터 구간 필터, 절대값을 이용하는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상대값을 이용하는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모두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AND 동작을 통해서는 0, 1, 2번째 모두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고, OR 동작을 통해서는 0, 1, 2번째 중 하나라도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조건은, 도 6의 참조부호 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가 0, 1, 2, 3 Byte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데이터의 0번째 Byte가 0x1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 조건과, 데이터 구간 필터를 이용하여 1번째 Byte가 0x04보다 크고 0x0F보다 작은 경우에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 조건과,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데이터의 2번째 Byte가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와의 차이가 0x50보다 크면 상위 모듈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3 조건을 포함한다. 그리고, 3번째 Byte는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전 입력 데이터는, 0번째 byte는 0x0A이고, 1번째 byte는 0x1F이며, 2번째 byte는 0x01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610).
일 실시 예에 따라, 0, 1, 2번째 Byte가 각각 제1, 제2 및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620), 필터는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0번째 Byte는 제1 조건을 만족하나 1번째 Byte와 2번째 Byte가 각각 제2 및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63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또한, 1번째 Byte는 제2 조건을 만족하나 0번째 Byte와 2번째 Byte가 각각 제1 및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640), AND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고 입력 데이터를 더 이상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으나, OR 동작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비해, 0,1,2 번째 Byte 각각 제1, 제2 및 제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650), AND 동작 및 OR 동작 모두에서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 내의 값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데이터 단위가 제1 데이터 구간 내의 값이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가 제2 데이터 구간 내의 값이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위는 바이트 또는 신호이고, 상기 신호의 단위는 비트 또는 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7. 유효 데이터의 절대값 또는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입력 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절대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데이터 단위와 제1 절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와 제2 절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위는 바이트 또는 신호이고, 상기 신호의 단위는 비트 또는 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현재 입력 데이터와 이전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위 모듈로 현재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필터링 조건은, 입력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데이터 단위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제1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조건과, 제2 데이터 단위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제2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방법.
  17. 데이터 구간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구간 필터;
    유효 데이터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절대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유효 데이터의 상대값을 기준으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고, 현재 입력 데이터와 이전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는 CAN 인터페이스 모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고, 입력 데이터가 활성화된 필터를 통한 필터링 조건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or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or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간 필터, 제1 유효 데이터 필터 및 제2 유효 데이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고, 입력 데이터가 활성화된 필터를 통한 필터링 조건들 모두를 만족하는 and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고 and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입력 데이터를 상위 모듈로 전달하지 않고 인터럽트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UTOSAR 기반 통신장치.
KR20130101978A 2013-08-27 2013-08-27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KR20150024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78A KR20150024710A (ko) 2013-08-27 2013-08-27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US14/291,137 US20150067148A1 (en) 2013-08-27 2014-05-30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autosar)-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78A KR20150024710A (ko) 2013-08-27 2013-08-27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10A true KR20150024710A (ko) 2015-03-09

Family

ID=5258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978A KR20150024710A (ko) 2013-08-27 2013-08-27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67148A1 (ko)
KR (1) KR201500247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50B1 (ko) 2017-10-30 2019-04-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utosar 플랫폼 및 게이트웨이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3806A1 (en) * 2013-04-04 2014-10-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ilored information to vehicle users based on vehicle community input
CN105007198B (zh) * 2015-07-23 2018-08-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ip数据包乱序模拟仿真电路及方法
DE102015215480A1 (de) * 2015-08-13 2017-02-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r Nachricht in einem Fahrzeug
US9875175B2 (en) * 2015-09-25 2018-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t-level formal verification for vehicular software systems
CN106230605B (zh) * 2016-07-29 2019-07-0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autosar车载网络的管理系统
CN107885500B (zh) * 2017-10-31 2021-05-18 惠州市蓝微新源技术有限公司 一种面向autosar软件架构的运行时环境生成方法
CN109150657B (zh) * 2018-08-16 2020-09-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报文操作性能分析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984102B2 (en) * 2018-10-01 2021-04-20 Blackberry Limited Determining security risks in binary software code
US11106791B2 (en) 2018-10-01 2021-08-31 Blackberry Limited Determining security risks in binary software code based on network addresses
US11347850B2 (en) 2018-10-01 2022-05-31 Blackberry Limited Analyzing binary software code
US11755294B2 (en) * 2020-06-09 2023-09-12 The Math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ervice access points for RTE services in code or other RTE service information for use with the code
EP4203418A1 (en) * 2021-12-21 2023-06-28 dSPACE GmbH Method for analyzing services of nodes of a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50B1 (ko) 2017-10-30 2019-04-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utosar 플랫폼 및 게이트웨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7148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710A (ko) Autosar 기반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KR102206529B1 (ko)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CN105981336B (zh) 不正常检测电子控制单元、车载网络系统以及不正常检测方法
KR102202408B1 (ko)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KR102205776B1 (ko)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KR101509707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가상 ecu 개발 방법
KR101923511B1 (ko) 차량 진단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8292244B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CN111338662A (zh) 从站的固件升级方法、固件升级装置及终端
JP7485106B2 (ja) 車両、車載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車両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07800A1 (en) Error signal handling unit,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error condition signal
KR20160016843A (ko) 데이터 통신 방법, 통신 제어기 및 회로 배열체
KR102109125B1 (ko) Autosar 기반 차량 ecu 상태 관리 방법
KR101612825B1 (ko) Can 컨트롤러, 차량 내부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US9218236B2 (en) Error signal handling unit,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error condition signal
JP5888252B2 (ja) 車両用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
CN112533173B (zh) 用于确保数据完整性以保证操作安全的方法以及车对外界信息交互的装置
KR101470168B1 (ko) 제어기 내 cpu의 리프로그래밍 방법
Provencher Controller area networks for vehicles
JP2012114724A (ja) 電子制御装置
JP5299261B2 (ja) 電子制御装置
US97941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an frame
WO2021039622A1 (ja)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JP6337783B2 (ja)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23233619A1 (ja) 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