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181A -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181A
KR20150024181A KR20130101322A KR20130101322A KR20150024181A KR 20150024181 A KR20150024181 A KR 20150024181A KR 20130101322 A KR20130101322 A KR 20130101322A KR 20130101322 A KR20130101322 A KR 20130101322A KR 20150024181 A KR20150024181 A KR 2015002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tooth
slot
teeth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204B1 (ko
Inventor
정진근
Original Assignee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42Loop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02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 H02K23/04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having permanent magnet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26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the armatur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포권으로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방법을 개선시켜서 모터의 진동과 이음을 최소화시키도록 한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마주보는 2가닥의 코일(C)을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으로 각각 나누어 시작되는 위치와 마감되는 결선위치가 각각 정류자(2)와 코어(3)를 중심으로 하여 180°로 마주보게 하며,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각각 시작되는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을 코어(3)에 형성된 수개의 티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 권선하면서 정류자(2)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세그먼트를 돌아가면서 코어(3)의 슬롯과 함께 순차적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의 코일(C)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모터의 전기자에 참가하는 마주보는 힘의 밸런스를 일치시켜서 상기 모터의 진동 및 이음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서 최소화시키며, 권선량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며, 권선장치를 단순화시키면서 코일(C)의 권선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권선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A motor coil winding method consisting of a distributed winding}
본 발명은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직류모터의 정류자와 코어에 코일을 권선할 때 코일을 2개 이상의 슬롯에 나누어 감는 권선방식인 분포권으로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방법을 개선시켜서 모터의 진동과 이음을 최소화시키도록 한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모터의 경우 정류자(commutator)와 코어(core)에 코일(coil)이 감겨서 외부에서 전류를 공급하여 마그넷과의 자기장에 의해서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전기에너지를 회전되는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하는바, 기존 자동차 EPS(electric power steering)모터 등의 직류모터의 경우 브러시(brush)를 통하여 정류자의 세그먼트(segment)와 코어의 슬롯(slot)에 권선된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이때 코일이 코어의 슬롯에 권선되는 방법에 따라서 집중권(concentrated winding)과 분포권(distributed winding)으로 대분되며, 집중권은 코일을 1개의 슬롯에 집중해서 감는 권선방식이며, 분포권은 코일을 2개 이상의 슬롯에 나누어 감는 권선방식이며, 상기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이 포함되는 분포권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년 제79147호(2006년 7월 5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은 웨이브와인딩이(wave winding)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4년 제1519호(1994년 1월 11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은 랩와인딩(lap winding) 등의 다양한 권선방식이 개발되어 왔으나, 종래 웨이브와인딩이나 랩와인딩으로 코일이 권선된 직류모터의 경우 동극의 브러시가 정류자에 접촉하는 타이밍이 다르며, 코어의 슬롯에 마주보며 권선된 코일의 순서나 권선량 및 코일길이가 상이하므로 모터의 작동 시 진동이 상당하고, 이음(異音)이 심하게 발생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2006-0079147 A 2006. 7. 5. KR 10-1994-0001519 A 1994. 1. 11.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포권으로 코일이 권선된 모터의 권선방법에서 정류자와 코어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된 코일의 권선방법을 창출되게 함으로써, 마주보며 동일한 극성을 갖는 브러시가 정류자에 접촉하는 타이밍이 미세하게 차이가 생기더라도 정류자와 코어에 마주보게 권선된 코일의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를 일치시켜서 힘의 밸런스를 맞추므로 해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이음이 최소화되도록 한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정류자의 각 세그먼트와 코어의 2개 이상의 슬롯에 교대로 코일을 권선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은 정류자의 세그먼트에서 마주보는 2가닥의 코일을 1차권선과 2차권선으로 각각 나누어 시작되는 위치를 정류자를 중심으로 하여 마주보게 하며, 상기 마주보는 정류자의 세그먼트에서 각각 시작되는 코일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을 맞은편 세그먼트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의 티스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권선하며, 상기 코일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의 시작위치와 마감되는 결선위치가 각각 마주보게 하여 정류자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세그먼트를 돌아가면서 코어의 슬롯과 함께 순차적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은 정류자와 코어에 코일을 권선할 시 정류자와 코어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코어의 슬롯에 각각 감기는 코일의 1차권선과 2차권선에 있어서, 마주보는 1차권선과 2차권선의 코일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정류자의 세그먼트를 돌아가면서 권선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인가하여 모터의 구동 시 종래 마주보며 동일한 극성을 갖는 브러시와 이에 접촉하는 마주보는 정류자의 세그먼트가 브러시의 형상 및 브러시와 브러시홀더 사이의 여유공간(clearance) 등에 의해서 접촉 타이밍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세그먼트를 통해 통전되는 개개의 전기자(armature) 코일의 여자 타이밍의 밸런스가 무너짐에 따라 진동 및 이음이 발생되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류자 및 코어를 중심으로 마주보게 권선된 코일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의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가 동일하여 모터의 전기자에 참가하는 마주보는 힘의 밸런스를 일치시켜서 상기 모터의 진동 및 이음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서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마주보는 1차권선 코일과 2차권선 코일의 권선길이가 동일하므로 종래 정류자와 코어에 마주보게 권선된 코일의 권선길이가 상이한 것에 비하여, 코일의 전체 권선량을 줄일 수도 있으므로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의 양을 줄임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능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류자와 코어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는 코일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이 동일하므로 정류자와 코어에 코일을 감는 권선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류자와 코어에 코일을 권선하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권선장치에서 코일을 권선할 시 권선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으며, 모터에서 샤프트 상에 설치된 정류자와 코어에 코일이 권선된 아마추어(=전기자)의 외관이 미려하고 심플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1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4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5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6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의한 권선패턴의 제7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및 이때 브러시, 정류자, 코어 및 마그넷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권선방법 중 도 1 내지 6에 의한 권선방법에 의해서 전기자와 마그넷에서 발생되는 힘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권선방법 중 도 7 내지 12에 의한 권선방법에 의해서 전기자와 마그넷에서 발생되는 힘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권선방법 중 도 13 내지 14에 의한 권선방법에 의해서 전기자와 마그넷에서 발생되는 힘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상기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브러시를 통하여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코어의 슬롯에 권선된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력을 얻고자 구비된 브러시(1)와, 브러시(1)에 접촉되어 전류를 코일(C)로 전해주는 정류자(2), 및 정류자(2)와 함께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3)와, 정류자(2)의 세그먼트와 코어(3)의 슬롯에 권선되는 코일(C)과, 코어(3)에 권선된 코일(C)에 전류가 흐를 시 자기장에 의해서 샤프트에 설치된 정류자(2)와 코어(3) 및 코일(C)로 이루어진 전기자를 회전시키도록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마그넷(4)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EPS(electric power steering)모터 등의 각종 직류모터에서 코일(C)이 2개 이상의 슬롯에 나누어 감기도록 한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14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류자(2)의 세그먼트와 코어(3)의 슬롯으로 코일(C)을 권선할 시 2가닥의 코일(C)을 정류자(2)와 코어(3)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으로 나누어서 동시에 동일하게 권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정류자(2)를 중심으로 하여 180°로 마주보는 세그먼트에서 각각 권선이 시작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마주보는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각각 시작되는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코어(3)를 중심으로 하여 180°로 마주보는 코어(3)의 티스(teeth)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 각각 권선하면서 맞은편 세그먼트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권선한 후, 각각의 맞은편 세그먼트에서 다시 시작위치의 세그먼트쪽으로 나와서 코어(3)의 티스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 각각 권선한 다음, 각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시작된 시작위치의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로 각각 결선되도록 하여 코일(C) 권선의 시작위치와 마감되는 결선위치가 각각 상호 마주보게 권선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권선방법에서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코어(3)의 티스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 권선될 시 감기는 티스의 개수는 보통 4~6개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2~8개도 가능하며, 코일(C)에 의해서 감기는 티스의 개수는 코어(3)의 외측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전체 티스 및 슬롯의 개수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코어(3)의 티스에 감길 때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와 180°맞은편의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에 직교되는 위치, 즉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에 90°로 되는 위치에서 코어(3)에 형성된 수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거나, 도 7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와 180°맞은편의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에 직교되는 위치, 즉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에 90°로 되는 위치에서 코어(3)에 형성된 수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거나, 도 13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에 270°로 되는 위치에서 코어(3)에 형성된 수개의 티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각각 슬롯에 내입시켜 권선되도록 한 것으로서, 1차권선(C1)이 다음 번 세그먼트에 시작할 시 코어(3)의 슬롯도 다음 번 슬롯으로 내입시켜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권선과 코어(3)의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권선은 각각 1차권선(C1)이 맞은편 세그먼트까지 감길 동안에는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후 맞은편 세그먼트까지 순차적으로 코어(3)의 슬롯과 어우러져서 권선된 1차권선(C1)은 시작세그먼트의 맞은편 세그먼트에서 다시 시작세그먼트를 향해서 역방향으로 권선이 이루어지되, 맞은편 세그먼트에서 나온 1차권선(C1)의 후단은 1차권선(C1)의 선단이 시작세그먼트에서 나와서 내입되는 코어(3)의 슬롯에 내입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개의 티스를 감싼 후 맞은편 세그먼트의 다음 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수개의 티스를 감싼 다음, 시작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과 동일한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를 갖는 것으로 권선방법이 1차권선(C1)과 동일하며, 단지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는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게 위치한 맞은편 세그먼트가 되어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정류자(2)와 코어(3)를 중심으로 180°로 마주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별개의 코일(C) 2가닥이 정류자(2)와 코어(3)에 동일하게 권선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에 의하면, 도 1 내지 14에서와 같이 정류자(2)의 세그먼트와 코어(3)의 슬롯에 마주보게 감긴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동일한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설길이를 가지면서 정류자(2)와 코어(3)를 돌아가면서 권선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코일(C)이 권선된 정류자(2)와 코어(3)로 이루어진 전기자는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며 동일한 극성을 갖는 마그넷(4)에서 자기장에 의해서 마주보게 발생된 힘(F1,F2)의 방향과 크기가 동일하여 힘의 밸런스가 맞아지므로 모터의 구동 시 생기는 진동 및 이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은 정류자(2)의 세그먼트 개수와 코어(3)의 티스 사이의 슬롯 개수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정류자(2)의 외측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세그먼트가 22개이고, 이에 대응되는 코어(3)의 외측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티스 및 슬롯이 22개이며, 정류자(2)에 접촉되는 브러시(1)가 4개이면서 코어(3)에 대응되는 마그넷(4)이 4극으로 동극의 마그넷(4)이 마주보게 설치된 모터에 있어서, 22개의 세그먼트에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22개의 티스에 1번 세그먼트와 동일한 방향의 티스부터 1번에서 22번까지 반시계방향으로 순번을 부여하여 이에 코일(C)을 권선하는 실시예를 하기와 같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1실시예로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번 세그먼트와 90°의 각도를 갖는 코어(3)의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2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2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다음번 세그먼트인 3번 세그먼트에 걸은 다음, 다시 3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6번부터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4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4번 세그먼트에서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7번부터 1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아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5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2번 및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8번 및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9번 및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4번 및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점선)한다.
상기 1차권선(C1)과 정류자(2) 및 코어(3)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동시에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12번 세그먼트를 시작세그먼트로 하며,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코어(3)는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키며, 역시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13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켜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5번 및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다음번 세그먼트인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다시 14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15번 세그먼트에서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8번부터 22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아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16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6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번 및 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7번 및 8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14번 및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20번 및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15번 및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점선)하며, 이때 상기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마주보는 1번 세그먼트와 12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시작되어 마주보는 22번 세그먼트와 11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마감 결선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2실시예로는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2)와 코어(3)에 상호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권선방법으로 권선이 이루어지되,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코어(3)의 슬롯에 인입될 때 상기 제1실시예에서 인입되는 슬롯보다 1단계 전의 슬롯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티스 5개를 감싸도록 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1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부터 8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부터 19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는 반면, 제2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1실시예보다 1단계 전의 슬롯인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부터 7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1실시예보다 1단계 전의 슬롯인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부터 18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는 것이며, 제2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은 제1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에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될 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코어(3)의 슬롯으로 향하는 코일(C)이 1단계 전의 슬롯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고, 이후 13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이후 2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13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한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3실시예로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2)와 코어(3)에 상호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권선방법으로 권선이 이루어지되,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코어(3)의 슬롯에 인입될 때 상기 제1실시예에서 인입되는 슬롯보다 1단계 후의 슬롯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티스 5개를 감싸도록 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1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부터 8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부터 19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는 반면, 제3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1실시예보다 1단계 후의 슬롯인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부터 9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1실시예보다 1단계 후의 슬롯인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부터 20번까지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는 것이며, 제3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은 제1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에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될 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코어(3)의 슬롯으로 향하는 코일(C)이 1단계 후의 슬롯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고, 이후 13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이후 2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13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한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4실시예로는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번 세그먼트와 90°의 각도를 갖는 코어(3)의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2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2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다음번 세그먼트인 3번 세그먼트에 걸은 다음, 다시 3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6번부터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4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4번 세그먼트에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7번부터 1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아서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 5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7번 및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3번 및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가 반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4번 및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9번 및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점선)한다.
상기 1차권선(C1)과 정류자(2) 및 코어(3)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동시에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12번 세그먼트를 시작세그먼트로 하며,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는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14번 및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키며, 역시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13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14번 및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켜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20번 및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다음번 세그먼트인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다시 14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15번 세그먼트에서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8번부터 22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아서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16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6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8번 및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2번 및 3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4번 및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가 반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15번 및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20번 및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점선)하며, 이때 상기 제4실시예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 역시 마주보는 1번 세그먼트와 12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시작되어 마주보는 22번 세그먼트와 11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마감 결선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5실시예로는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2)와 코어(3)에 상호 마주보면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에 있어서, 상기 제4실시예와 동일한 권선방법으로 권선이 이루어지되,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코어(3)의 슬롯에 인입될 때 상기 제4실시예에서 인입되는 슬롯보다 1단계 전의 슬롯으로 입입되도록 하여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4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부터 8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부터 19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는 반면, 제5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4실시예보다 1단계 전의 슬롯인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부터 7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4실시예보다 1단계 전의 슬롯인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부터 18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는 것이며, 제5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은 제4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에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될 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코어(3)의 슬롯으로 향하는 코일(C)이 1단계 전의 슬롯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5실시예에서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고, 이후 13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이후 2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13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한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6실시예로는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2)와 코어(3)에 상호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에 있어서, 상기 제4실시예와 동일한 권선방법으로 권선이 이루어지되,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코어(3)의 슬롯에 인입될 때 상기 제4실시예에서 입입되는 슬롯보다 1단계 후의 슬롯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4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부터 8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부터 19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는 반면, 제6실시예에서는 1차권선(C1)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4실시예보다 1단계 후의 슬롯인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부터 9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며, 2차권선(C2)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제4실시예보다 1단계 후의 슬롯인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부터 20번까지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는 것이며, 제6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은 제4실시예의 코일 권선방법에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될 시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코어(3)의 슬롯으로 향하는 코일(C)이 1단계 후의 슬롯으로 권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5실시예에서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고, 이후 13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에서 역방향으로 바뀔 시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은 2차권선(C2)의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최초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하며, 이후 2번 세그먼트를 거쳐서 나온 코일(C)은 선단부분의 13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인입되는 슬롯으로 인입되어 5개의 티스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한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방법의 제7실시예로는 도 13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번 세그먼트와 270°의 각도를 갖는 코어(3)의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2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2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3번 세그먼트에 걸은 다음, 다시 3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7번부터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4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4번 세그먼트에서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8번부터 22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아서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5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번 및 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7번 및 8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인입되던 코어(3)의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14번 및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20번 및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15번 및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14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적색 점선)한다.
상기 1차권선(C1)과 정류자(2) 및 코어(3)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동시에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12번 세그먼트를 시작세그먼트로 하며,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코어(3)는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키며, 역시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연속하여 13번 세그먼트에서 상기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권선되던 코어(3)의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의 다음번 슬롯인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시켜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4번 및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다음번 세그먼트인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다시 14번 세그먼트에서 다음번 슬롯인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으면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다음번 세그먼트인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계속해서 15번 세그먼트에서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7번부터 1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아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 후 16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6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2번 및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8번 및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실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서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온 코일(C)이 인입되던 코어(3)의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9번 및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 후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4번 및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시켜서 최종적으로 3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도면상에서 청색 점선)하며, 이때 상기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마주보는 1번 세그먼트와 12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시작되어 마주보는 14번 세그먼트와 3번 세그먼트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이 마감 결선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코일(C)의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코어(3)에 감길 때 5개의 티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에서 일부 언급한바와 같이 코일(C)이 권선되는 코어(3)의 개수는 2개 이상에서 코어(3) 전체 개수의 절반미만의 개수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권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브러시 2:정류자
3:코어 4:마그넷
C:코일 C1:1차권선
C2:2차권선

Claims (9)

  1. 정류자(2)의 세그먼트와 코어(3)의 슬롯으로 코일(C)을 권선할 시 2가닥의 코일(C)을 정류자(2)와 코어(3)를 중심으로 하여 권선이 시작되는 위치와 마감 결선되는 위치가 180°로 마주보는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으로 나누며,
    상기 마주보는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정류자(2)와 코어(3)를 중심으로 해서 동시에 상호간에 권선순서와 권선량 및 권선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권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은 마주보는 정류자(2)의 세그먼트에서 각각 시작하여 코어(3)에 권선될 시 코어(3)의 티스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서 세그먼트와 티스 수개가 연결되게 맞은편 세그먼트까지 권선하며,
    각각의 맞은편 세그먼트에서 다시 1차권선(C1)과 2차권선(C2)이 시작되는 위치의 세그먼트쪽으로 나와서 코어(3)의 티스 수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슬롯으로 내입시켜서 권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부터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8번 및 9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3번에서 7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부터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3번에서 7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7번 및 8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4번에서 1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4번에서 1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7번부터 1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2번 티스와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9번 및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8번에서 22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번 티스와 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부터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3번 및 4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3번에서 7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부터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2번 티스와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3번에서 7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2번 및 3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4번에서 1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번 티스와 2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4번에서 18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7번부터 1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22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4번 및 5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17번 티스와 1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8번에서 22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에서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 너머의 세그먼트인 11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류자(2)의 세그먼트가 22개이면서 반시계방향으로 1번부터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고, 코어(3)의 티스가 22개이면서 1번 세그먼트와 동일 방향의 티스부터 1번에서 22번까지 순번을 부여하며,
    코일(C)의 1차권선(C1)은,
    정류자(2)의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걸고,
    2번 세그먼트에서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3번 세그먼트에 걸며,
    3번 세그먼트에서 21번 티스와 2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7번부터 21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4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4번 내지 11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22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1차권선(C1)의 후단부분이 12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19번 티스와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5번에서 1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서 20번 티스와 2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16번에서 2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14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하며,
    1차권선(C1)과 마주보며 동일하게 권선되는 코일(C)의 2차권선(C2)은,
    1차권선(C1)의 시작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와 180°로 마주보는 정류자(2)의 12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1차권선(C1)의 1번 세그먼트에서 최초로 인입되는 코어(3)의 19번 및 20번 티스 사이의 슬롯과 마주보는 코어(3)의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3번 세그먼트에 걸고,
    13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4번 세그먼트에 걸며,
    14번 세그먼트에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6번에서 10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15번 세그먼트에 걸며,
    이후 정류자(2)의 15번 내지 22번 세그먼트에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걸면서 코어(3)의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에서 18번 티스와 19번 티스 사이의 슬롯까지 1단계씩 각각 순차적으로 인입시켜서 티스 5개씩을 시계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시작세그먼트인 12번 세그먼트에 180°로 마주보는 맞은편 세그먼트인 1번 세그먼트까지 권선한 다음,
    연속하여 2차권선(C2)의 후단부분이 1번 세그먼트에서 나와 평면상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코어(3)의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4번에서 8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2번 세그먼트에 건 다음,
    2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되어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도록 해서 5번에서 9번까지의 티스 5개를 시계방향으로 감은 후 최종적으로 3번 세그먼트에 결선되도록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KR1020130101322A 2013-08-26 2013-08-26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KR10152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22A KR101526204B1 (ko) 2013-08-26 2013-08-26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22A KR101526204B1 (ko) 2013-08-26 2013-08-26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81A true KR20150024181A (ko) 2015-03-06
KR101526204B1 KR101526204B1 (ko) 2015-06-04

Family

ID=5302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322A KR101526204B1 (ko) 2013-08-26 2013-08-26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238B1 (ko) 2015-07-14 2016-03-04 효성전기주식회사 6극 13슬롯 2피치 권선패턴을 적용한 abs모터
KR20190061223A (ko) 2017-11-27 2019-06-05 효성전기주식회사 Bldc모터 권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676B1 (ko) 2015-09-22 2017-11-02 김선화 개별 자력을 갖는 전동기의 코어 코일 권선 방법
KR101954946B1 (ko) 2017-10-23 2019-03-08 주식회사 신강전기 24슬롯을 갖는 고정자의 권선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348B2 (ja) * 2005-10-20 2009-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238B1 (ko) 2015-07-14 2016-03-04 효성전기주식회사 6극 13슬롯 2피치 권선패턴을 적용한 abs모터
KR20190061223A (ko) 2017-11-27 2019-06-05 효성전기주식회사 Bldc모터 권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204B1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259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10236738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WO2017101637A1 (zh) 电机定子、永磁发电机
KR101553381B1 (ko) 모터의 코일 권선구조
KR101526204B1 (ko) 분포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JP2012152028A (ja) 回転電機
CN106469963B (zh) 一种永磁无刷电机偶数槽定子的绕线方法
RU2013118326A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бмотки, вращающаяс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ращающейс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CN101411039A (zh) 用于旋转电机的绕组装置
JP5917320B2 (ja) 電機子、電機子の巻線巻回方法及び直流モータ
CN101807838B (zh) 单相电容运转式电动机定子及其制造方法
TW201603446A (zh) 交流發電機定子及定子繞組
US8946965B2 (en) Armature of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CN105099017B (zh) 电机、定子铁芯及其定子冲片
KR101475469B1 (ko) 집중권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코일 권선방법
CN202749988U (zh) 十二槽十极三相直流无刷电机
CN102118086A (zh) 单相电容运转式电动机定子
JP7284835B2 (ja) ステータアセンブリ、モータ、圧縮機及び冷却装置
US10348147B2 (en) Rotating armature, rotating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il portions, and rotating armature manufacturing method
KR200402555Y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고정자 코일 권선 구조
JP2015111975A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CN112968539A (zh) 一种48槽三相集中绕组式永磁电机
KR102476318B1 (ko) 직류 모터의 아마추어 권선 방법
CN102780337A (zh) 十二槽十极三相直流无刷电机及其定子的绕线方法
CN103368303A (zh) 一种低噪音交流电机及其绕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