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942A - 거꾸로 매달리기 - Google Patents

거꾸로 매달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942A
KR20150022942A KR20150006413A KR20150006413A KR20150022942A KR 20150022942 A KR20150022942 A KR 20150022942A KR 20150006413 A KR20150006413 A KR 20150006413A KR 20150006413 A KR20150006413 A KR 20150006413A KR 20150022942 A KR20150022942 A KR 2015002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lide shaft
stop
shaft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067B1 (ko
Inventor
주영훈
Original Assignee
주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훈 filed Critical 주영훈
Priority to KR102015000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Abstract

본 발명은 체육공원이나 아파트 야외체육시설장 및 헬스장 등에 설치되는 스트레칭용 기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크기와 몸무게에 비례하여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의 무게중심을 기구 스스로 조절하여 자연스럽게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해서 기구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포터의 상측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좌우측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거꾸리 몸체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를 고정핀에 결합된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거꾸리 몸체에는 슬라이드축과 인장기 베어링 수평기어 멈춤키이가 결합되는 가변 이동수단을 더 설치하여 하중의 수평중심조절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변이동수단은 거꾸리 몸체 안으로 슬라이드축이 나란히 설치되어 손잡이를 잡고 손을 뻗으면 몸의 중심이 서포터의 중심에 오도록 설치되고 이때 슬라이드축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발판이 위로 함께 올라와 발을 지탱하도록 수평기어와 일체형으로 된 슬라이드축을 밀어 올리는 인장기를 결합하여 인장기 단부를 거꾸리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기어에 맞물려 작동하는 멈춤키이를 거꾸리 몸체에 결합하여 고정핀으로 결합하고 중심이동으로 거꾸리 몸체가 뒤로 회전할 때 중심이동용 수평기어에 멈춤키이가 각도변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평기어에 삽입되어 인장기의 인장력을 정지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거꾸리 몸체가 사용하지 않는 정지된 원위치에 있을 때 정지링이 각도조절축에 삽입되어 거꾸리 몸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설치되고 각도조절축에 각도변환이동핀과 충격습수용 부재인 스프링을 결합하여 거꾸리 몸체의 각도조절과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거꾸로 매달리기 { inverted hang }
본 발명은 체육공원이나 아파트 그리고 야외체육시설장 및 헬스장 등에 설치되는 스트레칭용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크기와 몸무게에 비례하여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의 무게중심을 기구 스스로 조절하여 자연스럽게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기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용의 극대화를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체육공원이나 아파트 야외체육시설장 및 헬스장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들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4376810000호(2014.08.18.)의 물구나무서기의운동용헬스기구
1012715290000호(2012.05.30.)의 등판지지부가가변되는거꾸리운동기구
1012651810000호(2013.04.26.)의 윗몸일으키기운동이가능한거꾸리운동기구
1012715290000호(2013.11.20.)의 스트레칭장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에는 이용자의 신장크기와 몸무게에 관계없이 제작 보급되어 있는 것과, 핀으로 키높이 조절을 하는 방식으로 보급되고 있는바, 다중 이용시설의 공원에는 이용자가 바뀔 때마다 키높이 조절을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많아,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를 이용자들은 자신의 키와 몸무게에 따라 별도 조작이 없이 자연스럽게 뒤로 회전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1014376810000호(2014.08.18.) KR 1012715290000호(2012.05.30.) KR 1012651810000호(2013.04.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 자동으로 키높이 조절과 무게 중심조절이 되지를 않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중의 중심이동을 할 수 있는 가변이동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키높이 조절을 별도의 조작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체육공원이나 헬스장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공공이용시설인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의 활용성을 극대화하여 국민 체력증진에 일조할 수 있는 기능성의 거꾸로 매달리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서포터와; 서포터의 상측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좌측과 우측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거꾸리 몸체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를 결합된 거꾸로 매달리기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거꾸리 몸체에는 슬라이드축과 인장기 베어링 수평기어 멈춤키이가 결합되는 가변 이동수단을 더 설치하여 하중의 수평중심조절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변이동수단은 거꾸리 몸체와 슬라이드축이 나란히 설치되어 손잡이를 잡고 손을 뻗으면 몸의 중심이 서포터의 중심에 오도록 설치되고 이때 슬라이드축과 일체형으로 된 발판이 위로 함께 올라와 발을 지탱하도록 수평기어와 일체형으로 된 슬라이드축을 밀어 올리는 인장기를 결합하여 인장기 단부를 거꾸리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기어에 맞물려 작동하는 멈춤키이를 거꾸리 몸체에 결합하여 고정핀으로 결합하고 중심이동으로 거꾸리 몸체가 뒤로 회전할 때 중심이동용 수평기어에 멈춤키이가 각도변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평기어에 삽입되어 인장기의 인장력을 정지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거꾸리 몸체가 사용하지 않는 정지된 원위치에 있을 때 정지링이 각도조절축에 삽입되어 거꾸리 몸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설치되고 각도조절축에 각도변환이동핀과 충격습수용 부재인 스프링을 결합하여 거꾸리 몸체의 각도조절과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거꾸로 매달리기는 신장이 작은 사람은 뒤로 회전이 되지를 않아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추를 매다는 등의 수고를 덜어내고, 신장이 큰 사람은 급격히 회전함을 조절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고 천천히 놓아야 하는 수고를 덜고, 신장 높이를 핀으로 조절하는 것은 각각의 사용자 마다 자기 신장에 맞게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용 볼트를 풀고 고정핀을 뽑고 높이를 조절한 다음 핀을 꼽고 고정용볼트로 고정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낼 수 있으며, 각도조절핀이 있어 각도조절이 용이하며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있어 빠른 회전의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정지링에 각도조절축이 고정되어 있어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정지 상태를 제1실시례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장높이조절을 제2실시례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장높이 멈춤키이의 제3실시례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의 제4실시례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거꾸로 매달리기(0)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로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거꾸로 매달리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사시도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거꾸로 매달리기(0)의 구성은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서포터(1)의 상측의 좌우에 거꾸리 몸체(10)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11)를 고정핀(12)으로 결합하여 회동링크(1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하부 중앙 상측 서포터(8)에 각도조절기축(6)을 결합하고 고정핀(9)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각도조절축(6)에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결합한 후 서포터(1) 하부 중앙부에 있는 고정브래킷(2)에 회동링크(4)를 결합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핀(3)으로 결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고정 정지상태의 제1실시례를 보인 정면도인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이동수단의 일 실시례로는 발목조임손잡이(15)을 결합한 일체형으로 된 정지링(17)과 수평기어(24)와 슬라이드축(18)의 상부에 인장기(20)를 고정핀(19)으로 결합한다. 결합된 슬라이드축(18)을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인장기(20) 단부를 고정핀(21)으로 거꾸리 몸체(10)에 결합 한 다음 베어링(22), 멈춤키이(25), 베어링(27)을 순차적으로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고정핀(23,26,28)을 각각 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서포터(1)의 상측의 좌우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핀(12)의 삽입을 준비하고 거꾸리 몸체(10)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11)를 고정핀(12)으로 결합하여 회동링크(1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하부 중앙 상측 서포터(8)에 각도조절기축(6)을 결합하고 고정핀(9)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각도조절축(6)에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서포터(1) 하부 중앙부에 있는 고정브래킷(2)에 회동링크(4)를 결합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핀(3)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변이동수단을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발판(16)에 올라서서 하중이 걸리면 인장기(20)의 인장력이 압축되어 발판(16)이 내려간다. 사용자가 발판(16)에 올라섰다가 내려오면 인장기((20)의 압력에 의해 발판(16)이 위로 올라가며 정지링(17)이 각도조절기축(6)의 단부에 결합되어 거꾸리 몸체(10)의 회전을 못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정지수단의 도 2의 측면에서 본 정지링(17)과 각도조절축(6)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키높이 조절 제2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이동수단의 일 실시례로는 발목조임손잡이(15)을 결합한 일체형으로 된 정지링(17)과 수평기어(24)와 슬라이드축(18)의 상부에 인장기(20)를 고정핀(19)으로 결합한다. 결합된 슬라이드축(18)을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인장기(20) 단부를 고정핀(21)으로 거꾸리 몸체(10)에 결합 한 다음 베어링(22) 멈춤키이(25) 베어링(27)을 순차적으로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고정핀(23,26,28)을 각각 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서포터(1)의 상측의 좌우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핀(12)의 삽입을 준비하고 거꾸리 몸체(10)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11)를 고정핀(12)으로 결합하여 회동링크(1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하부 중앙 상측 서포터(8)에 각도조절기축(6)을 결합하고 고정핀(9)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각도조절축(6)에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서포터(1) 하부 중앙부에 있는 고정브래킷(2)에 회동링크(4)를 결합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핀(3)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변이동수단을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발판(16)에 올라서서 하중이 걸리면 인장기(20)의 인장력이 압축되어 발판(16)이 내려간다. 이후 손잡이(13)를 잡고 팔를 직선으로 펴면 몸의 중심이 위로 올라가고 이때 발판도 함께 올라오고 이때 허리와 등을 거꾸리 몸체(10)에 기대면 자연스럽게 뒤로 천천히 넘어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멈춤키이(25) 작동상태의 제3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이동수단의 일 실시례로는 발목조임손잡이(15)를 결합한 일체형으로 된 정지링(17)과 수평기어(24)와 슬라이드축(18)의 상부에 인장기(20)를 고정핀(19)으로 결합한다. 결합된 슬라이드축(18)을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인장기(20) 단부를 고정핀(21)으로 거꾸리 몸체(10)에 결합 한 다음 베어링(22), 멈춤키이(25), 베어링(27)을 순차적으로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고정핀(23,26,28)을 각각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한 다음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서포터(1)의 상측의 좌우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핀(12)의 삽입을 준비하고 거꾸리 몸체(10)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11)를 고정핀(12)으로 결합하여 회동링크(1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하부 중앙 상측 서포터(8)에 각도조절기축(6)을 결합하고 고정핀(9)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각도조절축(6)에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서포터(1) 하부 중앙부에 있는 고정브래킷(2)에 회동링크(4)를 결합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핀(3)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변이동수단을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발판(16)에 올라서서 하중이 걸리면 인장기(20)의 압력이 압축되어 발판(16)이 내려간다. 이후 손잡이(13)를 잡고 팔를 직선으로 펴면 몸의 중심이 위로 올라가고 이때 발판도 함께 올라오고 이때 허리와 등을 거꾸리 몸체(10)에 기대면 자연스럽게 뒤로 천천히 넘어가는 것이다. 거꾸리 몸체(10)가 수평에 가까울 때 멈춤키이(25)가 중심이 이동되어 회전하여 수평기어(24)의 거어홈에 고정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의 제4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이동수단의 일 실시례로는 발목조임손잡이(15)를 결합한 일체형으로 된 정지링(17)과 수평기어(24)와 슬라이드축(18)의 상부에 인장기(20)를 고정핀(19)으로 결합한다. 결합된 슬라이드축(18)을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인장기(20) 단부를 고정핀(21)으로 거꾸리 몸체(10)에 결합한 다음 베어링(22), 멈춤키이(25), 베어링(27)을 순차적으로 거꾸리 몸체(10)에 삽입하고 고정핀(23,26,28)을 각각 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서포터(1)의 상측의 좌우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핀(12)의 삽입을 준비하고 거꾸리 몸체(10)와 일체형으로 된 회동링크(11)를 고정핀(12)으로 결합하여 회동링크(1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하부 중앙 상측 서포터(8)에 각도조절기축(6)을 결합하고 고정핀(9)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각도조절축(6)에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서포터(1) 하부 중앙부에 있는 고정브래킷(2)에 회동링크(4)를 결합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핀(3)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변이동수단을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회전 각도를 선택하여 각도변환이동키이(7)를 각도조절축(6)의 임의의 간격 구멍에 끼우고 발판(16)에 올라서서 하중이 걸리면 인장기(20)의 압력이 압축되어 발판(16)이 내려간다. 이후 손잡이(13)를 잡고 팔을 직선으로 펴면 몸의 중심이 위로 올라가고 이때 발판도 함께 올라옴과 동시에 허리와 등을 거꾸리 몸체(10)에 기대면 자연스럽게 뒤로 천천히 넘어간다. 각도변환이동키이(7)가 스프링(5)에 도달하면 회동링크(4)에 의해 정지하고 완충부재의 스프링(5)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0: 거꾸로 매달리기
1:서포트 2:고정브래킷
3:고정핀 4:회동링크
5,5-1:스프링 6:각도조절축
7:각도변환이동키이 8:고정브래킷
9:고정핀 10:거꾸리 몸체
11:회동링크 12:고정핀
13:손잡이 14:휴대폰 거치대
15:발목조임손잡이 16:발판
17:정지고리 18:슬라이드축
19:고정핀 20:인장기
21:고정핀 22:베어링
23:고정핀 24:수평기어
25:멈춤키이 26:고정핀
27:베어링 28:고정핀

Claims (4)

  1. 거꾸리 몸체(10)와;
    거꾸리 몸체(10)의 내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작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축(18)과;
    상기 슬라이드축(18)의 중간에 고정된 거리조절용 수평기어(24)와 슬라이드축(18)의 단부에 고정핀(19)으로 인장기(20)의 상부를 결합하고 인장기(20)하부의 단부를 거꾸리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21)과;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속에 슬라이드축(18)이 왕복 가능할 수 있도록 일단에 베어링(22,28)과 멈춤키이(25)를 결합하여 고정핀(23,26,28)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하여 인장기(20)의 인장력에 의한 슬라이드축(18)이 위로 이동하여 이용자의 키높이 조절과 무게중심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꾸리 몸체(10)가 뒤로 회전할 때 멈춤키이(25)의 무게중심이 이동하여 회전하여 수평기어(24)의 기어홈에 정지하여 인장기(20)의 인장력을 정지시키고, 거꾸리 몸체(10)가 앞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드축(11)이 이용자의 무게에 의해 앞으로 움직일 때 수평기어(24)의 기어홈에서 멈춤키이(25)가 분리되며 발판(16)에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과 슬라이드축(11)이 뒤로 회전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멈춤키이(25)가 수평기어(24)의 기어홈에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꾸리 몸체(10)의 배면상부에 부착된 고정브래킷(8)에 각도조절축(6)을 결합하고 각도조절축(6)에 완충용 부재 스프링(5)과 회동링크(4)를 결합하여 고정브래킷(2)에 결합하고 고정핀(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꾸리 몸체(10) 안으로 결합된 슬라이드축(18)의 하부에 설치된 멈춤링(17)이 각도조절축(6)에 결합하여 거꾸리 몸체(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KR1020150006413A 2015-01-13 2015-01-13 거꾸로 매달리기 KR10158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13A KR101582067B1 (ko) 2015-01-13 2015-01-13 거꾸로 매달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13A KR101582067B1 (ko) 2015-01-13 2015-01-13 거꾸로 매달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42A true KR20150022942A (ko) 2015-03-04
KR101582067B1 KR101582067B1 (ko) 2016-01-11

Family

ID=5302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413A KR101582067B1 (ko) 2015-01-13 2015-01-13 거꾸로 매달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0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706A (ja) * 2000-02-15 2001-08-21 Muneharu Ajiki 倒立運動用器具
KR100978623B1 (ko) * 2009-10-15 2010-08-27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인버션 테이블
US20110152032A1 (en) * 2009-12-22 2011-06-23 Michael Charles Barnett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KR101265181B1 (ko) 2011-08-05 2013-05-27 정태근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기
KR101271529B1 (ko) 2012-03-12 2013-06-05 정태근 등판지지부가 가변되는 거꾸리 운동기
KR101437681B1 (ko) 2013-12-17 2014-09-04 신준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706A (ja) * 2000-02-15 2001-08-21 Muneharu Ajiki 倒立運動用器具
KR100978623B1 (ko) * 2009-10-15 2010-08-27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인버션 테이블
US20110152032A1 (en) * 2009-12-22 2011-06-23 Michael Charles Barnett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KR101265181B1 (ko) 2011-08-05 2013-05-27 정태근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거꾸리 운동기
KR101271529B1 (ko) 2012-03-12 2013-06-05 정태근 등판지지부가 가변되는 거꾸리 운동기
KR101437681B1 (ko) 2013-12-17 2014-09-04 신준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067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644B2 (en) gym
US7874968B2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EP2517758B1 (en) Glute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EA021697B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измен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для него
WO2014112991A1 (en) Mobile traning device
US20170106236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JP2019524166A (ja) スクワット運動のための運動装置
CA2956530A1 (en)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KR10158206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KR101711208B1 (ko)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KR20150048684A (ko) 자동 거꾸리
CN212700279U (zh) 一种椭圆机用可调节踏板
US11389694B1 (en) Rotational and linear resistance force exercise apparatus
KR100807361B1 (ko) 하체 근력 강화기
WO2011146541A2 (en) Pulley for body-weight exercise with attached tri-circular exercise device
KR101472218B1 (ko) 종합 운동기구
KR20090008892U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CN202263332U (zh) 一种多功能运动机构
CN209933957U (zh) 多功能拉伸运动设备
KR100867117B1 (ko) 다용도 헬스기구
CN204891078U (zh) 一种体育训练用多功能架
CN220257086U (zh) 一种美腿机
CN214550923U (zh) 一种健美操核心力量训练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