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916A -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 - Google Patents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916A
KR20150021916A KR1020147032313A KR20147032313A KR20150021916A KR 20150021916 A KR20150021916 A KR 20150021916A KR 1020147032313 A KR1020147032313 A KR 1020147032313A KR 20147032313 A KR20147032313 A KR 20147032313A KR 20150021916 A KR20150021916 A KR 20150021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led connection
active loudspeaker
feature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후앙 리
Original Assignee
티쥐아이 테크놀로지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쥐아이 테크놀로지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쥐아이 테크놀로지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의 한 종류를 개시한다. 특징은 이것이 고정부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는 박벽 구조를 가진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이 그 위에 설치된다. 다른 특징은 이것이 실링된 연결부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링된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 고정되고, 이것은 실링 재료를 가진다; 상기 실링된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를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에 정렬, 접속 및 고정시킨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 및 강체 컨테이너가 기밀성 공진 공간을 공동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고정부는 상단에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을 통합시키고 그 위에 고정된 실링된 연결부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강체 컨테이너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는 범용 고음질 모듈을 형성한다. 작은 부피에 기초한 플랜(plan)에서, 이것은 또한 중간 및 저 주파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이것은 매우 편리하게 강체 컨테이너가 있는 완전한 고 성능 스피커를 형성하고, 상이한 스타일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환경들에서 스피커에 대한 형상 제약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MODULAR SPEAKER COMPONENT}
본 발명은 모듈식 스피커의 종류의 모듈식 컴포넌트를 수반한다.
전기적-음향 변환 장비의 일부로서, 스피커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특히 몇몇 특수한 장소들에 대해서는, 스피커는 구조 및 외관과 같은 인자들을 고려한 이후에는 너무 크게 제작될 수 없다. 더 나아가, 제약들 때문에, 이것은 단순히 홀로 두드러져 보이도록 환경 내에 배치될 수 없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스피커 몸체의 형태는 이것이 환경적 요인들과 유사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수한 장소들은 매우 다양하며 이들은 예를 들어 박물관으로부터 전시장까지, 침실까지, 그리고 소매점까지 다양할 수 있다. 스타일들은 다양하며 차이점들이 분명하다. 스피커의 매우 큰 부분은 통상적인 구조들을 가지며, 따라서 일관성이 꽤 크다. 배치(batch) 생산 및 표준화를 위하여 모듈식 애플리케이션을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를 다루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라우드스피커를 수 개의 실링된 강체 컨테이너 내에 단순하게 로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체 컨테이너는 그들 자체가 환경적 요소가 될 것이며 실제 스피커 몸체가 은닉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스피커의 음질을, 특히 중간 및 저 주파수 대역에서 보장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스피커가 큰 다양성 및 고품질 사운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보장하면서 스피커를 모듈식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도전할 과제이다.
스피커에 대한 다양성 및 고품질 사운드 효과 모두를 보장하는 위의 문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한 종류의 범용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기술적 플랜은 다음과 같다: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 이러한 고정부는 박벽 구조를 가진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이 그 위에 설치된다;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설치부에서 실링된다;
그리고 실링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 이러한 실링된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 고정되고, 이것은 후자를 따라서 연장한다. 이것의 에지는 연속 실링된 라인이고, 이러한 에지 상에 세팅된 실링 재료가 존재한다. 이것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가 다른 강체 컨테이너 또는 표면과 실링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아래에는 이러한 기술적 플랜에 대한 여러 바람직한 개선들이 나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된 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를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에 정렬,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링 재료를 사용한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 및 강체 컨테이너가 공진 공간을 공동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세 가지 개선들이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개선에 대해서,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의, 상기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 상으로의 투영 위치들은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된 연결부의 최대 외부 직경 내에 위치된다. 두 번째 개선에 대해서,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은 상기 공진 공간에 상대적으로 후면 로딩된 형상(back loaded form)을 가진다. 세 번째 개선에 대해서, 상기 강체 컨테이너는 위상 반전 디바이스를 가진 실링된 스피커이다. 상기 위상 반전 디바이스는 임의의 위상 인버터 튜브, 미로 경로(labyrinth path), 혼 경로 또는 이들 세 개의 임의의 조합을 가리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 격판 유닛 및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은 이러한 디바이스를 향하여 지향된다. 더 나아가,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의 주위에서 분포된다. 후속하는 개선들은 이러한 플랜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고정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 구조를 사용한다. 그들의 내부 링 내부는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으로 채워지고; 그들의 외부 링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에 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의 진동 방향은 모두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과 교차한다;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모두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식으로 대칭이다;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의 주위에서 분포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전체적으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그들은 또한 상기 고정부의 측면 영역을 차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 실링된 연결부 및 수동 격판 유닛은 통합된 몰딩된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된 연결부는 조절가능한 부피를 가지고 상기 실링 재료를 사용하여 강체 컨테이너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 재료는 평평한 개구 형상을 형성한다. 전체 컴포넌트 자체의 무게를 통하여, 이것은 일부 수평 표면 상에 배치되어 실링된 형태를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수동 격판 유닛, 실링된 연결부 및 실링 재료가 모든 동일한 평평한 표면 상에 위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실링 재료는 단단하게 실링된 컨테이너의 설치 홀에 맞춤된다. 따라서 전체 컴포넌트는 임베딩된 형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유용한 효과들은:
1. 고정부는 상단에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을 통합시키고 그 위에 고정된 실링된 연결부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강체 컨테이너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는 범용 고음질 모듈을 형성한다. 작은 부피에 기초한 플랜(plan)에서, 이것은 또한 중간 및 저 주파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이것은 매우 편리하게 강체 컨테이너가 있는 완전한 고 성능 스피커를 형성하고, 상이한 스타일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환경들에서 스피커에 대한 형상 제약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2.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의 중심축은 고정부의 중심축 내에 위치결정된다. 수동 격판은 이러한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이것은 전체 스피커가 고정부의 중심축을 따라, 특히 고정부의 중심축이 디바이스에 수직일 경우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3. 수동 격판 유닛의 진동 방향은 모두 고정부의 중심축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것은 착색(coloration)이 전체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도록 한다. 또한 더 적은 고조파가 존재하고 음질이 더 깨끗하다. 동시에, 이러한 방법은 공진 공간 내부의 에어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야기되는 추가적 진동을 감소시킨다. 일면에서, 이것은 강체 컨테이너의 불균형 진동에 의하여 야기되는 손상을 가능한 한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이것은 접선 진동(tangential vibration)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스피커는 너무 많은 고정 매커니즘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고, 고정 동작은 간단한 배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피커는 외부 에어 형상, 구조, 고정, 등에 의하여 훨씬 적게 제한될 것이다.
4.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은 공진 공간에 상대적인 후면 적재 방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라우드스피커 프레임 및 다른 컴포넌트들이 은닉되고 보고되도록 한다.
5.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의, 상기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 상으로의 투영 위치들은,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된 연결부의 최대 외부 직경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고정부, 및 모든 위의 컴포넌트들이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 내에 맞춤되도록 한다. 요구 사항들에 기초하여, 은닉은 필요한 깊이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더 은닉되고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외관은 영향받지 않을 것이다.
6. 모든 수동 격판 유닛의 진동 방향들이 고정부의 중심축과 교차한다. 더 나아가, 고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모든 수동 격판 컴포넌트들의 합은 제로이다; 이러한 셋업은 수평 방향에서의 전체 스피커에 대한 접선 진동이 동작 도중에 평형을 획득하도록 한다. 이로써 큰 이동 도중에 스피커 몸체의 수평 천이를 크게 약화시킨다. 이것은 스피커 몸체가 더 안정하게 하며 또한 착색을 낮춘다.
7. 수동 격판 유닛의 형상은 링-형상 구조이다. 이러한 내부 링 내부는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으로 채워지고; 이것의 외부 링은 실링된 연결부에 도달한다. 이러한 형상은 전체 고정부가 최대 사용을 획득함으로써, 이것의 유효 진동 영역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이것은 저 주파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며, 착색이 동시에 역시 최소화된다.
후속하는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한다:
도 1 은 홈-형상 컨테이너 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사용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 는 표준 유리병 상의, 도 3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9 는 유리병 상의, 도 8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1 은 유리병 상의, 도 10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의 개략적인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되는 실시예 7 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15 는 상이한 부피를 가진 네 종류의 강체 컨테이너들 상에서의, 도 14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임피던스 곡선 다이어그램이다.
실시예 1:
도 1 은 세라믹 홈-형상 컨테이너 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용법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은 이러한 두 개의 도면들에 대한 것이다:
고정부(10)는 디스크-형상 박벽 구조를 가진다. 이동 코일 타입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이 이것의 중심에 로드된다. 이것의 원뿔 홀(cone hole)은 상향으로 대향하고, 네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들은 고정부(10)의 상단에 있는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주위에 분포된다. 고정부(10)는 그것의 주위에서 실링된 연결부(11)와 함께 원을 형성한다. 플러깅(plugging) 방법을 사용하면서, 이것은 강체 컨테이너(30)의 개구(31) 내에 고정된다. 더 나아가, 고정부(10)의 중심축 및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중심축은 동일하다; 또한, 네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은 앞서 언급된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특히, 네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의 진동 방향(n)은 이러한 중심축의 방향과 같다. 실링된 연결부(11)는 고정부(10)의 최외곽 에지에 위치결정된다. 이것이 개구(31)와 접촉하는 곳에는 실링 재료가 존재한다. 전체 고정부(10) 및 강체 컨테이너(30)는 함께 기밀성 공진 공간(32)을 형성한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이 동작하기 시작하면, 이것의 원뿔은 공진 공간(32) 내의 에어를 구동하여 이것의 형상을 변화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수동 격판 유닛(20) 상의 격판(21)이, 모든 오디오 주파수 진동이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네 개의 수동 격판 유닛으로부터 생성되도록, 공진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개선된 음질이 획득된다.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상단에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을 통합시키고, 그 위에 고정된 실링된 연결부(11)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강체 컨테이너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는 범용 고음질 모듈(30)을 형성한다. 작은 부피에 기초한 플랜(plan)에서, 이것은 또한 중간 및 저 주파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이것은 매우 편리하게 강체 컨테이너(30)가 있는 완전한 고 성능 스피커를 형성하고, 상이한 스타일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환경들에서 스피커에 대한 형상 제약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이것은 업데이트된 디자인 방법을 제공한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은 개별적으로 설계되고 튜닝되어 모듈식 컴포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스피커 몸체(강체 컨테이너 부분)에 대한 제약을 크게 감소시킬 것이다. 그 와중에, 구조적 디자인 및 외관 디자인도 역시 더 사전대비적(proactive)이 될 것이고, 음질 효과도 역시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 후-튜닝 모듈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것은 일종의 범용 모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스피커 몸체의 디자인에 대한 특정 범위 내에서 더 큰 자유도를 허용한다. 이것은 우선순위가 스피커 몸체의 디자인에 주어져야만 하는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으로부터 상이하다.
반면에,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중심축은 고정부(1)의 중심축에 위치결정된다. 수동 격판(20)은 이러한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이것은 전체 스피커가 고정부(1)의 중심축을 따라, 특히 고정부(1)의 중심축이 디바이스에 수직일 경우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수동 격판 유닛(20)의 진동 방향은 모두 고정부(1)의 중심축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것은 착색(coloration)이 전체 고정부(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도록 한다.
또한 더 적은 고조파가 존재하고 사운드 품질이 더 깨끗하다. 동시에, 이러한 방법은 공진 공간 내부(32)의 에어의 형태 변화에 의하여 야기되는 추가적 진동을 감소시킨다. 일면에서, 이것은 강체 컨테이너의 불균형 진동에 의하여 야기되는 손상을 가능한 한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이것은 접선 진동(tangential vibration)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스피커는 너무 많은 고정 매커니즘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고, 고정 동작은 간단한 배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피커는 외부 에어 형태, 구조, 고정, 등에 의하여 훨씬 적게 제한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1 에서의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은 공진 공간(32)에 상대적인 후면 적재 방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라우드스피커 프레임 및 다른 컴포넌트들이 은닉되고 보고되도록 한다. 동시에,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의, 상기 강체 컨테이너(30)의 개구 상으로의 투영 위치들은,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된 연결부(11)의 최대 외부 직경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고정부(10), 및 모든 위의 컴포넌트들이 강체 컨테이너(30)의 개구 내에 맞춤되도록 한다. 요구 사항들에 기초하여, 은닉은 필요한 깊이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더 은닉되고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외관은 영향받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2: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 5 는 표준 유리병 상의, 도 3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이러한 실시예 2 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은 이러한 세 개의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 2 에서, 세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이 존재한다. 실시예 1 과 같이, 이들은 고정부(10)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에 상대적으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모든 수동 격판 유닛(20)의 진동 방향들은 고정부(10)의 중심축을 교차한다; 더 나아가, 고정부(10)의 중심축에 수직인 모든 수동 격판(20) 컴포넌트들의 합은 제로이다; 이러한 셋업은 수평 방향에서의 전체 스피커에 대한 접선 진동이 동작 도중에 평형을 획득하도록 한다. 이로써 큰 이동 도중에 스피커 몸체의 수평 천이를 크게 약화시킨다. 이것은 스피커 몸체가 더 안정하게 하며 또한 착색을 낮춘다. 이러한 실시예 2 에 대하여, 실링된 연결부(11)는 강체 컨테이너(30), 즉 86mm 유리병 내에 맞춤될 수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범용인 플랜이다.
세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이 존재한다.
이것은 전체 고정부(10)의 진동-가능면에 대한 충분히 균일한 진동을 허용한다. 복잡성도 역시 너무 높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7 은 도 6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상면도이며; 실시예 3 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은 이러한 두 개의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 3 에 대한 고정부(10)의 형상은 실시예 2 에 대한 그것과 유사하다. 이것은 상향 돌출하는 구조이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은 여전히 고정부(10)의 중심축에 위치되고, 후면 적재 방법이 사용된다. 차이점은 수동 격판 유닛(20)의 형상이 링-형상 구조라는 것이다. 내부 링 내의 부분은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에 의하여 채워진다; 외부 링은 실링된 연결부(11)에 도달한다(reach). 이러한 형상은 전체 고정부(10)가 최대 사용을 획득함으로써, 이것의 유효 진동 영역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이것은 저 주파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며, 착색이 동시에 역시 최소화된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링-형상 수동 격판 유닛(20)을 사용하는 플랜은 더 얇은 라우드스피커의 이용을 허용한다. 이것은 공간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환경에서 사용되기에 적절하다. 이러한 형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고정부(10)는 지지 프레임(13)이 적합하게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을 고정하도록 요구한다.
실시예 4: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의 개략적인 상면도이고; 도 9 는 유리병 상의, 도 8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은 이러한 두 개의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 4 에서, 고정부(10)는 전체적으로 구형 형상이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두 개의 수동 격판 유닛(20)에 대하여, 이들은 회전적으로 대칭적인 방식으로 고정부(10)의 중심축 주위에 반포된다. 더 나아가,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의 진동 방향은 고정부(10)의 중심축을 교차한다. 이러한 방법이 고정부의 형상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진동이 평형을 이루도록(balanced) 야기한다. 실링된 연결부(11)를 통하여, 고정부(10)는 유리병(30)의 개구(31)로 플러깅되고 고정된다.
실시예 5: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1 은 유리병 상에서의 도 10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후속하는 설명은 이러한 두 개의 다이어그램들을 참조한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은 고정부(10)의 상단 영역을 점유한다. 동시에, 수동 격판 유닛(20)은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면서, 고정부(10)의 측면에 분포된다; 실링된 연결부(11)는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반대 단부에 위치결정된다. 동시에, 모든 수동 격판 유닛(20)은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며 이들은 고정부(10)의 측면 영역을 점유한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은 또한 고정부(10)의 표면적을 완전히 활용하며, 진동-가능 부분을 최대화한다. 이것은 중간 및 저 주파수에서의 사운드 효과를 크게 개선시키며, 더 나아가 착색을 방지한다. 특히, 이러한 형상의 컴포넌트 들을 생산 및 대중화(popularization)의 표준 부품들로 만드는 것이 용이하다. 강체 컨테이너의 실링 재료에 기인하여, 이것은 평평한 개구 형상을 가진다. 이것은 전체 컴포넌트가 평평하게 수준면(level surface) 상에 놓여짐으로써, 실링이 충분하고 정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실링된 연결부(11)는 조절가능한 부피를 가지고 강체 컨테이너 상에 고정된다. 편리성이 획득될 수 있고, 강체 컨테이너(30)의 효과는 거의 무시될만하다. 따라서 양호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타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것의 실링된 연결부(11)는 저 주파수에서 대응하는 오디오 효과를 위하여 조절되어 상이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의 개략적인 단면 측면도이다. 실시예 5 와 비교되면, 모듈의 고정부(10),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 및 수동 격판 유닛(20)이 유사하다. 차이점은, 이러한 실시예는 위상 인버터 튜브(32)가 있는 강체 컨테이너(30) 상에서 사용되고; 이러한 위상 인버터 튜브(32)와 커플링되며, 저 주파수에서의 전체 스피커의 성능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 주파수에 대한 원래의 하한은 70 내지 80Hz였다. 이제, 이것은 50Hz 근방과 같이 낮아질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의 고정부(10) 및 수동 격판 유닛(20)은 통합된 몰딩된 구조를 사용한다. 이것은 이러한 컴포넌트들에 대한 처리를 간단하게 만들고, 양호한 기밀성을 역시 제공하며; 수동 격판 유닛(20)의 격판 및 탄성 매체 모두는 고무 재료를 사용한다. 처리는 그들의 두께 및 표면에 대하여 수행됨으로써 이들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디버깅(debugging) 동안에, 다양한 매칭 가중치가 역시 수동 격판 유닛(20)에 추가되어 상이한 공진 효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되는 실시예 7 에 대한 상면도이며; 이러한 실시예 및 실시예 3 사이에는 유사성들이 존재한다: 수동 격판 유닛(20) 및 그들의 격판(21)의 형상은 링-형상 구조이다. 내부 링 내의 부분은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에 의하여 채워진다; 외부 링은 실링된 연결부(11)에 도달한다. 특히, 수동 격판(20)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이들은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과 함께 임베딩된 타입 모듈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그들의 실링된 연결부(11) 및 고정부(10)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다. 실링된 연결부(11)는 자체적으로 실링 효과를 가지고, 이것은 실링 재료와 동일한 성능을 가진다. 이것은 강체 컨테이너 상의 유사한 실링 재료와 공동으로 사용된다.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1)의 원뿔 직경은 5 인치이고 격판(21)의 외부 직경은 10 인치이다.
도 15 는 상이한 부피를 가진 네 종류의 강체 컨테이너들 상에서의, 도 14 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사용예에 대한 임피던스 곡선 다이어그램이다.
네 개의 상이한 강체 컨테이너 상의 이러한 실시예의 사용을 위하여, 컨테이너들은 임피던스 곡선 다이어그램에서 A, B, C 및 D의 네 개의 곡선들로서 표현된다: 이러한 네 개의 곡선들은 개별적인 부피 18122, 5263, 3649 및 2197cm3의 네 개의 강체 컨테이너들에 대응한다. 나타난 바와 같이, 어떻게 볼륨이 변화하던지와 무관하게, 피크 값은 50Hz 및 100Hz의 주파수 근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에서, 더 안정한 임피던스가 존재한다. 부피에서의 변화는 피크 값에 대한 적은 이격을 야기한다. 그러나, 30 내지 200Hz 안에서는 안정한 경향이다; 반면에,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예컨대 A의 상태에서는, 피크 값은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명확하다. 저 주파수에서 양호한 성능을 보인다. 나타난 바와 같이, 저 주파수에서의 모듈의 성능은 강체 컨테이너에 의하여 제약되지 않는다. 이것은 스피커 몸체에 의하여 크게 제약되지 않으며, 이것이 스피커 몸체의 설계를 크게 용이화한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다루며, 이것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으며, 즉,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이것의 명세서 콘텐츠에 기초한 임의의 균등한 변경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모두 속해야 한다.

Claims (13)

  1.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의 특징들은:
    고정부(fixed part)로서, - 이러한 고정부는 박벽 구조(thin-walled structure)를 가지고,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이 그 위에 설치되며;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설치부에서 실링되는, 고정부;
    실링된 연결부 - 이러한 실링된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 고정되고, 이것은 후자를 따라서 연장하는, 실링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것의 에지는 연속 실링된 라인이고, 이러한 에지 상에 세팅된 실링 재료가 존재한다. 이것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가 다른 강체 컨테이너 또는 표면과 실링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를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에 정렬,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링 재료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 및 강체 컨테이너가 공진 공간(resonant space)을 공동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강체 컨테이너가 위상 반전 디바이스가 있는 실링된 스피커라는 것이다. 상기 위상 반전 디바이스는 임의의 위상 인버터 튜브, 미로 경로(labyrinth path), 혼 경로(horn path) 또는 이들 세 개의 임의의 조합을 가리킨다.
  4.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수동 격판 유닛 및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이 이 디바이스를 향하여 지향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의 주위에서 분포된다.
  5. 제 4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 구조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들의 내부 링 내의 부분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으로 채워진다; 그들의 외부 링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에 도달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의 진동 방향이 모두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과 교차한다는 것이다;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모두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으로 대칭이다;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의 주위에서 분포된다.
  7. 제 6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수동 격판 유닛이 전체적으로 회전적으로 대칭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또한 상기 고정부의 측면 영역을 차지한다.
  8. 제 2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및 수동 격판 유닛의 상기 강체 컨테이너의 개구 상으로의 투영 위치들이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된 연결부의 최대 외부 직경 내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9. 제 2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이 상기 공진 공간에 상대적으로 후면 로딩된 형상(back loaded form)을 가진다는 것이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고정부, 실링된 연결부 및 수동 격판 유닛이 통합된 몰딩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11.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실링된 연결부가 상기 실링 재료를 사용하여 조절가능한 부피를 가지고 강체 컨테이너 상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12.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실링 재료가 평평한 개구 형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전체 컴포넌트 자체의 무게를 통하여, 이것은 일부 수평 표면 상에 배치되어 실링된 형태를 차지한다.
  13. 제 1 항에 있어서,
    특징은 상기 능동 라우드스피커 유닛, 수동 격판 유닛, 실링된 연결부 및 실링 재료가 모든 동일한 평평한 표면 상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실링 재료는 단단하게 실링된 컨테이너의 설치 홀에 맞춤된다. 전체 컴포넌트는 따라서 임베딩된 형태를 구성한다.
KR1020147032313A 2012-04-28 2013-03-22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 KR20150021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31536.8 2012-04-28
CN201210131536.8A CN102761801B (zh) 2012-04-28 2012-04-28 模块型音箱构件
PCT/SG2013/000116 WO2013162467A1 (en) 2012-04-28 2013-03-22 Modular speaker compon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916A true KR20150021916A (ko) 2015-03-03

Family

ID=4705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313A KR20150021916A (ko) 2012-04-28 2013-03-22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68059B2 (ko)
EP (1) EP2845395A4 (ko)
JP (1) JP2015518348A (ko)
KR (1) KR20150021916A (ko)
CN (1) CN102761801B (ko)
BR (1) BR112014026675A2 (ko)
MY (1) MY168091A (ko)
RU (1) RU2657357C2 (ko)
SG (1) SG11201403977QA (ko)
WO (1) WO2013162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7902A (zh) * 2013-05-07 2013-09-11 常州博士达电子有限公司 小型音箱的重低音发声装置
CN103686555B (zh) * 2013-11-19 2017-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微型扬声器模组和增强其频率响应的方法以及电子设备
WO2015116000A1 (en) * 2014-01-28 2015-08-06 Tgi Technology Private Limited Acoustic structure with passive diaphragm
WO2015123658A1 (en) 2014-02-14 2015-08-20 Sonic Blocks, Inc. Modular quick-connect a/v system and methods thereof
CN104954900A (zh) * 2014-03-28 2015-09-30 美律电子(惠州)有限公司 具有被动式振膜的耳机
KR101661191B1 (ko) * 2015-09-30 2016-09-29 이연택 휴대용 스피커 장치 및 그의 이용 방법
CN105554653A (zh) * 2016-02-04 2016-05-04 深圳市赛音电子有限公司 振动喇叭
CN106101947B (zh) * 2016-06-20 2019-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喇叭出声结构及移动终端
CA3042089C (en) 2016-10-31 2024-02-27 Thales Australia Limited Acoustic transducer
CN106921929A (zh) * 2017-03-23 2017-07-04 惠州超声音响有限公司 一种音箱气密结构
JP7258690B2 (ja) * 2019-08-09 2023-04-1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響装置
CN114902693A (zh) * 2019-12-13 2022-08-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声音输出装置
USD992529S1 (en) * 2021-06-16 2023-07-18 Tgi Technology Pte Ltd Speaker
CN115550822A (zh) * 2021-06-30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压电扬声器以及电子设备
CN218103384U (zh) * 2022-07-07 2022-12-20 李世煌 一种球形音箱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5588A (en) * 1956-08-06 1959-12-01 Amar G Bose Pressure wave generation
US3131783A (en) * 1960-11-04 1964-05-05 Santos J Mares Loud-speaker enclosure
US3317000A (en) * 1966-02-01 1967-05-02 Stephen L Heidrich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3430728A (en) * 1968-03-27 1969-03-04 William S Dunning Loudspeaker assembly with loudspeaker supported by vibratory diaphragm
US3804195A (en) * 1972-05-25 1974-04-16 Acoustic Fiber Sound Syst Inc Loudspeaker enclosure
CA1032479A (en) * 1974-09-16 1978-06-06 Rudolf Gorike Headphone
US4076097A (en) * 1976-08-04 1978-02-28 Thomas Lowe Clarke Augmented passive radiator loudspeaker
JPS5634474Y2 (ko) * 1976-11-09 1981-08-14
JPS54129326U (ko) * 1978-02-28 1979-09-08
JPS6273695U (ko) * 1985-10-29 1987-05-12
JPH04248799A (ja) * 1991-02-04 1992-09-04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US5204501A (en) * 1992-02-20 1993-04-20 Tsao Ye Ming Synchronous common polar resonant wall type speaker cabinet
US5444194A (en) * 1994-08-12 1995-08-22 Rayad Of Boise, Inc. Decorative speaker enclosure
US5848173A (en) * 1995-03-30 1998-12-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Surroundless loudspeaker
US5821471A (en) * 1995-11-30 1998-10-13 Mcculler; Mark A. Acoustic system
US7158648B2 (en) * 2002-07-30 2007-01-0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Loudspeaker system with extended bass response
EP1611769A2 (en) * 2003-04-04 2006-01-04 Audio Products International Corp. Outdoor loudspeaker with passive radiator
US7207413B2 (en) 2003-06-02 2007-04-24 Tbi Audio Systems Llc Closed loop embedded audio transmission line technology for loudspeaker enclosures and systems
US20050087392A1 (en) * 2003-09-12 2005-04-28 Flanders Andrew E. Loudspeaker enclosure
JP2006030760A (ja) * 2004-07-20 2006-02-02 Kyocera Chemical Corp 静電像現像用トナー
CN101023703B (zh) * 2004-09-13 2011-09-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扬声器系统
US20060078144A1 (en) * 2004-10-07 2006-04-13 Stiles Enrique M Compound-driven augmented passive radiator
JP4277876B2 (ja) * 2006-06-16 2009-06-10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JP2009111836A (ja) * 2007-10-31 2009-05-21 Dr Three:Kk 正多面体広指向特性拡声装置
US8150072B2 (en) * 2008-05-09 2012-04-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ion generator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speaker driver and counterweight
JP2010093767A (ja) * 2008-10-07 2010-04-22 Junichi Kakumoto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10258800A (ja) * 2009-04-24 2010-11-11 Hitoshi Matsutomo 中空の半球体構造のエンクロージャにスピーカーユニットとパッシブラジエータを配置したスピーカーシステム
US20120114148A1 (en) * 2009-05-11 2012-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udspeaker driver and loudspeaker arrangement
JP2011223312A (ja) 2010-04-09 2011-11-04 Sony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CN201708907U (zh) * 2010-06-23 2011-01-12 北京华旗随身数码股份有限公司 拉伸式音箱
CN202841471U (zh) * 2012-04-28 2013-03-27 李世煌 一种音箱模块和运用该音箱模块的组合倒相音箱
US9008342B1 (en) * 2012-09-04 2015-04-14 Paul N. Hagman Waterproof speak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8348A (ja) 2015-06-25
WO2013162467A1 (en) 2013-10-31
CN102761801A (zh) 2012-10-31
EP2845395A4 (en) 2015-12-02
US20150181342A1 (en) 2015-06-25
RU2014142331A (ru) 2016-06-20
SG11201403977QA (en) 2014-08-28
MY168091A (en) 2018-10-11
CN102761801B (zh) 2015-03-11
US9668059B2 (en) 2017-05-30
RU2657357C2 (ru) 2018-06-13
EP2845395A1 (en) 2015-03-11
BR112014026675A2 (pt)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1916A (ko) 모듈식 스피커 컴포넌트
KR101726838B1 (ko) 더블 다이어프램 스피커 모듈
DK178810B1 (en) Low profile loudspeaker transducer
EP3251377B1 (en) Acoustic device having active drivers mounted to a passive radiator diaphragm
US9232314B2 (en) Loudspeaker configuration
CN111698617A (zh) 一种发声装置和电子设备
US20180035199A1 (en) Loud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product
CN105979431A (zh) 一种无源辐射器及扬声器
US20230319481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module
KR20180112763A (ko) 스피커 인클로져 및 스피커
CN205921735U (zh) 音箱
GB2519672A (en) Low profile loudspeaker transducer
CN106303790A (zh) 一种耳机
CN201869353U (zh) 一种微型动圈式发声器振膜
CN202841471U (zh) 一种音箱模块和运用该音箱模块的组合倒相音箱
CN111183654B (zh) 喇叭音响
KR102140357B1 (ko) 마이크로폰 다이어프램을 위한 안정기
CN209057360U (zh) 一种振动组件、扬声器和音箱
CN209390338U (zh) 一种扬声器
CN205812348U (zh) 一种无源辐射器及扬声器
CN202652523U (zh) 一体成型的模块式被动单元
CN204559820U (zh) 无源辐射器及音响
CN209659589U (zh) 复合型音膜
WO2017199176A1 (en) An acoustic structure using a passive diaphragm unit
US20240022863A1 (en) Speaker structure and spe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