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971A -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971A
KR20150020971A KR20130098181A KR20130098181A KR20150020971A KR 20150020971 A KR20150020971 A KR 20150020971A KR 20130098181 A KR20130098181 A KR 20130098181A KR 20130098181 A KR20130098181 A KR 20130098181A KR 20150020971 A KR20150020971 A KR 2015002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emitting
wildlife
prevention system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391B1 (ko
Inventor
김호겸
Original Assignee
김호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겸 filed Critical 김호겸
Priority to KR102013009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한 구간 내의 LED 광원을 발광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서행 운전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야생 동물들이 도로에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Road-kill prevention system for wild animal}
본 발명은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한 구간 내의 LED 광원을 발광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서행 운전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야생 동물들이 도로에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개설되는 고속도로는 곡선보다는 직선을 추구하기 마련이다. 이때, 평지가 아닌 산지에 이러한 고속도로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산을 깎아 도로를 만들어야 하는데, 산은 일반적으로 야생 동물들이 자유롭게 서식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야생 동물들(예를 들어, 노루, 고라니, 곰, 멧돼지, 너구리, 황조롱이, 개, 고양이, 두꺼비, 개구리 등)이 고속도로에 갑작스럽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란 쉽지 않다.
문제는 이렇게 갑작스럽게 튀어나오는 야생 동물들이 차량에 치여 사망하는 로드 킬(Road kill)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점인데,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야생 동물 로드 킬 고정 조사구간에서 확인된 야생 동물의 로드 킬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로드 킬에 의하여 멸종위기의 야생 동물의 개채 수가 감소되며 그에 따른 자연생태계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로드 킬은 야생 동물뿐만 아니라, 부딪힌 차량의 차량파손, 반대편 차량과의 2차충돌 및 인사사고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종래에는 상술한 로드 킬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생 동물의 생태 이동 통로(도로를 신설하면서 야생 동물의 이동통로를 함께 시공)를 시공하거나, 또는 도로와 숲의 경계에 펜스(fence)를 설치하여 야생 동물들의 진입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야생 동물 출몰지역을 입력시킴으로써 해당 차량이 야생 동물 출몰지역을 주행하는 경우 네비게이션에 서행 운전을 유도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 등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ⅰ)생태 이동 통로의 경우 새로운 도로를 시공하면서 야생 동물의 이동통로를 함께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ⅱ)펜스 설치의 경우 땅을 파는 동물(예를 들어, 개, 쥐 또는 두더지 등)과 펜스를 뛰어 넘는 동물에게는 무용지물이라는 문제점 및 철조망, 울타리 형의 펜스는 유지보수가 잘 되지 않아 중간의 뚫린 틈으로 야생 동물들이 출몰한다는 문제점과 도로의 경관을 해친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ⅲ)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기술의 경우 차량에 해당 네비게이션이 구비되어야만 안내를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과 네비게이션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종래에는 야생 동물들이 야간에 불빛에 반응하여 그 자리에 멈춰선다는 특성을 반영한 로드킬 방지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한국등록특허 제10-0992284호는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야간발광 시선유도구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조등 빛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야생동물을 향해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야생동물이 기피하는 음성을 발생하여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야간발광 시선유도구에 관한 기술은, 차량의 전조등 빛을 감지하는 경우 야생동물을 향해서만 LED를 발광하게 되며, 차량 운전자에 대해서는 어떠한 경고 문구를 안내해줄 수 없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야생동물이 어느 지점에서 출몰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에 따라 LED 광원에서 거리가 떨어진 곳에서 출몰하는 야생 동물은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로드 킬 당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종래의 로드킬 방지 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생동물 출몰지역을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서행을 유도시킬 수 있으며, 이미 완공된 도로 또는 신설되는 도로 등에 구애 받지 않고, 땅을 파거나 펜스를 뛰어넘는 야생 동물의 습성에도 영향이 없으며 또한 차량의 네비게이션 구비 유무에도 관계없이 야생 동물의 로드 킬을 방지하도록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228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한 구간 내의 LED 광원을 발광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서행 운전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야생 동물들로 하여금 도로에 접근 또는 진입하지 못하도록 경고할 수 있는 야생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차량을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접근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향해 LED 광원을 발광시킴으로써 서행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들을 향해 LED 광원을 발광시킴으로써 야생 동물들을 제자리에 멈춰 서게 하거나 또는 빛으로 위협하여 겁을 주어 상기 도로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원장치를 통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닌 태양광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며, 또한 야간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근하는 차량의 라디오에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서행 운전을 음성으로 유도할 수 있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관리자용 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본 발명의 작동 구간을 지나가면서 실시간으로 작동에 대한 이상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빛뿐만 아니라 야생 동물이 기피하는 음파(sound wave) 및 주파수(frequency)를 송출함으로써, 야생 동물이 음파 및 주파수에 반응하여 도로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메인 폴, 상기 메인 폴의 감지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발광모듈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폴 및 상기 메인 폴 및 상기 서브 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폴은 상기 차량의 진입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서브 폴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서브 폴은 상기 차량 및 도로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나 이상의 발광모듈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폴은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서브 폴에 송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차량을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제1 차량용 발광모듈 및 상기 감지센서,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차량용 발광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태양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폴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상기 차량을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제2 차량용 발광모듈,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동물용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통신모듈, 상기 제2 차량용 발광모듈 및 상기 동물용 발광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태양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생 동물 로드 킬 방지시스템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상기 메인 폴을 시작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브 폴이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의 태양광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 및 동물용 발광모듈의 전원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감지 센서(발광소자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및 변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통신,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은 면 발광을 통해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가지는 문자 및 도형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LED)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물용 발광모듈은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 80 내지 100센티미터(cm) 높이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LED)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조사각(glancing angle)은 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는, 상기 엘이디 3개가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엘이디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라인은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주파수송출기(FMT;FM Transmit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은 별도의 관리자용 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폴 및 상기 서브 폴의 작동에 대한 이상여부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은 상기 야생 동물이 기피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sound wave) 및 주파수(frequency)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이 없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 동물을 향해 LED 광원을 발광함으로써 야생 동물이 LED 빛에 반응하여 그 자리에 멈춰 서게 하거나 또는 놀래서 달아나도록 하여 차량과의 추돌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LED 도광판을 통해 야생 동물의 상습 출몰 지역임을 인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로 하여금 스스로 서행 운전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완공된 기존도로, 고속도로, 국도, 산길 및 들길뿐만 아니라 신설되는 도로에도 적은 시공비용으로 즉각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뿐만 아니라 장마철이나 안개가 낀 악천후에도 고휘도의 LED 도광판을 발광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전자는 날씨에 구애 받지 않고도 안전하게 야생 동물 상습 출몰지역을 주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차량에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를 송출함으로써, LED 도광판을 보지 못한 운전자에게 소리로써 서행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 동물 로드 킬 방지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자용 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관리자가 야생 동물 로드 킬 방지시스템의 작동 구간을 지나가가면서 자동으로 야생 동물 로드 킬 방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제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 동물들이 기피하는 음파(sound wave) 및 주파수(frequency)를 송출함으로써, 야생 동물이 음파 및 주파수에 반응하여 도로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로 근처에 다가오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의 구성 및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폴(1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브 폴(1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브 폴(120)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이 도로(10)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의 구성 및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폴(11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브 폴(12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브 폴(120)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이 도로(10)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은 메인 폴(110), 서브 폴(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메인 폴(110)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라 함은, 후술되는 감지센서(111)가 차량(2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20m 사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폴(110)은 감지센서(111), 제1 통신모듈(112),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 및 제1 태양광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지센서(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20)이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의 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류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감지 센서(발광소자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및 변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111)는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주간에는 전원이 오프(Off)되어 동작하지 않다가 야간에 전원이 온(On)되면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11)가 접근하는 차량(20)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센서(111)는 감지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111)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감지센서(111)의 감지범위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제1 통신모듈(112)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상술한 감지신호를 후술되는 서브 폴(12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모듈(112)은 지그비(zigbee)통신,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모듈(112)는 별도의 관리자용 통신단말기(미도시)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관리자에게 메인 폴(110)의 작동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모듈(112)도 감지센서(111)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주간에는 전원이 오프(Off)되어 동작하지 않다가 야간에 전원이 온(On)되면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모듈(112)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제1 통신모듈(112)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은 차량(20)의 운전자를 향해 LED광을 발광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서행 운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면 발광을 통해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가지는 문자 및 도형 포현이 가능한 엘이디(LED)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은 하나 이상의 서행 운전 유도 문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야생 동물 출몰지역! 서행하세요' 등과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은 야생 동물의 그림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20)의 운전자로 하여금 해당 그림을 보는 순간 야생 동물 출몰 지역이라는 것이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의 소자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마지막으로, 제1 태양광모듈(114)는 상술한 감지센서(111), 제1 통신모듈(112) 및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 및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태양광모듈(114)은 주간이면서 날씨가 흐려 충전이 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적어도 하루 이상 충전하지 못하더라도 기 충전된 전기만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기를 축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태양광모듈(114)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제1 태양광모듈(114)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서브 폴(120)은 상술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모듈을 발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폴(120)은 도로(10)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메인 폴(110)을 시작으로 3개가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100m)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서브 폴(120)은 제2 통신모듈(121), 제2 차량용 발광모듈(122), 동물용 발광모듈(123) 및 제2 태양광모듈(12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통신모듈(121)은 제1 통신모듈(11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뿐만 아니라 타 서브 폴(120)에 각각 구비된 제2 통신모듈(121)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121)은 제1 통신모듈(112)과 마찬가지로 지그비(zigbee)통신,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관리자용 통신단말기(미도시)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관리자에게 서브 폴(120)의 작동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모듈(121)은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주간에는 전원이 오프(Off)되어 동작하지 않다가 야간에 전원이 온(On)되면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모듈(121)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제2 통신모듈(121)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제2 차량용 발광모듈(122)는 상술한 제1 차량용 발광모듈(113)의 구성 및 역할이 상응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동물용 발광모듈(123)은 도로(10)의 가장자리를 향해 발광하여 야생 동물이 제자리에 멈춰서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발광모듈(123)은 서브 폴(120)의 하측부에서 80 내지 100cm 높이로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이디는 수평방향으로 3개가 일렬로 배열된 엘이디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엘이디라인은 서브 폴(120)의 하측방향으로 5줄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엘이디는 서브 폴(120)의 측면에서 각각 60도의 조사각을 가지며, 3개가 한꺼번에 발광하는 경우 180도의 조사각을 유지하면서 도로(10)의 가장자리를 향해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발광모듈(123)은 차량(20)이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약 15초 정도)동안 발광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점멸을 반복할 수도 있다.
한편, 동물용 발광모듈(123)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동물용 발광모듈(123)의 소자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제2 태양광모듈(124)은 제2 통신모듈(121), 제2 차량용 발광모듈(122) 및 동물용 발광모듈(123)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 및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태양광모듈(114)와 상응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상술한 메인 폴(110) 및 서브 폴(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114, 124)의 태양광 충전여부에 따라 감지센서(111), 제1 및 제2 통신모듈(112, 121),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113, 122) 및 동물용 발광모듈(123)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114, 124)이 주간에 충전을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센서(111), 제1 및 제2 통신모듈(112, 121),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113, 122) 및 동물용 발광모듈(123)의 전원을 오프(Off)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114, 124)이 야간에 충전을 중지하는 경우 감지센서(111), 제1 및 제2 통신모듈(112, 121),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113, 122) 및 동물용 발광모듈(123)의 전원을 온(On)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은 차량(20)에 있는 라디오를 향해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주파수송출기(FMT;FM Transmitt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이 설치된 구역을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가 다른 주파수의 방송을 청취하더라도 자동으로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로 바꿔 서행 유도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행 유도방송은 예를 들어, '로드 킬 다발지역입니다', 또는 '야생 동물 상습 출현 구간입니다, 서행하세요' 등과 같은 안내방송을 포함할 수 있고,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이 설치된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기존의 주파수의 방송이 이어서 방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100)은 야생 동물이 기피하는 음파(sound wave) 및 주파수(frequency)를 송출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야생 동물이 기피하는 음파 및 주파수라 함은, 예를 들어 포유류들이 무서워하거나 싫어하는 총소리, 사람의 고함소리, 호랑이 울음소리, 늑대 울음소리 또는 여우울음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유류들이 무서워하거나 싫어하는 총소리, 사람의 고함소리, 호랑이 울음소리, 늑대 울음소리 또는 여우울음소리 등을 동물들만이 들을 수 있는 초음파 형태의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차량(20)의 운전자는 이러한 주파수를 인지하지 못하지만 야생 동물들만이 가청주파수에 반응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도로 20 : 차량
100 :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110 : 메인 폴 111 : 감지센서
112 : 제1 통신모듈 113 : 제1 차량용 발광모듈
114 : 제1 태양광모듈
120 : 서브 폴 121 : 제2 통신모듈
122 : 제2 차량용 발광모듈 123 : 동물용 발광모듈
124 : 제2 태양광모듈

Claims (13)

  1.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메인 폴;
    상기 메인 폴의 감지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발광모듈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폴; 및
    상기 메인 폴 및 상기 서브 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폴은 상기 차량의 진입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서브 폴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서브 폴은 상기 차량 및 도로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나 이상의 발광모듈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은,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서브 폴에 송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차량을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제1 차량용 발광모듈; 및
    상기 감지센서,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차량용 발광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폴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상기 차량을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제2 차량용 발광모듈;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향해 LED광을 발광하는 동물용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통신모듈, 상기 제2 차량용 발광모듈 및 상기 동물용 발광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4. 제1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상기 메인 폴을 시작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브 폴이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모듈의 태양광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 및 동물용 발광모듈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감지 센서(발광소자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및 변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통신,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량용 발광모듈은,
    면 발광을 통해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가지는 문자 및 도형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LED)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발광모듈은,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 80 내지 100센티미터(cm) 높이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LED)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조사각(glancing angle)은 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는,
    상기 엘이디 3개가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엘이디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라인은 상기 서브 폴의 하측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서행 유도방송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주파수송출기(FMT;FM Transmit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은,
    별도의 관리자용 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폴 및 상기 서브 폴의 작동에 대한 이상여부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 동물이 기피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sound wave) 및 주파수(frequency)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KR1020130098181A 2013-08-19 2013-08-19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KR10155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181A KR101552391B1 (ko) 2013-08-19 2013-08-19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181A KR101552391B1 (ko) 2013-08-19 2013-08-19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71A true KR20150020971A (ko) 2015-02-27
KR101552391B1 KR101552391B1 (ko) 2015-09-10

Family

ID=5257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181A KR101552391B1 (ko) 2013-08-19 2013-08-19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31185R1 (es) * 2016-02-29 2017-09-21 Rafael MEDINA GÓMEZ Dispositivo de interrupción del tránsito de animales salvajes en una vía destinada a la circulación de vehículos
KR2020009165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솔크로스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EP3770486A1 (de) * 2019-07-26 2021-01-27 Siteco GmbH Strassenleuchte zur verhinderung von wildunfäll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31185R1 (es) * 2016-02-29 2017-09-21 Rafael MEDINA GÓMEZ Dispositivo de interrupción del tránsito de animales salvajes en una vía destinada a la circulación de vehículos
KR2020009165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솔크로스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EP3770486A1 (de) * 2019-07-26 2021-01-27 Siteco GmbH Strassenleuchte zur verhinderung von wildunfällen
EP3770486B1 (de) 2019-07-26 2022-03-09 Siteco GmbH Strassenleuchte zur verhinderung von wildunfä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391B1 (ko)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311B1 (ko) 스마트 가드레일
AU2013241724B2 (en) Animal warning system
KR101142737B1 (ko) 조류 대응 시스템
US8410941B2 (en) Anim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A3071498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CN106530771B (zh) 一种高速公路主动发光轮廓标交通诱导装置及方法
KR101552391B1 (ko)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WO2015108249A1 (ko)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US20030071735A1 (en) Wildlife warning system
EP1551224A1 (en) System to avoid the collision of a vehicle with animals
KR101969782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70100846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로드킬 방지장치
KR101543351B1 (ko) 로드킬 방지시스템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KR102356544B1 (ko)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KR101909720B1 (ko)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KR20140011189A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안전 시스템
KR102033375B1 (ko) 무선통신 기반의 교통사고 예방경고 시스템
US20080291050A1 (en) Wildlife alert system
AU2015100351A4 (en) This innovation, 'Animal Be Aware System' (ABAS) is a 'fixed roadside' powered device which will transmit an ultrasonic sound as to alert or deter a wide range of animals, notably kangaroo and deer animals from approaching a road or any area traveled by vehicles.
Ragab et al. Camel-vehicle accidents mitigation system: design and survey
CA2701015C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imals from being hit by trains
KR20130045782A (ko) 로드킬 방지 시스템
Niel et al. A system of optical/acoustical sensors/actuators preventing accidents between wild life animals and vehicles on r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