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700A -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700A
KR20150020700A KR1020157001101A KR20157001101A KR20150020700A KR 20150020700 A KR20150020700 A KR 20150020700A KR 1020157001101 A KR1020157001101 A KR 1020157001101A KR 20157001101 A KR20157001101 A KR 20157001101A KR 20150020700 A KR20150020700 A KR 2015002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speed
combustion engine
vehicle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클라스 피터슨
마이클 버그퀴스트
카를 레드브란트
아티아스 뵈르크만
요한 린드스트렘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5002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60K6/365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with the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5Stepped gearings with planetar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4Charge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3Conjoint control of differ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시스템 및 차량(1)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동 시스템은 연소기관(2), 모터 제어 기능부(26), 기어박스(3), 전기기계(9), 에너지 저장장치(20) 및 유성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을 필요로 하는 한계 레벨(q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어떠한 충전 필요를 가지지 않을 때 상기 연소기관(2)이 회전속도(n1)에 대하여 증가한 회전속도(n1 +)를 달성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DRIV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A BATTERY OF A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시스템과, 청구항 1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어박스에서 기어 변환 과정 중에 기어박스의 입력축을 연소기관에서 분리하는 종래 클러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단점들을 포함한다. 정지된 차량이 시동할 때, 클러치 기구의 디스크들이 서로에 대해 활주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크에 열이 제공된다. 이러한 열은 연료 소비량을 증가시키고 클러치 디스크들의 마모를 초래한다. 종래 클러치 기구는 또한 상대적으로 중량이고 값이 비싸다. 또한 종래 클러치 기구는 차량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을 요구한다. 유압 모멘트 변환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손실을 초래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연소기관이 될 수 있는 1차 모터와, 전기기계일 수 있는 2차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기기계에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기계 사이에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전기기계는 이에 의하여 차량의 작동 상태에 의존하여 모터로서의 작용 그리고 발전기로서의 작용을 교대로 할 수 있다. 차량이 제동될 때, 전기기계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한다.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예를 들어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및 차량에서 다른 보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차후에 이용된다.
공개되지 않은 스웨덴 특허 출원 SE 1051384-4는 3개의 컴포넌트(component), 즉 태양 휠(sun wheel), 유성기어 홀더(planet wheel holder) 및 링 휠(ring wheel)를 포함하는 유성기어를 갖는 하이브리드 구동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유성기어의 3개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는 연소기관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유성기어의 제2 컴포넌트는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유성기어의 제3 컴포넌트는 전기기계의 회전자에 연결된다. 전기기계는 모터 및 발전기로서 교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기계의 회전속도는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기기계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필요한 회전속도가 부여될 수 있다. SE 1051384-4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클러치 기구가 사용될 필요가 없다.
그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클러치 기구가 사용될 필요가 없다. 차량이 션팅(shunting)을 할 때와 같이 장기간 저속도로 구동될 때, 그러나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너무 낮게 되거나 또는 완전히 방전되어 있을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장기간 저속도로 구동될 때에도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충전 레벨이 유지될 수 있는, 초기에 언급한 종류의 차량용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규정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에 언급된 종류의 구동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필요를 가질 때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으면, 엔진의 회전속도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필요를 가질 때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증가된다.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최저 허용 레벨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방지하도록 하는 값으로 증가된다. 대안으로,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적어도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소기관만이 차량의 작동에 책임을 진다. 그러나, 유리하게도,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차량 및 전기기계 모두를 작동할 수 있도록 증가되고, 그 결과 전기 에너지가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 위로 증가될 때,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다시 정상치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차량이 예정된 속도보다 느린 속도를 가질 때,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충전 레벨이 차량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한계 레벨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차량의 시동 과정 동안에, 전기기계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되도록 초기에 역방향(negative)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차량이 구르기 시작한 후에, 차량은 차량의 속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기기계가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야만 하는 속도를 비교적 빨리 달성한다. 중차량의 션팅은 보통, 차량이 시동과 정지 사이의 느린 속도로 단거리를 구동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은 결합된 시동 기어로 연속적으로 구동되고, 연소기관은 아이들 작동(idle running) 회전속도에서 작용한다. 여기서 전기기계는 대부분의 작동에 책임을 지며, 그 결과 전기 에너지가 변환되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각각의 시동과 정지 사이에서 떨어진다. 그러한 많은 연속적 시동 및 정지 또는 연속적 션팅 동안에, 에너지 저장장치는 완전히 방전되는 위험이 있다. 제어장치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차량이 상기 예정된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구동될 때의 한계 레벨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장치는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아이들 작동 회전속도보다 더 높은 레벨로 증가시킨다.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유리하게 연소기관 자체가 차량의 작동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는 그러한 값으로 증가된다. 이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적어도 최저 허용 레벨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보호되고 있다. 유리하게도,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연소기관이 또한 작동 중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충전하도록 하는 값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전기기계의 회전자가 에너지 저장장치를 충전하는 회전방향을 달성하도록 충전 레벨이 상기 한계 레벨보다 작을 때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차량의 시동 후에, 전기기계의 회전자는 전기 에너지가 에너지 저장장치에 공급되도록 초기에 역방향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차량이 굴러가기 시작할 때, 기어박스의 입력축은, 연소기관의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을 때 전기기계의 회전자의 역방향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점증하는(successively increasing) 회전속도를 달성한다. 차량이 증가한 속도를 달성하는 것과 동시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전기기계의 회전자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는 차량이 시동된 후에 비교적 장기간 동안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상기 한계 레벨보다 작을 때의 상황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낮은 충전 레벨을 등급으로 분류하고(grade) 이러한 등급분류(gradation)에 의존하여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적응되어 있다. 그러한 등급분류는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과 한계 레벨 사이의 차이/비율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등급분류는 여러 등급분류 단계로, 예로서 낮은 충전 레벨과 매우 낮은 충전 레벨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단지 낮을 때의 상황에서보다 매우 낮을 때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을 때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에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차량의 운전자를 위해서, 차량의 작동이 가속 페달의 운동을 따라간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연소기관은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 때 증가된 회전속도를 달성한다. 종래 차량에 의한 작동에 대하여 운전자가 그러한 작동을 경험하는 차이는, 실질적으로 단지 차량이 기어박스에 결합된 기어보다 더 느린 기어로 구동되고 있다는 점이다. 제어장치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에 곱하는 어떤 인자(a factor)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로 연소기관을 제어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인자의 크기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에 의존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매우 낮은 충전 레벨에서, 충전 레벨이 단지 낮은 것보다 더 높은 인자가 사용된다. 충전 레벨이 증가할 때, 또한 인자가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을 때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누른다는 사실과 동시에 증가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정상 시작 과정 중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초기에 가속 페달의 위치에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제어장치는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로 연소기관을 제어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인자의 크기는 또한 여기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에 의존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매우 낮은 충전 레벨에서, 충전 레벨이 단지 낮은 것보다 더 높은 인자가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인자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변화될 때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와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의 조합과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연소기관은 2개의 대안책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증가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제어된다. 유리하게도, 또한 여기서 에너지 저장장치 내의 충전 레벨과 관련되어 있는 인자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연소기관의 출력축은 유성기어의 태양 휠에 연결되어 있고, 기어박스의 입력축은 유성기어의 유성기어 홀더에 연결되어 있고, 전기기계의 회전자는 유성기어의 링 휠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디자인에 의하여,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소형 구조로 주어질 수 있다. 태양 휠 및 유성기어 홀더는 스플라인 조인트(spline joint) 등의 도움을 받아, 연소기관의 출력축과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휠이 연소기관의 출력축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유성기어 홀더가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이 보장된다. 전기기계의 회전자는 링 휠의 외부 주변 표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링 휠의 내부 주변 표면은 보통 톱니바퀴를 구비한다. 링 휠의 외주 주변 표면은 보통 평활하고 전기기계의 회전자를 운반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링 휠 및 전기기계의 회전자는 이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유닛을 형성한다. 대안으로, 전기기계의 회전자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거쳐 링 휠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소기관의 출력축과 기어박스의 입력축 및 전기기계의 회전자를 유성기어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어느 것과 연결시킬 수 있다.
초기에 언급된 목적은 청구항 11 내지 20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이하에서, 실례로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동력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구동 시스템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3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시동할 때에 여러 파라미터들이 변화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4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정상적으로 시동힐 때에 여러 파라미터들이 변화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5는 션팅 중에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은 중차량(1)을 위한 동력 전달 장치(drive line)를 보여주고 있다. 동력 전달 장치는 연소기관(2), 기어박스(3), 다수의 구동축(4) 및 구동 바퀴(5)를 포함한다. 연소기관(2)과 기어박스(3) 사이에서 동력 전달 장치는 중간부품(6)을 포함한다. 도 2는 중간부품(6)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중간부품(6)에서 연소기관(2)은 출력축(2a)을 구비하고, 기어박스(3)는 입력축(3a)을 구비한다.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은 기어박스(3)의 입력축(3a)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다. 연소기관의 출력축(2a) 및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공통의 회전 축선(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중간부품(6)은 전기기계(9) 및 유성기어를 에워싸는 하우징(8)을 포함한다. 전기기계(9)는 보통과 같이 고정자(9a) 및 회전자(9b)를 포함한다. 고정자(9a)는 하우징(8)의 내부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자 코어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는 고정자 권선을 포함한다. 전기기계(9)는 어떠한 작동 상황 중에 기어박스의 입력축(3a)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며 그리고 다른 작동 상황 중에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여 저장하기 위해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유성기어는 전기기계의 고정자(9a)와 회전자(9b)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유성기어는 보통의 방법으로 태양 휠(10), 링 휠(11) 및 유성기어 홀더(12)를 포함한다. 유성기어 홀더(12)는 태양 휠(10)의 톱니와 링 휠(11)의 톱니 사이에서 반경방향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톱니바퀴(13)를 갖는다. 태양 휠(10)은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의 주변 표면에 부착된다. 태양 휠(10) 및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은 제1 회전속도 n1을 갖는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유성기어 홀더(12)는 스플라인 조인트(14)에 의하여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의 주변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분(12a)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인트에 의하여, 유성기어 홀더(12) 및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제2 회전속도 n2를 갖는 유닛으로서 회전할 수 있다. 링 휠(11)은 회전자(9b)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는 외부 주변 표면을 포함한다. 회전자(9b) 및 링 휠(11)은 제3 회전속도 n3로 회전하는 회전가능한 유닛으로 구성된다.
중간부품(6)이 차량에서 연소기관(2)과 기어박스(3) 사이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기계(9) 및 유성기어가 소형 유닛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유성기어의 컴포넌트들(10-12)은 여기서 전기기계의 고정자(9a)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전기기계(9)의 회전자(9b), 유성기어의 링 휠(11), 연소기관의 출력축(2a) 및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여기서 공통의 회전축선(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한 디자인에 의하여, 전기기계(9) 및 유성기어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차량은, 유성기어의 3개의 컴포넌트들(10-12)이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제1 개방 위치와, 유성기어의 3개의 컴포넌트(10-12)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로킹기구(locking mechanism)가 유성기어의 2개의 컴포넌트(10, 12)를 함께 로크하는 제2 로크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로킹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로킹기구는 변위가능한 커플링(coupling) 부재(15)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15)는 스플라인 조인트(16)를 이용하여 연소기관의 출력축(2a)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커플링 부재(15)는 연소기관의 출력축(2a)에 배열되어 회전이 억제되게 고정되고, 연소기관의 출력축(2a)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열된다. 커플링 부재(15)는 유성기어 홀더(12)의 커플링부(12b)에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부(15a)를 포함한다. 로킹기구는 커플링부들(15a, 12b)이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을 때의 제1 자유 위치(I1)와 커플링부들(15a, 12b)이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의 제2 로크 위치(I2) 사이로 커플링부재(15)를 변위하도록 적응되어 있는 개략 도시된 변위 부재(17)를 포함한다. 제1 개방 위치에서, 연소기관의 출력축(2a) 및 기어박스의 입력축(3)이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커플링부들(15a, 12b)이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연소기관의 출력축(2a)과 기어박스의 입력축(3)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것이다.
전기제어장치(18)는 변위 부재(17)를 제어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제어장치(18)는 또한 전기기계(9)가 모터로서 작용할 것인지의 작동 상황과 전기기계가 발전기로서 작용할 것인지의 작동 상황을 판정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이것을 판정하기 위해서, 제어장치(18)는 적절한 작동 파라미터로부터 실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18)는 이를 위하여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장치(18)는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20)와 전기기계의 고정자(9a) 사이에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략 도시된 제어장비(19)를 제어한다. 전기기계(9)가 모터로서 작용할 때의 상황에서,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에너지 저장장치(20)로부터 고정자(9a)로 공급된다. 전기기계가 발전기로서 작용할 때의 상황에서, 전기 에너지가 고정자(9a)로부터 에너지 저장장치(20)로 공급된다. 에너지 저장장치(20)는 대략 200 내지 800 볼트의 정격 출력을 갖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고 저장한다. 제어장치(18)는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련된 측정기구(21)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장치(18)는 가속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가속 페달의 위치는 운전자가 차량(1)에 공급하기를 원하는 구동 모멘트에 해당한다. 차량(1)에는 연소기관(2)의 회전속도 n1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 제어 기능부(26)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장치(18)는 예를 들어 기어박스(3)에서 모멘트 없는 상태를 생성하기 위하여 기어박스(3) 내의 기어들의 결합 및 분리 중에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도 3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q)이 차량(1)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시동 중에 가져야 하는 한계 레벨(q0)과 동일하거나 더 크다는 것을 가리키는 측정기구(21)로부터의 정보를 제어장치(18)가 수신한 경우의 차량의 시동 과정을 보여준다. 이에 의하여 제어장치(18)는 차량의 정상 시동을 실시하고, 연소기관(2)이 시동 과정 중에 아이들 작동 화전속도를 유지하도록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할 것이다. 도 3은, 어떻게 연소기관의 출력축의 회전속도 n1과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와 전기기계(9)의 회전속도 n3과 에너지 저장장치(20)에서의 전류(I)가 차량(1)의 그러한 정상 시동 과정 중에 변할 수 있는지 곡선의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연소기관의 출력축의 회전속도 n1는 실선으로 도시되고,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 는 점선으로 도시되고, 전기기계의 회전속도 n3는 1점 쇄선(dashed-dotted line)으로 도시되고, 에너지 저장장치(20)에서의 전류(I)는 파선(dashed line)으로 도시되어 있다. 태양 휠(9)의 톱니바퀴의 수 z1와 링 휠(10)의 톱니바퀴의 수 z2 사이의 비는 이 실례에서 z1/z2 = 0.7이다.
t=0에서, 연소기관(2)이 시작되었고, 이 경우에 500 rpm인 아이들 작동 회전속도로 작동되고 있다.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초기 회전속도 n2 = 0을 갖는다. 유성기어 내의 모든 컴포넌트가 예정된 전송률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 휠(11)은 2개의 다른 회전속도 n1, n2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속도 n3를 달성한다. 상술한 전송률 z1/z2 = 0.7에 따라서, 링 휠은 회전속도 n3 = -350 rpm을 달성한다. 따라서 링 휠(11)은 초기에 태양 휠(10)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장치(18)는 전기기계(9)가 링 휠(11)을 제동하는 모멘트를 공급하도록 제어기구(1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되고 전류(I)가 초기에 전기기계(9)로부터 에너지 저장장치(20)로 흐른다.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연소기관의 모멘트와 전기기계의 제동 모멘트에 의해 결정되는 구동 모멘트를 달성한다. 이러한 모멘트는 기어박스의 입력축(3a)에 작용하여서 입력축이 회전하기를 시작하고, 즉 n2가 영(zero)보다 크게 되고 차량(1)이 시동된다.
제어장치(18)는 가속 페달의 위치에 관한 센서(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기구(19)를 제어하여서 전기기계 및 연소기관이 기어박스의 입력축(3a)에 모멘트를 공급하도록 하여, 차량(1)이 가속 페달의 위치에 따라 나타낸 구동 모멘트를 달성하도록 한다. 제어장치(18)는 엔진 회전속도 기능부(26)를 제어하여서,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가 증가할 때, 이는 동시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이 일정할 때 전기기계(9)의 역방향 회전속도 n3가 감소되게 한다. 시간 ta에서,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는 전기기계의 역방향 회전속도 n3가 완전히 제거되어 있도록 하는 값으로 증가되었다. 시간 ta는 대략 0.5초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연속된 작동 중에, 전기기계의 회전자(11)는 정방향 회전속도 n3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장치(20)로부터의 전기 에너지가 소비되며, 전류(I)가 에너지 저장장치(20)로부터 전기기계(9)로 흐른다. 시간 ta가 경과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20)로부터 전기기계(9)로 흐르는 전류(I)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 및 차량의 속도와 함께 증가한다. 시간 tb에서, 초기에 시동 과정 중에 에너지 저장장치(20) 내에서 발생한 것과 대략 동일한 전류가 소비되었다. 시간 tb는 대략 1초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아이들 작동 회전속도에서 그리고 시동기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소기관(2)에 의하여 차량의 연속된 작동 중에, 비교적 대량의 전기 에너지가 소비된다. 차량(1)이 장기간 그러한 작동 상태에 있다면,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이 실질적으로 내려간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차량(1)이 시동 및 정지 사이의 저속도에서 단거리로 구동될 때 션팅하는 동안의 케이스에 해당한다. 정상 작동이 사용되면,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완전히 방전되는 위험이 있다.
도 4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q)이 차량(1)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시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시동 중에 가져야 하는 한계 레벨(q0)보다 작다는 것을 가리키는 측정기구(21)로부터의 정보를 제어장치(18)가 수신한 경우의 차량의 시동 과정을 보여준다. 에너지 저장장치(20)는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작기 때문에 충전 필요를 갖는다. 또한 제어장치(18)는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얼마나 많이 작은지 주의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대응하는 방법으로, 연소기관(2)은 t = 0에서 500 rpm의 아이들 작동 회전속도를 가지며,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이 회전속도 n2 = 0 rpm을 가지며, 전기기계의 회전자(9b)는 회전속도 n3 = -350 rpm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장치(18)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1)의 대체 작동을 제공할 것이다.
제어장치(18)는 가속 페달의 위치에 관하여 센서(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의하여 운전자가 차량(1)에 공급하기를 원하는 구동 모멘트를 제어한다. 이러한 정보의 도움으로, 제어장치(18)는 제어기구(19) 및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여서, 전기기계(9) 및 연소기관(2)이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차량(1)의 필요한 구동 모멘트에 해당하는 모멘트를 부여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어장치(18)는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여서, 연소기관(2)이,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와 기어박스(3)에서 결합된 기어로 인한 차량의 속도에 곱하는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된 회전속도 n1+를 달성하도록 한다. 상기 인자의 크기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에 대하여 얼마나 작은지에 달려있다. 명백하게 한계 레벨(q0)보다 작은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서, 에너지 저장장치(20) 내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아주 조금 더 작은 것보다 더 높은 인자가 사용된다.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이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전기기계의 회전자(9b)의 역방향 회전속도 n3가 시간 ta보다 긴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류(I)가 장기간 동안 에너지 저장장치(20)에 공급되며, 그 결과 에너지 저장장치(20) 내의 충전 레벨(q)이 증가한다.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과 차량의 증가한 속도 사이의 관계는 운전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된다.
대안으로서, 제어장치(18)는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여서 연소기관이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 n1+를 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자의 크기는 이 경우에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에 대하여 얼마나 작은지에 달려있다. 운전자가 일정한 구동 모멘트로 차량을 운전하기를 원하면,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도 역시 이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전기기계의 회전자(9b)의 역방향 회전속도 n3는 시간 ta가 될 때까지보다 더 장시간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전류(I)는 장시간 동안 전기기계(9)로부터 에너지 저장장치(20)로 흐르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이 증가한다. 이런 경우에,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는 가속 페달이 눌려지는 만큼 증가하고, 이것이 또한 운전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험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경험은, 아이들로 작동할 때 연소기관(2)의 모멘트가 차량(1)을 시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회전속도가 증가되는 종래 차량의 중하중으로 시동할 때와 동일하게 될 것이다.
다른 대안에 따라서, 제어장치(18)는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여서 연소기관이,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에 곱하는 인자와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 양쪽과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 n1+를 달성하도록 한다.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에 곱하는 인자에 의하여 연소기관의 증가한 회전속도 n1+를 결정하는 것은 제1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에 의하여 연소기관의 증가한 회전속도 n1+를 결정하는 것은 제2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2개의 방법 중에서 증가한 회전속도 n1+의 최고값이 진행하는 작동 상황 중에 제어되도록 초래하는 어느 쪽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소기관의 증가한 회전속도 n1+를 결정하기 위해 2개의 방법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형 결합이란, 연소기관의 증가한 회전속도 n1+이 2개의 방법의 가중치(weighted) 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연소기관의 증가한 회전속도 n1+은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에 따라 40%가 결정되고 그리고 다른 방법에 따라 60%가 결정될 수 있다. 두 방법들 사이의 비율은 다른 작동 상태 중에 변화될 수 있다.
도 5는 어떻게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션팅 중에 변화할 수 있는지 도시한다. 충전 레벨 qmin은, 에너지 저장장치가 거의 완전히 방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충전 레벨 qmin은 모든 상황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시간 t = 0에서, 차량(1)이 시동된다. 제어장치(18)는 이 경우에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을 명백히 초과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측정기구(21)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1)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시동되고 작동될 수 있다. 작동 과정 중에,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은 초기에 증가하고 다음에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할 때 시간 t1에서 낮은 충전 레벨로 내려갈 것이다.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은 도 3의 전류 레벨 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형성된 곡선을 따라간다. 시간 t1에서, 차량(1)이 다시 시동된다. 제어장치(18)는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을 여전히 초과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측정기구(21)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하여 또한 이 경우에 차량(1)이 정상적으로 시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차량(1)이 정지되고 그 후 시간 t2에서 다시 시동되고, 상기에 따른 과정이 반복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은, 차량이 저속도로 구동되고 있을 때 그리고 시동 기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정상 작동 중에 차량의 각 시동 및 정지에 대해 연속적으로 내려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차량(1)이 시간 t3에서 시동될 때,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더 낮은 레벨로 내려갔다. 제어장치(18)는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얼마나 낮은지 평가한다. 제어장치(18)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 n2 또는 차량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f)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 n1+로 연소기관(2)을 제어한다. 상기 인자는 따라서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보다 얼마나 낮은지와 관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은 정상 시동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증가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레벨(q)은 도 4에서 전류 곡선 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형성된 곡선을 따라간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초기에 한계 레벨(q0)보다 높은 레벨로 증가하고, 그후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q0)로 떨어진다. 차량이 정지하고 다시 t4에서 시동된다. 제어장치(18)는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에 대하여 변할 때 작동 중에 상기 인자를 수정할 수 있다.
t4에서, 에너지 저장장치(20)는 한계 레벨(q0)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q)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차량(1)에게 정상 시동이 주어진다. 충전 레벨은 초기에 증가하고, 그후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q0)을 향하여 내려간다. 이 경우에,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은 한계 레벨(q0)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방지된다. 제어장치(18)은 이 경우에 측정기구(21)로부터 연속적으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장치(18)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한계 레벨(q0)로 내려갔음을 가리키는 정보를 수신할 때, 제어장치(18)는 연소기관의 회전속도 n1을 증가하여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레벨(q)이 내려가지 않게 한다. 그후, 제어장치(18)는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서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q0)보다 작게 떨어지지 않게 한다. 차량이 커플링 부재가 제1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속도 v2에 도달하자마자, 에너지 저장장치가 이 위치에서 전기기계(9)에 연결되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장치가 연소기관(2)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코 도면에 실시된 실시예로 제한하지 않으며,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비를 갖는 트랜스미션이 회전자(9)와 링 휠(11)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자(9)와 링 휠(11)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Claims (23)

  1. 차량(1)용 구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출력축(2a)을 갖는 연소기관(2),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 제어 기능부(26), 입력축(3a)을 갖는 기어박스(3), 고정자(9a) 및 회전자(9b)를 포함하는 전기기계(9), 상기 전기기계에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20), 및 태양 휠(10)과 링 휠(11) 및 유성기어 홀더(12)를 포함하는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은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1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이러한 축(2a)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고,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2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이러한 축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고, 상기 전기기계의 회전자(9b)는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3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자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는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을 필요로 하는 한계 레벨(q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어떠한 충전 필요를 가지지 않을 때 상기 연소기관(2)이 회전속도(n1)에 대하여 증가한 회전속도(n1 +)를 달성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차량(1)이 사전에 미리 결정된 속도(v2)보다 느린 속도를 가질 때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충전 레벨(q)이 정상 작동 중에 차량의 시동을 위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전기기계(9)의 회전자(9b)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를 충전하는 회전방향을 달성하도록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n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의 상황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낮은 충전 레벨을 등급으로 분류하고(grade) 이러한 등급분류(gradation)에 의존하여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에 곱하는 인자(f)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 +)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차량(1)의 요구 구동 모멘트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 +)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차량(1)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f)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 +)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2)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9. 청구항 5 및 7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8)는,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와 상기 차량(1)의 운전자의 요구 구동 모멘트와의 조합과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 +)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2)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은 상기 유성기어의 태양 휠(10)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상기 유성기어의 유성기어 홀더(12)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기계의 회전자(9b)는 상기 유성기어의 링 휠(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1. 차량(1)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은 출력축(2a)을 갖는 연소기관(2),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 제어 기능부(26), 입력축(3a)을 갖는 기어박스(3), 고정자(9a) 및 회전자(9b)를 포함하는 전기기계(9), 상기 전기기계에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20), 및 태양 휠(10)과 링 휠(11) 및 유성기어 홀더(12)를 포함하는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관의 출력축(2a)은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1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이러한 축(2a)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고,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3a)은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2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이러한 축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고, 상기 전기기계의 회전자(9b)는 상기 유성기어의 상기 컴포넌트들 중 제3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자(9b)의 회전이 이러한 컴포넌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하는 차량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필요를 가지는 한계 레벨(q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레벨이 한계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가 어떠한 충전 필요를 가지지 않을 때 상기 연소기관(2)이 상기 회전속도(n1)에 대하여 증가한 회전속도(n2)를 달성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 기능부(26)를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사전에 미리 결정된 속도(v2)보다 느린 속도를 가질 때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q)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전기기계(9)의 회전자(9b)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를 충전하는 회전방향을 달성하도록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n1)를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충전 레벨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의 상황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의 낮은 충전 레벨을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등급분류에 의존하여 증가한 회전속도(n1+)를 상기 연소기관에 부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5.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에 곱하는 인자(f)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2)을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7.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q)이 상기 한계 레벨(q0)보다 작을 때, 상기 차량(1)의 요구 구동 모멘트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요구 구동 모멘트에 곱하는 인자(f)와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2)을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19. 청구항 15 및 17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회전속도(n2)와 상기 차량(1)의 요구 구동 모멘트와의 조합과 관련되어 있는 증가한 회전속도(n1+)에 따라 상기 연소기관(2)을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20. 청구항 1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관의 출력축(2)을 상기 유성기어의 태양 휠(9)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3)을 상기 유성기어의 유성기어 홀더(11)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기계의 회전자(8)를 상기 유성기어의 링 휠(11)에 연결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방법.
  21.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청구항 1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만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청구항 21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청구항 1 내지 10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57001101A 2012-06-27 2013-06-26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50020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0717A SE1250717A1 (sv) 2012-06-27 2012-06-27 Drivsystem och förfarande för att driva ett fordon
SE1250717-4 2012-06-27
PCT/SE2013/050782 WO2014003663A1 (en) 2012-06-27 2013-06-26 Driv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a battery of a hybri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00A true KR20150020700A (ko) 2015-02-26

Family

ID=4978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101A KR20150020700A (ko) 2012-06-27 2013-06-26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149012A1 (ko)
EP (1) EP2867086A4 (ko)
KR (1) KR20150020700A (ko)
CN (1) CN104507777A (ko)
BR (1) BR112014032282A2 (ko)
IN (1) IN2014DN10792A (ko)
RU (1) RU2607904C2 (ko)
SE (1) SE1250717A1 (ko)
WO (1) WO2014003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7920B2 (en) 2013-12-23 2018-04-10 Scania Cv Ab Propulsion system for a vehicle
US10604142B2 (en) 2013-12-23 2020-03-31 Scania Cv Ab Method for control of a propulsion system of a vehicle, a propulsion syste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vehicle
WO2015099602A1 (en) 2013-12-23 2015-07-02 Scania Cv Ab A traction system for a vehicle
WO2015099591A1 (en) 2013-12-23 2015-07-02 Scania Cv Ab Propulsion system for a vehicle
US10266172B2 (en) 2013-12-23 2019-04-23 Scania Cv Ab Propulsion system for a vehicle
SE539028C2 (sv) * 2014-03-20 2017-03-21 Scania Cv Ab Förfarande för ivägkörning av ett fordon med en hybriddrivlina, fordon med en sådan hybriddrivlina, datorprogram för attstyra ivägkörning av ett fordon, samt en datorprogramproduk t innefattande programkod
SE538187C2 (sv) 2014-03-20 2016-03-29 Scania Cv Ab Förfarande för att styra en hybriddrivlina, fordon med en sådan hybriddrivlina, datorprogram för att styra en sådan hybriddrivlina, samt en datorprogramprodukt innefattande programk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1473A (en) * 1972-09-21 1974-02-12 Petro Electric Motors Ltd Hybrid power train
US6428438B1 (en) * 2000-07-26 2002-08-06 New Venture Gear, Inc. Hybrid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JP3852321B2 (ja) * 2001-10-22 2006-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ンキング支持トルク増大手段付きhv駆動構造および方法
US6994360B2 (en) * 2003-09-22 2006-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powertrain
JP4165483B2 (ja) * 2004-05-11 2008-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135681B2 (ja) * 2004-06-02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ハイブリッド車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JP4192873B2 (ja) * 2004-07-20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
US7748214B2 (en) * 2006-03-03 2010-07-06 Nissan Moto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hybrid vehicle
AU2007326668B8 (en) * 2006-12-01 2012-09-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allowing computer execute that control method
JP4312240B2 (ja) * 2007-03-13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駆動装置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JP4321619B2 (ja) * 2007-03-30 2009-08-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182391B2 (en) * 2008-05-21 2012-05-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torque converter for a powertrain and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JP5427110B2 (ja) * 2010-05-25 2014-02-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209456A1 (en) * 2011-02-15 2012-08-16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rallel Hybrid-Electric Propulsion Systems for Unmanned Aircraft
WO2012111124A1 (ja) * 2011-02-17 2012-08-23 スズ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US9180869B2 (en) * 2011-11-11 2015-11-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dri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32282A2 (pt) 2017-06-27
EP2867086A4 (en) 2016-05-25
RU2607904C2 (ru) 2017-01-11
EP2867086A1 (en) 2015-05-06
IN2014DN10792A (ko) 2015-09-04
SE1250717A1 (sv) 2013-12-28
US20150149012A1 (en) 2015-05-28
WO2014003663A1 (en) 2014-01-03
CN104507777A (zh) 2015-04-08
RU2015102275A (ru) 2016-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893B1 (ko) 전력 균형 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키는 방법
KR20150020700A (ko) 구동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US9434375B2 (en) Driv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 vehicle
KR101735720B1 (ko) 차량의 구동 시스템 제어방법, 구동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차량
US20150183420A1 (en) Driv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 vehicle
WO2015099592A1 (en) Method for control of a propulsion system of a vehicle, a propulsion syste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vehicle
KR20150024915A (ko) 차량 구동 방법 및 구동 시스템
EP286708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 system of a vehicle, a drive system, a computer progra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vehicle
RU2605139C2 (ru) Способ за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в гибрид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2015002386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을 기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1794898B1 (ko) 차량용 추진 시스템
KR20150017764A (ko) 차량 제동 방법
EP2867050B1 (en) Driv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