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827A -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827A
KR20150019827A KR20130097195A KR20130097195A KR20150019827A KR 20150019827 A KR20150019827 A KR 20150019827A KR 20130097195 A KR20130097195 A KR 20130097195A KR 20130097195 A KR20130097195 A KR 20130097195A KR 20150019827 A KR20150019827 A KR 20150019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ate
unit
sensor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716B1 (ko
Inventor
서재순
장기화
한대희
Original Assignee
(주)와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콘 filed Critical (주)와콘
Priority to KR102013009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7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의 누수뿐만 아니라 상수 메인관으로부터 해당 수도 계량기까지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의 파손까지도 검침할 수 있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및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및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은 급수관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감지선을 구비하고, 수도 계량기에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및 누수센서를 구비하고, 급수관의 파손, 수도 계량기의 누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INTELLIGENT WATER GAUGE SYSTEM CAPAPLE OF CHECKING MULTIPLE FUNCTION}
본 발명은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관의 파손과 누수 검출이 용이한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도 계량기는 유량에 따라 임펠러를 구동하는 유량검출부와 유량검출부가 제공하는 펄스에 따라 수치로서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부로서 구성하고, 다시 유량검출부는 외부 케이싱과, 임펠러 조립체와, 유로덮개로서 구성하며, 외부 케이싱은 양단에 커플러를 구성하여 수도 관로상에 장착되며 수돗물의 유로를 케이싱의 내부에 조성하고 임펠러 조립체를 삽입하기 위한 입구로서 구성되었으며, 임펠러 조립체는 케이싱내에 삽입되어 유량의 발생시 구동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 부착되어 유로덮개 상부에 자기장을 조성하는 자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유로덮개는 임펠러 조립체를 내장한 외부 케이싱의 입구를 물이 새지 않게 밀봉하고 임펠러 구동시 변동되는 자기장의 극성이 유로덮개의 상부에서 검출되도록 구성하며, 유량 표시부는 상기 유로덮개 상부에 장착되고 자기장의 극성 변동에 반응하여 구동되는 기어 조립체와 기어 조립체에 연동되는 적산수치 표시용 퍼즐로서 구성된다.
상수원에서부터 공급되는 상수는 큰 직경을 갖는 상수관(이를 메인관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 해당 지역까지 이송된다. 해당 지역에서는 이러한 메인관에서부터 각 세대까지를 급수관을 통해 공급한다. 실질적으로 메인관에서 급수관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각 세대까지 연결되지는 않으며, 메인관과 급수관 사이에는 중간 직경을 갖는 상수관이 여러 개 연결되는데 단순화하여 메인관에서 각각의 급수관을 통해서 각 세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세대에서는 급수관의 말단부에 수도 계량기를 설치하여 해당 세대가 사용하는 상수량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개인 주택의 경우는 땅속에 매설되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은 벽체 내에 매설되기 때문에 검침원들이 유량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기는 각 세대별로 어느 정도 량의 상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단순한 사용량 측정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9299호 (2012년06월18일 등록)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7246호 (2010년03월0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각 세대별 상수 사용량 검사뿐만 아니라, 급수관의 누수 및 파손 여부, 세대의 출수불량 등을 RF 통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검측할 수 있는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각 세대에 설치되는 수도 계량기와, 여러 세대가 사용하는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 메인관과 상기 수도 계량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상기 수도 계량기까지 이송하며 외곽 테두리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두 가닥의 감지선을 구비하는 급수관과, 상기 수도 계량기에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및 누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도 계량기의 누수 또는 상기 급수관의 파손을 감지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감지선과 파손센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의 고유저항값을 측정하는 파손 측정부와, 수도 계량기의 유량센서, 압력센서 및 누수센서와 각각 유량센서 케이블, 압력센서 케이블, 및 누수센서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량/유압/누수센서값을 측정하는 유량/유압/누수 측정부와,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및 상기 파손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된 유량/유압/누수센서값 및 상기 고유저항값을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부와,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된 값을 RF 송신하는 RF 송수신모뎀와,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상기 파손 측정부, 데이터 로거부 및 RF 송수신모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상기 파손 측정부, 상기 데이터 로거부, RF 송수신모뎀 및 중앙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형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RF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검침이 가능하므로 검침이 용이하고 또한 급수관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한 경우 및 수도 계량기의 누수 여부까지 검출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각 세대에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의 체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수도 계량기와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을 설치 및 운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상태 감시 앱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각 세대에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의 체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대에 공급되는 상수는 메인관(10)과 연결된 급수관(20)을 통해 전달되며, 각 세대에서는 수도 계량기(50)를 거쳐 상수를 공급받는다. 현재 각 세대에 설치된 수도 계량기(50)는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게이지가 설치된 통상의 기계적 방식과, 일부 세대의 경우 원격 검침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원격 검침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은 급수관(20)에 두 가닥의 감지선(21a, 21b)이 나선형으로 외곽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를 통해 급수관(20)의 파손을 감지하고, 수도 계량기(50)의 유압, 유량을 측정하고, 수도 계량기(50)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RF통신으로 전송하거나 검출 명령을 RF통신으로 수신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와,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로부터 RF통신을 이용하여 송부받은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70)로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40)와, 게이트웨이 장치(40)로부터 송신 받은 데이터를 3세대 또는 LTE 등의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망을 통해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통신망(56)을 통해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70) 및 통신망(56)을 통해 연결되는 중앙 감지 장치(60)로 구성된다. 도 2에서 G는 지표면을 표시하는 기호이며, 실질적으로 주택의 경우는 수도 계량기(50)가 지중에 묻히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지표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처럼 도시하였다.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는 해당 세대와 연결되는 급수관(20)에서 파손 및 부식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수도 계량기(50)의 유압, 유량을 측정하고, 누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각 수도 계량기마다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는 급수관(20)에 연결된 감지선(21a, 21b)의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고유 저항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수도 계량기(50)의 유압, 유량 및 누수 센서값을 측정하고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고유 저항값, 유압, 유량 및 누수 센서값은 이동통신단말기(70)로부터 게이트웨이 장치(40)를 통해 입력되는 검출 명령에 따라 RF통신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40)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에는 RF 송수신부,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파손 측정부, 데이터 로거부, 인터페이스부, 충전형 전지, 중앙처리부 및 신호채널 선택부가 구비된다.
RF 송수신부는 게이트웨이 장치(4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7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며, 유량/유압/누수 측정부는 수도 계량기(50)에 부착되는 유량센서, 유압센서 및 누수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값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파손 측정부는 급수관(20)에 설치되는 감지선(21a, 21b)을 이용하여 급수관(20)의 고유 저항값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로거부는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및 파손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과 고유 저항값을 일시 저장하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부는 RF송수신부,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파손 측정부, 데이터 로거부 및 신호채널 선택부를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이며, 중앙처리부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정해진 주기마다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및 파손 측정부를 이용하여 수도 계량기(50)의 유량값, 유압값, 및 누수 센서값과, 급수관(20)의 고유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 센서값 및 고유 저항값을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7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해석하고,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 센서값 및 고유 저항값을 RF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연산부이다. 신호채널 선택부는 유량/유압/누수 측정부와 점검구 노출 감지선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각 센서값을 측정하거나 또는 파손 측정부를 감지선(21a, 21b)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유 저항값을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는 각 세대의 수도 계량기(50) 부근에 고정 설치되며 설치 장소가 주택가, 상가 등이므로 이러한 지역에서 허여 가능한 무선 통신 주파수가 제한되어 있어 RF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설계하였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와 이동통신단말기(7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장치이다. 즉, 게이트웨이 장치(40)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와 RF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70)에 전송 가능한 통신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와이파이통신)으로 변환한 후 이동통신단말기(70)로 전송하며, 역으로 이동통신단말기(70)를 통해 전송받은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RF통신방식으로 변환한 후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통신단말기(70)는 통상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것으로서, 게이트웨이 장치(40)를 통해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의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된 고유 저항값 및 방식 전위값을 읽어오도록 명령을 내리고, 전송받은 고유 저항값 및 방식 전위값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및/또는 이를 통신망(56)을 통해 중앙 감지 장치(6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통신망(56)은 이동통신단말기(70)와 중앙 감지 장치(60)를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인터넷망, 유선망, 및 무선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망으로 구현 가능하다. 중앙 감지 장치(60)는 복수 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로부터 유량값, 유압값, 누수 센서값 및 고유 저항값을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파손/누수 여부를 검출하는 서버 장치로서, 통상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된다. 충전형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의 각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의 경우는 검침원이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를 하나씩 방문하여 검침할 필요없이 차량(52)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70)와 게이트웨이 장치(40)를 지참한 상태에서 순시하면서 감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수도 계량기(50)와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각 세대에 설치되는 수도 계량기(50)는 상수가 유입되는 급수관(20)과 각 세대에 상수를 공급하는 유출관(41) 사이에 설치된다. 급수관(20)에는 두 가닥의 감지선(21a, 21b)이 설치되며 이를 이용하여 급수관(20)의 파손 여부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다. 수도 계량기(50)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53)와, 유출관(41)으로부터 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51)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압력센서(59)가 구비되어 유압을 측정하고, 내부면에는 누수센서(57)를 부착 설치하여 수도 계량기(50)의 누수 여부를 센싱하고, 또한 유량검측센서(55)를 구비하여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감지선(21a, 21b), 압력센서(59), 누수센서(57) 및 유량검측센서(55)는 각각 파손센서 케이블(20a), 압력센서 케이블(59a), 누수센서 케이블(57a) 및 유량센서 케이블(55a)을 이용하여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각 수도 계량기와 연결된 급수관에 설치된 감지선의 초기 고유 저항값을 측정한다(ST 410). 해당 수도 계량기에 설치할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에 초기 고유 저항값을 저장한다(ST 420). 이때 초기 고유 저항값은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의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메모리를 추가 설치하고 저장하여도 무방하며, 중앙처리부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작은 크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각각의 수도 계량기에 구비된 파손센서 케이블, 누수센서 케이블, 유압센서 케이블 및 압력센서 케이블을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와 연결하여 각 수도 계량기에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를 설치한다(ST 430). 다음으로 설치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를 구동시키면, 중앙처리부에 내장된 내부 타이머가 동작을 시작한다(ST 440).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각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따라 신호채널 선택부의 선택 신호에 의해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및 파손 측정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측정한다(ST 450). 그런 후, ST 450에서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한다(ST 460).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70)로부터 측정 데이터 요구 신호가 게이트웨이 장치(40)를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T 470). ST 470의 체크 결과에 따라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RF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RF 송신한다(ST 480). ST 470의 체크 결과에 따라 데이터 요청이 없거나 ST 480 단계 이후에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를 종료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T 490), 종료 명령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를 종료시키고, 종료 명령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ST 450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70)에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일명 앱(App) 프로그램이라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상태 감시 앱 프로그램 처리 흐름도의 일 례이다. 각 수도 계량기에 설치된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를 감시하는 검침원은 통상 차량(도 2의 52)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70)와 게이트웨이 장치(40)를 지참한 상태에서 순시하면서 감시한다. 물론 아파트와 같은 집합 건물의 경우는 검침원이 가가호호 각 세대 또는 사무실을 방문할 필요없이 계단 사이를 오가면서 이동통신단말기(70)와 게이트웨이 장치(40)를 지참한 상태에서 순시하면서 감시한다. 검침원은 게이트웨이 장치(70)를 작동시킨 후 이동통신단말기(70)에 설치된 상태 감시 앱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통신 상태를 체크한다(ST510). 상태 감시 앱 프로그램과 게이트웨이 장치의 통신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검침원은 감시 대상 지역의 수도 계량기 부근으로 이동하면서 서행한다(ST 520).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고, 데이터 수신을 대기한다(ST 530).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T 540),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화면에 표시한다(ST 550). 사용자가 해당 측정값을 중앙 감지 장치(60)로 전송 요청할 경우(ST 560), 측정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중앙 감지 장치(60)로 전송하고(ST 570),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ST 580).
ST 540 단계에서 데이터 수신이 없거나 또는 ST 560 단계에서 중앙 감지 장치(60)로 자료 전송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종료 여부를 체크하고(ST 580), 종료를 원할 경우에는 해당 앱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T 53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
도 4의 ST 420 단계에 의해 저장된 초기 고유 저항값은 도 5의 ST 530의 측정 데이터 요청에 따라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과 함께 앱 프로그램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앱 프로그램은 초기 고유 저항값과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의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된 측정된 유량값, 유압값, 누수센서값 및 고유저항값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매설관에 파손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 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상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려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메인관 20: 급수관
20a: 파손센서 케이블 21a, 21b: 감지선
30: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40: 게이트웨이 장치
41: 유출관 50: 수도 계량기
51: 역류방지밸브 52: 차량
53: 보호 케이스
55: 유량검측센서 55a: 유량센서 케이블
56: 통신망 57: 누수센서
57a: 누수센서 케이블 59: 압력센서
59a: 압력센서 케이블 60: 중앙 감지 장치
70: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4)

  1. 각 세대에 설치되는 수도 계량기와, 여러 세대가 사용하는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 메인관과 상기 수도 계량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상기 수도 계량기까지 이송하며 외곽 테두리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두 가닥의 감지선을 구비하는 급수관과, 상기 수도 계량기에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및 누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도 계량기의 누수 또는 상기 급수관의 파손을 감지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과 파손센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의 고유저항값을 측정하는 파손 측정부와,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량센서, 압력센서 및 누수센서와 각각 유량센서 케이블, 압력센서 케이블, 및 누수센서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량/유압/누수센서값을 측정하는 유량/유압/누수 측정부와,
    상기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및 상기 파손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된 유량/유압/누수센서값 및 상기 고유저항값을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부와,
    상기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된 값을 RF 송신하는 RF 송수신모뎀와,
    상기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상기 파손 측정부, 상기 데이터 로거부 및 RF 송수신모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유량/유압/누수 측정부, 상기 파손 측정부, 상기 데이터 로거부, RF 송수신모뎀 및 중앙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형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선과 상기 파손 측정부를 연결하거나 또는 유량센서 케이블, 압력센서 케이블, 및 누수센서 케이블을 상기 유량/유압/누수 측정부와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신호 채널 장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에는 내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타이머에 따라 일정한 주기마다 상기 파손 측정부 및 상기 유량/유압/누수 측정부를 연결하여 고유저항값 및 유량/유압/누수센서값을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부에 저장하는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와,
    상기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에 구비된 RF 송수신모뎀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및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항목 검측 제어 장치의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명령을 인가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앱 프로그램에서 처리되는 상기 데이터를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송수신하는 3G 및 WiFi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KR1020130097195A 2013-08-16 2013-08-16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KR10150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95A KR101503716B1 (ko) 2013-08-16 2013-08-16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95A KR101503716B1 (ko) 2013-08-16 2013-08-16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27A true KR20150019827A (ko) 2015-02-25
KR101503716B1 KR101503716B1 (ko) 2015-03-19

Family

ID=5257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195A KR101503716B1 (ko) 2013-08-16 2013-08-16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7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986A (zh) * 2017-12-14 2018-03-02 重庆市中美电力设备有限公司 水流量检测装置
EP3336508A1 (de) * 2016-12-13 2018-06-20 Diehl Metering GmbH Zählereinrichtung, zähl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zählereinrichtung
KR102170963B1 (ko) * 2019-10-17 2020-10-28 (주)리테크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US20210310894A1 (en) * 2018-07-24 2021-10-07 Conbraco Industries, Inc. Leak Detec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706B1 (ko) 2022-12-21 2023-02-28 이성안 분리형수도계량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781B1 (ko) * 2000-06-24 2002-07-02 박재훈 원격검침 터미널의 자동 데이터 전송방법
KR100945290B1 (ko) * 2009-11-27 2010-03-03 주식회사 위스코 광케이블이 포설된 파손 및 누수 감지용 파이프와 광케이블을 이용한 상기 파이프의 파손 및 누수 감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6508A1 (de) * 2016-12-13 2018-06-20 Diehl Metering GmbH Zählereinrichtung, zähl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zählereinrichtung
CN107747986A (zh) * 2017-12-14 2018-03-02 重庆市中美电力设备有限公司 水流量检测装置
CN107747986B (zh) * 2017-12-14 2024-03-19 西安恒利石油设备有限公司 水流量检测装置
US20210310894A1 (en) * 2018-07-24 2021-10-07 Conbraco Industries, Inc. Leak Detection Device
KR102170963B1 (ko) * 2019-10-17 2020-10-28 (주)리테크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716B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716B1 (ko)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EP2029975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valve associated to a gas meter
KR102296295B1 (ko) 원격검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수도 계량기 및 디지털 수도 계량기 관리 시스템
JP5213234B2 (ja) ガス器具監視装置
KR102008089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온도센서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30307701A1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10502652B2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EP25428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KR102193382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KR101827949B1 (ko) 수도계량기용 누수감지장치
KR20210140787A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ES292770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tectar una fuga en un sistema de tuberías para un fluido
KR102495230B1 (ko) 통신 출력 횟수 확인을 위한 카운터 단말기
CN108800594A (zh) 燃气热水器
CN204788496U (zh) 便携式多功能地下水位测量装置
AU2014202604B2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12867910A (zh) 用于集体维护的计量装置
KR20090085923A (ko)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745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JP2006011642A (ja) トランシーバ及びこのトランシーバを用いたガス漏洩検知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指針値変動検出装置
CN212433929U (zh) 燃气泄漏报警系统
JP4862606B2 (ja) ガス遮断装置
KR100363835B1 (ko) 수도미터
KR20130091859A (ko) 동파방지 수도계량기
JP4862632B2 (ja) ガス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